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과 사람을 아끼고 (도서관일기 2013.12.1.)
 ― 전라남도 고흥군 도화면 동백마을, ‘서재도서관 함께살기’

 


  장흥에서 손님이 찾아온다. 장흥을 발판으로 사진을 찍고, 탐진강을 둘러싼 마음을 사진으로 담는 마동욱 님과 이녁 선배가 함께 찾아온다. 곰곰이 헤아리면, 장흥에는 마을빛 곱게 담으려고 힘쓰는 분들이 퍽 많다. 글로든 그림으로든 사진으로든 퍽 여러 분들이 힘을 쓴다. 고흥에도 고흥빛을 곱게 담으려고 힘쓰는 분들이 있다. 그렇지만, 고흥빛은 장흥빛처럼 넓어지거나 깊어진다는 느낌이 좀처럼 들지 않는다. 고흥군청에서 돈을 들여 이것저것 짓거나 올리거나 만들거나 세우기는 하지만, 마을마다 살가이 뿌리내리는 흐름으로 가는지 아리송하기 일쑤이다. 토목건설은 토목이거나 건설이지, 문화가 아니다. 관광시설은 관광이거나 시설이지, 삶이 아니다. 친환경농업은 농약을 덜 쓴다거나 덜 나쁜 농약을 쓴다는 ‘농사 산업’이지, 흙을 살리거나 풀을 아끼는 흙짓기는 아니다.


  시골 아이를 도시로 보내는 ‘교육 사업’은 있어도, 시골 아이가 고흥이라는 시골을 아끼고 사랑하도록 북돋우는 ‘배움넋’은 도무지 찾아보지 못한다. 그러나, 시골 아닌 도시에서도 아이들한테 회사원이나 연예인이나 지식인이 되는 교육 사업만 있을 뿐, 아이마다 다 다른 삶빛을 찾도록 북돋우는 배움넋은 쉬 뿌리내리지 못한다. 어디에나 도시바라기와 대학바라기 입시교육만 있다.


  겨울로 접어들었으니 우리 서재도서관에서 책을 둘러보자면 손이 시릴 수 있다. 흔한 난로조차 하나 없으니, 추위를 잘 타는 분한테는 힘들리라 느낀다.


  나는 추운 곳에서건 더운 곳에서건, 읽을 책이 있으면 그냥 읽는다. 한참 춥더라도 마음을 녹이는 책이 있으면 손과 볼과 몸이 얼면서도 차근차근 읽는다. 책을 읽으며 밑줄을 그으려다가 볼펜이 얼어서 안 나오면 연필을 쥔다. 연필은 아무리 추운 곳에서도 서걱서걱 쓸 수 있다. 다만, 내가 추운 곳에서도 스스럼없이 책을 읽는대서 다른 사람한테 추위를 견디며 책을 읽으라고 할 수는 없다. 스스로 우러나오는 마음으로 읽는다면 고맙다.


  어느 책이든 읽으려는 사람이 스스로 읽는다. 더워서 안 읽는 사람은 추워서 안 읽는다. 바빠서 안 읽는 사람은 나중에 느긋하거나 한갓지더라도 안 읽는다. 힘들거나 고단해서 안 읽는 사람은 넉넉히 쉬거나 달콤히 낮잠을 자고 난 뒤에도 안 읽는다.


  책이 없기에 책을 안 읽지 않는다. 종이책으로도 책을 읽지만, 나무 한 그루로도 책을 읽는다. 소설책으로도 책을 읽으며, 씨앗 한 톨이 뿌리내려 자라는 모습으로도 책을 읽는다. 베스트셀러를 읽을 수도 있지만, 심지 않아도 스스로 무럭무럭 돋는 숱한 들풀을 읽을 수도 있다. 무엇을 읽든 스스로 읽는다. 언제 읽든 스스로 챙겨 읽는다. 어느 곳 어떤 날씨라 하더라도 늘 스스로 읽는다.


