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책숲

책숲하루 2023.4.5. 앓다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국어사전 짓는 서재도서관)

: 우리말 배움터 + 책살림터 + 숲놀이터



  엊그제 ‘자리’ 말밑찾기(어원분석)를 마무리지었습니다. 이제 《새로 쓰는 삶말 꾸러미 사전》을 펴냄터로 보낼 수 있습니다. 두 가지를 보태면 됩니다. 하나는 ㄱㄴㄷ로 벌인 찾아보기요, 둘은 ‘곁책 꾸러미(참고도서 목록)’입니다. 어제그제에 오늘도 우리 책숲에서 곁책 꾸러미를 모으는데, 적잖이 품이 듭니다. 그동안 사서 읽기만 했을 뿐, 느낌글을 쓴다든지 벼리(목록)를 갈무리해 놓지 않기 일쑤였던 터라, 책을 하나하나 끄집어서 책자취(간기)를 옮겨적습니다. 이럭저럭 1400자락을 옮겨적었으나 갈 길이 멉니다.


  어제 하루는 몸앓이를 실컷 했습니다. 아침부터 갑자기 어지럽더니 몸살이 올라왔고, 몸살을 부여안고서 읍내 우체국을 다녀왔습니다. 몸살인 채 자전거를 달리기는 어렵거든요. 시골버스에서 노래꽃(동시)을 둘 쓰고, 우체국 앞에서 하나 씁니다. 대구에서 마을책집을 꾸리는 이웃님이 아기를 낳아 돌보십니다. 그분 집안 세 사람한테 하나씩 건네려는 노래꽃을 썼어요. 몸살을 씻어내고서 노래꽃을 쓰고 부쳐도 되지만, 어제는 굳이 ‘앓는 몸인 채 마음을 가다듬어 글결을 살리자’ 싶었어요. 몸살일 적에는 으레 드러누워 끙끙거리면 하루이틀쯤 땀을 쪽 빼고서 말짱하게 일어나는데, 몸살인 날은 셈틀을 켜서 글쓰기는 못 하지만, 붓을 쥐어 종이에 쓸 수 있더군요.


  아픈 몸으로 글을 쓴 숱한 이웃이며 어른을 헤아려 보았습니다. 저는 비록 하루만 앓으면서 글을 쓸 뿐이지만, 이 하루를 고이 품자고 생각했습니다. 모든 뼈마디와 살점이 녹아들고 타들듯 끓어오르는 몸을 낱낱이 느껴 보는데, 집으로 돌아와서 자리에 누워 두나절 즈음(5∼6시간) 앓다가 “아, 애벌레가 나비로 몸을 바꾸려고 스스로 고치에 틀어앉아 녹고서 새로 태어날 적에 이렇겠구나!” 하고 깨달았어요.


  어릴 적부터 자주 앓고 툭하면 앓고 심심하면 앓는 몸을 건사하며 살아옵니다. 으레 앓으면서 살아왔기에 ‘앓음’이 나쁜 일이 아니요, 그렇다고 좋은 일이 아니지만, 무슨 뜻일까 하고 내내 곱씹었습니다. 자주 앓거나 늘 앓는 사람이란, 언제나 ‘허물벗기·날개돋이’를 하는 나날이로구나 싶습니다. 앓지 않아 본 사람은 살림을 꾸리기 어렵고, 앓지 않은 사람은 글을 쓰기 어렵구나 싶어요. 앓아 보기에 살림을 여미는 손길을 스스로 배우고, 앓고 또 앓기에 글빛이란 무엇인가를 스스로 익힐 만합니다.


