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읽기 2018.1.1.


《꽃 밟을 일을 근심하다》

장석남 글, 창비, 2017.12.8.



귀화(歸化), 비문(碑文), 살(肉)의 눈부심, 만개(滿開), 절(寺) 벽, 창변(窓邊), 내세(來世)의 이야기, 소(沼), 고도(古都), 채식(菜食), 사색(思索), 생(生), 여법(如法)한 나라, 내생(來生), 산(山)집 …… 같은 글월을 읽으며 생각에 잠긴다. 시를 쓸 적에 이렇게 한자를 신나게 써야 할까? 이런 글월은 한자 아니라면 밝히거나 나타낼 길이 없을까? 문학이란 묶음표를 치고 한자를 넣는 글쓰기일까? 나이가 제법 있는 이는 한자를 신나게 시에 넣고, 나이가 제법 적은 이는 영어를 신나게 시에 넣는다. 시란 누가 쓰고 누가 읽을까? 시는 어느 삶자리에 머물까? 시를 써서 나누려는 이는 어떤 이웃을 헤아리는 마음일까? 시를 묶어서 책 하나로 나누려는 뜻은 어디에 있을까? 인천에서 나고 자란 뒤 문예창작학과 교수라든지 신춘문예 심사위원을 하는 분이 선보인 시집을 고흥 시골버스로 읍내를 다녀오는 길에 읽다가 얹힐 뻔하다. 삶을 써야 시라고 이야기하는 글쓴이한테 ‘삶을 담는 말’이란 무엇일까? 어떤 삶을 담는 말일까? 어떤 삶을 담는 말로 어떤 삶을 노래하려는 이야기일까? 고흥 읍내에 닿아 시집은 가방에 집어넣고 큰아이 손을 잡고 저잣마실을 본다. ㅅㄴㄹ


(숲노래/최종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여자 제갈량 2
김달 지음 / 레진코믹스(레진엔터테인먼트) / 2015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00쪽 넘게 읽기까지 그린이가 무슨 말을 하고 싶은가를 찾기 어려웠다. 꾸역꾸역 ‘연재 채우기’를 했구나 싶다. 삼국지연의를 가시내 눈썰미하고 마음으로 그리겠다는 첫뜻은 틀림없이 좋으나, 그리고 그리다가 제풀에 지쳤지 싶다. 큰 줄거리를 따라서 처음부터 차분히 다시 그려 보면 어떨까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 읽기 2017.12.31.


《여자 제갈량 1》

 김달 글·그림, 레진엔터테인먼트, 2015.7.1.



마음껏 생각날개를 펴는 만화책이란 참으로 재미있다. 이제껏 이루지 못했거나 하지 못했다고 여기던 일도 만화로 새롭게 그리거나 펼친다. 앞으로는 이와 같이 되기를 바라는 이야기를 만화로 그린다. 지난날 이러한 모습이었으면 한결 아름답거나 즐거웠겠지 하는 마음을 만화로 빚는다. 사내들이 죽이고 죽는 다툼질이 흐르는 ‘삼국지연의’를 다르게 읽어내어 다르게 그리는 《여자 제갈량》 첫째 권을 읽는다. 한 해를 마무르는 마음으로 만화책 한 권을 누린다. 첫째 권을 보고 나서 다음 권을 보자고 생각했는데, 막상 첫째 권을 다 읽고 나니 다음 권을 함께 장만하지 않은 내가 살짝 아쉽다. 이야기가 조금 늘어지는 듯하고, 흐름이 오락가락하기는 하며, 군말 같은 이야기도 있구나 싶지만, ‘남자 제갈량’이라든지 ‘남자 삼국지연의’이라 할 적에는 생각해 보기 어려운 모습을 만날 수 있어서 재미있다. 그리고 왜 그리도 많은 사내는 지난날 싸울아비로 이리저리 끌려다녀야 했고, 왜 그리도 많은 사내는 이름을 날리거나 힘을 거머쥐려고 온힘을 쥐어짰나 싶기도 하다. 나라를 가시내가 다스렸어도 군대를 거느리거나 전쟁이 잦았을까? ㅅㄴㄹ


(숲노래/최종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리는 대로 마음별 그림책 5
피터 레이놀즈 지음, 엄혜숙 옮김 / 나는별 / 2017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다 함께 즐기는 그림책 781


