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력서 1
이력서를 처음 쓴다. 이력서란 이름도 처음이고 하나도 몰라 둘레에 물었다. 회사에 들어가려고 쓴다는 이력서를 보니 어느 학교를 마치고 무슨 자격증이 있느냐를 적네. 나는 대학교를 그만두었으니 고졸이고, 따로 딴 자격증이 없다. 글쓰기는 평타 800을 칠 줄 알아도 무슨 자격증을 거머쥐지 않았다. 이력서를 넣을 출판사에 전화해서 여쭌다. “아, 이력서요? 이력서는, 여태까지 무엇을 하며 살아왔고 어떤 생각을 하며 살았는가를 적으면 돼요. 길이는 제한 없습니다. 길게 쓸수록 좋아요.” 이리하여 이제껏 어떻게 살았는지, 무슨 생각이었는지, 군대에서 어떤 일을 치렀고, 대학교를 그만둔 뜻, 신문배달로 먹고살면서 배운 이야기, 책과 헌책집과 도서관이 얽힌 실타래를 비롯해서 마음껏 쓴다. 그런데 마땅한 종이가 없어서, 신문에 넣는 광고 뒷종이를 긁어모아서 썼다. 졸업장이나 자격증 이야기는 하나도 없는, 두툼한 이력서를 마무리짓는다. 1999.7.7.

이력서 2
흔히들 ‘이력’이란 ‘학업·직업·경험’이라 여기지만, 달리 바라보아야지 싶다. ‘배움·살림·꿈’으로 걸어온 길로 바라볼 노릇이라 느낀다. 더 따진다면 ‘이력서’란 이름부터 걷어치울 일이다. ‘삶길’이란 이름을 써야 어울리지 싶다. 삶길을 적는 글(서류)이라면 ‘삶길글·삶글’이 될 테지. 어느 학교를 마쳤다고 적는 이력서가 아닌, 무엇을 배워서 어떤 길을 걷고 싶은가를 적는 삶길글이 되어야지 싶다. 어느 곳에 들어가서 몇 해를 일했다고 적는 이력서가 아닌, 어떤 일을 하려고 하루하루 살아가면서 무엇을 느끼고 알았는가를 적는 삶길글이 되어야지 싶다. 우리한테는 졸업장이나 자격증이 덧없다. 우리한테는 배움길하고 살림길이 뜻있다. 2003.6.4.

이력서 3
학교나 기관에 강의를 갈 적마다 나더라 ‘강사카드·이력서’를 같이 보내라고 한다. 아마 다른 분도 똑같을 텐데, 틀에 박힌 강사카드나 이력서에는 따로 써넣을 만한 말이 없다. 어느 대학교를 나왔는지 적으라는데, 대학교를 그만둔 내가 뭘 적어야 할까? 어느 대학교나 기관에서 강의를 해봤는지 적으라는데, 써넣고 싶지 않다. 그래서 나는 주어진 틀을 몽땅 버리고는, ‘어떤 책하고 사전을 그동안 쓰고 엮었’는가를 써넣는다. 여러 지자체 공문서를 손질해 준 이야기를 써넣는다. 2017.1.15. ㅅㄴㄹ

(숲노래/최종규 . 삶과 글쓰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글을 살다 1

고등학교 1학년이던 무렵 시라고 하는 글을 쓰고 싶었으나 가르칠 만한 어른을 만나지 못했다.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에 나온 시를 읽고, 헌책집에 찾아가 오래된 시를 찾아서 읽고, 새책집에 나들이를 해서 새로 나온 시를 살펴서 읽는다. 누가 가르치지 않으니, 또 배울 만한 어른이 없으니 그저 다른 시나 시집을 찾아 읽으면서 스스로 생각한다. 마음에 와닿는 시는 쉽게 알아보았다. 시를 쓴 사람이 그분 삶을 스스로 생각하면서 그분 말씨대로 쓴 시가 마음에 와닿는다. 그분 삶이 아닌 딴 사람 삶을 어깨너머로 구경하면서 쓴 시는 마음에 안 와닿는다. 멋을 부리려고 한자를 집어넣거나 영어를 섞는 시도 마음에 안 와닿는다. 아이들한테 아양을 떨듯 말장난을 하는 동시도 마음에 안 와닿는다. 마치 어른끼리 다 안다는듯 어린이를 내려다보는 동시도 마음에 안 와닿는다. 그렇구나. 잘나든 못나든 내가 살아가는 대로 쓸 노릇이구나. 내가 살지 않는 모습을 쓰려니 꾸며야 하고, 내가 사는 모습을 고스란히 쓰니 꾸밀 일이 없다. 내가 살지 않는 모습을 쓰려니 맞춤법이나 띄어쓰기 같은 겉모습에 마음을 빼앗기고, 내가 사는 모습을 그대로 쓰니 맞춤법이나 띄어쓰기가 틀린 글이어도 마음을 찡하게 사로잡는구나. 저잣거리 아재나 할매가 투박하게 흘려쓴, 이러면서 맞춤법도 띄어쓰기도 틀린, 이녁 바구니 앞에 놓은 수수한 글씨야말로 시요 노래요 고운 글이다. 1995.11.17.


