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로서로 생각을 북돋울 수 있는 말이란 무엇일까요. 생각을 슬기롭게 가꿀 수 있는 길을 헤아리면서 말 이야기 몇 가지를 새롭게 가다듬어서 올립니다.


..


배짱


  옛말에 “하룻강아지 범 무서운 줄 모른다”가 있어요. 철없이 함부로 덤비는 몸짓을 가리키는 말인데, 하룻강아지이기 때문에 범을 무서운 줄 모르지요. 왜 그러한가 하면, ‘하룻강아지’는 “태어난 지 얼마 안 되는 어린 강아지”를 가리켜요. 그래서 범도 몰라서 무서워하지 않고, 겨울에 내리는 눈도 아직 모를 만하며, 그야말로 두려움도 무서움도 없이 모두 새롭게 받아들인다고 할 만해요. 철이 없어서 무서움도 모르지만, 티없이 맑거나 착한 넋이라서 무서움이 없어요. 아직 철이 덜 들어서 좀 어리석거나 바보스러운 모습을 보일 적에 ‘하룻강아지’ 같은 말을 쓰고 ‘철부지’나 ‘철딱서니’나 ‘철모르쟁이’ 같은 말도 쓰는데요, 철이 아직 들지 않았어도 씩씩하거나 야무진 모습을 가리키는 ‘배짱’이라는 낱말이 있어요. 나이가 어려도 배짱이 두둑할 수 있고, 몸이 작거나 힘이 여려도 배짱이 있을 수 있어요. 나이가 많거나 힘도 있거나 몸까지 큰 어린이지만 외려 배짱이 없을 수도 있답니다. 나이가 있어야 배짱이 있지 않아요. 마음이 튼튼하거나 씩씩할 때에 배짱이 있고, 다부지거나 당찬 몸짓일 때에 배짱도 좋아요.


+


통째로


  커다란 능금 한 알을 통째로 들고 먹은 적 있나요? 능금이나 배나 복숭아 같은 열매를 먹기 좋도록 칼로 작게 썰어서 접시에 담아요. 그렇지만 우리는 능금이나 배나 복숭아를 껍질도 벗기지 않고 옷자락에 슥슥 문질러서 먼지만 닦은 뒤에 통째로 아삭 깨물어서 먹을 수 있습니다. 배가 고프다면 수박 한 통도 혼자 먹을 수 있을까요? 어린이 한 사람이 수박 한 통을 혼자서 다 먹기는 어려울 테지만, 수박을 아주 좋아한다면 그야말로 수박을 통째로 먹을 수 있겠지요. ‘통째’는 “나누거나 덜지 않은 덩어리 모두”를 가리켜요. 책을 읽으면서 한 줄도 빠뜨리지 않고 다 읽으면 통째로 다 읽은 셈이고, 어떤 글을 토씨 하나까지 빼지 않고 모조리 외우면 통째로 다 외운 셈이에요. 꽤 긴 노래이지만 어느 한 대목도 놓치지 않고 듣는다면 통째로 들은 셈입니다. 공부를 하면서 작은 한 가지조차 잘 살피면서 배운다면 통째로 다 배운 셈이고요. 통째로 다 갖고 싶을 수 있고, 통째로 다 주고 싶을 수 있어요. 잘 건사한다고 했지만 제대로 살피지 못한 나머지 통째로 버려야 할 때가 있으며, 알뜰히 다루거나 돌본다면 통째로 곱게 간직할 수 있어요.