  삶을 아끼는 사람이 삶을 사랑한다고 본다. 삶을 사랑하는 사람이 이웃을 아낀다고 본다. 이웃을 아끼는 사람이 서로 도란도란 이야기꽃을 피운다고 본다. 도란도란 이야기꽃 피우는 사람이 책마다 다 다르게 서린 빛을 헤아린다고 본다. 책마다 다 다르게 서린 빛을 헤아리는 사람이 살림을 알뜰살뜰 가꾼다고 본다. 살림을 알뜰살뜰 가꾸는 사람이 ‘평등’이라는 이름을 모르더라도 즐겁게 아이들을 돌보고 살아간다고 본다. 아이들을 돌보고 즐겁게 살아가는 사람이 글을 정갈하게 쓸 테고, 글을 정갈하게 쓰면서 책 또한 반가이 마주할 수 있을 테지.


  아름다운 책 하나를 믿는다. 겉보기로 그럴싸하게 꾸며서 만들었기에 아름다운 책이 되지는 않는다. 사랑을 담고 꿈을 노래하는 책일 때에 아름답다. 아름다운 이웃들을 믿는다. 이름이 높거나 돈이 많거나 힘이 세다고 해서 아름다운 사람이 되지는 않는다. 사랑을 나누고 꿈을 이루는 길로 씩씩하게 걸어갈 적에 아름답다.


  아름답다고 여기는 책을 서재도서관에 갖춘다. 아름다운 책손은 여름에도 겨울에도 한결같이 빙그레 웃으면서 고흥 시골자락으로 선선히 찾아오리라 믿고 기다린다. (ㅎㄲㅅㄱ)

 


* 사진책도서관(서재도서관)을 씩씩하게 잇도록 사랑스러운 손길 보태 주셔요 *
* 도서관 지킴이 되기 : 우체국 012625-02-025891 최종규 *
* 도서관 지킴이 되어 주는 분들은 쪽글로 주소를 알려주셔요 (010.5341.7125.) *
* 도서관 나들이 오시려면 먼저 전화하고 찾아와 주셔요 *

 

 

 

 

 

 


댓글(2)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appletreeje 2013-12-23 11:2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책방 앞을 걷다>가 유독 더 예쁘고 좋아서
한꼭지씩 읽을 때마다, 애기 궁둥이같이 보드라운 책을
쓰다듬곤 합니다~ 늘 감사드려요~*^^*

숲노래 2013-12-24 19:55   좋아요 0 | URL
아아, 고맙습니다~ ^^
 


 찬바람 맞자 (도서관일기 2013.12.10.)
 ― 전라남도 고흥군 도화면 동백마을, ‘서재도서관 함께살기’

 


  겨울눈 아닌 겨울비 내리는 고흥집에서 아이들이 춥다고 집안에서만 꽁꽁거리며 논다. ‘벼리야, 보라야, 우리 고흥은 한국에서 아주 따스한 곳이야. 한겨울에 0도 밑으로 거의 안 떨어지는 날씨잖아. 다른 데에서 눈이 와도 이곳은 싸라기 한 번 휘 불다가 그치곤 하잖아. 바다와 가깝기에 바닷바람은 제법 세지만, 시골아이답게 시골바람 신나게 쐬며 놀아야지.’ 하고 이야기한다. 자, 겉옷 단단히 입고 바깥바람 쐬러 나가자, 하고는 서재도서관으로 간다. 도서관 가는 길에 아이들은 마을빨래터 언저리에서 논다. 마을빨래터를 며칠 사이에 누군가 치웠다. 우리가 치우려고 애를 쓰지만, 때를 놓치면 마을 다른 할매가 치우시곤 한다.


  겨울바람 차다 하는 아이들더러 아직 한겨울조차 아니고, 이런 바람은 시원하다 시원하다 말해야 시원하다고 이야기를 한다. 옷깃을 여미어 주고 모자를 씌워 준다. 씩씩하게 천천히 걷는다. 도서관 들어가는 길목은 풀밭길. 즐겁고 고맙게 풀과 흙을 밟는다. 찬비 내려 풀잎이 조금 미끄럽지만 아이들은 잘 걷는다. 도서관 문을 딴다. 집에서 다 읽은 책을 도서관으로 옮겨 내려놓는다. 두 아이는 도서관에 들어와 골마루를 달리면서 몸을 달군다.