  작고 작지만 뜻깊게 어린이책과 삶책을 꾸준히 선보이는 ‘지양사’에서 《빙하기》라는 그림책을 곧 낸다고 합니다. 책도르리(북펀딩)를 하는군요. 기꺼이 한 손을 거듭니다. 저는 일곱째 도르리벗이 됩니다. 새로 태어날 책도, 새로 책을 여미는 펴냄터에서 그동안 선보인 책도, 새록새록 손길과 눈길을 누릴 수 있기를 바라는 마음입니다.


https://tumblbug.com/jiyangsa_ice_age_book


  작은 펴냄터에서는 ‘서평단 5∼10사람’쯤 모으고, 이럭저럭 큰 펴냄터에서는 ‘서평단 20∼30사람’쯤 모으고, 큰 펴냄터에서는 ‘서평단 100∼500사람’쯤 모읍니다. 서평단이란 이름으로 책을 알리는 일이 나쁠 까닭은 없습니다. 그러나 곰곰이 돌아볼 노릇 아닐까요? 큰 펴냄터에서 ‘서평단 100∼500사람’쯤 거느리면서 알리는 책을 어떻게 바라보아야 할까요? 더구나 큰 펴냄터는 서평단이 아니어도 ‘큰책집 일꾼’하고 ‘마을책집 지기’한테 책을 보내 줍니다. 그들은 그만큼 책을 돌리거나 뿌려도 돈이 많고 돈을 잘 벌기 때문입니다. 큰 펴냄터에서 내는 책이라고 해서 나쁠 책은 없을 터이나, 이렇게 돌리거나 뿌리는 책을 구태여 읽어야 할는지 생각하는 마음인 이웃님이 깨어나기를 바랍니다.


  책을 책으로 바라보면서 나누려는 마음이 있다면, ‘책읽기 운동’을 안 일으켜도 됩니다. 책장사는 하나도 안 나쁘되, 책장사로 기울어버린 여러 큰 펴냄터 책만 읽고 나누는 책모임을 자꾸 펴거나 연다면, 누구보다 우리 스스로 생각씨앗이 사그라들고 마음밭이 쪼그라들지 않을까요? 서평단 없이 책을 알리고, 언론홍보 없이 책을 나누고, 덤(굿즈) 없이 책을 팔고, 이름값 없이 쓰고 엮고 펴는 길에 서는 책이 무척 많습니다. 미처 제대로 안 알려진 책만 해도 어마어마하게 많습니다.


  어떤 책을 읽으면서 어떤 마음을 가꾸어 이 별과 보금자리와 마을과 나라를 어떻게 바꾸려는가를 헤아려 봐요. 작은 책 하나를 고르는 손길로도 이 별과 나라를 바꿀 수 있습니다.



*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 짓는 일에 길동무 하기

http://blog.naver.com/hbooklove/220188525158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지기(최종규)가 쓴 책을 즐거이 장만해 주셔도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짓는 길을 아름답게 도울 수 있습니다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책숲

책숲하루 2023.4.3. 젖다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국어사전 짓는 서재도서관)

