최원형의 청소년 소비 특강 - 대량 소비가 만든 쓰레기 이야기 10대를 위한 인문학 특강 시리즈 2
최원형 지음 / 철수와영희 / 2017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푸른책과 함께 살기 133



서울 쓰레기 160만 톤이 날마다 인천으로?

― 최원형의 청소년 소비 특강

 최원형 글

 철수와영희 펴냄, 2017.11.30. 13000원



  우리 집 곁님이 ‘이불’을 손수 뜨개로 마련한다는 이야기를 들은 어느 이웃님은 뜨악하다는 얼굴을 했습니다. 그분은 왜? 뭣하러? 같은 얼굴이었습니다. 그냥 돈을 주고 사서 쓰면 되지 않느냐고 여기셨어요.


  저희 식구는 플라스틱 잇솔을 안 쓰려고 여러 해에 걸쳐 생각하고 헤아리다가 드디어 알맞춤한 잇솔을 얻었습니다. 비록 우리가 잇솔을 손수 나무로 깎지 못했으나, 나무 손잡이에 돼지털을 정갈하게 박은 잇솔을 얻었어요. 우리 식구가 ‘돼지털 나무 잇솔’을 쓴다는 이야기를 들은 어느 이웃님도 매우 뜨악하다는 얼굴을 했습니다. 이 사람들 참 거석하다고 여기셨습니다.



오늘날은 왜 고쳐쓰는 일이 사라지고 새로 사는 일이 반복되는 걸까요? 얼마나 많은 자원을 우리가 쓰고 있는지 가늠이 되나요? 모든 물건은 지구에서 나오는 원료로 만들어지는데, 세월이 흐르면서 자원의 양이 점점 증가한 걸까요? (7쪽)


발전에 대해 생각해 볼게요. 우리는 숲이 우거져 있는 곳을 보고 발전했다고 하지는 않습니다. 숲이 있던 자리에 아파트나 빌딩이 들어서고 개발이 되면 많이 발전했다고 합니다. (25쪽)



  어떤 살림이건 우리가 손수 지어서 누릴 수 있을 적에 가장 아름답다고 느낍니다. 더디 걸리거나 투박하다 하더라도 아이하고 함께 짓는 살림은 오래 갈 뿐 아니라 마음이 따스하게 흐른다고 느껴요. 손수 지어서 누리는 살림이기에 꾸준히 손질해서 잘 건사할 수 있기도 합니다.


  여기에 한 가지 더 있어요. 손수 지어서 누리는 살림은 나중에 다 닳거나 해질 적에 쓰레기가 안 돼요. 왜 그러한가 하면, 손수 살림을 지을 적에는 ‘다 써서 더는 쓸 수 없을 적에 흙으로 곱게 돌아갈 수 있을 만한 것’으로 지을 테니까요.


  우리가 가게에서 돈을 치러서 사다 쓰는 살림을 찬찬히 돌아보면 좋겠어요. 어느 것에나 비닐자루가 깃들기 마련이고, 이래저래 ‘버려야 하는 겉싸개(포장지)’가 있습니다. 흔한 과자 한 자루나 빵 한 조각조차 비닐 껍데기입니다. 커피 한 잔을 커피집에서 마셔도 도자기나 유리나 스텐 같은 잔에 주지 않는다면 쓰레기가 생겨요.



1970년대 중반을 넘어서며 부동산 개발 바람과 함께 콘크리트를 이용해서 대규모로 짓는 아파트가 유행이 되었지요. 이때부터 집은 스스로 짓는 게 아니라 돈을 지불하고 사는 것이라는 인식이 자리를 잡게 되었어요. 집에다 사람을 맞추기 시작한 거지요. (54쪽)


천연 섬유는 자연에서 거둔 재료로 만들기 때문에 자연스레 다시 자연으로 돌아갑니다만 합성 섬유는 그렇지 못합니다. (100쪽)



  《최원형의 청소년 소비 특강》(철수와영희, 2017)이라는 책을 읽으면서 몇 가지를 곰곰이 돌아봅니다. 첫째 ‘살림’을 돌아봅니다. 우리 스스로 어떤 살림을 지으면서 하루를 누리는지 돌아봅니다. 다음으로 ‘씀씀이(소비)’를 돌아봅니다. 손수 짓지 못하는 살림일 적에는 돈으로 사다가 쓰는데, 무엇을 돈으로 사서 쓰는지, 돈으로 사서 쓸 적에 품이나 겨를을 얼마나 들여야 하는가를 돌아봅니다. 하나하나 살펴보면 가게 물건 하나마다 달라붙는 자잘한 쓰레기가 무척 많습니다. 그리고 이 물건이 가게로 오기까지 생태발자국도 꽤 길어요.


