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정생
경상도 안동에서 오늘 하루도 두 끼니만 먹으면서 조용하게 살아가는 권정생 할아버지는 우리들한테 이야기한다. “동화 몇 편 썼다고, 그거 대단하다고 보면 안 돼요.” 하고. 이 말을 제대로 곰삭여 들을 수 있는 사람이 몇이나 있을는지 모르겠다. 또 하나. 권정생 할아버지는 이녁을 찾아오는, 이른바 ‘(학교) 선생님’이나 ‘(큰 신문사) 기자’나 ‘(글깨나 쓴다는) 작가’들한테도 한 마디 한다. “나보고 건강하게 오래 살라고 하는 건, 죽으라는 이야기보다 더 나쁜 이야기기예요. 나 대신 아파 주면 좋겠어요.” 하고. 이 말 또한 얼마나 알아들을까? 아마 거의 알아듣지 못하리라. 그저 ‘늙은이가 이제 노망까지 들었나? 주책이야, 원!’ 하고 생각하는 분이 제법 많더라. ‘권 선생님이 너무 아프니, 이런 말까지 다하시는구나’ 하고 생각하는 분도 퍽 많고. 권정생 할아버지는 ‘선생님·기자·작가’한테 두 가지 이야기를 대뜸 한단다. 이런 말씀을 하는 할아버지 곁에서 빙그레 웃으며 대꾸한다. “그러게요. 다들 참 너무 몰라요. 이 쉬운 얘기를 왜 알아들으려고 하지 않을까요? 어쩌면 알아듣기 싫어서 모르는 척하지는 않을까요?” 안동에서 권정생 할아버지를 뵙고서 무너미마을로 돌아온다. 이오덕 어른이 남긴 글하고 책을 갈무리하는 한밤에 문득 두 마디 이야기를 낱낱이 풀어서 적어 보자는 생각이 든다. 뒤엣말을 먼저 생각하겠다. “나 대신 아파 달라”는 이야기가 무슨 뜻인가? 이는 바로 “아픈 사람 마음이 되라”는 뜻이다. “아픈 사람처럼 작은 목숨, 작은 일도 고맙게 고이 여기며 낮은 목소리로 조촐하고 조용하게 살자는 이야기”이다. 그리고 스스로 제발 아파 보라는 뜻이다. 스스로 모질게 아파 보지 않고서 섣불리 ‘오래 살라’는 말 좀 그만하라는 뜻이다. 생각해 보라. 아픈 채 오래 살면 기쁠까? 날마다 끔찍하게 아프면서 헉헉대는데, 이 삶을 오래오래 이르라고 하는 말이란, 아픈 사람이 듣기 좋은 말이 될까? 참 많은 사람들이 입에 얹는 “어린이 마음이 되어야 하늘나라에 가고, 어린이처럼 깨끗한 사람이 없다”는 이야기가 있다. 그렇지만 이런 말을 입에 얹더라도 이 말뜻을 속속들이 짚지는 않는 듯하다. 왜냐하면 ‘어린이처럼 사는’ 사람이 아주 드무니까. 지식만으로 살아가는 길이 대단히 아찔한 줄 뻔히 아는 사람들조차 ‘지식이 아닌 경험’과 ‘지식이 아닌 마음과 생각’을 고이 여기지 않기 일쑤이다. 