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이랑 놀자 197] 눈 ㄴ



  밤새 눈이 내려요. 눈으로 하얗게 덮인 ‘눈길’이 고와서 얼른 옷을 껴입고 나와서 내 발자국을 하나둘 찍어요. ‘눈송이’를 뭉쳐서 ‘눈싸움’을 하고, ‘눈뭉치’를 모아서 ‘눈사람’을 굴려요. ‘눈덩이’를 단단하게 다져서 ‘눈집’을 지어 볼까요. 온통 새하얀 ‘눈나라’가 되니 자동차도 버스도 꼼짝하지 못해요. 어른들은 일터에 가기 어렵다면서 발을 동동 구르지만 이런 날은 하루쯤 일을 쉬고 어린이랑 함께 ‘눈놀이’를 즐길 수 있기를 바라요. 펄펄 내리는 함박눈을 입을 헤 벌리면서 받아먹고, 송이송이 떨어지는 눈을 바라보면서 사진도 찍어요. ‘눈삽’을 챙겨서 눈을 슥슥 밀면 걸어다닐 자리가 생겨요. 넉가래를 쓰면 ‘눈더미’를 한쪽으로 밀어서 쌓기에 좋아요. 눈을 함빡 뒤집어쓴 나무에는 ‘눈꽃’이 피네요. 우리 마을도 이웃 마을도 모두 ‘눈누리’가 되니, 다 함께 ‘눈마을’이 된 셈이에요. 겨울에는 ‘겨울눈’이 내리고, 봄에는 ‘봄눈’이 내리며, 가을에는 ‘가을눈’이 내리지요. ‘첫눈’이 오기를 기다렸고, ‘막눈’이 내리면 아쉬워요. 폭신폭신한 눈길을 걸을 만한 ‘눈신’을 챙겨서 눈마실을 다녀 볼까요. 이 흰눈처럼 맑고 하얀 마음이 되고 싶어서 하늘을 올려다보며 ‘눈님’한테 꿈을 빌어요. 4349.1.24.해.ㅅㄴㄹ


(최종규/숲노래 . 2016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똑똑, 누구셔요


  “똑똑, 누구십니까. 꼬마입니다.” 하고 첫머리를 여는 어린이노래를 우리 집 아이들하고 함께 부릅니다. 이 노래를 듣고 부르는 아이들은 누구나 방문을 열기 앞서 ‘똑똑’ 두들긴 다음 안쪽에서 “누구셔요?” 하고 묻는 소리를 기다리겠지요. 아이가 방에 있을 적에 누군가 문을 ‘똑똑’ 두들긴다면, 아이는 문 바깥에 대고 “누구셔요?” 하고 물을 테고요. 문을 똑똑 두들기면서 안에 있느냐 하고 물으니 ‘똑똑질’입니다. 영어로는 ‘노크’라고 하지요. 문을 두들길 적에는 한 번만 ‘똑’ 하고 두들길 수 있어서, 한 번만 두들기는 손짓은 ‘똑질’이라 할 만하고, ‘똑똑똑’ 하고 세 번 두들긴다면 ‘똑똑똑질’이라 할 만해요. 그런데 문을 쾅쾅 두들기거나 쿵쿵 찰 수 있어요. 좀 거친 몸짓일 텐데, 이때에는 ‘쾅쾅질’이나 ‘쿵쿵질’이에요. 수박이 잘 익었나 하고 통통 두들기면 ‘통통질’일 테고, 가볍게 콩콩 뜀뛰기를 하는 모습은 ‘콩콩질’이 되어요.


+


노을빛


  모든 것에는 빛이 있어요. 아는가요? 또는 느끼는가요? 빛이 없는 것은 없어요. 흔히 밤이 캄캄하다고, 아주 어둡다고, 어두워서 빛이 하나도 없다고 하지요? 그렇지만 밤에는 ‘밤빛’이 있어요. 그리고 이 밤빛을 ‘검정’으로 나타내지요. 아무 빛이 없는 밤이 아니라 검정이라고 하는 빛이 있는 밤이에요. 그림자에도 ‘그림자빛’이 있어요. 꽃만 ‘꽃빛’이 아니라, 풀은 ‘풀빛’이고, 나무는 ‘나무빛’이에요. 물은 ‘물빛’이고, 흙은 ‘흙빛’이지요. 노루는 ‘노루빛’이고, 토끼는 ‘토끼빛’입니다. 그러면 사람은 ‘사람빛’이 있다고 할 만합니다. 어떤 사람은 밝은 사람빛으로 사랑을 나누고, 어떤 사람은 어두운 사람빛으로 슬픔에 잠겨요. 어떤 사람은 환한 사람빛이지만 좀처럼 못 웃고, 어떤 사람은 캄캄한 사람빛이지만 마음에 꿈을 심으면서 씩씩하게 살아요. 자, 둘레를 가만히 살펴보아요. ‘구름빛’을 보고, ‘바람빛’을 느껴요. ‘햇빛’처럼 ‘별빛’하고 ‘눈빛’하고 ‘비빛’도 느껴요. ‘이슬빛’하고 ‘노을빛’을 느껴 볼까요. 냇물을 보며 ‘냇빛’을 느끼고, 샘터에서 ‘샘빛’을 느껴요. 밥 한 그릇에서 ‘밥빛’을 느끼고, 살림을 가꾸는 어버이한테서 ‘살림빛’을 느껴요.