글을 살다 2

살아가는 터전에서 글을 쓴다. 살아가는 사람하고 글을 쓴다. 살아가는 보금자리에서 내가 하는 일과 내가 꾸리는 살림을 글로 쓴다. 살아가는 사람하고 어울리는 나날을 글로 쓴다. 시골집에서 살아가는 나는 시골집 시골다움을 글로 담는다. 시골집에서 네 사람 짐을 꾸려 먼 마실을 나와 새 보금자리를 찾는 동안, 시골집 아닌 길손집에서 묵는다. 길손집에서 묵는 내내 귀로 들리는 소리는 자동차랑 텔레비전 울리는 소리와 에어컨이나 냉장고나 정수기가 전기를 먹으며 끄르릉 끓는 소리. 우리 넷이 지난 한 해를 살아온 시골집은 텅 비었을 테지만, 시골집 둘레로 갖은 풀벌레가 새벽부터 밤까지 고즈넉히 울겠지. 귀를 기울이자. 마음을 열며 귀를 기울이자. 읍내 길손집에서 묵을지라도 냉장고 꼬르륵 소리에 묻히는 저 먼 멧골자락 풀벌레 울음소리에 귀를 기울이자. 마음을 열면 이 소리를 고즈넉히 들을 수 있으리라. 마음을 열지 못하면 길가 풀섶 작은 풀벌레 소리조차 못 들으리라. 나는 내가 먹는 밥과 내가 입는 옷과 내가 자는 보금자리 기운을 하나하나 받아들이면서 글을 쓴다. 나는 내가 딛는 땅과 내가 마주하는 살붙이와 내가 사랑하는 하늘땅을 고스란히 맞아들이면서 글을 쓴다. 내 글은 내 사랑이어야 한다. 내 글은 내 삶이어야 한다. 내 글은 내 눈물과 웃음이어야 한다. 2011.9.27. ㅅㄴㄹ


(숲노래/최종규 . 삶과 글쓰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너나

‘너나없이’ 볼 수 있다면 ‘너나있이’ 볼 수 있다. ‘너나없이’란, 너랑 나를 가리려는 마음이 없이 보려는 눈이다. ‘너나있이’라면, 너랑 나를 가리려는 마음이 있이 보려는 눈일 텐데, 너랑 나는 다르지 않으면서 다르다. 너랑 내가 살아가는 몸뚱이가 다르고, 너랑 내가 짓는 살림이 다르고, 너랑 내가 사랑하는 길이 다르다. 그렇지만 너랑 나는 똑같이 아름다운 숨결이자 넋이자 마음이다. 다르지만 같고, 같지만 다르다. 우리는 서로 달라 어느 곳에서 일하더라도 자리도 다를 텐데, 자리란 위아래로 가르지 않는다. 자리는 그저 자리로 가른다. 윗자리하고 아랫자리란 없다. 이 자리 저 자리 그 자리가 있을 뿐이다. 네가 위에 서거나 내가 위에 설 수 없고, 내가 밑에 서거나 네가 밑에 설 수 없다. 이를 읽지 못하기에 서로 ‘남’이 된다. 이를 읽지 못한 채 서로 높이거나 낮추어야 하기에 그만 ‘놈·년’이 된다. 이를 읽을 적에는 비로소 서로 ‘님’이 된다. 이야기를 하려면 너나없는 마음이 되면서, “참다이 너나있는, 참너랑 참나가 어깨동무하는 사이인 마음”이어야지 싶다. 1995.11.4. ㅅㄴㄹ