가난하고 힘겹게 사는 사람들하고 ‘한마음 한몸’이 되지 않고서는 돕는 손길을 내밀 수 없다. 아니, 돕는 손길이 아니라 어깨동무하는 손길이 못 된다. 그저 불쌍해서 동전 몇 닢 던져 주는 사람은 잘난 멋에 딱하게 볼 뿐, 참으로 함께하는 손길이 아니다. 한결같이 몸과 마음 모두 아늑하고 폭신한 자리에 있으면서 입과 말로만 시끄럽게 ‘가난한 이를 돕자’는 소리만 떠들면 무엇하겠는가? ‘환경을 지키자’는 이야기를 목소리로만 외치지 말자. 알찬 환경책을 읽자고 추천하지 말자. 이런 말 하나 내세우기보다는, 우리 스스로 숲사람이 되어 살아가면 된다. 스스로 숲이 되어 살면 넉넉하다. 자가용을 장만해서 몰 생각보다는, 바람이 되어 훨훨 날아다닐 생각을 할 노릇이다. 고속도로를 더 놓아야 한다는 생각보다는, 홀가분히 바람으로 날아다니면 넉넉한 줄 알 노릇이다. 더 빠른 길이 아닌, 다 같이 즐거운 길을 헤아릴 노릇이다. 자가용을 몬대서 나쁘지 않다. 이 하나를 알 노릇이다. 자가용 모는 즐거움처럼 버스나 기차를 타는 즐거움이 있고, 자전거를 달리거나 걷는 즐거움이 있으며, 텃밭을 일구는 즐거움이 있고, 숲길을 맨발로 거닐거나 드러누워 하늘바라기를 하는 즐거움이 있다. 이 뭇즐거움이 고루 어우어져야 참말로 즐거운 삶 아닐까? 앞엣말을 생각하자. “동화 몇 편 썼다고 대단히 보지 말라”는 이야기는 헛된 이름에 놀아나지 말라는 소리이다. 헛된 이름과 감투에 눈이 멀어서, ‘이름도 감투도 없는 낮고 여린 사람 목소리와 삶’을 놓치거나 쉬 지나치거나 얕보거나 깔보는 못된 버릇을 버리라는 소리이다. 이 땅에서 가장 알뜰하고 훌륭하며 사랑스러운 이야기는 바로 헛된 이름과 감투에 눈이 멀고 머리가 빈 사람들이 가장 깔보고 짓밟고 비웃는 ‘못 배우고 더러운 일을 하는 사람’들 삶자리에서 태어나곤 한다. 왜 그럴까? 왜 짓밟히거나 깔보이거나 얕잡히는 삶자리에서 참으로 사랑스러우며 아름다운 이야기가 꽃으로 피어날까? 가만 보면 바로 권정생 할아버지가 쓴 숱한 글이 이렇다. 다만 누구나 권정생 할아버지처럼 글을 쓸 까닭은 없다. 어느 자리에 있든 제 손으로 살림을 짓는 따사롭고 넉넉한 마음으로 이 하루를 그대로 글로 옮기면 된다. 위에서 내려다보는 눈빛이 아닌, 어깨동무하면서 같이 앞길을 바라보는 눈썰미로 거듭나면 된다. 권정생 할아버지는 마음으로 넌지시 얘기한다. ‘여보게, 훌륭한 스승은 먼 데 있지도 않고 하늘나라에 있지도 않으며 바로 그대돌 가까이에, 옆에 있는데, 왜 못 보고들 그리 사는가? 그대가 바로 그대 스승인 줄 아는가, 모르는가?’ 하고. 2005.6.7. ㅅㄴㄹ

