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5.5.18.


《아무리 얘기해도》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기획, 마영신 그림, 창비, 2020.4.3.



사흘째 부산에서 보내는 새벽이다. 고즈넉이 흐르는 바람을 느끼면서 ‘갈다’라는 글이름으로 노래 한 자락을 쓴다. 우리는 오늘부터 갈닦고 갈아엎고 갈아치우는 마음이어야지 싶다. 이제 ‘기념사업회’는 사라져야 할 때라고 느낀다. ‘오월광주’는 ‘기념사업’이 아니라 ‘읽기모임’으로 돌아보고 짚고 헤아리고 살피면서 ‘이야기’로 그려서 풀어낼 노릇이라고 본다. ‘그들은 안 뉘우친다’고들 여기지만, 막상 그들이 빛고을로 찾아와서 엎드리려고 할 적에 담벼락을 누가 닫어거는지 곱씹어야 한다. 그들이 빛고을에 안 올 적에는 안 온다고 나무라다가, 그들이 모처럼 빛고을에 올 적에는 왜 오느냐고 나무라면, 그들이 스스로 뉘우칠 틈을 안 내는 셈이다. 아무 틈을 내주지 않는다면 그들이 어떻게 뉘우칠까? 그들을 그만 ‘나무랄’ 일이다. 그들하고 ‘함께읽기’를 하면서 앞으로 새롭게 어깨동무하면서 품어낼 빛을 그려야 한다고 본다. 《아무리 얘기해도》는 대단히 아쉬운 책이다. ‘기념사업회’라는 이름을 붙들기 때문에 이런 책을 낼 테지. 그들한테 ‘얼마나’ 말을 해보았기에 “아무리 얘기해도”라 할 수 있을까? 위에서 내려다보거나 깔보거나 얕보는 마음이 매우 짙다. ‘그들이 뉘우치면서 배울 틈’을 내주지 않으면서 비꼬고 비아냥거리는 데에서 그친다면, ‘너희는 꼴통이잖아?’ 하면서 아예 내치기만 한다면, 예나 이제나 앞으로나 미움불씨만 심게 마련이다. ‘얘기’란 “주고받는 마음과 말”이다. 오직 그들한테 말하기만 할 뿐, 그들이 뉘우치려는 말을 안 들으려고 했다고 느낀다. 그들이 어설프건 어줍건 엉성하건, 그들도 말을 해볼 틈을 내주면서 지켜보아야 한다. 이러고서 다시 말을 들려주고, 또 듣고, 다시 들려주고, 또 듣기, 주고받는 말을 차근차근 풀고 맺으면서 “제대로 얘기”를 할 때라야 비로소 이 나라에 어깨동무(평화)라는 씨앗을 심는다.


다시 짚자면, ‘오월광주’라는 줄거리는 《아무리 얘기해도》라고 하는 ‘내려다보기(선민의식)’가 아니라 “얘기 좀 해볼까?”나 “우리 이제 얘기하자”라는 마음으로 나란히 서고 만날 노릇이다. 그들이 아무리 못나고 엉터리에 볼꼴사납더라도, 그들을 바닥에 내리깔지 말자. 그들하고 나란히 서자. 그들하고 나란히 ‘얘기’를 좀 하자. 그들을 그만 손가락질하자.


ㅍㄹㄴ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5.5.17.


《끝의 시작》

 서유미 글, 민음사, 2015.1.9.



