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말을 죽이는 외마디 한자말

 -연 然


 학자연

→ 학자인 척

→ 학자인 체

→ 학자인 듯

→ 학자인 양

→ 학자라도 된 듯

→ 학자처럼

→ 학자같이


  ‘-연(然)’은 “‘그것인 체함’ 또는 ‘그것인 것처럼 뽐냄’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라고 합니다. 그렇다면 ‘체하다’나 ‘-인 듯 뽐내다’라는 말마디를 붙여서 쓰면 돼요. ‘척하다’를 붙여서 쓸 수 있고, ‘-처럼’이나 ‘-같이’를 붙여서 쓸 수 있어요. 때로는 ‘티’나 ‘흉내’나 ‘시늉’ 같은 말을 붙여 볼 만합니다. 2016.2.15.달.ㅅㄴㄹ



꽤나 道學者然한다고

→ 꽤나 도학자인 척한다고

→ 꽤나 도학자 흉내를 낸다고

→ 꽤나 도학자 티를 낸다고

→ 꽤나 도학자인 듯하다고

→ 꽤나 도학자 흉내를 낸다고

《리영희 외-70년대의 우수》(청람,1980) 189쪽


식자연하는 말투

→ 식자인 체하는 말투

→ 아는 체하는 말투

→ 안다고 뽐내는 말투

→ 아는 듯 뽐내는 말투

《스티븐 핀커/김한영 옮김-언어본능》(그린비,1998) 89쪽


지식인연하지 않고

→ 지식인인 척하지 않고

→ 지식인인 체하지 않고

→ 지식인인 듯하지 않고

→ 지식인같이 굴지 않고

→ 지식인 흉내를 안 내고

《이명원-마음이 소금밭인데 오랜만에 도서관에 갔다》(새움,2004) 169쪽


작가연하지 않아도

→ 작가인 척하지 않아도

→ 작가라도 되는 듯 뽐내지 않아도

→ 작가 티를 내지 않아도

→ 글쟁이 시늉을 하지 않아도

→ 글꾼 티를 내지 않아도

→ 글쓰는 냄새를 풍기지 않아도

→ 소설을 쓴다 말하지 않아도

→ 글쓰는 사람이라 밝히지 않아도

→ 글쓰며 살아간다 하지 않아도

《서영은-노란 화살표 방향으로 걸었다》(문학동네,2010) 14쪽


예술가연한 사람들이 많다

→ 예술가인 척한 사람들이 많다

→ 예술가인 체한 사람들이 많다

→ 예술가로 군 사람들이 많다

→ 예술가인 듯 군 사람들이 많다

→ 예술가처럼 군 사람들이 많다

→ 예술가 노릇을 한 사람들이 많다

→ 예술가 시늉을 한 사람들이 많다

《장정일-장정일의 악서총람》(책세상,2015) 388쪽


(최종규/숲노래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알량한 말 바로잡기

 하등 何等


 하등의 이유가 없다 → 아무런 까닭이 없다

 하등의 도움이 안 된다 → 조금도 도움이 안 된다

 하등의 관계도 없다 → 아무런 사이도 아니다

 하등 다를 바 없다 → 딱히 다를 바 없다


  ‘하등(何等)’은 “‘아무런’, ‘아무’ 또는 ‘얼마만큼’의 뜻을 나타내는 말”이라고 합니다. 그러니까, 이 한자말은 ‘아무런’이나 ‘아무’나 ‘얼마만큼’으로 손질할 노릇이라는 뜻이요, 이 같은 한자말을 슬쩍 밀어내고 쓰인 셈입니다. 흐름을 살펴서 ‘조금도’나 ‘딱히’나 ‘따로’를 넣을 만하고, ‘그리’나 ‘그다지’나 ‘썩’을 넣을 수 있어요. 2016.2.15.달.ㅅㄴㄹ