+


어른


  어린이는 나이가 어린 사람이고, 어른은 나이가 많은 사람이에요. 한국말사전에서 ‘어른’이라는 낱말을 찾아보면 “다 자란 사람”이라고 뜻풀이를 하지만, 이 뜻풀이는 살짝 모자라요. 왜 그러한가 하면, 나이가 많은 어른도 “늘 새롭게 자라”기 때문이에요. 어린이가 무럭무럭 자란다고 할 적에는 몸만 자라지 않고 마음이 함께 자라요. 어른도 이와 같지요. 어른도 늘 새로운 몸과 마음으로 다시 태어난답니다. 몸을 갈고닦으면 어른도 몸이 한결 튼튼하게 자라고, 마음을 가다듬으면 어른도 마음이 한껏 맑고 밝게 자라거든요. 그래서 나이는 많이 들었어도 아직 철이 덜 든 사람한테는 ‘어른’이라는 이름보다는 “철없는 사람”이라는 말을 붙이지요. 나이가 적으면서 너무 늙은 티를 내는 아이가 있으면 이때에는 ‘애늙은이’라는 말을 붙여요. 아직 어린데 짐짓 나이가 든 척을 한다면 ‘애송이’라고 해요. 나이만 더 먹는다고 해서 ‘어른’이 되지 않아요. 철이 들어야 비로소 어른이에요. 어린이는 날마다 새롭게 배우고 즐겁게 익히면서 어른으로 나아가려는 숨결이라고 할 수 있어요.


+


이웃님


  한국말에는 ‘님’이라는 낱말이 있어요. 이 ‘님’이라는 낱말은 참으로 멋지고 아름답구나 하고 느껴요. 가만히 헤아려 봐요. 하느님, 땅님, 바다님, 숲님, 들님, 꽃님, 풀님, 비님, 눈님, 밭님, 흙님, 나비님, 제비님, 곰님, 여우님, 이렇게 ‘님’을 붙이면 이야기가 확 달라집니다. 아우님, 형님, 동무님, 이웃님, 선생님, 기사님, 손님, 이렇게 서로 ‘님’을 붙일 적에도 이야기와 마음이 사뭇 거듭나요. 우리 겨레가 예부터 쓰던 ‘님’이라는 낱말은 서로 아끼면서 사랑하던 숨결을 담았구나 하고 느낍니다. 함께 사진을 찍는 벗이라면 ‘사진벗’이라 할 만한데, 사진벗을 기리거나 아끼려는 뜻을 담아 ‘사진벗님’처럼 쓸 수 있습니다. 글을 주고받거나 나누는 벗이라면 ‘글벗’이라 할 텐데, 글벗을 사랑하거나 좋아하는 뜻을 실어 ‘글벗님’처럼 쓸 만합니다. 이리하여, ‘책벗님·마실벗님·말벗님·밥벗님’처럼 쓸 수 있어요. 때로는 그저 ‘님’이라고만 부를 수 있어요. “님아”나 “님이여”나 “님한테” 하고 불러 보셔요. 곁에 있는 사람을 ‘곁님’이라 부르고, 사랑스러운 사람을 ‘사랑님’이라 불러 보셔요. 우리 이웃한테 ‘이웃님’이라 부르면서 다 함께 즐겁게 웃어요.


(최종규/숲노래 . 2016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말이랑 놀자 191] 쿨쿨노래



  일할 적에 노래를 부른다면 ‘일노래’예요. 놀면서 부르는 노래는 ‘놀이노래’이고요. 밥을 먹는 자리에서 노래를 부르면 ‘밥노래’가 되고, 생일에 부르는 노래는 ‘생일노래’이지요. 학교에서는 ‘학교노래’가 있고, 나라마다 ‘나라노래’가 있어요. 해를 좋아한다면 ‘해노래’를 부를 만하고, 달을 좋아하면 ‘달노래’를 부를 만해요. 누군가는 ‘숲노래’를 부를 테고, 누군가는 ‘바다노래’를 부를 테지요. 어린이는 ‘어린이노래’를 부르니, 어른은 ‘어른노래’를 부를까요? 시골사람은 시골에서 ‘시골노래’를 부르니, 서울사람은 서울에서 ‘서울노래’를 부릅니다. 기쁠 적에는 ‘기쁨노래’를 부르고, 슬플 때에는 ‘슬픔노래’를 불러요. ‘웃음노래·눈물노래’가 있고, ‘꿈노래·사랑노래’가 있어요. 어버이는 아이를 재우려고 잠자리에서 ‘자장노래’를 부르는데, 쿨쿨 잘 자라면서 ‘쿨쿨노래’도 불러요. 쿨쿨노래는 쿨쿨 자라는 노래이니, 어린이뿐 아니라 어른을 재울 적에도 쓸 만한 재미난 이름이 되리라 느껴요. 자, 이밖에 우리는 또 어떤 노래를 부를 만할까요? 4349.1.21.나무.ㅅㄴㄹ