(숲노래/최종규 . 삶과 글쓰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오덕

많은 사람들이 이오덕 어른한테서 무언가 배웠다. 그렇지만 못 배운 대목도 참 많다. 사람들이 이오덕 어른한테서 배우는 거의 모두는 ‘지식’이지 싶다. 이와 달리 사람들이 이오덕 어른한테서 거의 못 배우거나 배우려 하지 않는 길은 ‘마음’이지 싶다. 글쓰기 운동·교육 운동·문학 운동·문화 운동·어린이문학 비평·우리 말 운동 같은 ‘지식’은 참 많은 이들이 배웠고 따르고, 우리 삶터나 일터에서 잘 쓰고 두루 펼치지 싶다. 그렇지만 이오덕 어른이 이런 여러 가지 일을 하면서 쓴 ‘마음’과 ‘생각’과 ‘뜻’과 ‘얼’까지 두루 살피고 헤아리는 모습은 좀처럼 보기 드물다고 느낀다. 머리에 지식이 많이 든 사람들은 “가난하고 어려운 사람을 도와야 한다”는 다짐을 알고 늘 말하며 다닌다. 그러면 이런 다짐은 무엇을 가리킬까? 이웃돕기를 하라는 뜻일까? 이오덕 어른은 “가난하고 어려운 사람을 돕기”를 말하기보다는 “가난하고 어려운 사람하고 하나가 되기”를 말했다. 가난해지거나 어려워지라는 뜻이 아니라, 마음으로 하나가 되어 어깨동무를 할 줄 아는 삶이 되자고 말했다. 이오덕 어른이 쓴 숱한 책은 이웃하고 하나가 되려는 몸짓이다. 멧골 아이하고, 멧새하고, 숲이며 바람하고, 구름하고 풀꽃하고, 언제나 마음으로 하나가 되면서 이러한 숨결을 고스란히 삶으로 옮겨서 하루를 지으려고 했다고 느낀다. 이오덕 어른이 쓴 《우리 글 바로쓰기》 같은 책은, 우리더러 말글을 바르게 쓰라는 따끔한 꾸중이 아니다. 이오덕 어른 스스로 여태 말글을 말글답지 않게 못 쓰며 살았다고 깨달아 스스로 뉘우치면서 새로 배우려고 갈고닦은 마음자락이다. 스스로 배운 만큼 낱낱이 펼친 땀방울이다. 이러한 책은 읽어도 좋고 안 읽어도 좋다. 이러한 책을 읽으려면 마음으로 읽어 우리 스스로 새길을 여는 뜻으로 키우면 된다. 이러한 책을 안 읽는다면 우리 스스로 새길을 기쁘게 짓는 마음으로 가꾸면 된다. 곰곰이 살필 대목은 오직 마음이다. 마음이 있기에 어깨동무를 한다. 마음이 있기에 어린이가 어떤 숨결인지를 알아볼 뿐 아니라, 모든 어른이 처음에는 어린이였다는 대목을 깨우친다. 마음을 열어 다스리면 누구나 시를 쓸 수 있고, 누구나 가르치며 배울 수 있고, 누구나 살림을 짓고 흙을 일구며 아름답게 노래할 수 있다. 일을 많이 했거나 훌륭하기에 이오덕 어른을 떠올리거나 기릴 만하지 않다. 이 땅에 ‘마음’이란 씨앗을 뿌릴 숲이 모조리 짓밟혀서 우는 아이들을 상냥하게 어루만지면서, 아이들이 웃으며 뛰놀 환한 자리를 처음부터 새롭게 지어야겠다고 여겨, 이 길을 걸은 어른이기에 이오덕이란 사람을 떠올리거나 읽을 만하다. 2005.2.12. ㅅㄴㄹ


(숲노래/최종규 . 삶과 글쓰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귀지 2

아이들 귀지를 파는 날은 나도 귀지를 파는 날. 큰아이는 먼저 귀지를 파 달라 부른다. 작은아이는 귀지 파기 싫다며 달아난다. 작은아이는 아버지처럼 간지럼을 어마어마하게 타니 귀지를 팔 적마다 웃음을 못 참으면서 힘들다. 내 어릴 적을 돌아보면, 나는 우리 어머니가 귀지를 파 주실 적에 간지럼을 참기 매우 힘들어, 아마 아홉 살 무렵부터 스스로 팠지 싶다. 그런데 스스로 파도 간지럽기는 마찬가지이더라. 두 아이는 언제쯤 스스로 귀지를 팔까? 이제 두 아이는 아버지가 씻겨 주지 않아도 스스로 씻는데, 작은아이는 혼자 씻기는 해도 목이나 귓등이나 몸 구석구석 씻지는 못한다. 귀지를 스스로 파는 날이란, 몸을 스스로 사랑하면서 가꿀 줄 아는 날이겠지. 2019.2.24. ㅅㄴㄹ