하등 책임이 없다

→ 아무런 책임이 없다

→ 조금도 책임이 없다

→ 어떠한 책임도 없다

→ 아무 책임도 없다

→ 눈꼽만큼도 책임이 없다

→ 털끝만큼도 책임이 없다

《강만길-21세기사의 서론을 어떻게 쓸 것인가》(삼인,1999) 53쪽


하등 놀랄 일이 아니다

→ 딱히 놀랄 일이 아니다

→ 그리 놀랄 일이 아니다

→ 그다지 놀랄 일이 아니다

→ 썩 놀랄 일이 아니다

→ 조금도 놀랄 일이 아니다

→ 하나도 놀랄 일이 아니다

《장정일-장정일의 악서총람》(책세상,2015) 159쪽


(최종규/숲노래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적' 없애야 말 된다

 인종차별적


 인종차별적 발언 → 인종차별하는 말 / 사람을 깎아내리는 말

 인종차별적인 생각이다 → 인종차별 같은 생각이다 / 사람을 얕잡는 생각이다

 인종차별적인 폭언 → 인종차별 막말 / 사람을 업신여기는 막말

 인종차별적인 행동 → 인종차별 몸짓 / 사람을 깔보는 몸짓


  ‘인종차별적’은 따로 한국말사전에 안 나옵니다(2016년까지). ‘인종차별(人種差別)’은 “인종적 편견 때문에 특정한 인종에게 사회적, 경제적, 법적 불평등을 강요하는 일”을 가리킨다고 해요. ‘인종적(人種的)’은 “인류를 지역과 신체적 특성에 따라 구분한 종류에 관한”을 가리키고, ‘차별(差別)’은 “둘 이상의 대상을 각각 등급이나 수준 따위의 차이를 두어서 구별함”을 가리킵니다. ‘구별(區別)’은 “성질이나 종류에 따라 차이가 남. 또는 성질이나 종류에 따라 갈라놓음”을 가리켜요. 그러니 ‘인종차별’은 “사람이 태어난 곳이나 몸에 따라 갈라놓는 일”을 나타낸다고 하겠습니다.


  ‘인종차별’을 오늘날 지구별에서 널리 나타나는 어떤 일로 갈무리하려는 뜻이라면 “인종차별 말·인종차별 발언”이나 “인종차별 생각”이나 “인종차별 몸짓·인종차별 행동”처럼 쓸 만합니다. 흐름을 살펴서 “사람을 깔보는”이나 “사람을 가르는”이나 “다른 겨레를 얕보는”이나 “다른 겨레를 깎아내리는”이나 “이웃을 헐뜯는”이나 “이웃을 업신여기는”처럼 손질할 수 있습니다. 2016.2.15.달.ㅅㄴㄹ



하느님도 인간처럼 인종차별적 존재일까?

→ 하느님도 사람처럼 편가르기를 할까?

→ 하느님도 사람처럼 서로 갈라놓으실까?

→ 하느님도 사람처럼 살빛에 따라 푸대접을 할까?

→ 하느님도 사람처럼 살빛에 따라 괴롭힐까?

→ 하느님도 사람처럼 이웃을 헐뜯을까?

→ 하느님도 사람처럼 이웃을 업신여길까?

→ 하느님도 사람처럼 다른 겨레를 깎아내릴까?

《리영희-스핑크스의 코》(까치,1998) 23쪽


인종차별적 구호를 외치면서

→ 인종차별 구호를 외치면서

→ 인종차별을 하는 말을 외치면서

→ 티벳사람을 깔보는 말을 외치면서

→ 티벳사람을 얕보는 말을 외치면서

→ 티벳사람을 헐뜯는 말을 외치면서

《폴 인그램/홍성녕 옮김-티베트, 말하지 못한 진실》(알마,2008) 129쪽


랭스턴 이전에는 흑인 시인이 없었다고 말한다면 분명 인종 차별적인 언사일 것이다

→ 랭스턴에 앞서 흑인 시인이 없었다고 말한다면 틀림없이 인종차별을 하는 말이다

→ 랭스턴에 앞서 흑인 시인이 없었다고 말한다면 바로 흑인을 깎아내리는 말이리라

→ 랭스턴에 앞서 흑인 시인이 없었다고 말한다면 아무래도 흑인을 얕보는 말이리라

《장정일-장정일의 악서총람》(책세상,2015) 321쪽


(최종규/숲노래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적' 없애야 말 된다

 즉흥적


 즉흥적으로 세운 → 그 자리에서 세운 / 갑작스레 세운

 즉흥적 연설 → 막바로 연설 / 대뜸 연설 / 떠오르는 대로 연설

 즉흥적인 발상 → 바로 떠올린 생각 / 갑작스런 생각

 즉흥적으로 떠오른 생각 → 문득 떠오른 생각 / 갑자기 떠오른 생각


  ‘즉흥적(卽興的)’은 “그 자리에서 일어나는 감흥이나 기분에 따라 하는”을 뜻한다고 합니다. ‘-적’만 덜어낸 ‘즉흥’을 써도 될 테지만, “그 자리에서”를 그대로 써도 되고, ‘바로·곧바로·막바로’를 쓸 수 있습니다. ‘대뜸·문득·갑자기’라든지 ‘갑작스레·뜬금없이·벼락같이’를 써 볼 수 있고요.