: 우리말 배움터 + 책살림터 + 숲놀이터



  우리말 ‘자리’를 언제 곰곰이 생각했는가 하고 되새기면, ‘곳·데·자리·터’가 비슷하면서 다른 낱말이라고 느끼던 무렵입니다. 처음은 아마 열 살 무렵이고, 열여덟 살 즈음 얼핏 다시 생각하다가 잊은 뒤, 스물다섯 살에 새롭게 짚어 보았고, 서른아홉 살에 가만히 가누다가 마흔여덟 살에 이르러 갈무리를 마칩니다. ‘자리’를 알려면 ‘자’를 알아야 했고, ‘자다’를 알아야 했으며, ‘잠그다·잠기다’를 알아야 했는데, 돌고돌아 ‘자주·자꾸’에 ‘잦다·젖다’를 지나 ‘잣·젓’까지 알아야 매듭을 짓는구나 하고 느낍니다. 아기를 살리는 밥은 ‘젖’이라는 ‘물’입니다. 따로 ‘자리’랑 ‘젖’을 놓고 보면 둘은 그저 동떨어질 뿐이지만, 말밑을 하나씩 짚으면 둘은 만날 수밖에 없습니다. ‘사람’은 ‘살’을 입고서 ‘살아’가는데, ‘사랑’이 아니고서는 아이를 못 낳습니다. 참 수수께끼이지 않을까요? 그러나 사랑은 ‘사르는’ 불꽃이지 않아요. ‘살리는’ 길일 적에 사랑이요 사람입니다. 사람이 사람다우려면 모든 말하고 마음하고 몸짓은 ‘산들바람’처럼 ‘산뜻’할 노릇이면서 ‘생생·싱싱·시원’할 노릇인데, ‘시원’이나 ‘시골’은 ‘심다·심·힘’으로 맞물립니다. ‘심다·심’은 ‘기르다·기운·기름’하고 비슷하면서 다르지요. ‘기르다’는 ‘자라다·잠·잠기다·자리·젖’하고 비슷한 결이 있으나 다릅니다. 하나를 보아야 하나를 알 수 있되, 하나만 보아서는 하나조차 알 길이 없습니다. 그래서 모든 말은 다 다르면서 하나이고, 수수께끼이면서 실마리이자, 노래이면서 놀이입니다. 이 얼거리를 알아차릴 수 있다면, 순이돌이(남녀)는 겉몸이 다른 하나인 숨빛인 사랑인 줄 깨달을 테고, 모든 사람은 저마다 다르게 새로운 하늘빛(하느님)인 줄 눈뜰 만합니다. 종교·교육은 사람들이 저마다 스스로 눈뜨는 길을 가로막는 굴레입니다. 굴레는 바퀴 사이에 이어서 굴리면 부드러이 굴러가는 바탕이지만, 아무렇게나 끼우면 못 굴러가게 가로막는 틀입니다. 틀은, 사랑으로 세우면 새롭게 틔우는 튼튼한 자리이되, 억지로 붙잡으면 꽉 막힌 고약한 고린내일 뿐입니다. 좋음하고 나쁨은 있을 수 없습니다. 좋음하고 나쁨을 가르려 하면서 “저놈은 나빠. 이쪽이 좋아.”하고 갈라치기를 하는 모든 짓은 우리가 저마다 스스로 사랑스러운 사람인 줄 못 보도록 억누르는 고약한 우두머리 뒷짓입니다. 왜 “쉬운 말”이 모든 사람을 깨울까요? 아이들은 어버이한테서 “쉬운 말”을 듣고 자라면서 눈을 뜨고 마음을 가꾸거든요. 아이들한테 “어려운 말”을 집어넣어 자꾸자꾸 졸업장을 들이밀려는 이들은 ‘어른’이 아닌 ‘늙은 권력자’입니다. ‘쉽다 = 수수하다 = 숲’입니다. ‘쉬운말’은 ‘숲말’이고, ‘숲말’은 ‘사람말·사랑말’입니다. 쉬운 말을 안 쓰는 이들은 스스로 사람답지 않게 갇히면서, 이웃도 사람빛을 잃고 나란히 갇힌 종(노예)으로 나뒹굴기를 바라는 괘씸한 짓일 뿐입니다. 다만, 스스로 종인 줄 잊은 채 이웃을 종살이에 가두는 짓을 하더라도 나쁜놈은 아닙니다. ‘나쁜놈’이 아닌 ‘철이 들지 않아 눈을 뜨지 않은 몸’일 뿐입니다.


ㅅㄴㄹ


*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 짓는 일에 길동무 하기

http://blog.naver.com/hbooklove/220188525158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지기(최종규)가 쓴 책을 즐거이 장만해 주셔도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짓는 길을 아름답게 도울 수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책숲

책숲하루 2023.3.30. 시골버스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국어사전 짓는 서재도서관)

: 우리말 배움터 + 책살림터 + 숲놀이터



  아이들이 무럭무럭 자라 주기에 곧잘 짐꾼 노릇을 합니다. 저잣마실을 할 적에 짐을 나누어 들어요. 두 아이가 어릴 적에는 아이살림까지 짊어진 채 저잣마실을 다녔으니 요새는 무척 홀가분합니다. 이러구러 오늘 낮에 15시 시골버스를 타고서 저잣마실을 다녀오려 했는데, 오늘 따라 시골버스가 ‘일찍’ 지나갑니다. 여느 때에는 12∼18분쯤 가볍게 늦는데, 고작 7분 늦게 들어오는 바람에 눈앞에서 놓쳐요. 그러려니 하다가, 마당에 누워서 책을 읽다가, 밀린 일을 좀 할까 싶어 ‘격세지감·적반하장·적대적·간헐천·업계·루저’ 같은 말씨를 더 손질하다가 ‘백래시’라는 영어를 굳이 왜 쓰는가 하고 돌아보다가 ‘백허그’라는 뜬금없는 말씨를 우리말로 풀어내고 뜻풀이를 붙이다가, ‘건전’이란 한자말을 차곡차곡 가다듬다가 “어라, 17시 버스를 타려 했는데 그만 19시를 지나 20시에 가깝네.” 하고 깨닫습니다. 뭐, 이곳은 시골이니 이튿날 저잣마실을 다녀오면 될 테지요. 벌써 해는 지고 별이 돋으려고 합니다.