(최종규/숲노래 . 2016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말이랑 놀자 190] 가시내와 머스마



  시골에서는 ‘가시내’나 ‘가시나’ 같은 말을 쓰고, ‘머스마’나 ‘머스매’ 같은 말을 써요. 서울말로 친다면 ‘계집’하고 ‘사내’이지요. 한자말로는 ‘여자’와 ‘남자’이고요. 나라마다 말이 달라서 영어로는 ‘우먼’이랑 ‘맨’이라고 해요. 영어와 한자말과 한국말을 놓고 본다면, 높거나 낮은 말이 따로 없어요. 모두 저마다 다른 삶자리에서 다른 삶으로 쓰는 말이랍니다. 그런데 우리가 사는 이 나라는 꽤 오래 이웃나라한테 짓눌리는 식민지를 살아야 했고, 이에 앞서는 중국을 섬겨야 하는 정치가 있었어요. 이 때문에 이웃나라한테 짓눌리던 무렵에는 일본말하고 일본 한자말 물결에 한국말이 억눌렸고, 중국을 섬기던 정치가 있던 때에는 중국말하고 중국 한자말 물결에 한국말이 짓눌렸지요. 설 자리가 아슬아슬한 채 흘러온 한국말이던 셈인데, 교과서나 책이나 방송에서 ‘가시내(가시나·계집)’라든지 ‘머스마(머시매·사내)’ 같은 한국말을 잘 안 쓴다고 하더라도 이러한 말은 오래도록 삶과 살림과 사람과 사랑을 담아서 나누던 말이에요. 시골에서는 시골 할머니랑 할아버지가 오늘도 꾸준히 쓰는 말이고요. 4349.1.21.나무.ㅅㄴㄹ


(최종규/숲노래 . 2016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말을 찬찬히 돌아보면서, 이 고운 말을 재미나게 살려서 쓰는 길을 곰곰이 짚어 봅니다.


..


새봄맞이


  추운 겨울에는 이 추위가 언제 끝나려나 하고 생각하기 마련이에요. 추운 겨울에는 으레 새봄이 얼른 찾아왔으면 하고 바랍니다. 그래서 ‘새봄맞이’를 반가이 기려요. 새봄맞이를 하면서 대문에 글씨를 정갈히 써서 붙이기도 합니다. 더운 여름에는 이 더위가 언제 스러지려나 하고 생각하기 마련이지요. 더운 여름에는 으레 시원한 바람이 넉넉히 불어 주었으면 하고 바랍니다. 그러니 ‘겨울맞이’를 새롭게 할 만해요. 봄에는 봄맞이를 하고 여름에는 여름맞이를 해요. 가을에는 가을맞이를 할 테지요? 우리 집으로 찾아오는 손님을 기쁘게 반기면서 ‘손님맞이’를 해요. 아침에는 ‘해맞이’를 하고, 밤에는 ‘달맞이’나 ‘별맞이’를 하고요. 학교나 마을에서 동무를 기다리며 ‘동무맞이’를 합니다. 바람 한 점 없이 더운 여름이라면 바람을 부르면서 ‘바람맞이’를 하고플 수 있어요. 겨울에 눈송이를 뭉치며 신나게 놀고 싶으면 ‘눈맞이’를 하고, 봄에 흐드러지는 꽃을 바라보며 ‘꽃맞이’를 해요. 어머니나 아버지가 차려 주는 밥상을 받으면 ‘밥맞이(밥상맞이)’가 될까요? 살가운 이웃집에서 놀러와서 ‘이웃맞이’를 하고, 내 동생이 태어나면 기쁘게 ‘동생맞이’나 ‘아기맞이’를 합니다.