+


숨은가수찾기


  노래를 좋아하는 여러 사람이 얼굴을 숨긴 채 오직 목소리만 들려주면서 사람을 찾도록 하는 방송 ‘히든 싱어’가 있습니다. ‘히든 싱어’라는 이름을 처음 들을 적에 무슨 말인가 하고 알쏭달쏭했는데, 이 방송을 얼핏 들여다보니 사회를 맡은 이가 “숨은 가수 찾기, 히든 싱어입니다!” 하고 말합니다. 어, 그래, 그렇구나, ‘히든 싱어’란 ‘숨은가수찾기’로구나 하고 뒤늦게 알아차렸어요. 아이뿐 아니라 어른도 재미나게 즐기는 놀이로 ‘숨은그림찾기’가 있어요. ‘숨은가수찾기’는 ‘숨은 + (무엇) + 찾기’ 꼴로 재미나게 지은 이름이에요. 그러고 보면, 얼굴을 가린 채 손이나 발만 내밀며 ‘숨은엄마찾기’ 놀이를 할 수 있어요. 책에 나오는 몇 줄만 적어 보여주면서 ‘숨은책찾기’ 놀이를 할 수 있습니다. ‘숨은돈찾기’라든지 ‘숨은보물찾기’라든지 ‘숨은아이찾기’를 해 볼 만하고, 동무네 집을 찾아가면서 자꾸 길을 잃고 헤맨다면 마치 ‘숨은집찾기’를 하는 셈이라고 할 수 있어요.


+


옆지기, 곁님


  말뜻으로만 본다면 ‘옆’이나 ‘곁’은 같은 낱말이라고 여길 수 있어요. 그렇지만 “옆에 빈자리 있나요?” 하고 물을 뿐, “곁에 빈자리 있나요?” 하고 묻지 않아요. 왜 그러한가 하면, ‘곁’이라고 하는 낱말은 “가까이에서 보살펴 주거나 도와줄 만한 사람”을 가리키기도 하는 낱말이기 때문입니다. 그렇다고 해서 ‘옆’이 ‘곁’보다 못한 낱말이지 않아요. “네 옆에서 늘 도와줄게” 하고 들려주는 말도 “네 곁에서 늘 도와줄게” 하고 들려주는 말처럼 따사롭습니다. 뜻은 같아도 쓰임새가 살며시 다른 ‘옆·곁’이기에, 두 낱말 뒤에 새로운 말마디를 붙여 봅니다. 이를테면 ‘옆사람·옆지기’처럼 써 보고, ‘곁사람·곁님’처럼 써 봅니다. 그저 내 둘레에 있는 사람이라면 ‘옆사람’이고, 내 둘레에서 나를 지켜보는 사람이라면 ‘옆지기’입니다. 내 둘레에서 나를 보살피거나 도와주는 사람이라면 ‘곁사람’이고, 한집에서 한솥밥을 먹으면서 마음으로 아낄 수 있는 사람이라면 ‘곁님’이에요. 어머니하고 아버지는 서로 ‘곁님’이 되고, 어버이와 아이 사이도 서로 ‘곁님’이 됩니다.


(최종규/숲노래 . 2016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말이랑 놀자 196] 눈 ㄱ



  따스하게 바라보는 ‘눈길’을 받으면 즐겁습니다. 네 마음이 내 마음으로 곱게 퍼집니다. 깊게 들여다보는 ‘눈썰미’가 훌륭합니다. 작은 곳도 살뜰히 바라볼 줄 아는 눈썰미가 야무집니다. 꼼꼼하게 살피는 ‘눈매’가 야무집니다. 빈틈없으면서도 차분하게 심부름을 하는 눈매가 멋집니다. 동무를 상냥하게 마주하는 ‘눈빛’이 맑습니다. 착하게 웃음짓는 눈빛은 더할 나위 없이 곱네요. 빙긋 ‘눈짓’을 하면서 소곤소곤 이야기를 주고받지요. 서로서로 가만히 나누는 ‘눈웃음’에는 고요한 노랫가락이 흘러요. 어린 동생하고 ‘눈높이’를 맞추면서 함께 놀고 알뜰살뜰 소꿉놀이를 하는 모습이 사랑스럽네요. 쳇 하고 고개를 돌리면서 보내는 ‘눈초리’가 매서워요. 어떤 눈으로 보고 느끼고 생각하는가 하는 ‘눈결’에 따라 생각이 달라지고 새롭게 거듭납니다. 내 눈은 너를 바라보고, 네 눈은 나를 마주보아요. 두 눈이 서로 만나면서 반짝하고 빛납니다. 우리는 ‘두 눈’으로도 바라보고, 마음속에 깃든 ‘온눈(모든 눈)’으로도 오롯이 마주보아요. 4349.1.24.해.ㅅㄴㄹ