  며칠 앞서 서울로 볼일 보러 다녀오는 길에 노순택 님 사진책 《망각기계》(청어람미디어,2012)와 박노해 님 《나 거기에 그들처럼》(느린걸음,2010)을 비롯해 사진책을 한 짐 장만했다. 오늘은 이 두 권을 도서관으로 옮기면서 문득 생각이 나서 박용수 님 사진책 《민중의 길》(분도출판사,1989)을 오랜만에 꺼내어 넘긴다. 한동안 이 사진책을 들추지 않은 탓인지 종이가 잘 안 떨어진다. 도서관에 둔 모든 책들을 한 해에 한두 차례쯤 모두 주루룩 훑어야겠다고 느낀다. 몇 해쯤 넘기지 않고 두기만 한 책은 종이가 달라붙기도 하는구나. 곧 《민중의 길》을 이야기하는 느낌글 하나 써야겠다고 생각한다.


  미국에서는 1946년에 처음 나왔고, 한국에서는 1982년에 처음 옮겨 나온 《나는 곰이란 말이에요》라는 그림책도 찾아본다. 이 그림책도 문득 떠올랐다. 새로운 판으로 두 군데 출판사에서 다시 나오기도 했는데, 오래된 이야기이지만 참 꾸준히 찬찬히 사랑받는다. 요즈음 경상도 밀양에서 벌어지는 일을 떠올리면, 꼭 이 작은 그림책 《나는 곰이란 말이에요》가 눈에 겹친다.


  그림책 《나는 곰이란 말이에요》는 겨울잠을 자고 일어난 곰이 깜짝 놀라는 이야기를 보여주는데, 곰이 살던 숲을 사람들이 어마어마하게 큰 공장으로 바꾸어 놓았다. 사람들은 곰한테 아무 말도 없이 숲을 밀어 없앴다. 아마, 사람들은 ‘숲 소유권’은 ‘사람한테 있다’고 여겼을 테지. 어느 누가 곰한테 ‘숲이 네 보금자리이니?’ 하고 묻겠는가. 범한테도 이리한테도 늑대한테도 토끼한테도, 아무도 ‘네 살 곳을 빼앗아 미안하구나.’ 하고 묻지 않는다. 고속도로를 내거나 발전소를 지을 적에 숲한테 묻는 일이 없다. 전쟁무기 만들어 탱크로 시골마을 가로지르고 폭탄과 총알을 숲에 쏘며 수류탄을 깊은 골짜기에 던지면서 어떤 숲짐승이 죽거나 풀하고 나무가 다치는가를 헤아리지 않는다.


  숲이 없으면 숨이 막혀 죽을 사람들이, 논밭이 없으면 굶어서 죽을 사람들이, 냇물이 더러워지면 목이 말라 죽을 사람들이, 정작 숲이나 들이나 흙이나 풀한테 아무것도 묻지 않는다. 가만히 따지면, 사람들은 이웃에 있는 사람한테도 묻지 않는다. 도시에서 재개발을 하거나 자동차로 시끄럽게 내달릴 적에 묻지 않는다. 도시 골목길과 시골 고샅길에서도 자동차는 빵빵거릴 뿐, 사람을 기다리지 않는다. 이런 땅 한국에 어떤 문화가 자랄 수 있을까. 이런 나라 한국에서 어떤 책이 제대로 읽힐 수 있을까. (ㅎㄲㅅㄱ)


* 사진책도서관(서재도서관)을 씩씩하게 잇도록 사랑스러운 손길 보태 주셔요 *
* 도서관 지킴이 되기 : 우체국 012625-02-025891 최종규 *
* 도서관 지킴이 되어 주는 분들은 쪽글로 주소를 알려주셔요 (010.5341.7125.) *
* 도서관 나들이 오시려면 먼저 전화하고 찾아와 주셔요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붉고 누런 나무들 (도서관일기 2013.11.26.)
 ― 전라남도 고흥군 도화면 동백마을, ‘서재도서관 함께살기’

 


  서재도서관과 살림집을 시골로 옮기면서 무엇보다도 나무와 숲을 눈여겨보려 했다. 자동차와 경운기 소리 아닌 멧새와 풀벌레 노래하는 소리를 아이들과 함께 듣고, 우리가 깃드는 시골마을 이웃들도 숲과 나무가 들려주는 푸른노래 함께 들을 수 있기를 바랐다. 텔레비전을 보는 사람은 텔레비전에서 흐르는 소리를 이야기하고, 숲과 들에서 일하며 숲노래와 들노래 누리는 사람은 숲과 들을 이야기한다. 도시에서 태어나고 자라거나 도시로 와서 살아가는 사람들은 숲과 들하고는 등진 삶이니 숲과 들을 말하지 못하거나 않는다지만, 시골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은 숲과 들을 노래하거나 이야기할 수 있기를 바랐다.