늘 다른 하늘빛을 “그리는 대로” 즐겁습니다
― 그리는 대로
 피터 레이놀즈 글·그림/엄혜숙 옮김
 나는별, 2017.10.27. 12000원


  우리 집 큰아이한테는 여러 이름이 있습니다. 우리 큰아이가 스스로 좋아하거나 즐기거나 사랑하거나 잘하는 놀이나 일이 있으면, 그 놀이나 일에 맞게 이름을 지어 줍니다. 이를테면 사진순이, 그림순이, 글순이, 이야기순이, 책순이, 달리기순이, 웃음순이, 노래순이 같은 이름이 있어요. 잘 놀기에 놀이순이도 되고, 심부름을 잘 하기에 심부름순이도 됩니다. 밥짓기를 즐거이 돕거나 밥을 잘 먹으면 밥순이입니다. 빨래순이, 비질순이, 모닥불순이, 나무순이, 꽃순이, 자전거순이도 됩니다.

  우리 집 작은아이는 큰아이하고 나란히 사진돌이, 그림돌이, 글돌이, 이야기돌이, 책돌이 들이 됩니다. ‘순이·돌이’라는 이름이 곱다고 여겨 이러한 이름을 써요. 작은아이는 여섯 살로 접어들 무렵까지 “누나는 그림을 잘 그리고, 나는 그림을 못 그려!” 하며 살았지만, 일곱 살을 지나고부터는 그림 투정이 확 줄었어요. 어느새 작은아이 손끝에서도 그림결이 살아납니다. 그리고 또 그리고 자꾸 그리면서 스스로 거듭나요. 말 그대로 “그리는 대로” 그림을 잘 그릴 수 있구나 싶어요.


마리솔은 자기 그림을 모두 전시장(냉장고나 집안 곳곳)에 걸어 두지 않았어요. 오히려 세상 사람들과 널리 나누고 싶어 했지요. 마리솔은 포스터도 그렸어요. 자기가 믿는 생각을 널리 알리려고요. (5쪽)


  곁에서 아이들을 늘 지켜보기에 “그리는 대로”란 얼마나 대단한가를 새삼스레 배웁니다. 그림책 《그리는 대로》(나는별, 2017)를 볼 적에도 ‘참 그렇지 그래’ 하고 고개를 끄덕이며 반가워요.

  그림책에 나오는 아이는 그림그리기를 매우 좋아한대요. 온 집안을 전시장으로 삼는대요. 우리 집 두 아이도 이와 같습니다. 붓으로든 연필로든 온 집안에 그림을 척척 그려서 붙이다가, 아예 빈 벽이 있으면 빈 자리가 없도록 알뜰히 그림을 그려 넣습니다.

  아이들한테 물어보았어요. “우리 이쁜 아이들아, 이 벽에까지 왜 그림을 그렸니? 그림종이가 따로 있지 않니?” “응, 이 벽이 더 이쁘라고 그렸어.”

  우리 집 구석구석 더 이쁘라고 그림을 그려 넣었다는 아이들 말에, 이 아이들을 그저 안아 줄 수밖에 없습니다. 이러면서 한 마디를 붙이지요. “그래, 우리 집이 너희 그림을 참으로 좋아하겠구나. 멋진 생각이네.”


마리솔은 물감 상자를 샅샅이 뒤졌어요. 그런데 파란색이 없지 뭐예요. “어떻게 하늘을 그리지? 파란색 물감이 없는데.” (11∼12쪽)


  그림책 《그리는 대로》에 나오는 아이는 학교에서도 그림놀이를 즐기는 아이가 어느 날 근심에 잠기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학교에서는 도서관 벽에 아이들 그림을 넣기로 하는데, 하늘을 그리기로 한 아이한테 막상 파란 물감이 없대요. 아마 그동안 파란 물감을 신나게 쓰느라, 파란 물감이 다 떨어진 줄 잊었겠지요.

  파란 물감이 다 떨어졌으면 파란 물감만 새로 장만할 수 있을 텐데, 그림책 아이는 ‘물감 새로 장만하기’가 아닌 ‘파란 물감이 없으니 어쩌지?’ 하는 근심에서 벗어나지 못해요. 다른 동무는 신나게 그림을 그리는데 저 혼자만 그림을 못 그리면서, 붓을 못 들면서, 그리고픈 하늘을 못 그리면서, 그토록 좋아하는 붓질을 하나도 못 하면서, 내내 시무룩합니다.