우리가 보기에는 몹시 즉흥적이었다

→ 우리가 보기에는 몹시 아무렇게나 했다

→ 우리가 보기에는 몹시 되는대로였다

→ 우리가 보기에는 몹시 서툴렀다

→ 우리가 보기에는 몹시 어설펐다

《필립 J.오브라이언/최선우 옮김-칠레혁명과 인민연합》(사계절,1987) 70쪽


그때그때 즉흥적으로 적당히 넘기지는

→ 그때그때 슬쩍 넘기지는

→ 그때그때 얼렁뚱땅 넘기지는

→ 그때그때 어설피 넘기지는

→ 그때그때 그냥그냥 넘기지는

→ 그때그때 가볍게 넘기지는

《마스다 지로/이영세 옮김-대학에서 어떻게 공부할 것인가》(백산서당,1994) 73쪽


즉흥적으로 붓을 대는 까닭에

→ 내키는 대로 붓을 대는 까닭에

→ 붓 가는 대로 그림을 그리는 까닭에

→ 느낌에 따라 붓을 대는 까닭에

→ 무엇에 매이지 않고 붓을 대는 까닭에

《조르주 뒤크로/최미경 옮김-가련하고 정다운 나라 조선》(눈빛,2001) 103쪽


즉흥적으로 결정한 것입니다

→ 대뜸 하자고 했습니다

→ 갑작스레 하자고 한 일입니다

→ 그 자리에서 하자고 했습니다

→ 난데없이 하자고 했습니다

→ 뜬금없이 하자고 한 일입니다

《아룬다티 로이/정병선 옮김-보통 사람들을 위한 제국가이드》(시울,2005) 22쪽


결정은 가볍게 즉흥적으로 내리지 않지만

→ 결정은 가볍게 함부로 내리지 않지만

→ 결정은 가볍게 곧바로 내리지 않지만

→ 결정은 가볍게 내키는 대로 내리지 않지만

→ 결정은 가볍게 아무렇게나 내리지 않지만

→ 결정은 가볍게 그때그때 내리지 않지만

《마저리 쇼스탁/유나영 옮김-니사》(삼인,2008) 103쪽


즉흥적으로 꾸며낸 이야기

→ 그 자리에서 꾸며낸 이야기

→ 생각나는 대로 꾸며낸 이야기

→ 떠오르는 대로 꾸며낸 이야기

→ 그때그때 꾸며낸 이야기

→ 바로바로 꾸며낸 이야기

《전희식·김정임-똥꽃》(그물코,2008) 218쪽


그곳 주민에게 즉흥적으로 부탁했다는 정선아라리

→ 그곳 사람한테 그 자리에서 부탁했다는 정선아라리

→ 그곳 분한테 대뜸 여쭈었다는 정선아라리

→ 그곳 어른한테 막바로 뽑아 달랐다는 정선아라리

《장정일-장정일의 악서총람》(책세상,2015) 547쪽


(최종규/숲노래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적' 없애야 말 된다

 가시적


 가시적 노력 → 눈에 띄는 노력 / 돋보이는 노력

 가시적 성과 → 눈에 띄는 성과 / 돋보이는 성과

 가시적 아름다움 → 눈에 보이는 아름다움 / 도드라지는 아름다움

 가시적인 결과를 → 눈에 보이는 결과를 / 도드라지는 결과를


  ‘가시적(可視的)’은 “눈으로 볼 수 있는”을 뜻한다고 하는데, 2010년대로 접어든 뒤에 비로소 한국말사전에 실립니다. 한자말 ‘가시(可視)’는 “보다(視) + 할 수 있다(可)” 얼거리로, “볼 수 있는”을 가리키지요. 그러니, 말뜻 그대로 “볼 수 있는”이나 “눈으로 볼 수 있는”이나 “눈으로 보이는”이나 ‘보이는’이나 ‘돋보이는’이나 “눈에 띄는”으로 알맞게 손질해서 쓰면 됩니다. 눈에 보이지 않을 적에는 ‘비가시적’이라 하기보다는 “눈에 안 보인다“나 “눈에 안 뜨인다”나 “눈에 안 드러난다”라 하면 돼요. 2016.2.14.해.ㅅㄴㄹ



가시적이 아니라는 데

→ 눈에 보이지 않는다는 데

→ 눈에 뜨이지 않는다는 데

→ 눈에 드러나지 않는다는 데

→ 눈으로 볼 수 없다는 데

→ 알아차릴 수 없다는 데

《리영희-스핑크스의 코》(까치,1998) 140쪽


가시적인 업적

→ 돋보이는 업적

→ 눈에 띄는 열매

→ 오래 남는 발자취

→ 빼어난 열매

→ 훌륭한 발자국

《박도-안흥산골에서 띄우는 편지》(지식산업사,2005) 49쪽


이런 가시적 혜택을 전혀 누리지 못했다

→ 이런 도드라지는 혜택을 하나도 누리지 못했다

→ 이런 눈에 뜨이는 좋은 일이 하나도 없었다

→ 이런 눈에 뜨이는 즐거움을 하나도 누리지 못했다

→ 이런 여러 가지를 하나도 누리지 못했다

→ 이런 좋은 일이 하나도 없었다

《윌든 벨로/김기근 옮김-그 많던 쌀과 옥수수는 모두 어디로 갔는가》(더숲,2010) 164쪽


지금 가시적으로 보이는 그룹만이 전부는 아니다

→ 이제 눈에 보이는 곳만이 모두는 아니다

→ 요즘 보이는 곳만이 모두는 아니다

→ 요즈음 눈에 뜨이는 곳만이 모두는 아니다

《이즈미다 료스케/이수형 옮김-구글은 왜 자동차를 만드는가》(미래의창,2015) 31쪽


(최종규/숲노래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