(최종규/숲노래 . 2016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말이랑 놀자 195] 책상 컴퓨터



  책상맡에 걸상을 놓고 앉아서 책을 읽어요. 책상맡에 얌전히 앉아서 공책을 펼치고 글을 써요. 책상에 시계를 올려놓고 쳐다봐요. 책상에 놓은 ‘책상 시계’는 책상맡에 앉아서 무엇을 할 적에 때가 어느 만큼 되었는가를 잘 알려주어요. 책상에는 달력을 놓기도 하니 ‘책상 달력’인데, 책상 달력에는 앞으로 무엇을 할는지 미리 적기도 하고, 그날그날 무엇을 했는가를 짤막하게 적바림하기도 해요. 책상에는 컴퓨터를 놓아서 쓰기도 하지요. 이런 컴퓨터는 ‘책상 컴퓨터’예요. 들고 다니는 컴퓨터는 따로 ‘노트북’이라 하는데, “들고 다니는 전화기”를 ‘휴대폰’이나 ‘이동전화’라고도 하지만 ‘손전화’라고도 하기에, 이러한 틀을 살펴서 ‘손 컴퓨터’라는 이름을 붙여 볼 수 있어요. 손에 드는 작은 가방은 ‘손가방’이지요. 그러면, 책상에 놓는 거울은 ‘책상 거울’이 될 테고, 책상에 놓는 전등은 ‘책상 전등’이 돼요. 책상에서 놀이를 하면 ‘책상 놀이’가 될 텐데, 책상에서 잠이 들면 어떤 잠일까요? 4349.1.24.해.ㅅㄴㄹ


(최종규/숲노래 . 2016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쓸돈


  무엇을 사고 싶다면 돈이 있어야 해요. ‘사다’는 돈을 치러서 내 것으로 삼는 일을 가리켜요. 이와 비슷하게 쓰는 ‘사들이다’는 “사서 들여오다”를 뜻하고, ‘장만하다’는 “사거나 만들어서 갖추다”를 뜻하며, ‘마련하다’는 “헤아려서 갖추다”를 뜻해요. ‘사다·사들이다’는 돈을 치러서 내 것으로 삼는 일만 나타낸다면, ‘마련하다·장만하다’는 돈을 치러서 내 것으로 삼는 일뿐 아니라 돈을 쓰지 않고도 어떤 것을 갖추는 일을 나타내요. 아무튼, 우리가 무엇을 돈을 치러서 갖추려 한다면 돈이 있어야지요. 어린이한테 돈이 없으면 어머니나 아버지한테 “돈 좀 주세요”나 “쓸 돈 좀 주세요”나 “용돈 좀 주세요” 하고 말할 테지요. 이때에 ‘용돈’은 한자 ‘용(用)’을 붙여서 ‘용돈’인데, ‘용(用)’이라는 한자는 “쓸”을 뜻해요. 그러니, ‘용돈’이란 ‘쓸돈(쓸 돈)’인 셈이랍니다. 어머니나 아버지가 어린이한테 다달이 또는 주마다 어느 만큼 ‘쓸돈(쓸 돈)’을 준다면, 한 달이나 보름을 헤아리면서 살림을 잘 꾸리라는 뜻이에요. 그래서 우리는 ‘살림돈’을 받아서 한 달이나 보름을 알뜰살뜰 꾸린다고 할 만해요. 이 살림돈은 알맞게 쓰임새를 찾아서 쓰는 돈이니 ‘쓰임돈’이라 할 수도 있어요.