+


뛰고 달리기


  어른들은 아이들더러 으레 “뛰지 말아라” 하고 말해요. 마루나 방에서 뛰지 말라 하고, 길이나 건물에서 뛰지 말라 해요. 학교에서는 교실이나 골마루에서 함부로 뛰지 말라 하지요. 그런데 “뛰지 말아라” 하는 말에서 ‘뛰다’는 어떤 몸짓일까요? 이는 ‘뜀뛰기·높이뛰기·제자리뛰기·멀리뛰기’ 같은 말에서 나오듯이 발을 굴러서 하늘로 솟구치듯이 오르려고 하는 몸짓입니다. ‘뛰놀다’라는 말이 있지요? 뛰면서 논다는 말인데, 어린이는 으레 발을 콩콩 구르면서 몸을 하늘로 덩실덩실 올리면서 놀기에 ‘뛰놀다’라는 말을 써요. 이리하여 어른들이 흔히 하는 “뛰지 말아라”는 “‘달리지’ 말아라”라 해야 할 말을 잘못 말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어달리기·오래달리기’ 같은 말에서 나오듯이 걸음을 빨리하는 몸짓을 ‘달리다’로 나타내요. 길이나 교실이나 골마루 같은 데에서 아이들은 흔히 걸음을 빨리하는 몸짓으로 이리저리 오가니, 이렇게 하지 말라는 뜻에서 “달리지 말아라” 하고 말하지요. 그리고 “뛰지 말아라” 하고 말할 적에는 촐싹거리지 말고 얌전하고 차분하게 다니라는 뜻이라고 할 만합니다.


+


눈바라기


  시골에서 노는 아이들은 늘 풀이랑 꽃이랑 나무를 바라봅니다. 차츰 찬바람으로 바뀌는 늦가을에도 풀이랑 꽃이랑 나무를 바라보기는 똑같지만, 이무렵에는 해가 잘 드는 곳을 찾아서 ‘해바라기’를 합니다. 겨울에도 해바라기를 하며 놀아요. 낮에는 ‘풀바라기·꽃바라기·나무바라기’를 하면서 놉니다. 밤에는 ‘별바라기·달바라기’를 하며 놀지요. 해나 별을 보려고 하늘로 고개를 돌려서 눈길을 두기에 ‘하늘바라기’입니다. 자전거를 달려 바다로 나들이를 가면 ‘바다바라기’예요. 샛노란 가을들을 누리려고 논둑길을 거닐 적에는 ‘들바라기’입니다. 나무가 우거진 숲을 사랑하기에 ‘숲바라기’가 되고, 아침부터 저녁까지 온갖 놀이를 즐기니 ‘놀이바라기’가 되고요. 어버이는 아이를 사랑하고 아이는 어버이를 사랑합니다. 서로 ‘사랑바라기’입니다. 아이도 어른도 가슴에 꿈을 품기에 ‘꿈바라기’입니다. 살림을 함께 짓는 곁님을 보살피면서 ‘님바라기’입니다. 책을 좋아하면 ‘책바라기’이고, 영화를 즐기면 ‘영화바라기’입니다. 돈이 좋으면 ‘돈바라기’일 테며, 노래가 좋으면 ‘노래바라기’예요. 비 내리는 소리와 냄새를 좋아해서 ‘비바라기’요, 눈 내리는 결이랑 빛을 좋아해서 ‘눈바라기’입니다. 떡바라기나 빵바라기나 과자바라기도 있을 테지요? 수박바라기나 딸기바라기나 참외바라기도 있을 테고요.


