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책숲

책숲하루 2022.5.31. 쌈지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국어사전 짓는 서재도서관)

 : 우리말 배움터 + 책살림터 + 숲놀이터



  찰칵이(사진기)를 손에 쥔 이 가운데 골목마을을 거닐며 찰칵찰칵 담는 사람이 언제나 이따금 있습니다. 그런데 이들 가운데 골목마을에 살면서 골목마을을 담는 사람은 손에 꼽을 만큼 드뭅니다. 《골목안 풍경》을 남긴 김기찬 님도 ‘잿빛집(아파트)에 살며 골목마실’을 다니는 길에 찍었습니다.


  어릴 적에 골목에서 태어났어도 ‘찰칵이를 쥔 어른’으로서 골목마을에 안 살면서 찰칵찰칵 담는다면 ‘나(마을사람) 아닌 남(구경꾼)’이라는 눈길이게 마련입니다.


  헌책집을 찰칵 담는 사람도 매한가지예요. 헌책집을 이웃집으로 삼아 마실하는 사람하고, 어쩌다 찾아가는 사람이 바라보는 눈은 달라요. 마을책집을 동무집으로 여겨 나들이하는 사람하고, 아예 안 드나드는 사람이 바라보는 눈도 다르지요. 시골에서 살지 않는 사람이 시골을 찰칵찰칵 담을 적에는 어떤 모습일까요? 숲에서 살지 않거나 풀꽃나무랑 마음으로 이야기하지 않는 사람이 숲이며 풀꽃나무를 찰칵찰칵 담는다면 어떠할까요?


  마음을 사랑으로 세우지 않고서 겉모습이나 손놀림에 얽매일 적에는 참빛하고 등져요. 마음을 사랑으로 세우면 아무리 값싼 찰칵이를 쥐어도 언제나 빛나요.


  글은 이름값으로 안 써요. 글은 오직 삶을 사랑으로 짓는 살림길로 써요. ‘등단’이나 ‘발간’을 한 적이 없더라도 주눅들 까닭이 없어요. 날개책(베스트셀러)을 못 내었대서 책이나 글을 못 쓸 일이 없어요. 우리는 늘 스스로 삶을 사랑하는 살림으로 오늘을 누리면서 책을 읽고 글을 쓰며 아이를 돌보면 넉넉해요.


  2010년에 인천을 떠나며 남긴 《골목빛》인데, 모처럼 다시 들추니 새삼스럽습니다. 2010년에 찰칵찰칵 담은 모습 가운데 웬만한 골목은 다시 찍을 수 없습니다. 고작 열 몇 해인데 벌써 가뭇없이 밀리고 잿빛집으로 바뀌었어요. 우리는 뭘 보는 눈길일까요? 우리는 뭘 사랑하는 마음일까요? 우리 스스로 너나없이 잿빛집에 갇힌 몸뚱이인 터라, 이쪽 무리도 저쪽 무리도 온통 ‘골목마을하고 시골을 삽차로 밀어내어 잿빛더미(아파트 대단지)를 세우겠다’는 허튼말을 쏟아냅니다. 우리 민낯이 고스란히 벼슬꾼(정치꾼) 목소리로 불거집니다. 저들은 먼나라 놈팡이가 아닙니다. 바로 우리 오늘 모습 그대로입니다.


  인천 마을책집 〈딴뚬꽌뚬〉에 ‘2010년 골목빛 알림종이’를 몇 자락 띄우려고 자전거를 달려 면소재지 우체국에 갔습니다. 꾸러미를 부치려고 저울에 올리고서야 “아차, 쌈지를 집에 두고 왔네!” 하고 알아챕니다. 다른 길이 없습니다. 집에 도로 가서 쌈지를 챙겨 다시 우체국에 와야 합니다.


ㅅㄴㄹ


*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 짓는 일에 길동무 하기

http://blog.naver.com/hbooklove/220188525158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지기(최종규)가 쓴 책을 즐거이 장만해 주셔도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짓는 길을 아름답게 도울 수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책숲

책숲하루 2022.5.27. 차치 양도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국어사전 짓는 서재도서관)

 : 우리말 배움터 + 책살림터 + 숲놀이터



  꽤 예전부터 나왔으나 그림꽃님(만화가)이 좀처럼 뒷이야기를 그리지 못한다는 《배가본드》를 이제서야 조금씩 읽습니다. 워낙 둘레에서 많이 읽었다고들 했으나, 칼부림 줄거리만 잔뜩 나오는 책은 도무지 안 보고 싶어 스무 해 넘게 미루었어요.