  오늘 이 나라 시골마을 이웃들은 숲노래나 들노래를 얼마나 즐길 만할까. 텔레비전이 아닌 새와 풀벌레 노래를, 자동차나 경운기 아닌 나무와 풀 노래를, 보드라우면서 푸르고 싱그러운 노래를 얼마나 아끼거나 사랑한다 할 만할까.


  우리 도서관으로 삼는 옛 흥양초등학교는 1998년부터 문을 닫았다. 이때부터 오늘에 이르기까지 이 학교 나무는 나무결 그대로 자란다. 이 나무를 가지치기 하는 사람도 가지치기 할 만한 사람도 없다. 나무는 나무마음 그대로 즐겁고 씩씩하게 하늘로 뻗는다. 우람하게 크는 후박나무며 소나무며 단풍나무며 얼마나 아름다운지 모른다. 사람 손길을 타지 않을 때에 얼마나 고운 빛이 흐르는가를 새삼스레 느낀다.


  사람들은 무엇을 하는가. 시골을 떠나거나 시골을 잊는 사람들은 무엇을 하는가. 시골에서나 도시에서나 사람들은 나무를 어느 만큼 알거나 사귀거나 어루만질까. 나무가 없으면 숨을 쉴 수 없고, 나무가 없으면 책을 쓰거나 읽을 수 없으며, 나무가 없으면 집을 짓기는커녕 그야말로 무엇 하나 할 수 없다. 나무가 자라지 않는 땅은 사막이 된다. 나무가 없는 곳에서는 냇물이 흐를 수 없고, 싱그러운 숨결이 자랄 수 없다.


  나무가 없는 메마른 땅에 나무를 심겠다고 소매 걷어붙이는 씩씩한 일꾼들 있다. 그런데, 아프리카이든 중동이든 어디에 가서 나무심기를 하는 한편, 이 나라 이 땅 도시 한복판에 나무를 심어야 하리라 느낀다. 이 나라 시골마을 들길에서 모조리 사라진 나무를 다시 살리도록 한 그루 두 그루 찬찬히 심어야 한다고 느낀다. 집집마다 잘 자라던 마당나무와 뜰나무를 다시 살려서 돌보고 아껴야 한다고 느낀다. 예부터 어느 마을 어느 집이건 마당에 나무를 심었는데, 왜 오늘날 어느 시골 어느 집이건 마당에서 나무를 찾아보기 어려울까. 왜 마당에서 나무를 베어서 없앨까. 왜 마당을 온통 시멘트로 덮기만 할까. 왜 고샅길 나무를 싹둑 베어 전봇대만 척척 박아야 할까.


  시골집 마당에서 나무가 사라지고 시골마을 고샅에서 나무가 없어지면서, 들과 숲 한복판에 우람한 송전탑이 선다. 들 한복판에 송전탑을 박는 전력회사 일꾼이나 관공서 일꾼 마음속에 무엇이 있는지 참 알쏭달쏭한데, 모두들 이렇게 제 넋을 잃거나 잊으니, 도시에서는 더더욱 나무가 사라지고, 아예 생각조차 못하리라 느낀다. 도시에서도 집집마다 ‘집나무’를 심어서 사랑할 수 있어야지. 어른과 아이 모두 ‘집나무’를 사랑하고 아끼면서 푸른 숨결 받아먹을 수 있어야지. 가을에 붉고 누렇게 빛나는 나무를 두 팔로 안으면서 가을빛 흐뭇하게 나눌 수 있어야지.