  《최원형의 청소년 소비 특강》이라는 책에서 지은이가 밝히기도 합니다만, 어쩌면 우리는 ‘살림짓기+씀씀이’를 집이나 학교나 마을에서 제대로 배운 적이 없구나 싶기도 합니다. 집에서는 우리를 학교에 보내기만 했을 뿐, 살림을 배우라고 이야기하는 어버이는 드물어요. 예나 이제나 비슷합니다. 어린이나 푸름이한테 학교에서 공부 잘해서 시험을 잘 치르라고는 말하지요? 어린이나 푸름이한테 ‘밥을 잘 짓는 길’이나 ‘빨래를 슬기롭게 하는 길’이나 ‘청소를 비롯한 집안일을 즐겁게 하는 길’을 이야기하거나 알려주거나 물려주는 어버이는 보기 힘들지요? 그리고 어린이나 푸름이한테 ‘지구를 더럽히지 않으면서 쓰는(소비하는) 살림’을 이야기하거나 가르치는 어버이도 보기 힘들다고 느껴요.



지구 주변을 돌고 있는 우주 쓰레기는 대략 6300톤가량 된다고 합니다. 지금 이 순간에도 어디선가 우주로 발사체를 날려 보내고 있어요. 2015년에 지구에서 발사된 위성 수는 263기나 된다고 합니다. 이 위성들은 앞으로 어떻게 될까요? (121쪽)


서울시의 쓰레기를 인천에 있는 수도권 매립지에 가져다 버리는 일은 아무리 생각해도 윤리적인 행위는 아닌 것 같아요 … 서울시의 경우 쓰레기는 인천시에 있는 매립지로 가는데 그 양이 160만 톤이 넘어요. (133, 134쪽)



  시골에서나 서울에서나 쓰레기를 함부로 버리는 사람을 매우 쉽게 볼 수 있습니다. 어떤 사람은 자동차를 몰다가 창문 밖으로 쓰레기를 휙 던지기도 합니다. 시골에서는 골짜기나 밭둑에 쓰레기를 몰래 버려 놓고서 달아나는 사람도 있습니다. 서울에서는 길가에 빈 커피잔이나 깡통을 아무렇지 않게 버리고 지나가는 사람이 많아요.


  이런 모습 저런 모습을 보다가 생각에 잠깁니다. 왜 많은 사람들은 쓰레기를 아무 데나 함부로 버릴까요? 어쩌면 우리는 ‘살림 교육’이나 ‘소비 교육’이나 ‘쓰레기 교육’을 제대로 배운 적이 없지는 않을까요? 우리가 누리거나 쓰는 모든 살림살이를 찬찬히 배우지 못한 나머지, 돈으로 가볍게 사다가 쓰고는 휙휙 버리는 버릇에 젖어들지는 않았을까요? 우리가 쉽게 버리는 쓰레기가 땅하고 바다를 더럽혀 끝내 우리 스스로한테 돌아오고 마는 줄 잊지는 않았을까요?



커피콩에서 우리가 커피로 추출하는 양은 1퍼센트 정도라고 합니다. 그러니 에너지를 들여 키운 커피를 거의 대부분 버리는 셈이지요. (141쪽)


일본 생협의 경우는 80퍼센트의 빈 병이 재사용된다고 합니다. 국내 한 생협에서 실시하고 있는 빈 병 재사용률을 알아봤더니 2017년 6월 현재 25% 정도라고 하더라고요. (155쪽)



  《최원형의 청소년 소비 특강》을 읽다가 몇 대목에서 흠칫 놀랍니다. 지은이는 소비하고 쓰레기를 나란히 이야기하면서 틈틈이 통계 자료를 보여주는데, 서울에서 하루에 나오는 쓰레기 부피가 자그마치 160만 톤이라고 한대요. 게다가 서울 하루 쓰레기 160만 톤은 서울에 파묻을 곳이 없어 이웃인 인천에 갖다가 파묻는다고 해요.