밤에 제대로 못 잔 듯싶다. 시골집에서는 나무바닥에 요만 깔고서 눕기에, 살짝 등허리를 펴더라도 나무가 베푸는 숨빛을 머금으면서 개운하다면, 큰고장이나 서울에서는 하나같이 폭신자리(침대)이게 마련이라 영 거북하다. 그러나 어느 자리에서 잠들든 마음을 바꾸면 될 노릇인데, ‘자리 핑계’를 댄 셈 아닌가. 뒤척이다가 잠을 물린다. 어둑한 밤부터 하늘빛을 머금는다. 동틀녘에는 해를 먹는다. 아침에는 자주 해를 쬐면서 풀밭에 맨발로 선다. 잠을 거의 안 이루었지만 몸이 스르르 풀린다. 한낮에 조금 눈을 붙인 다음 촛불보기를 한다. 이윽고 수영초등학교 곁 마을책집 〈여기서책〉을 찾아간다. 마을아이랑 마을어른이 책집을 기웃기웃하는구나. 새로 연 책집을 놀랍고 반갑게 맞이한다고 느낀다. 이제 연산동 〈카프카의 밤〉으로 건너가서 《일하는 아이들》을 놓고서 ‘이오덕 마음을 읽고 잇는 이야기’를 편다. 《끝의 시작》을 돌아본다. 우리글꽃(한국문학)은 이렇게 ‘바람질(불륜)’ 또는 ‘난봉’이어야 글감인가? 순이돌이는 서로 짝짓기 말고는 하고 싶은 일이 없을까? 마음을 나누고 집안일을 함께 꾸리고 손수 하나하나 짓고 돌보는 보금자리를 들려주는 줄거리는 아예 마음에 없을까? “끝의 시작”이라는 일본말씨를 바꿀 수 있을까? 끝은 처음, 끝부터, 끝에서, 끝에서 새로, 끝을 가다, 끝에서 가다, 여러모로 우리말씨를 헤아려 본다.


ㅍㄹㄴ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5.5.16.


《어둠을 지나 미래로》

 박근혜 글, 중앙books, 2024.2.5.



새벽 일찍 움직이려다가 아침을 느긋하게 맞으면서 빨래를 하고 집안일을 한다. 작은아이가 먼저 잠을 깨고, 큰아이도 곧 일어난다. 비오는 아침에 작은아이하고 우리 책숲으로 가서 빗물을 치운다. 작은아이더러 “오늘과 이튿날과 모레에 어떻게 밥을 차려서 먹을는지 같은 수수한 일부터 하루를 그리기에 스스로 꿈을 일구고 이뤄요. ‘글쎄’라는 이름인 밥은 없으니까, 어떤 밥이건 스스로 생각해서 천천히 지어서 누리는 하루이기를 바라요.” 하고 들려준다. 고흥읍을 거치고 순천시를 거쳐서 부산으로 달린다. 북적이는 시외버스에서 쉬잖고 글을 쓴다. 팔뚝과 손목이 저리면 살짝 쉰다. 저녁 19시부터 〈책과 아이들〉에서 ‘깃새글꽃(상주작가)’으로서 〈내가 쓰는 내 사전〉 풀그림을 꾸린다. ‘비’하고 ‘낱말’ 두 가지를 함께 풀고 헤아리면서 첫자리를 연다. 《어둠을 지나 미래로》가 헌책집에 2000원에 나왔을 적에 사읽었다. 읽는 내내 한숨이 나왔다. 박근혜 씨, 언제 철들랍니까. 언제 어른이 되렵니까. 언제 할머니답게 말씀하렵니까. 사람들이 그대롤 제대로 안 쳐다본다고 짜증내거나 부아내지 말고, 빈털터리 맨몸으로 시골자락에 작은집을 빌려서 논밭을 손수 호미와 삽과 낫과 쟁기만으로 일구시기를 바란다. 덤터기를 썼다고 여기지 말고, 이제부터 ‘공주님’ 아닌 ‘시골할매’로서 새길을 가시기를 빈다. 제발 큰고장 비싸고 으리으리한 담벼락집에 머물지 마시라. 땅에 발을 디디고, 하늘숨을 마시고, 스스로 날씨를 읽고, 언제나 땀흘려 일하는 ‘작은이’로 거듭나기를 빈다. 이런 엉터리책을 써내는 데에 아깝게 늘그막을 버리지 말고, 아름책을 읽고서 살림글을 한 자락씩 쓰시기를 빈다. 어느 벼슬길(정치)에도 얼씬거리지 말고, 암말도 하지 말고, 그저 ‘책할매’와 ‘논밭할매’로 이녁 삶을 마무리하기를 빈다. “남이 차려주는 밥”은 그만 드시라. 손수 차려서 드시라. 그리고 ‘노인연금’과 ‘기초수급자 보조금’과 ‘국민연금’을 받으면서 ‘그만 한 돈’으로 어떻게 살림을 꾸려야 하는지, 몸소 처음부터 배우시라. 그래야 사람이다. 