  이제는 좀 다르게 바라보려 하기에 쥘 수 있습니다. ‘감(소재)’만 ‘칼부림’이되, ‘속(내용)’은 ‘사람이 살림을 하는 삶’일 테니, 이 대목을 들여다보기로 했어요. 더구나 이 그림꽃은 스무 해 넘게 그린 터라 1∼37에 이르는 줄거리를 놓고서 숱한 사람들이 이야기했고, 왜 아직도 매듭을 안 짓는지까지도 아예 책으로까지 나온 판입니다.


  줄거리는 안 궁금하기도 하고 뻔히 알기도 하기에, “왜 무엇을 그렸는가?”를 살피는데, 37걸음에 ‘미야모토 무사시’가 ‘시골 흙지기 할배’를 이녁 삶에서 처음으로 ‘스승’으로 삼는 대목이 나와요. 여태 아무도 스승으로 여기지 않았다는 미야모토 무사시라 한다지만, 오직 하나 ‘숲’만 스승으로 여기며 살았다는데, 막판에 이르러 “씨앗을 심어 가꾸는 흙할배”가 비로소 스승이 된 얼거리이더군요.


  그림꽃 《배가본드》를 시골과 숲과 삶과 사람과 사랑이라는 뼈대로 바라보는 분도 틀림없이 있을 테지요? 가만가만 보니, 이 그림꽃은 그림결마다 온통 ‘시골과 옛날 숲’이 잔뜩 나옵니다. 번뜩이는 칼부림이 아닌, 사람들이 모두 손으로 지어서 가꾸고 살아가던 지난날 수수한 사람들 차림새에 살림결에 숲빛을 헤아리려고 이 그림꽃을 쥐는 사람이 있을까요? 아마 이 대목을 놓고는 아무도 없겠다고 느낍니다.


  숲노래 씨가 짓는 낱말책(사전)은 말이 말답게 태어나 사람이 사람답게 사랑을 하면서 살림을 살림답게 숲빛으로 그리는 결을 누구나 스스로 알아차리고 익혀서 즐겁게 쓰는 길을 밝히는 꾸러미로 삼으려고 합니다. 이런 낱말책이 오히려 어렵다고 여기면 어렵겠지요. 그러나 스스로 배워 스스로 펴는 누구한테나 곁책으로 삼을 적에 비로소 낱말책이라고 생각합니다.


  서울·인천·부천·서울을 넘나든 나흘길을 마치고 고흥으로 돌아오자마자 이웃님하고 고흥 숲하고 바다를 다녀오자니 온몸이 찌뿌둥하고 무릎이 쑤십니다. 한잠 푹 자고서 《손질말 꾸러미》를 추스르는데, ‘차치’를 손질하자니 ‘양도’가 걸리고, ‘단위’도 새삼스레 손질할 노릇입니다. ‘양도’는 이튿날로 넘겨서 할 생각이고 ‘후발·후발주자’는 마무리하고서 기지개를 켜려고 합니다.


ㅅㄴㄹ


*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 짓는 일에 길동무 하기

http://blog.naver.com/hbooklove/220188525158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지기(최종규)가 쓴 책을 즐거이 장만해 주셔도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짓는 길을 아름답게 도울 수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책숲

책숲하루 2022.5.25. 일곱 시간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국어사전 짓는 서재도서관)

 : 우리말 배움터 + 책살림터 + 숲놀이터



  달날(월요일)에 〈서울책보고〉로 ‘이야기하는 일’을 나왔고, 이튿날인 불날(화요일)에 인천으로 건너가서 〈나비날다〉에서 ‘이야기하는 일’을 이었습니다. 이러고서 물날(수요일)에 부천 〈용서점〉에 깃들어 원미동을 책마을로 돌보려는 손길을 기리려는 마음을 ‘가볍게 이야기하’려 했어요.


  그런데 〈용서점〉 책집지기님하고 이야기를 하다가 어느새 두 시간이 흐르고 세 시간이 흐르며 “우리 이야기를 끊고서 일어설 만한 대목이 안 보이는걸” 하고 느껴, 나무날(목요일)에 고흥으로 돌아가자고 생각합니다. 이러면서 이야기꽃은 네 시간에 다섯 시간을 넘고, 마침내 일곱 시간을 훌쩍 넘깁니다.