+


과자굽기


  과자나 빵을 집에서 마련하여 먹어 본 적 있나요? 과자가게나 빵집에서 과자나 빵을 장만해서 먹을 수 있고, 집에서 손수 밀반죽을 하고 불판을 달구거나 오븐에 넣어서 과자나 빵을 구울 수 있어요. 밥을 짓는다고 할 적에는 ‘밥짓기’라 해요. 말 그대로이지요. 밥을 한다고 할 적에는 ‘밥하기’라 해요. 이처럼 과자나 빵을 굽는다고 할 적에는 ‘과자굽기’나 ‘빵굽기’라고 합니다. 밀반죽을 알맞게 떼어서 뜨거운 불 기운에 굽기 때문에 ‘과자굽기·빵굽기’예요. 그런데 과자를 파는 과자가게 이름으로는 ‘과자가게’보다는 ‘제과점’ 같은 이름을 쓰는 데가 훨씬 많아요. 과자를 굽는 솜씨를 익혀서 자격증을 딸 적에는 ‘제과 자격증’이라 하거든요. 그러면 빵집에서 일하는 분들은 어떤 자격증을 딸까요? 이분들은 ‘제빵 자격증’을 따요. 구워서 먹으니 ‘굽는 과자’이고 ‘굽는 빵’이지만, 어른들은 ‘과자굽기·빵굽기’나 ‘과자짓기·빵짓기’ 같은 말보다는 ‘제과·제빵’ 같은 한자말을 더 좋아하는구나 싶어요. 그래도 ‘빵굼터(빵을 굽는 터)’ 같은 이름을 빵집에 붙이는 슬기로운 어른도 함께 있어요.


(최종규/숲노래 . 2016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말 한 마디로 재미있게 삶을 노래하자는 이야기를 새롭게 고쳐서 올려 봅니다.


..


감자피자


  어느 날 아이들하고 피자집에 들렀습니다. 집으로 들고 가려고 이것저것 살피면서 시킵니다. 아이들은 피자집에 있는 그림을 보면서 “이건 감자가 들었으니까 ‘감자피자’야?” 하고  묻습니다. 아이들 말대로 감자를 넣은 피자는 ‘감자피자’입니다. 그래서 이 감자피자를 시키는데, 피자집 일꾼은 ‘감자피자’라는 말을 못 알아듣습니다. 왜 못 알아듣는가 싶어 고개를 갸우뚱하다가, 차림판을 다시 살피고는 무릎을 칩니다. 차림판에는 ‘감자’라는 낱말이 아니라 ‘포테이토’라는 영어로 적혔어요. 피자집 일꾼은 ‘포테이토피자’라고 해야 비로소 알아들어요. 피자집 차림판을 더 살피니 고구마를 넣은 피자는 ‘고구마’를 영어로 안 쓰고 그냥 ‘고구마피자’로 적습니다. 고구마는 그냥 고구마이고 감자는 따로 포테이토라고 해야 하는 셈일까요? 그러고 보면, 빵집에서도 마늘을 넣은 빵을 ‘마늘빵’이라 안 하면서 ‘갈릭브레드’라고 하기 일쑤예요. 어른들은 참으로 알쏭달쏭하지요. 왜 감자를 감자라 안 하고, 마늘을 마늘이라 안 할까요?


+


깜다람쥐


  우리 숲에서 다람쥐가 차츰 줄어요. 다람쥐가 겨우내 먹이로 삼을 열매가 줄기 때문일 텐데, 다람쥐 먹이가 되는 열매는 나무 열매예요. 다시 말하자면 숲에 있는 나무를 함부로 베기 때문에 다람쥐로서는 삶자리를 빼앗긴다고 할 수 있어요. 여기에 ‘청설모’라고 하는 숲짐승이 부쩍 늘면서 여느 다람쥐는 설 자리가 더욱 줄어든다고 해요. 그런데 ‘청설모’라는 이름을 뜯으면 ‘청서(설) + 모’이고, 이는 한자말로 “푸른 다람쥐 + 털”입니다. ‘청설모’라는 이름은 숲짐승을 가리키는 말이 아니라, 숲짐승 몸에 난 ‘털’을 가리키는 말이에요. 그러니 다람쥐한테 맞잡이가 되는 숲짐승한테는 이 숲짐승한테 걸맞게 새 이름을 붙여야 올발라요. 아니면 ‘청서’라는 한자말 이름을 써야 하지요. 그리고 청설모라고 하는 숲짐승은 털빛이 ‘푸른 빛깔’이 아니라 ‘까만 빛깔’이기에 ‘깜다람쥐’라 할 수 있어요. 다람쥐 가운데에는 ‘날다람쥐’가 있어요. 하늘을 날듯이 온몸을 펼쳐서 이 나무에서 저 나무로 날아가는 다람쥐예요. ‘다람쥐’는 “달리는 쥐”라는 뜻입니다.