  책이란 나무이다. 책은 나무에서 태어난다. 책을 건사하는 도서관이란 나무를 아끼고 사랑하는 쉼터이다. 도서관에는 책을 알뜰히 갖추어야 제몫을 한다지만, 종이책만 갖추어서는 도서관이 되지 못한다고 느낀다. 책을 갖추어 꽂는 시렁과 방을 차곡차곡 두면서, 책을 둔 건물 둘레는 온통 나무가 우거진 숲이 될 때에 비로소 참다운 도서관이 되리라 느낀다. 책이 되어 준 나무를 느끼도록 하고, 책으로 다시 태어난 나무를 사랑하도록 하며, 책내음으로 몽실몽실 고이 흐르는 나뭇결과 나무노래를 살가이 누릴 수 있는 도서관. 가을이 저물며 겨울로 넘어가는 시골빛이 아름답다. (ㅎㄲㅅㄱ)

 


* 사진책도서관(서재도서관)을 씩씩하게 잇도록 사랑스러운 손길 보태 주셔요 *
* 도서관 지킴이 되기 : 우체국 012625-02-025891 최종규 *
* 도서관 지킴이 되어 주는 분들은 쪽글로 주소를 알려주셔요 (011.341.7125.) *
* 도서관 나들이 오시려면 먼저 전화하고 찾아와 주셔요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두근두근 새 소식지 (도서관일기 2013.11.30.)
 ― 전라남도 고흥군 도화면 동백마을, ‘서재도서관 함께살기’

 


  손글씨로 엮는 소식지는 손으로 차근차근 쓴 다음 읍내 문방구로 가서 복사를 해야 한다. 손글씨로 차근차근 소식지 쓰는 일이 즐겁기는 한데, 읍내까지 다녀와야 하는 일이 번거롭다. 버스삯이 3400원 들고 시간을 꽤 들여야 한다. 읍내에 장보러 다녀오는 길에 복사를 하면 되지만, 아무래도 이렇게 소식지를 만들기보다 다른 길을 찾아야겠다고 느낀다. 인천에서 형이 새 셈틀 마련해 주었다. 새 셈틀 마련하는 김에 한글문서 풀그림을 새로 장만한다. 한글2014가 나왔다 해서 이 풀그림을 장만한다. 그동안 쓰던 한글97보다 한결 나으며, 사진을 넣어 문서를 만들기 아주 쉽다. 예전 풀그림은 사진 한 장 넣어 자리잡으려면 아주 애먹어야 했다. 게다가 한글문서를 피디에프파일로 바꿀 수 있다.


  사진책도서관 소식지 《삶말》을 이렇게 꾸며 볼까? 아이들 저녁 차려서 먹인 뒤 두 시간 남짓 들여 글을 쓰고 새롭게 짠다. 예전에 매킨토시로만 할 수 있던 편집을 한글2014로도 할 수 있으니 살짝 재미있다. 왜 한글문서 풀그림은 진작 이렇게 안 만들었을까. 처음부터 이렇게 잘 만들면 사람들이 너나없이 이 풀그림을 썼을 텐데.


  사진책도서관 소식지답게, ‘답게’가 무언지 모르겠지만, 아무튼 사진 하나 크게 넣어 본다. 사진 하나로 숱한 이야기 들려줄 수 있다고 여겨, 고흥에 첫눈 아주 가늘게 내리던 날 아이들 마당에서 뛰노는 예쁜 모습을 넣는다. 무척 그럴듯하구나 하고 느낀다. 소식지 엮기를 마무리짓고 서울에 있는 소량인쇄 회사 웹하드에 올린다. 인쇄값하고 택배값을 계좌이체로 보낸다. 읍내에 가서 복사하는 값이랑 버스삯하고 똑같이 든다. A4크기 앞뒤로 찍는 데 드는 돈이 한 장에 150원. 200장이면 30000원, 300장이면 45000원이다. 금요일에 주문을 넣고 토요일 낮에 받는다. 빠르구나. 무엇이든 서울에 일을 맡기면 곧 끝나는구나. 시골에서는 무엇을 하려 해도 품과 돈과 겨를이 많이 드는데. 가만히 보면, 이러다 보니 사람들이 자꾸 도시로 가려는구나 싶은데, 이렇다 해서 다들 도시로 가면 그야말로 시골은 텅 비고 말 테지.