  어릴 적에 말더듬이로 살았습니다. 제 생각을 말로 그리고 싶은데 혀가 꼬이고 소리가 샜어요. 둘레에서는 입을 크게 벌리라는 둥, 혀를 어떻게 이에 대라는 둥, 천천히 말을 하라는 둥 짚어 줍니다만, 뜀틀을 못 넘는 아이한테 “여기를 이렇게 짚고 이렇게 발을 구르면 쉽게 넘는데 넌 왜 못 넘니?” 하고 나무라기만 한다면, 아이는 끝내 뜀틀을 못 넘을 테지요. 곰곰이 생각하자니, 지난날 우리 터전(사회·학교)은 아이들을 느긋이 기다리면서 조용히 지켜보는 어른이 참으로 드물었습니다. 1988년 서울에서 일으킨 놀이마당(올림픽)은 “더 빠르게, 더 높이, 더 힘차게”를 내세웠어요. 느릿느릿 말하거나 걷는 아이를 놔두지 않고 채찍질을 했습니다. 그때나 이제나 벼슬꾼(정치꾼·공무원)은 ‘경제성장’을 꼭두에 놓습니다.


  ‘자랑할 자람길’이 아니라 ‘포근히 품을 살림길’을 헤아리는 어버이나 어른은 아직 적습니다. 6월 1일에 새로 뽑을 고을일꾼을 놓고서도 누가 더 ‘발전’을 잘 하도록 이끌 만한가 하고 내세우는 쓰레판이라고 느낍니다. 저는 ‘발전’도 ‘진보’도 바랄 마음이 없습니다. 어린이하고 어깨동무하며 함께 노래하고 놀면서 웃는 어른으로 살아가려는 마음입니다. 이런 말더듬이 어린이가 일곱 시간 책수다를 신나게 떠는 어른으로 하루를 보냈다니, 어쩐지 스스로 대견합니다.


ㅅㄴㄹ


*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 짓는 일에 길동무 하기

http://blog.naver.com/hbooklove/220188525158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지기(최종규)가 쓴 책을 즐거이 장만해 주셔도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짓는 길을 아름답게 도울 수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책숲

책숲하루 2022.5.12. 솔솔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국어사전 짓는 서재도서관)

: 우리말 배움터 + 책살림터 + 숲놀이터



  낱말책을 쓰는 길을 걷자면 잘 기다릴 노릇입니다. 때하고 곳을 기다려요. 언제 어디에서나 모든 낱말을 다루는 낱말책입니다만, ㄱㄴㄷ 얼거리로 낱말을 살피지는 않습니다. ㄱ보다 ㅁ을 먼저 매듭지을 수 있고, ㅅ보다 ㅎ에 깃들 낱말을 먼저 풀이할 수 있습니다. 다룰 낱말을 하나하나 다루는 사이에 천천히 다른 모든 낱말을 아우릅니다. 옛날 셈틀에 ‘지뢰찾기’란 놀이(게임)가 있었는데요, 첫 자리부터 눌러야 이 놀이를 끝내지 않아요. 한달음에 풀어낼 자리를 다다닥 눌러서 좍좍 비우고서 비로소 차근차근 풀어냅니다.


  일을 하려고 셈틀을 켜면 글판부터 바탕에 깔아 놓습니다. ‘그냥 글쓰기’를 하는 분이라면 글판을 하나나 둘을 열 테지만, ‘낱말책 글쓰기’를 하는 사람은 20∼30쯤 가볍게 엽니다. 쉬잖고 이 글판하고 저 글판을 오가면서 ㄱ부터 ㅎ 사이에 깃드는 숱한 낱말을 끝없이 돌아보고 헤아립니다. 이 글을 여기에서 쓰다가도 저 글을 저기에서 쓰면서 춤추고요. 여러 글판을 쉬잖고 끝없이 오가는 길에 0.001초라도 줄이고자 착착착 자리를 잡고서 뭉뚱그려서 여럿을 바라보노라니, 여느 때에도 이 버릇 그대로 둘레 사람들이 하는 말을 한꺼번에 들어요. 곁님하고 두 아이가 수다판을 펴면 세 사람 목소리를 나란히 들으면서 바깥 새소리하고 개구리소리하고 바람소리도 들어요.