해가 지평선 가까이로 지고 있었어요. (15쪽)
마리솔은 낮이 밤으로 바뀌는 것을 지켜보았어요. (17쪽)
그날 밤, 마리솔은 멋진 꿈을 꾸었어요. (19쪽)


  시무룩하고 근심하는 아이는 말없이 집으로 돌아갑니다. 집으로 가는 버스에서 문득 저녁놀을 봅니다. 저녁놀을 날마다 보고 또 보았을 텐데, 이날 따라 저녁놀은 좀 다르게 보입니다.

  그래요. 저녁놀이 퍼질 때에는 하늘빛이 다르지요. 해가 하늘 높이 있을 적하고, 해가 막 뜰 적하고, 해가 막 질 적하고, 해가 진 뒤에 하늘빛이 달라요. 구름이 있을 적에도 하늘빛이 다르고, 구름이 어느 만큼 있느냐에 따라서도 하늘빛이 달라요. ‘하늘빛 = 파랑’이라고만 할 수 없어요.

  이제 그림책 아이는 시무룩한 마음을 달랠 수 있을까요? 이튿날 그림책 아이는 학교에서 기운을 내어 그림을 그릴 수 있을까요?

  그림책 《그리는 대로》는 이 책이름처럼 “그리는 대로” 삶이 달라질 수 있다는 이야기를 넌지시 밝힙니다. “보는 대로” 그릴 수 있으며 “그리는 대로” 생각이 거듭날 수 있다고 가만히 밝힙니다. “생각하는 대로” 무엇이든 달리 볼 수 있을 뿐 아니라, 더 마음을 기울이고 더 사랑을 쏟으면서 무엇이든 새롭게 보고 느껴서 새롭게 그릴 수 있는 줄 조용히 밝혀요.

  늘 똑같이 그리는 몸짓이 아닌, 늘 새롭게 그려 보는 웃음입니다. 언제나 틀에 맞춘 채 그리는 몸짓이 아닌, 언제나 기쁘게 거듭나면서 그려 보는 노래입니다. 그리는 대로 즐겁고, 그리는 대로 놀라우며, 그리는 대로 사랑이 됩니다. 2017.12.31.해.ㅅㄴㄹ

(숲노래/최종규 . 시골에서 그림책 읽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 읽기 2017.12.30.


《홍대앞 언더그라운드 뮤지션》

 유상현 글·사진, 눈빛, 2017.7.21.


다 같이 모여 노래를 부른다. 때로는 혼자가 되어 노래를 부른다. 서로 아끼면서 노래를 부른다. 더러 다투기도 하고, 어깨동무를 하면서 노래를 부른다. 웃으면서 노래를 부르고, 울면서 노래를 부른다. 노래란, 참말 어디에나 있다. 서울 홍대앞 무대에도 있고, 시골 논밭에도 있다. 부산 길거리에서 길손을 바라보며 노래를 할 수 있고, 바다에서 배를 몰면서 노래를 할 수 있다. 사진책 《홍대앞 언더그라운드 뮤지션》은 서울 홍대앞에서 ‘밑무대’ 노래님을 벗삼은 이야기를 사진하고 짤막한 글월로 들려준다. 그렇지. 노래하는 이도 즐겁고 노래를 듣는 이도 즐겁다면 이만한 사진하고 글이 나올 수 있지. 이제껏 이만한 사진하고 글이 나오지 않았다면, 한국 사회가 사진을 보는 눈이 얕았다고 해야 할까, 아니면 노래를 즐기는 마음이 흐렸다고 해야 할까. 이마를 타고 땀이 흐른다. 악기를 켜거나 치거나 타거나 두들기거나 뜯는 손에도 땀이 맺힌다. 온몸을 불살라서 노래를 내뿜는다. 뜨겁게 타오르고 고요히 식는다. 노래는 한 줄기로 흐른다. 들을 적시는 물줄기처럼. 숲을 이루는 나무줄기하고 풀줄기처럼. 해님이 베푸는 빛줄기처럼. 싱그러이 속삭이는 바람줄기처럼. 그리고 너랑 나 사이를 오가는 마음줄기처럼. ㅅㄴㄹ


(숲노래/최종규)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카스피 2018-01-01 22:57   좋아요 0 | URL
숲노래님 2017 서재의 달인 축하드리며 새해 복많이 받으세요^^

숲노래 2018-01-02 06:29   좋아요 0 | URL
카스피 님도 언제나 즐거우며 새로운
하루를 짓는
2018년 누리셔요. 고맙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