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책숲

책숲하루 2022.8.31. 목소리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국어사전 짓는 서재도서관)

: 우리말 배움터 + 책살림터 + 숲놀이터



제주마실을 다녀오는 길에 두 가지가 사라집니다. 하나는 ‘교보북로그’입니다. 교보문고는 ‘교보북로그’를 닫는다고 불쑥 알리기만 할 뿐, 사람들한테 미리 묻거나 이야기를 듣지 않았습니다. 그저 이들 멋대로입니다.


둘은 ‘네이버책 본문검색’입니다. 네이버는 ‘책’을 그동안 그저 ‘책’ 갈래로 두었는데, 이제 ‘쇼핑’에 묶습니다. ‘네이버책’이 아닌 ‘네이버쇼핑’에 곁다리로 끼는 책이 된 셈입니다.


우리가 스스로 누리집을 열지 않을 적에는 덩치 큰 이들 입맛에 휘둘리기 좋습니다. 스스로 조촐히 누리집을 꾸리는 분이 무척 많았으나 이제 거의 시들었습니다. 머잖아 ‘네이버카페·네이버블로그’도 닫을 수 있으리라 여기는데, ‘다음까페’는 훨씬 일찍 닫을 수 있으리라 봅니다.


이들은 늘 돈을 바라보는 터라, 돈에 휩쓸리는 사람들은 저절로 이리 덩실 저리 넘실 춤을 출밖에 없습니다. 한때 페이스북이 떴으나 지난날 프리챌처럼 곧 사라지겠다고 느껴요. 트위터도 싸이월드처럼 허울만 남을 만할 테고, 한창 뜨는 인스타그램이나 틱톡을 비롯한 곳도 ‘돈이 되느냐’에 따라 쉽게 움직입니다.


무엇보다도 이런 누리집은 온갖 사람들 다 다른 목소리를 담아내는 길하고 동떨어집니다. 언제나 뒤에서 건드리는 검은손이 있고, 이들 검은손은 ‘가짜뉴스’를 걸러낸다는 이름을 앞세워 ‘검열’을 버젓이 합니다.


우리가 스스로 눈감은 사람이라면 ‘민주주의’에 갇힙니다. ‘민주’란 한자말에서 ‘민(民)’이란 한자는 “눈이 찔려 앞을 볼 수 없는 종(노예)”을 가리킵니다. 한자 ‘민’은 함부로 쓸 말이 아닙니다. 우리가 스스로 종(노예)이라면 이런 말을 그냥 써도 될 테지만, 우리가 스스로 사람이라면 ‘민중·민초·인민·국민·시민·서민’ 같은 ‘민’을 넣은 모든 한자말이 힘꾼(권력자·지식인)이 사람들을 바보로 내몰려고 지어서 퍼뜨리는 이름인 줄 깨달을 노릇입니다.


저는 아직 네이버블로그·네이버카페·인스타그램·알라딘서재·예스24블로그 같은 데에 글을 남기지만, 이 모든 곳이 머잖아 다 사라질 수 있는 줄 느끼기에, 제가 가꾸는 글은 늘 제 품에 건사해 놓습니다. 나중에 짬을 제대로 내면 어떤 누리그물(포탈)에도 기대지 않고서 호젓하게 글마당을 꾸리려고 생각합니다.


다 다른 목소리가 다 다르게 어우러지도록 판을 깔지 않는 모든 글마당은 거짓잔치로 흐릅니다. 그대가 왼쪽이라면 오른쪽을 품을 노릇이요, 그대가 오른쪽이라면 왼쪽을 품을 노릇이며, 그대가 가운데라면 왼오른을 나란히 품을 노릇입니다. 사람은 왼발·오른발을 써서 걷습니다. 새는 왼날개·오른날개를 써서 납니다. 우리는 왼눈·오른눈을 나란히 뜨기에 제대로 보고, 왼귀·오른귀를 다 틔우기에 제대로 듣습니다. 한켠 목소리만 흐르는 곳은 이놈이건 저놈이건 모두 힘꾼이거나 힘꾼한테 빌붙는 허수아비나 꼭둑각시입니다.


ㅅㄴㄹ


*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 짓는 일에 길동무 하기

http://blog.naver.com/hbooklove/220188525158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지기(최종규)가 쓴 책을 즐거이 장만해 주셔도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짓는 길을 아름답게 도울 수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 요즈막에 자꾸 드는 생각 가운데 하나인데, ‘시골아이’뿐 아니라 ‘시골어른’도 ‘멸종위기종’이리라 느낀다. 자칫 ‘착한어른’과 ‘참한어른’도 멸종위기종이 되다가, 머잖아 ‘착한아이’와 ‘마음껏 뛰노는 아이’도 멸종위기종이 될 수 있겠다고 느끼기도 한다.