  어릴 적부터 말더듬이로 살았습니다만, 말더듬이에서 ‘말’을 덜면 ‘더듬이’입니다. 더듬거리는 사람인 ‘더듬이’는 풀벌레 머리에 있는 ‘더듬이’가 있는 사람이라고 느껴요. 혀에 얹는 소리는 비록 더듬더듬하지만, 마음하고 눈코귀입몸은 오롯이 둘레 숨결하고 소릿결하고 빛결을 두루 품는 삶이지 싶습니다. 말은 더듬지만 ‘눈으로는 안 보이는 더듬이를 몸에 달고 산다’면, 이러한 삶도 즐거울 만하다고 생각해요. ‘템플 그랜딘’ 이야기를 처음 보던 날 그냥 마음으로 알 수 있었어요.


ㅅㄴㄹ


*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 짓는 일에 길동무 하기

http://blog.naver.com/hbooklove/220188525158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지기(최종규)가 쓴 책을 즐거이 장만해 주셔도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짓는 길을 아름답게 도울 수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책숲

책숲하루 2022.5.6. 곰과 사람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국어사전 짓는 서재도서관)

: 우리말 배움터 + 책살림터 + 숲놀이터



  전북 전주에 계신 이웃님이 우리 책숲으로 찾아와서 사름벼리 씨랑 산들보라 씨하고 노래꽃(동시) 하나를 놓고서 함께 이야기를 했습니다. 요즈막 들어서 ‘동물권’ 목소리가 불거지는데, 바로 이 ‘동물권’을 다룬 글입니다.


  우리 집 두 어린씨랑 푸른씨는 ‘시늉으로 쓴 이름팔이 동물권 동시’룰 척 보고는 몹시 못마땅하다는 얼굴이었습니다. 그러나 막상 배움터(학교)나 수다터(강연장)에서는 이런 ‘시늉으로 쓴 이름팔이 동물권 동시’가 팔리면서 읽힐 테지요. 사름벼리 씨는 바로 스스로 노래꽃을 새로 썼습니다. 곰을 곰답게 안 그리고, 사람으로서 어떻게 삶을 그려서 지어야 사람다운가 하는 이야기를 차곡차곡 담았어요.


  어린이날을 맞아 이 나라(정부)에서는 ‘아동기본법’을 마련하겠다고 읊더군요. 네, 벼슬꾼(공무원·정치권)은 ‘읊’었습니다. ‘어린이날’인데 아직까지도 ‘아동’이란 한자말을 갖다붙이니, 읊기일 뿐입니다.


  그런데 어린이를 돌보겠다는 틀(법)을 세운들, 입발림이지 않을까요? 배움수렁(입시지옥)이 버젓이 있는걸요. 디딤칸에 따라 열린배움터(대학교)를 마쳤다는 종이를 안 따면 일자리를 못 얻는 얼개일 뿐 아니라, ‘서울에 있는 더 높은 열린배움터 마침종이’를 바라는 불구덩이인걸요. 이 불구덩이를 고스란히 두는 나라지기야말로 ‘아동기본법 위반’일 텐데요?


  어린이가 신나게 뛰놀 빈터를 몽땅 없애서 가게만 줄줄이 세우고 부릉이(자동차)를 골목까지 빼곡히 덮은 모든 어른이 ‘아동기본법 위반’이지 않을까요? 시골 논둑 밭둑 풀밭에 풀죽임물(농약)을 잔뜩 뿌려대는 모든 어른이 ‘아동기본법 위반’일 테며, 총칼(전쟁무기)을 끝없이 만드는 남북녘 모든 우두머리하고 싸울아비(군인)가 ‘아동기본법 위반’입니다.


  허울은 허울입니다. 알맹이여야 알맹이입니다. 입으로만 읊는 겉발린 ‘사랑’은 ‘사랑으로 꾸미는 시늉질’일 뿐, ‘참다이 사랑’일 수 없어요. 사름벼리 씨가 쓴 노래꽃 〈곰과 사람〉은 《동시 먹는 달팽이》 여름호나 가을호에 싣는다고 합니다.


ㅅㄴㄹ


*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 짓는 일에 길동무 하기

http://blog.naver.com/hbooklove/220188525158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지기(최종규)가 쓴 책을 즐거이 장만해 주셔도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짓는 길을 아름답게 도울 수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