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선엽


 백선엽이라는 분이 간도특설대에 몸담았던 사람이라고 한다. 한국전쟁에서는 참모총장을 했다고 한다. 나는 1970년대에 태어났으니, 이런 일이나 저런 일을 스스로 겪지 못해 모른다. 오직 책에 적힌 이야기로만 들을 뿐이다.

 1970년대에 태어나서 1980∼90년대를 인천에서 살아낸 사람으로서 백선엽이라는 분을 떠올린다면, 인천 제물포역 뒤쪽 도화동에 널찍하게 자리한 ‘선인재단’이다. 선인재단은 백선엽 씨와 백인엽 씨 이름을 따서 붙인 곳으로, 유치원부터 대학교까지 우글우글 모였다.

 선인재단은 사립학교인데, 이 사립학교는 열 해 즈음이던가, 인천에 뿌리를 둔 사람들이 싸우고 싸운 끝에 백선엽 씨와 백인엽 씨한테서 재단을 빼앗아 시립으로 바꾸었다. 왜냐하면, 선인재단이라는 이름으로 학교가 선 뒤로 끝없는 부정부패와 비리와 폭력으로 얼룩졌으니까.

 제물포역 둘레에 갈 때면 우람하게 버틴 선인재단이 드리우는 먹구름 때문에 서슬퍼런 기운에 싫었다. 버스가 선인재단 둘레를 거쳐 갈 때에는 이쪽을 쳐다보고 싶지도 않았다. 몇 만을 웃돌 학생들이 선인재단 수많은 학교에 우글거리도록 하는 일이 참말로 교육이 될는지 알쏭달쏭했다. 뺑뺑이로 중학교와 고등학교를 가야 할 때에, 부디 선인재단에 깃든 학교에 안 걸리도록 비손을 했다. 여중과 여고는 어떠한지 모르겠으나, 남중과 남고는 선인재단 쪽 학교로 가면 교사와 선배가 어마어마하게 폭력을 휘두른다는 소리를 일찍부터 들었으니까.

 학교에서 교사는 왜 몽둥이를 휘두르면서 교과서를 펼칠까. 학교에서 선배들은 왜 이맛살을 찌푸리면서 쉽게 주먹을 붕붕 휘두르며 걸어다닐까. 학교에서 또래 동무들은 왜 서로 무리를 지어 패싸움을 벌이거나 돌림뱅이 짓을 벌이려 할까. 학교라는 곳에서 조용하면서 착하게 배우고 어깨동무할 수는 없을까.

 한국전쟁에서 훈장을 받을 만큼 뛰어난 재주를 보였다면, 아무래도 ‘전쟁 영웅’이라는 이름을 붙일 수 있으리라. 그런데, 전쟁 영웅이란 무엇이지? 사람을 더 많이 죽인 사람이 영웅 아닌가? 적군이라는 사람을 더 많이 더 빨리 더 쉽게 죽여야 영웅 아닌가?

 군대에서 장교로 있는 사람은 명령을 내리고 지시를 한다. 군화발로 걷어차며 어서 총알받이로 달려가라고 뒤에서 내몬다. 적군을 수없이 쓰러뜨리려고 아군이라는 사람은 또 얼마나 많이 쓰러져야 했을까. 적군을 죽이는 숫자만큼 아군이라는 사람도 죽어야 하지 않았을까. 두 나라 총알받이 군인, 곧 여느 사람들은 왜 싸움터로 나와서 낯도 이름도 모르는 서로를 나쁜 놈이라 여기면서 죽이고 죽어야 할까. 저마다 제 보금자리에서 흙을 일구며 착하게 살아가면 될 이웃이 아닌가.

 내 어릴 적 인천에서 지내던 나날을 곰곰이 떠올린다. 교사는 몇 해에 한 번씩 학교를 바꾼다. 나는 고맙게도 선인재단 쪽 학교에 안 걸리며 여섯 해를 보냈으나, 내가 다니던 학교에도 아주 마땅히 선인재단에서 일하던 교사가 들어오기 마련이다. 선인재단에서 일하던 교사가 들어온다고 하면 우리들 사이에서 수근수근 이야기가 퍼진다. “야, 선인재단 내기는 되게 무섭다며?” “선인재단에서는 엄청나게 줘팬다는데, 거기에서 온 선생은 어떨까?” “그 선생이 우리 학년을 안 맡으면 좋겠는데.”