(숲노래/최종규 . 삶과 글쓰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파리 2

밥찌꺼기라든지 똥이라든지 풋감이라든지, 어김없이 파리가 날아와서 앉는다. 가을에 보면 잘 익은 무화과에도 파리가 같이 달라붙는다. 먹이만 있으면 곧장 알아채어 날아든다. 파리는 똥이나 무화과를 가리지 않는다. 밥이나 찌꺼기를 가리지 않는다. 대단한 목숨이라 할 만하다. 이 땅에는 파리가 있기 때문에 쓰레기나 찌꺼기가 곱게 흙으로 돌아간다고 할 만하다. 고작 스무 날을 살아가는 파리이지만, 그 짧다 싶은 동안 엄청난 일을 해내는구나 싶다. 다만 파리는 사람한테 그리 사랑받지 못한다. 사람한테 쫓겨나거나 맞아죽는다. 때로는 파리끈끈이에 매달려 주렁주렁 죽고, 모진 약물결을 받아 해롱대며 죽는다. ‘파리목숨’이란 말은 참 알맞은 이름이다. 짧은 목숨이요 덧없는 목숨일 수 있으니. “파리처럼 달라붙는다”는 말은 우리 스스로 얼마나 그악스러울 수 있는가를 빗대기도 한다. ‘똥파리’란 얼마나 하찮거나 보잘것없다고 여기는 이름인가. 그러나 더 돌아보면, 똥파리란 똥을 핥아 주기에 들이며 숲을 기름지게 한다. 밑바닥에 내려앉아 똥을 핥는 스무 날이란 짧은 목숨을 바쳐 들이랑 숲을 살찌워 준다. 파리란, 사람한테 귀찮은 녀석일까? 어쩌면 오늘날 사람이야말로 지구라는 별에서 귀찮거나 성가신 녀석은 아닐까? 별 한살이로 볼 적에 고작 백 해를 살아내지 못하며 아옹다옹 툭탁질인 사람이란 녀석은 그야말로 ‘똥사람’일 수 있다. 2019.2.24. ㅅㄴㄹ


(숲노래/최종규 . 삶과 글쓰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설거지

나는 빨래하는 삶을 곧잘 글로 옮긴다. 그런데 설거지하는 삶이나 비질과 걸레질을 하는 삶은 좀처럼 글로 옮기지 않는다. 곰곰이 돌이킨다. 빨래하는 삶은 이럭저럭 말미를 내어 글로 옮긴다지만, 설거지와 비질과 걸레질까지는 차마 글로 못 옮긴다 할 수 있다. 밥을 하는 삶도 이와 마찬가지이다. 밥을 하는 이야기를 거의 글로 쓴 적 없다. 어쩌면, 내가 그렇게까지 좋아하지 않으니까 글로 못 쓴다 할 수 있다. 늘 하고 자주 하며 오래 하더라도, 스스로 매우 사랑하면서 누리는 삶이 아니라 한다면 글로 옮기지 못한다 할 수 있다. 퍽 어린 아이들 옷가지를 손으로 빨래를 할 때에는 하루에 몇 벌씩 해야 한다. 한꺼번에 할 수도 있으나, 빨래감은 틈틈이 나오니, 틈틈이 나오는 대로 빨래를 할밖에 없다. 설거지도 빨래를 할 때와 같다. 뭐 하나만 해도 개수대에 설거지감이 놓인다. 밥을 먹든 무얼 하든 설거지를 할 그릇이나 접시나 수저나 물잔이 나온다. 그야말로 손에 물 가실 날이 없고, 손가락이 보송보솔 마를 겨를이 없다. 그런데, 빨래를 하고 나서 마당에 널 적에는 손가락이 이럭저럭 마른다. 설거지를 마친 뒤에는 한동안 손이 안 마른다. 빨래를 하면서 이런 생각 저런 생각에 잠기기 마련이지만, 설거지를 하면서 이런 생각 저런 생각에 잠기지 못한다. 설거지를 하다 딴생각을 하면 그만 그릇을 놓치니까. 이러다 그릇을 꽤 깨먹어서, 설거지를 할 적에는 오로지 설거지만 생각하려 한다. 설거지를 할 적에는 온통 설거지 생각뿐이다. 다만, 설거지를 하면서 이제 이다음으로 어떤 일이 기다리는가 하고 살짝 돌아본다. 밥을 하며 그릇을 설거지할 적에는, 국이나 밥을 살피면서 하나하나 헹구거나 부신다. 이러는 동안 아이들이 복닥거리는 모습을 살핀다. 빨래를 하면서 어수선하거나 어지럽던 마음을 찬찬히 가다듬는데, 설거지를 하면서 딴생각이 깃들 틈이 없으니 외려 이런 설거지로도 마음은 저절로 가라앉는다. 다시 헤아리는데, 빨래를 마쳐서 마당에 널고 나면, 햇살이 눈부신 모습이 보기좋다며 사진을 찍곤 한다. 그렇지만 설거지를 마친 뒤에 사진을 찍은 일이 여태 없네. 이러니 설거지 이야기는 거의 안 쓰거나 못 썼다. 2012.5.31. ㅅㄴㄹ


(숲노래/최종규 . 삶과 글쓰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