이 작은 ‘책집 고무도장’이 뭐라고, 이 고무도장이 찍힌 책을 목돈을 들여서 장만한다. 이제 사라진 마을책집도, 아직 있는 마을책집도, 그곳 스스로 걸어온 발자취가 무엇인지 잘 모르기 일쑤이다.


이 고무도장을 알아보면서 기꺼이 웃돈이나 목돈을 치르면서 품고서 스스로 발자취를 되새기고 아끼는 이들이 책마을 일꾼이나 지기로 있기를 바라는 마음일 뿐이다.



#숲노래 #책밭서점 #제주이야기 #제주책 #제주책집

#마을책집 #책숲마실

#우생당 #제주우생당 #수원평화당서점 #평화당서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제주책집으로 마실을 하면 으레 ‘제주 이야기’를 다룬 책을 만납니다. 나이든 분도 젊은 분도 제주라고 하는 고장과 마을과 살림을 찬찬히 읽고 느끼고 보면서 여러 가지로 담아낸다고 느끼는데, 어쩐지 갈수록 ‘오랜 삶길에서 새길을 엿보면서 오늘을 돌아보는 이야기’는 뜻밖에 줄어든다고 느낍니다.


그러나 우리나라 어느 고장보다도 제주는 제주스럽고 제주다우면서 오롯이 제주인 이야기꾸러미가 가장 많이 태어난다고 느껴요. 사람이 가장 많이 살기로는 서울이 으뜸이고 부산이 버금이지만, 서울스러운 서울 이야기꾸러미나 부산다운 부산 이야기꾸러미는 꽤 적습니다.


1960년에 태어난 《제주방언연구》를 장만하는 데에 들일 돈은 그리 안 세지만, 책을 늘 많이 장만하는 사람한테는 만만하지 않은 값입니다. 그러나 고작 100자락을 겨우 찍은, 제주말을 일찍부터 갈무리한, 어쩌면 석주명 님 다음으로 제주말을 들여다볼 수 있는 값진 이 책을 눈여겨보거나 돌아보려는 제주사람은 얼마나 있을까요?


곰곰이 보면, 《제주방언연구》를 쓴 분 이름뿐 아니라, ‘진성기’나 ‘현용준’이란 이름도 모르고, 이런 분들이 남긴 책을 한 자락조차 안 읽고서 제주 이야기를 글이나 그림이나 빛꽃(사진)으로 담는다고 하는 분도 참으로 많습니다.


ㅅㄴㄹ


#숲노래 #책밭서점 #제주이야기 #제주책 #제주책집

#마을책집 #책숲마실

#제주방언연구 #박용후 #진성기 #현용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책숲

책숲하루 2022.8.27. 가슴 염통 심장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국어사전 짓는 서재도서관)

: 우리말 배움터 + 책살림터 + 숲놀이터



  오늘 새벽 한 시에 어떤 노래꽃(동시)을 새로 쓰면 즐거울까 하고 생각하는데 ‘가슴’이나 ‘가슴아프다’를 써서 어린씨한테 들려주고 싶더군요. 붓을 쥐고 종이를 펴는데 문득 “그런데, 우리말 ‘가슴’은 어떤 말밑(어원)일까?” 하는 생각이 스치더군요. “가슴하고 비슷하지만 다른 ‘염통’은 말밑이 뭘까?“ 하고도 생각합니다.


  두 낱말 ‘가슴·염통’이 어떤 수수께끼를 품었는가 하고 궁금하다고 여긴 지는 꽤 됩니다. 얼추 마흔 해는 되었어요. 그동안 숱한 어른이나 이웃한테 넌지시 여쭙거나 물었는데, 여태 똑똑히 실마리를 풀 말을 들려준 분은 없습니다.


  새벽 두 시에 이르자 속(가슴)이 답답해서 살짝 자리에 누워 눈을 감습니다. 눈을 감고 고요히 꿈길에 접어들자 ‘가슴’은 ‘마음’을 빗댈 적에 쓰는 줄 느끼고, ‘염통’은 우리 몸속에서 핏줄기를 ‘여는’ 곳인 줄 퍼뜩 깨닫습니다. 새벽 세 시부터 글종이(수첩)에 먼저 손으로 말밑그림(어원계통도)을 그립니다. 말밑그림을 얼추 매듭지은 새벽 다섯 시부터 천천히 글을 씁니다. 아침 여덟 시 삼십 분에 이르러 드디어 글을 맺습니다.