+


연필주머니


  “연필을 방바닥에 굴리지 말고, 다 쓴 연필은 연필주머니에 넣어야지.” ‘필통’이 무엇인지 모르는 퍽 어린 아이하고 글놀이를 하다가 문득 한마디를 했습니다. 이 한마디를 하고는 나 스스로 놀랍니다. 아이가 꽤 어려서 ‘필통’이라 안 하고 ‘연필주머니’라고 했어요. 학교에 다니지 않는 아이라 필통을 모르지만 연필이나 주머니는 알기에 두 낱말을 더해서 ‘연필주머니’라고 해 보았는데, 아이는 잘 알아듣고, 이 말을 하는 나도 말이 부드럽게 술술 나왔어요. 학교에서는 ‘신주머니’를 쓰기도 하지요? 신을 담는 주머니이니 신주머니예요. 모래를 담으면 ‘모래주머니’이고, 콩을 담으면 ‘콩주머니’이지요. 돈을 담으면 ‘돈주머니’이고, 안경을 담으면 ‘안경주머니’요, 빗을 담으면 ‘빗주머니’예요. 인형을 담으면 ‘인형주머니’가 될 테고, 책을 담으면 ‘책주머니’가 될 테지요. 주머니에 담는 것에 따라 이름이 새롭게 붙어요. 때로는 생각을 담는 ‘생각주머니’라든지, 꿈을 담는 ‘꿈주머니’라든지, 사랑을 담는 ‘사랑주머니’도 마련할 수 있을까요? 온갖 이야기가 샘솟는 동무가 있으면 어디엔가 ‘이야기주머니’가 있을는지 몰라요. 잘 웃는 동무는 ‘웃음주머니’가 있을 수 있어요.


+


빨래터


  요즈음은 집집마다 빨래를 하는 기계를 두어요. 빨래를 하는 기계를 가리켜 ‘세탁기’라는 이름을 쓰는데, ‘빨래 기계’나 ‘빨래틀’이라 할 만해요. 요즈음은 집안에 따로 ‘빨래 기계’를 두지만, 예전에는 샘가나 냇가에서 빨래를 했어요. 빨랫바구니에 빨랫감을 담고서 옆구리에 끼고는‘빨랫방망이’를 들고서 빨래터에 가지요. 빨래터에 가면 빨래를 펼쳐서 빨랫방망이로 두들길 수 있는 빨랫돌이 있어요. 옛날에는 빨래비누가 없어도 빨랫방망이하고 빨랫돌을 써서 빨래를 했어요. 기름때를 벗겨야 할 일이 드문 옛날에는 싱그러운 냇물에 옷가지를 담가서 통통통 두들기기만 해도 빨래가 잘 되었지요. 빨래를 마친 옷가지는 바지랑대로 세운 빨랫줄에 널어서 해바라기를 시키면 햇볕하고 바람이 보송보송 말려 주지요. 가만히 생각하면 옛날에는 누구나 손발로 빨래를 했으니 빨래라면 그냥 ‘빨래’였는데, 요즈음은 빨래를 맡아 주는 기계가 있으니 ‘기계빨래’하고 ‘손빨래·발빨래’를 따로 나누어요. 행주나 걸레쯤은 으레 손빨래를 하기 마련이고, 이불이라면 발로 꾹꾹 누르는 발빨래를 하지요. 집에 빨래틀이 있어도 여름에 발로 꾹꾹 누르며 이불빨래를 해 보셔요. 무척 시원하면서 재미나고 보람차요.


+


옷밥집, 밥옷집, 집밥옷


  남녘하고 북녘에서 쓰는 말이 꽤 달라서, 남녘에서는 ‘의식주’라 하고 북녘에서는 ‘식의주’라고 해요. 이런 말을 들어 봤나요? 그런데 말이지요, 남녘이나 북녘 모두 한결 쉬우면서 새롭게 말하는 길을 좀처럼 잘 뚫지 못해요. 옷을 앞세운 ‘의식주’이든, 밥을 내세운 ‘식의주’이든 어린이한테는 살갗으로 와닿기 어려운 말마디예요. 어린이하고 함께 나눌 말마디를 헤아린다면 ‘옷밥집’이라 하거나 ‘밥옷집’이라 할 적에 뜻이나 느낌이 또렷하게 드러나요. 옷밥집이라 하든 밥옷집이라 하든, 아니면 ‘집밥옷’이라 하든 크게 대수롭지는 않아요. 어느 이름을 쓰든 옷이랑 밥이랑 집, 또는 밥이랑 옷이랑 집, 또는 집이랑 밥이랑 옷이 아주 대수롭다는 뜻을 나타내요. 이 세 가지가 있어야 삶을 이루고 살림을 지을 수 있다는 뜻이지요. 그래서 예부터 ‘옷짓기·밥짓기·집짓기’는 무척 커다란 일일 뿐 아니라, 어버이가 아이한테 삶을 가르치거나 물려주면서 가장 마음을 기울이던 일이에요. 옷이랑 밥이랑 집을 누구나 손수 지어서 누릴 수 있도록 마음을 썼지요. 그래서 옷밥집을 손수 지을 줄 안다면 ‘삶짓기’를 할 수 있다는 뜻이요, ‘살림짓기’를 기운차게 한다는 뜻이에요.


(최종규/숲노래 . 2016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