  이 책에서 더 다루지는 않습니다만, 부산이나 대구나 광주 같은 큰도시는 하루에 쓰레기가 얼마나 나올까요? 다른 큰도시에서 나오는 쓰레기는 어디로 갈까요? 그나저나 인천도 자그마한 도시는 아닐 텐데, 인천에서 하루에 나오는 쓰레기는 또 어디로 가야 할까요?


  아니, 무엇보다 왜 이렇게 어마어마한 쓰레기가 날마다 나와야 할까요? 우리는 쓰레기를 줄이거나 없애는 길을 찾을 수 없을까요? 우리는 ‘쓰고 버리는 몸짓’을 좀 멈추고 ‘스스로 지어서 누리는 살림’으로 달라져야 하지는 않을까요?



생태적으로 사는 건 단지 불편한 것을 감수하는 것이 아니라 자기를 위하는 일입니다. (203쪽)



  학교에서 어린이하고 푸름이가 교과목만 배우지 않기를 바라는 마음입니다. 학교에서 어린이하고 푸름이가 ‘삶을 짓는 슬기로운 손길’을 함께 배울 수 있으면 좋겠어요. 이러면서 ‘살림을 가꾸는 즐거운 마음’도 배울 수 있으면 좋겠고요. 우리 어른들은 어린이하고 푸름이한테 ‘이웃을 사랑하는 넉넉한 품’이 되어 주기를 바라요.


  숲을 곱게 돌보는 길이란 ‘자연 보호’만이 아닌 ‘우리를 스스로 아끼는 길’이면서 ‘우리가 스스로 즐거운 길’인 줄 느끼고 배울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알맞게 짓고, 즐겁게 나누면서, 아름답게 피어나는 보금자리와 마을과 나라가 되면 좋겠어요. 좋은 나라, 좋은 마을, 좋은 보금자리, 좋은 숲을 꿈꿉니다. 2017.12.6.물.ㅅㄴㄹ


(숲노래/최종규 . 시골에서 책읽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시외버스에서 읽는 책 2017.12.5.


경기도 광주에서 전라도 광주로 가는 시외버스를 찾을 수 없다. 광주에서 광주로 가려고 성남으로 간다. 광주 서재도서관 ‘책읽는 베짱이’ 지기님이 차로 태워 주신다. 고맙게 움직이는데, 경기 광주서 성남으로 나오니, 성남은 엄청나게 크고 시끄러운 도시이네. 서울만 하겠느냐만 서울하고 꼭 닮았구나 싶다. 어쩌면 이 나라 도시는 모두 서울을 닮았다고 할 수 있다. 성남서 광주로 세 시간 반 즈음 달리는 길에 《10대와 통하는 심리학 이야기》를 다 읽는다. 나는 10대 아닌 40대라 할 텐데 이 책을 읽는다. ‘10대’라는 말머리가 붙었대서 10대만 읽으란 법은 없을 테지. 그리고 푸름이 눈높이에 맞추어 풀어내는 심리학 이야기는 푸름이뿐 아니라 누구나 한결 쉬우면서 부드럽게 읽을 만하다고 볼 수 있다. 어린이책은 어린이한테 맞추는 책으로 태어나지만, 우리 삶을 다루는 이야기를 더욱 쉬우면서 재미나게 풀어내는 책이 되곤 한다. 청소년책은 인문을 다루는 책이 나아갈 길을 새롭게 보여준다고 느낀다. 힘을 빼고, 어려운 말을 줄이고, 군말을 덜면서, 책 하나가 더욱 책다울 수 있도록 가다듬는 길을 보여준다고 할까. 《10대와 통하는 심리학 이야기》를 읽을 푸른 벗님이 스스로 아끼고 이웃을 사랑하는 마음이 어디에서 샘솟아 어떻게 흐르는가를 잘 살필 수 있으면 좋겠다. 우리 어른도 더욱 넓으면서 따사로운 마음으로 거듭날 수 있으면 좋겠다.