ㅅㄴㄹ


*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 짓는 일에 길동무 하기

http://blog.naver.com/hbooklove/220188525158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지기(최종규)가 쓴 책을 즐거이 장만해 주셔도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짓는 길을 아름답게 도울 수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책숲

책숲하루 2023.3.21. 내 자리는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국어사전 짓는 서재도서관)

: 우리말 배움터 + 책살림터 + 숲놀이터



  하나를 차분히 매듭짓고서 이다음에 더 꾸리자고 여기면 될 텐데, ‘자리’라는 낱말 하나랑 얽힌 수수께끼를 매듭짓는 일을 한 해 넘게 가만히 지켜봅니다. 그래도 어제까지 7/10은 매듭을 지었고, 3/10만 채우면 됩니다. ‘자리’라는 낱말하고 얽힌 여러 우리말을 짚고 헤아리다가, 어제는 ‘나락·별별·천장’ 같은 한자말을 더 손보는 길을 갈무리했고, ‘노동운동’ 같은 일본말씨를 어떻게 어린이한테 쉽게 들려줄 만한가 하고 생각해 보았습니다. 몇몇 어른한테 익숙하더라도 고치거나 풀어낼 말씨는 거침없이 손질할 노릇입니다. ‘운동·시민단체’ 같은 일본말씨가 안 나쁘지만, 이제는 이런 일본 한자말이 아닌 ‘어린이랑 어깨동무하는 쉬운 우리말’로 이 삶과 살림과 사랑을 그려서 나눌 줄 알아야지 싶어요. 그래서 ‘인문·인문책·인문학’ 같은 일본말씨도 되도록 줄이거나 걷어내면서 어린이 곁에서 새로 나눌 만한 ‘삶·살림’을 이야기할 노릇이라고 봅니다.


  ‘밸런타인데이’는 일본에서 퍼뜨린 장삿길입니다. 이런 뿌리를 알거나 짚는 사람은 몇이나 될까요? 뿌리를 알거나 짚은 뒤에는 이름을 곰곰이 생각해서 고쳐쓰고, 그날도 다시금 바라보자고 여기는 사람은 얼마나 있을까요?


  이제 몇 가지를 더 추스르고서 셈틀을 끌 생각입니다. 오늘 저녁에는 ‘자위·노른자위·무자위·잣다’에 ‘자국·자취’에 ‘잘·잘못·절·절하다’를 거쳐 ‘장사·장난·재미’를 지나 ‘잣나무·젖·잦다·젖다’로 마무리를 짓자고, 이제는 다음 낱말로 건너가자고 생각합니다. 열두띠하고 얽힌 열두 짐승을 가리키는 이름 이야기는, 그야말로 다음 꾸러미(사전)에서 짚고 풀어내어 싣자고 생각합니다.


ㅅㄴㄹ


*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 짓는 일에 길동무 하기

http://blog.naver.com/hbooklove/220188525158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지기(최종규)가 쓴 책을 즐거이 장만해 주셔도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짓는 길을 아름답게 도울 수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책두레 #북펀드
#시금치출판사 #도도가 있었다


54째 두레벗이 된다.
아직 마감이 제법 있으니
책두레를 하는 동무님을
100을 만날 수 있기를 빌어 본다.
#숲노래 #숲노래책읽기

https://www.aladin.co.kr/m/bookfund/view.aspx?pid=1852

이곳으로 가면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