 선인재단이 사립재벌에서 시립으로 바뀐 지 어느덧 열 해 즈음 되는 듯하지만, 나는 아직도 선인재단이라는 이름을 들을 때마다, 또 선인재단 이름 넉 자를 이루는 백선엽 씨 이름을 들을 때마다, 시커먼 소름이 돋는다. 부디, 백선엽 씨가 스스로 영웅이라는 이름표를 내려놓고, 백선엽 씨가 거느리는 널따란 산과 들에서 조용하면서 호젓하게 흙을 일구면서 무랑 당근이랑 배추랑 오이랑 가지랑 고추랑 감자랑 고구마를 길러서 예쁘게 살아가시기를 빈다. (4344.6.28.물.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시골에서 책읽기


 읍내로 나가는 버스는 두 시간에 한 대입니다. 새벽 여섯 시 오십 분에 첫차가 있고, 저녁 일곱 시 반에 막차가 있습니다. 하루에 여섯 대입니다. 시골에는 사람이 적게 살고, 읍내를 오갈 볼일이 적습니다. 우리 식구 살아가는 시골집에서 가장 가까운 가게는 읍내에 있습니다. 시골마을에는 따로 가게가 없습니다. 어느 누구라도 시골마을에서 술 한 병 라면 한 봉지를 사자 하더라도 읍내를 다녀와야 합니다.

 요즈음은 집집마다 자가용 없는 집이 드뭅니다. 이곳 시골마을에도 자가용 없는 집이 드문드문 있으나, 아주 늙은 할머니와 할아버지가 사는 집이 아니라면 으레 자가용에 경운기에 짐차를 갖춥니다. 굳이 두 시간에 한 번 오는 시골버스를 기다리지 않더라도 자가용을 몰고 술 한 병 라면 한 봉지를 사올 수 있습니다.

 시골마을에는 도서관도 책방도 없습니다. 새책방도 헌책방도 따로 없습니다. 읍내에는 문방구 노릇을 하는 조그마한 책방이 한 군데 있습니다. 읍내에는 군청이 있는 터라, 어쩌면 이곳에는 도서관이 있을는지 모릅니다. 읍내에서 살아가는 분이라면 읍내에 있을 도서관으로 마실할 수 있을 테지만, 시골마을에서 살아가는 이가 도서관마실을 하기란 몹시 힘듭니다. 책을 빌리러 버스를 타고 오가기부터 만만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책을 아끼거나 사랑하는 넋이라면 이쯤이야 대수롭지 않을 뿐더러, 도서관 한 곳 있는 일을 참으로 고맙다고 여기리라 봅니다.

 시골집에서 책을 읽습니다. 시골로 들어오기 앞서 도시에서 장만한 책입니다. 이 책들을 엮거나 만든 곳은 도시에 깃듭니다. 글을 쓰는 사람은 으레 도시에서 살아가고, 책을 사거나 빌려서 읽는 거의 모든 사람들 또한 도시에서 살아갑니다. 시골에 깃을 두고 시골살이나 시골넋을 글로 담아 책으로 엮는 곳이 아예 없지는 않습니다. 어쩌면, 시골에서 살아가는 사람 숫자와 어울릴 만큼 있겠지요. 거의 모든 책이 도시사람 눈높이와 눈썰미에 맞출 수밖에 없고, 거의 모든 책이 도시에서 사고팔릴밖에 없으며, 거의 모든 책이 도시에서 이루어지는 이야기를 다룰밖에 없습니다. 장마비가 살짝 멎으며 눅눅함이나 축축함이 가신 오늘은 숲이 바라보이는 마당에 기저귀 빨래를 널 수 있겠습니다. (4344.6.28.불.ㅎㄲㅅㄱ)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무해한모리군 2011-06-28 10:29   좋아요 0 | URL
글과 상관없이 볕에 마르고 있는 기저귀들을 생각하니 볕에 마른 면 냄새가 생각나며 절로 기분이 좋아지네요. 오늘 서울은 흐리거든요.

숲노래 2011-06-28 20:06   좋아요 0 | URL
그렇군요. 서울은 날이 맑아도 자동차가 너무 많아서 맑다는 느낌이 잘 안 드는구나 싶어요 ^^;;;;;
 



 밥먹기와 책읽기


 통계청이 다섯 해마다 한다는 생활시간조사(2009)에서 혼인한 두 어른이 집에서 집일을 얼마나 나누어 맡는가를 들여다본다. 맞벌이 부부가 하루에 집일을 하는 시간은 여성은 2시간 38분, 남성은 24분이란다. 홀벌이 부부일 때에 여성은 4시간 11분, 남성은 19분이란다. 나는 집에서 날마다 집일을 몇 시간쯤 하는지 어림해 본다. 얼추 어림해도 예닐곱 시간이 훌쩍 넘는다. 가만히 따지니 일고여덟 시간은 넉넉히 된다. 제대로 집일을 하자면 하루 여덟아홉 시간이나 열 시간쯤은 들여야 한다.