(숲노래/최종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구름공항 벨 이마주 28
데이비드 위스너 그림, 이상희 옮김 / 중앙출판사(중앙미디어) / 2002년 7월
평점 :
절판


새롭게 피어나니 즐겁게 놀아

[내 사랑 1000권] 23. 데이비드 위즈너 《구름 공항》



  구름은 똑같은 모습이 없습니다. 하늘을 가만히 올려다본 분이라면 다 알리라 생각해요. 우리는 어떤 사람도 나서 죽을 때까지 똑같은 모습인 구름을 하나조차 볼 수 없어요.


  그러면 왜 똑같은 구름을 하나조차 볼 수 없을까요? 어떻게 구름은 늘 다른 모습일까요? 아니, 어찌하여 구름은 늘 새로운 모습으로 피어나서 우리한테 새로운 그림을 보여주고, 우리 눈이며 마음에 새로운 빛깔하고 무늬를 바라보면서 새로운 이야기꽃을 품도록 북돋아 줄까요?


  수수께끼를 좋아하는 아이라면 그림책 하나를 곁에 두면서 구름하고 노닐 만하지 싶습니다. 어른 가운데에도 아직 수수께끼를 좋아하는 분이 있으면 아이 곁에 나란히 쪼그려앉아서 그림책 하나를 함께 읽으며 구름하고 어우러질 만하지 싶고요.


  데이비드 위즈너 님은 말 없이 그림으로만 이야기를 엮는 《구름 공항》으로 구름이 처음에는 다 똑같은 모습이어야 했으나 어느 날 부터 다 다른 모습이 되었다고 하는 줄거리를 밝힙니다.


  작은 구름이 작은 아이하고 놀다가 슬그머니 구름 공항으로 데리고 가요. 구름 공항에서 작은 아이를 본 온갖 구름은 작은 아이가 재미있게 놀도록 이끌고, 작은 아이는 온갖 구름이 저마다 다른 몸이 되어 저마다 새로운 하루를 보내고 싶다는 뜻을 읽습니다. 이리하여 작은 아이는 종이를 펴서 요모조모 생각을 하면서 재미나게 그림놀이를 합니다. 작은 아이가 짓는 그림놀이를 지켜본 온갖 구름은 새로운 모습이 되어 보는 ‘몸짓놀이’가 신납니다. 구름 공항을 다스리는 어른들은 이를 못마땅하게 여깁니다만, 모든 구름이 늘 새롭기를 바라니, 나중에는 구름 공항 어른들도 더는 이를 막지 못해요.


  틀에 갇히고 싶지 않은 구름입니다. 틀에 가둘 수 없는 구름입니다. 바람도 구름처럼 틀에 가둘 수 없습니다. 물줄기도 틀에 못 가두고, 꽃이나 풀이나 나무도 틀에 못 가두어요. 사람도 매한가지이지요. 어른이나 아이 모두 틀이 아닌 새로운 꿈을 가슴에 담으면서 사랑으로 피어나며 환하게 웃고 어우러집니다. 2017.12.5.불.ㅅㄴㄹ


(숲노래/최종규 . 책넋/책삶)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닉 아저씨의 뜨개질 벨 이마주 17
디 헉슬리 그림, 마거릿 와일드 지음, 창작집단 바리 옮김 / 중앙출판사(중앙미디어) / 2002년 4월
평점 :
품절


마음으로 늘 하나입니다

[내 사랑 1000권] 22. 마가렛 와일드·디 헉슬리 《닉 아저씨의 뜨개질》



  닉 아저씨는 뜨개질을 잘하지 않습니다. 닉 아저씨는 뜨개질을 그저 좋아합니다. 혼자 하는 뜨개질보다 졸리 아주머니하고 나란히 앉아서 뜨개질을 할 적에 더없이 좋아합니다. 아침마다 기차를 타고 45분 동안 함께 달리는 길에 톡톡톡톡 뜨개바늘이 부딪는 소리를 내면서 털실이 새롭게 옷이 되고 인형이 되는 모습을 지켜보며 도란도란 이야기꽃을 피우는 하루를 아주 좋아하지요.


  이러던 어느 날 닉 아저씨는 슬픔에 잠겨요. 그 즐겁던 아침에 졸리 아주머니를 더는 만날 수 없거든요. 졸리 아주머니는 그만 쓰러지고 말아 더는 기차를 타고 닉 아저씨하고 기찻간 뜨개마실을 할 수 없거든요.