+


꽃그릇


  “꽃을 심어 가꾸는 그릇”을 가리켜 ‘화분(花盆)’이라 합니다. 내가 어릴 적에 우리 어머니와 아버지는 집에 ‘화분’을 무척 많이 놓으셨어요. 아주 어릴 적부터 화분에서 자라는 꽃을 보았어요. 그런데 나는 언제나 한 가지 궁금했어요. 꽃을 심어서 가꾸는데 왜 ‘꽃’이라는 말이 없는지 알쏭달쏭했어요. 열 살 즈음에 한문을 처음으로 배우며 ‘화분’이 왜 화분인 줄 비로소 깨우쳤지만, 좀처럼 고개를 끄덕일 수 없었어요. 그러다가 고등학생이 되어 한국말사전을 따로 한 권 장만해서 첫 낱말부터 끝 낱말까지 두 차례쯤 읽었는데, ‘화분’ 낱말풀이를 보고는 좀 어이없다고 느꼈어요. 아니, 꽃을 심어 가꾸는 그릇이라 한다면, 말 그대로 ‘꽃그릇’인걸요. 그 뒤로 서른 해 남짓 지난 요즈음, 우리 집 아이가 밥상맡에 공책을 펼치고 앉아서 접시랑 그릇을 쳐다보면서 그리는 놀이를 하다가 “꽃그릇! 꽃그릇!” 하고 외치는 모습을 봅니다. 무슨 소리인가 하고 들여다보니, 큰아이가 보고 그리는 접시랑 그릇에 꽃무늬가 있어요. 옳거니, 너는 그릇에 꽃이 새겨진 모습을 보고 ‘꽃그릇’이라 하는구나, 그래, 꽃을 심는 그릇이어도 꽃그릇이 되고, 무늬나 그림으로 꽃을 새겨 넣어도 ‘꽃그릇’이 되네.


+


뒷북아이


  ‘뒷북’을 친다고 할 때가 있어요. 이런 일을 겪어 본 적 있나요? 어린이도 어른도 때때로 뒷북을 치거든요. 뒷북이란 무엇인가 하면, 제때에 움직이거나 알아차리지 못하고 나중에 비로소 움직이거나 알아차리는 몸짓이랑 모습을 가리켜요. 이를테면, 할머니나 할아버지를 만나러 가서 함께 어울릴 적에는 딴짓을 하다가, 막상 할머니나 할아버지하고 헤어져야 할 즈음에 울먹울먹하는 몸짓이 뒷북이라 할 만해요. 또는, 남들이 다 좋다고 하면서 한창 즐길 적에는 시큰둥해 하거나 고개를 돌렸는데, 뒤늦게 그것을 좋아하는 모습도 뒷북이라 할 만하지요. 이리하여 어린이는 ‘뒷북아이’가 되고, 어른은 ‘뒷북어른’이 되어요. 뒷북을 치듯이 ‘뒷북짓’을 하고, ‘뒷북노래’를 부르며, ‘뒷북꿈’을 꿉니다. 이와 달리 ‘앞북’을 친다면 누구보다 앞장서서 어떤 일을 하거나 즐긴다고 할 테지요. ‘앞북짓·앞북노래·앞북꿈’이 있어요. 그런데 말이지요, 뒷북이라고 해서 나쁘지 않아요. 구태여 앞북이 되어야 하지 않아요. 뒤늦게라도 움직이거나 알아채면 아름답지요. 남들보다 늦기에 ‘느림북(느림보)’이 아니에요. 남들이 하는 대로 따라가거나 따라해야만 하지 않거든요. 내 결을 살피고 내 몸짓을 가꾸면서 즐겁게 나아가면, 뒷북도 앞북도 아닌 ‘제북(제대로 치는 북)’이 되리라 생각해요.


(최종규/숲노래 . 2016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