  곱게 잘 나온 소식지를 받으니 즐겁다. 이제 소식지를 자주 만들어, 시골에서 도서관 꾸리는 빛과 넋을 더 널리 나누어야겠다. 소식지 꾸릴 돈을 신나게 벌어 보자. (ㅎㄲㅅㄱ)


* 사진책도서관(서재도서관)을 씩씩하게 잇도록 사랑스러운 손길 보태 주셔요 *
* 도서관 지킴이 되기 : 우체국 012625-02-025891 최종규 *
* 도서관 지킴이 되어 주는 분들은 쪽글로 주소를 알려주셔요 (011.341.7125.) *
* 도서관 나들이 오시려면 먼저 전화하고 찾아와 주셔요 *

 

 

 

 

..

 

사진책도서관 소식지 <삶말>은

1인단행본 함께살기 8호 <책방 앞을 걷다>하고

다음주 월요일부터 보내려 합니다.

 

도서관 지킴이 해 주시는 분들 모두

즐겁게 기다려 주시기를 빌어요.

다들 고맙습니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가을책 (도서관일기 2013.11.23.)
 ― 전라남도 고흥군 도화면 동백마을, ‘서재도서관 함께살기’

 


  곧 가을이 저뭅니다. 추운 북녘마을에는 벌써 눈이 내리거나 냇물 꽁꽁 얼겠구나 싶은데, 따순 남녘마을에는 아직 푸르게 빛나는 나뭇잎이 있습니다. 우리 집 뒤꼍 무화과나무에도 푸른 잎사귀 제법 매달립니다. 이 아이들은 머잖아 불어닥칠 차디찬 바람 맞으면 우수수 떨어지겠지요.


  시골집 바깥담을 그득 채운 하늘타리 넝쿨은 모조리 빨갛게 물듭니다. 한가을까지 푸른 빛이었고 드문드문 누렇게 바랜다 싶더니 어느새 몽땅 빨갛게 잎빛이 달라집니다.


  대청마루에 앉아서 마당을 내다보아도, 마당에서 노는 아이들과 함께 마을 둘레 멧자락 숲을 바라보아도, 온통 가을빛입니다. 자전거를 타고 면소재지 우체국에 다녀올 적에도 가을빛을 누립니다. 이곳저곳 모두 가을빛입니다. 그러고 보면, 찬바람 일찌감치 부는 북녘마을은 가을도 먼저 찾아오고 겨울도 일찍 찾아옵니다. 아직 바람이 따순 남녘마을은 가을도 늦고 겨울도 늦어요. 그러나 봄은 또 다른 곳보다 일찍 찾아와요.


  서재도서관 들어서는 풀밭길은 풀이 모두 시들었습니다. 늦여름까지 풀을 베느라 이럭저럭 땀을 흘렸지만, 이제는 벨 풀도 밟을 풀도 없습니다. 한가을까지는 도서관 창문을 모두 열면 시원했지만, 이제는 창문을 열면 썰렁합니다. 창문을 닫고 포근한 기운을 누립니다.


  가을을 노래하는 책들이 있지만, 따로 책을 들추지 않아도 눈을 들어 둘레를 살피면 온통 가을빛입니다. 마을을 감도는 가을빛에서 가을을 읽고, 마당과 뒤꼍과 밭자락을 채우는 가을빛에서 가을노래 듣습니다. 저녁에 해가 떨어지면 아무런 풀노래 없이 고즈넉한 마을에서 새까맣고 고요한 가을빛을 새롭게 누립니다.


  이 가을에, 곧 떠날 이 가을에, 햇살 한 조각 고맙게 맞아들입니다. (ㅎㄲㅅㄱ)

 


* 사진책도서관(서재도서관)을 씩씩하게 잇도록 사랑스러운 손길 보태 주셔요 *
* 도서관 지킴이 되기 : 우체국 012625-02-025891 최종규 *
* 도서관 지킴이 되어 주는 분들은 쪽글로 주소를 알려주셔요 (011.341.7125.) *
* 도서관 나들이 오시려면 먼저 전화하고 찾아와 주셔요 *

 

 

 

 


댓글(2)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appletreeje 2013-11-26 15:5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무는 가을을, 함께살기님의 글과 사진을 보면서
고즈넉하게 누리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오늘은 고요히 앉아, 마음에 들어 오는 책들을 읽고 있으니
참 좋습니다..^^

숲노래 2013-11-26 16:53   좋아요 0 | URL
아침 낮 저녁
해가 기울며 달라지는 가을빛
듬뿍 누리는 하루 되시기를 빌어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