ㅍㄹㄴ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5.5.3.


《9일간의 영혼 여행》

 안케 에베르츠 글/추미란 옮김, 샨티, 2025.2.10.



구름이 모인 아침이다. 비가 뿌릴까. 비가 없이 지나갈까. 후박꽃을 보고, 괴불주머니를 보고, 돌나물을 살피고, 이제 막 녹듯 사라지려는 민들레와 여러 봄맞이꽃을 보는데, 빗방울이 듣는다. 비날로 흐르는구나. 팔다리에 등허리에 온몸이 녹을 듯하다. 끙끙 누워서 몸을 푼다. 일어나서 빗방울을 맞으며 마당을 거닌다. 물 한 모금을 마시고서 다시 눕는다. 바깥일은 하루를 보건 사흘을 보건, 이틀 마실길이건 나흘 마실길이건 몸을 쉬잖고 굴린다. 시골집에서는 새와 풀벌레와 개구리와 바람과 별이 마음을 달래면서 풀어준다면, 서울이며 큰고장은 쉬잖고 흐르는 쇳덩이와 끝없는 불빛이 사람들 몸을 갉는다고 느낀다. 《9일간의 영혼 여행》을 읽었다. 죽음맞이(임사체험)를 들려주는 줄거리이다. 온누리에 죽음맞이를 해본 사람이 무척 많으리라 본다. 나도 숱하게 죽음맞이를 했고, 넋이 몸을 떠나서 바깥을 으레 떠돌곤 했다. 어릴적에는 날마다 집 안팎에서 얻어맞으면서 몸벗이(유체이탈)와 죽음맞이를 치렀고, 두바퀴를 달리다가 치여서 죽음맞이를 겪기도 했다. ‘죽어보기’나 ‘죽을맛’은 삶을 늘 다시 짚고 생각하는 발판이다. 몸을 떠나 보기에 왜 이 별에서 몸을 입고서 삶을 누리며 사랑을 그리는지 새롭게 배울 수 있다.


#Neun Tage Unendlichkeit #Anke Evertz

#Was mir im Jenseits uber das Bewusstsein, die korperliche Existenz und den Sinn des Lebens gezeigt wurde. Eine außergewohnliche Nahtoderfahrung


ㅍㄹㄴ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5.5.2.


《뜨뜨시 할머니의 바다 레시피》

 윤예나 글, 2016.



“아버지 어제 돌아왔는데, 오늘 장보러 가게요? 힘들잖아요?” “몸이야 이튿날 더 쉬면 되고, 이제 어제부터 ‘어린이날 맞이 쉼날잔치’라서, 딱 오늘 읍내로 가야 나래터를 들르고 저잣마실을 할 수 있어.” 시골에서도 날짜에 따라서 움직여야 할 줄은 몰랐다. 달종이에 빨갛게 그리는 쉼날이면 시골버스가 모두 쉰다. 서울에서 쉼날에 버스·전철이 다 쉬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 요새는 시골에서 쉼날에 택시조차 거의 쉰다. 군청에서 이바지돈(보조금)까지 받는 시골버스가 쉼날에 쉬어도 될까? ‘시골 다리빛(교통권)’에 목소리를 함께 내는 이웃을 아직 못 만난다. 큰아이가 같이 저잣마실을 가겠노라 한다. 함께 걷고 쉬고 얘기한다. 어린놀이터에 앉아 함께 읽고 쓰고 바람을 쐰다. 꽃이 지고 열매가 익어가는 느티나무를 쓰다듬고서 집으로 간다. 《뜨뜨시 할머니의 바다 레시피》는 2020년에 새로 나온다. 그런데 그림책에 영어 ‘레시피’를 그냥 써도 될까? 어린이는 안 봐도 된다는 마음으로 이런 말씨를 그대로 둔다면 하나도 안 어른스럽다. 그러나 이 책은 ‘어린이 아닌 어른’이 볼 그림책이겠지. 어른도 그림책을 읽을 만하다고 여기는 마음일 텐데, ‘어른도’가 아니라, ‘아이곁에서 함께’라는 마음이어야 하지 않을까?


《바다 레시피》(윤예나 글·서평화 그림, 노란상상, 2020.7.15.)


ㅍㄹㄴ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