(숲노래/최종규 . 삶과 글쓰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이름난

이름난 이가 쓴 글이란 ‘이름난 이가 쓴 글’이다. 훌륭한 글도 멋진 글도 놀라운 글도 새로운 글도 빛나는 글도 고운 글도, 더구나 좋은 글도 아니다. 글쓴이 이름값이나 펴낸곳 이름값을 쳐다본다면, 글멋이나 글맛을 알 수 없다. 모름지기 어느 글을 읽든 글쓴이 이름이나 펴낸곳 이름은 덮을 노릇이다. 오로지 글만 쳐다보고서 이 글에 흐르는 기운이나 뜻이나 마음이나 눈빛을 읽어야지 싶다. 글이란, 한글이나 알파벳이라고 하는 껍데기가 아닌, 한글이나 알파벳이라고 하는 무늬에 담은 기운이나 뜻이나 마음이나 눈빛이다. 우리는 줄거리를 알려고 읽지 않는다. 우리는 서로 마음을 알려고, 기운을 나누려고, 뜻을 키우려고, 눈빛을 밝히려고 읽는다. 속내 아닌 껍데기를 훑기에 이름값에 속아넘어가기 일쑤이다. 이름값에는 아무런 마음이 안 흐른다. 1994.4.30. ㅅㄴㄹ


(숲노래/최종규 . 삶과 글쓰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잊혀지지 않는다기보다 잊을 수 없는 일인데 굳이 떠올리지 않고 살던 일 가운데 1998년 어느 한 가지를 적어 본다. 그무렵 나는 한겨레신문을 돌리는 일로 먹고사는 사람이었으나, 주마다 두세 가지 ‘우리말 소식지’를 엮어서 내 돈으로 복사해서 돌리며 살았는데, 뜬금없달까 뜻밖에 어느 자리에 부름을 받아 두 시간 동안 강사 노릇을 했다. 그날 그 자리는 나로서는 첫 강의였다. 그런데 그 강의는 한국에서 내로라하는 기업이나 단체 우두머리 이백 사람이 모였고, 그때 편 온갖 이야기 가운데 하나는 ‘님’이었다. 어느 분이 “우리 회사에서 회의를 하다 보면, 부하 직원들이 자유롭게 토론이나 발언을 하지 못하고, 그냥 ‘네네’ 하는 분위기인데, 어떻게 하면 좋겠습니까?” 하고 물었다. 나는 이렇게 대꾸했다. “그게 걱정되세요? 그러면 왜 걱정일까요? 제가 그 회사 대표라면, 서로 직함으로 부르지 않고 ‘아무개 님’이라 부르면서 말하자고 할 겁니다. 한국 사회에서는 그냥 말을 놓고서 서로 이름으로만 부를 수는 없습니다. 그러나 서로 말을 놓지 않으면서 ‘님’으로 높이기로 할 수도 있어요. 서로 높이기로 하는 말씨로 이야기를 펴도록 한다면, 대표님이 계신 그 회사에 있는 누구라도 처음에는 낯설어 하겠으나, 회의를 하루이틀 하다 보면 어느새 자유로울 뿐 아니라 훌륭하고 아주 새롭게 생각을 뻗어서 멋지고 알찬 자리가 될 만하리라 봅니다.” 하고. 내가 나를 스스로 낮출 까닭이 없다. 서로서로 ‘님’이라 말하면서 서로 들려주는 말을 귀담아듣겠다는 마음이랑 몸짓으로 거듭나면 된다. 이러면 이야기도 술술 흐르고, 참으로 훌륭하고 멋지게 피어날 수 있다. 그나저나, 그때 내가 이런 말을 들려준 뒤 그 대표라는 분이나 다른 분들이 어떤 낯빛이었는가를 적고 싶다. 그야말로 아주 싸늘했다. 나를 그지없이 미친 놈으로 보는 느낌이더라. 서로서로 ‘님’으로 여기자는 말이, 그때에는 하나도 받아들여질 수 없었나 보더라. 2019.2.28. ㅅㄴㄹ


(숲노래/최종규 . 삶과 글쓰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