  닉 아저씨하고 졸리 아주머니는 앞으로 무엇을 할 만할까요? 졸리 아주머니는 병원 침대에 누워 기찻간 뜨개마실을 누릴 수 없다면 삶에서 보람이란 무엇이 될까요? 그림책 《닉 아저씨의 뜨개질》은 뜨개질 하나를 놓고 두 아저씨하고 아주머니 사이에 피어나는 따스하면서 맑은 마음이 어떻게 즐거운 노랫가락으로 거듭날 만한가를 차분히 들려줍니다. 이 그림책은 우리더러 뜨개질을 해 보라고 부추기지 않아요. 그러나 뜨개질 하나로 삶을 바꿀 뿐 아니라 살림도 바꾸고, 생각을 바꾸면서 사랑까지 새롭게 끌어낼 수 있구나 하고 알려줍니다.


  가게에 가서 인형을 산 뒤에 선물해야 아이들이 반길까요? 가게에 가서 옷을 산 뒤에 선물해야 아이들이 기뻐할까요? 받는 선물이나 주는 선물이란 무엇일까요? 우리는 이레쯤 신나게 일을 해서 번 돈으로 뭔가 값있는 것을 사다가 주어야 선물이라고만 여기지는 않나요? 우리는 이레쯤 품을 들이고 마음을 들여서 손수 지은 꿈을 건네는 살뜰한 선물을 어느새 잊지는 않나요?


  아이들한테는 더 많은 장난감이 있어야 하지 않습니다. 어른들한테는 더 많은 돈이 있어야 하지 않습니다. 아이들한테는 더 좋은 새옷을 주어야 하지 않습니다. 어른들한테는 더 많은 새옷을 건사할 옷장이 있어야 하지 않습니다. 자, 우리 손을 맞잡고 나란히 앉아 볼까요? 손에서 손을 타고 흐르는 기운을 느꼈으면 이 따뜻한 손으로 뜨개바늘을 쥐고서 서로서로 아름다운 그림을 한 올 두 올 지어 볼까요? 2017.12.5.물.ㅅㄴㄹ


(숲노래/최종규 . 책삶/책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시외버스에서 읽은 책 2017.12.3.


고흥읍에서 순천으로 나오는 시외버스를 달리면서 《혀 내리는 촘마》를 마저 읽었다. 짤막한 이야기 가운데 북녘 옛이야기도 한 꼭지 있다. 깜짝 놀랐다. 일본 옛이야기를 적바림한 일본사람이 일본 어린이한테 북녘(한국) 옛이야기를 한 자락 들려주네? 이런 마음결이 오늘날 우리한테도 아직 있을까? 우리 옛이야기를 아이들한테 들려주면서 ‘이웃나라 옛이야기도 한 자락 들려줄까?’ 하면서 일본이나 중국이나 베트남이나 라오스 옛이야기를 들려줄 만한 지음이는 얼마나 될까? 순천서 청주 가는 시외버스를 두 시간 동안 기다려야 한다. 두 시간 동안 맞이방에 있어야 하는 셈이지만, 이 길이 가장 빠르다. 이동안 시집 《젊은 날의 시인에게》를 읽는다. 이 시집을 쓴 분은 아직 늙은 날이 아니라고 본다만, 아무튼 젊은 날을 돌아보면서 이녁 시를 그러모아서 엮었다고 한다. 비정규직이 되거나 해고되는 이웃을 바라보면서 타는 속마음을 고스란히 그린 시가 얇은 시집에 가득하다. 어찌 보면 우리는 ‘비정규직’이나 ‘정리해고’라는 이름이 사라지기를 바라며 촛불 한 자루로 낡은 우두머리를 끌어내렸다고 할 만하다. 그러나 아직 비정규직이나 정리해고는 좀처럼 안 사라진다. 그리고 내가 사는 전남 고흥 같은 고장은 공무원이 너무 많다. 오늘날 한국은 어느 시골이든 마을사람은 적은데 읍내·면내 공무원은 참 많다. 이 숫자를 줄여야 하지 않나? 이 숫자를 안 줄인다면 알맞게 돌려야 하지 않나? 할 일이 없어서 하루 내내 인터넷만 누비다가 밥 먹고 칼퇴근을 하는 시골 공무원을 어찌하면 좋겠는가?


(숲노래/최종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