  와, 마흔 해를 품고 살아온 두 낱말 밑뿌리를 문득 갈무리해서 맺었군요. 오늘 갈무리한 이 이야기 ‘가슴·염통’을 둘러싼 우리말 참뜻풀이 수다꽃은, 2022년 8월 27일 흙날(토요일), 제주 마을책집 〈노란우산〉에서 11시부터 13시 사이에 풀어내려고 합니다. ‘가슴·염통’을 둘러싼 이웃님은 나중에 ‘우리말 수다꽃’ 자리를 마련해서 불러 주셔요. 두 낱말을 풀어내어 이야기하자면 적어도 두 시간은 들 듯싶습니다.


ㅅㄴㄹ


*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 짓는 일에 길동무 하기

http://blog.naver.com/hbooklove/220188525158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지기(최종규)가 쓴 책을 즐거이 장만해 주셔도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짓는 길을 아름답게 도울 수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https://blog.naver.com/hbooklove/222855650903


http://serviceapi.nmv.naver.com/flash/convertIframeTag.nhn?vid=672A983A1A801D64D71D264FEEF201E046B6&outKey=V122505b67b85774c18135a798247bb9f75b0c8b02d7ebb13c8b65a798247bb9f75b0&width=544&height=306



숲노래 책숲

책숲하루 2022.8.21. 풀노래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국어사전 짓는 서재도서관)

 : 우리말 배움터 + 책살림터 + 숲놀이터



  해가 지고 밤이 가까운 저녁, 우리 집 마당하고 뒤꼍은 풀노래잔치입니다. 우리 보금숲(보금자리숲)이 풀노래로 잔치를 이루기를 바라면서 신나게 풀밭을 가꾸었어요. 텃밭이 아닌 풀밭으로 가꾸었습니다. 두 아이를 자전거에 태우며 들숲바다를 달릴 적에 만난 들꽃씨를 슬쩍 훑어서 뿌리기도 했고, 예전부터 우리 집에서 자라던 들풀이 신나게 자라기를 바라기도 했습니다. 모시만 있기보다는 차조기도 있기를 바라서 차조기씨도 슬쩍 뿌렸더니, 둘이 나란히 꽃을 피우는 8월 끝자락입니다. 엉겅퀴는 아직 올라오지 않으니, 이다음에 뒷골에 올라 엉겅퀴가 씨앗을 맺을 즈음 훑어서 슬쩍 뿌리자고 생각합니다.


  우리는 손으로 심고 길러서 먹는 남새로도 몸을 살찌우지만, 들풀 스스로 보금자리 둘레에서 자라는 숨결을 헤아리면서 조금씩 훑거나 그저 냄새를 맡기만 해도 몸을 살지울 만합니다. 굳이 입으로 집어넣어 주어야 ‘풀밥살이(채식생활·비건라이프)’가 되지 않습니다. 입으로 먹기만 해야 몸이 낫는다면, 구태여 숲뜰(수목원)을 걸을 까닭이 없어요. 풀꽃나무는 우리 곁에 있기만 해도 사람한테 푸른바람을 일으켜 이바지하게 마련입니다.


  부엌에서 큰아이하고 함께 그림꽃책(만화책)을 읽는데 여치가 우렁차게 노래를 하는군요. 여치 노랫가락을 별빛하고 담아 볼까 하고 마당에 조용히 내려서니, 우리 집 여치가 그만 노래를 뚝 끊습니다. 쳇 하면서 부엌으로 돌아가니 곧장 다시 노래를 들려주고요. 밤에 큰아이하고 마을을 한 바퀴 걸었는데, 어느새 이 마을에서는 우리 집 빼고는 풀노래가 죄 죽어버린 듯합니다. 풀노래가 없는 시골이라면 쓰러져가는 터전이지 않을까요? 마을논에 몇몇 풀벌레가 겨우 살아남아 나즈막히 노래를 하지만, 올해에는 아직 반딧불이를 못 봅니다.


ㅅㄴㄹ


*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 짓는 일에 길동무 하기

http://blog.naver.com/hbooklove/220188525158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지기(최종규)가 쓴 책을 즐거이 장만해 주셔도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짓는 길을 아름답게 도울 수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