 홀벌이 집안에서 여성이 맡는 4시간 11분이란 ‘줄잡은’ 시간이다. 그러니까, 참말 집에서 집일과 집살림만 하는 어머니라 할 때에는 나처럼 일고여덟 시간을 들이든지, 나보다 훨씬 품을 들여 열 시간 남짓 들인다 할 테지.

 아침을 차리고 낮밥을 차리며 저녁을 차리기만 하더라도 세 시간은 가볍게 든다. 푸성귀를 손질하고 나물을 무치며 김치를 담근다든지, 이것저것 한다면 밥먹기에 바치는 하루 품만 너덧 시간은 가뿐하다.

 예부터 집안에서 어머니는 책을 읽지 못했다. 예부터 집안에서 여자한테 책을 읽히지 않았다. 집안에서 어머니는 수많은 일을 떠안도록 했고, 집안에서 여자가 책에 마음을 사로잡히면 집일을 누가 해야 했을까. 어린 날부터 집일을 안 하거나 모르는 남자가 했을까.

 집일이란 참 대단하다. 그런데 이 대단한 집일을 거뜬히 해내는 남자란 없다. 어느 누구도 집일에 온삶을 바치지 못한다. 여느 여자라도 힘들고 슬프다 말하면서 집일을 짊어지지만, 대단한 남자라도 웃거나 노래하며 집일을 짊어지지 못한다.

 곰곰이 생각한다. 허난설헌도 신사임당도 집일이나 집살림 이야기를 글로 쓰지 않았다. 오늘날에도 집일이나 집살림 이야기를 글로 쓰는 여자도 남자도 없다. 어쩌면 앞으로도 없겠지. 집일 하는 사람은 책도 못 읽고 책도 못 쓴다. (4344.6.27.달.ㅎㄲㅅㄱ)

댓글(2)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분꽃 2011-07-03 09:28   좋아요 0 | URL
맞아요... 살림을 하다보면 책을 잡기가 쉽지 않지요... 그래서 전 살림보다 "책읽기"가 먼저예요. 제 살림살이가 어떨지 아시겠지요? ㅋㅋㅋ

숲노래 2011-07-03 16:26   좋아요 0 | URL
오... 다른 집식구가 맡아서 하면 되지요 ^^;;
 



 빗소리 책읽기


 첫째가 오줌그릇에 눈 똥을 치우려고 마당으로 나간다. 마당 가장자리에 놓은 거름통에 아기 똥오줌을 붓는다. 도랑 뒤쪽 숲에 하얀나비 하나 팔랑거린다. 빗줄기가 조금 가늘어졌지만 엿새째 이어지는 날씨에 어디에서 어디로 날아가는 나비일까. 빗방울을 맞으며 한동안 바라보니, 하얀나비는 텃밭 감자꽃에 살짝 앉으려다가 다시 팔랑거리며 다른 곳으로 간다.

 집으로 들어온다. 쇠수세미로 아이 오줌그릇을 씻는다. 물기를 털어 제자리에 놓는다. 집 안쪽에서 바깥쪽에서나 빗소리만 들린다. 바람소리도 새소리도 나뭇잎이 바람에 나부끼는 소리도 들리지 않는다. 개구리가 우는 소리나 풀벌레가 노래하는 소리 또한 들리지 않는다. 개구리를 잡아먹으려고 논마다 찾아 날아드는 왜가리 소리도 들리지 않는다. 이 빗줄기가 스무 날 서른 날 이어지지는 않겠지. 머잖아 똑 끊기고 쨍쨍 눈부신 날이 찾아오겠지. 쨍쨍 눈부신 날이 찾아오면 비로소 빗소리에 잠기거나 숨죽이는 모든 소리가 깨어나겠지.

 아침 낮 저녁 밤 새벽 내내 빗소리만 들으면서 하루를 보낸다. 이토록 빗소리만 들으면서 지낼 수 있는 나날이 좋다. 첫째하고 만화영화 〈알프스 소녀 하이디〉를 보다가는, 아버지 혼자 문학책 《하이디》를 읽는다. (4344.6.26.해.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갈치구이와 책읽기


 갈치를 굽는다. 스텐팬에 불을 아주 작게 넣고 천천히 굽는다. 어머니가 하셨듯 접시에 구운 갈치를 얹고, 어머니가 하셨듯 갈치 살을 발라 아이 밥그릇에 얹는다. 어머니가 하셨듯 몸통을 아이랑 옆지기한테 주고, 어머니가 하셨듯 가장자리 가시 있는 데를 오물오물 씹어먹는다. (4344.6.26.해.ㅎㄲㅅㄱ)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분꽃 2011-07-03 09:24   좋아요 0 | URL
하하하 !!! 종규님은 저랑 똑같네요~~

숲노래 2011-07-03 16:26   좋아요 0 | URL
아, 네. ^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