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어제책 2022.6.12.

숨은책 687


《바다와 老人》

 헤밍웨이 글

 정봉화 옮김

 대신문화사

 1953.11.25.



  새벽부터 저녁까지 하루살림을 꾸리고 나면 잠들 즈음이고, 바느질은 으레 이때에 합니다. 튿어지거나 구멍난 옷을 기우는 아버지를 지켜보는 아이들은 “아버지는 그 옷 얼마나 입었어?” 하고 묻습니다. “너희 둘 나이를 더한 몫보다 많아.” “그럼 되게 오래 입었네?” “그럭저럭 서른 해를 입었지만 그리 오래 입지는 않았어.” “나중에 아버지 옷 한 벌 사요.” “너희 여름옷부터 사자.” 아이들이 잠들고 나서도 바느질을 잇다가 그만 불을 끕니다. 같이 꿈나라로 가고서 이튿날 마저 기우려고요. 《바다와 老人》은 1953년에 우리말로 나옵니다. 1952년에 영어로 처음 나왔으니 바로 나온 셈인데, 한겨레싸움(한국전쟁) 끝자락이라지만 ‘퓨릿샤賞受賞作品’을 곁에 두고서 피비린내를 씻으려는 마음까지 이 작은 책자락에 담았으리라 생각합니다. 모든 실은 풀포기(모시·삼·솜)하고 애벌레(누에)한테서 얻습니다. 모든 실은 한 올씩 뜨개질에 바느질을 하면서 옷으로 피어납니다. 모든 글은 사랑으로 살림을 짓는 삶에서 한 마디씩 길어올린 말로 엮습니다. 저 바다에는 헤엄이가 우리 이웃이고, 할매할배는 슬기로운 눈빛으로 이야기를 들려줍니다. 1954년에 《바다와 老人》을 사서 읽은 분이 남긴 손자취를 쓰다듬어 봅니다.


“우리는 眞實과 建全의 깃빨 아래 結合되였고 이 깃빨은 앞날의 우리의 發展과 함께 더욱 鞏固히 지키여질 것이며 지키여져야 한다 5.April 1954 yours Tallwoo Lee”


ㅅㄴㄹ


#TheOldmanandTheSea #ErnestHemingway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임계장 이야기 - 63세 임시 계약직 노인장의 노동 일지 우리시대의 논리 27
조정진 지음 / 후마니타스 / 2020년 3월
평점 :
품절


숲노래 어제책 2022.6.10.

숨은책 716


《임계장 이야기》

 조정진 글

 후마니타스

 2020.3.30.첫/2020.6.10.5벌



  등 따습고 배부른 자리에 있는 사람은 가난·배고픔을 모릅니다. 등이 따습고 배부른걸요. 등 따습고 배부른 자리를 잃고서야 비로소 ‘아, 가난·배고픔이 이렇구나?’ 하고 느낍니다. 《임계장 이야기》를 처음 책집에서 들출 적에 어쩐지 거북했습니다. ‘등 따습고 배부른 자리를 잃었지만, 아이들 대학등록금 맞추고 연금 제대로 받을 때까지, 몇 해 동안 조금 몸을 굴리자’는 생각이 짙은 채 적바림한 사잇일(비정규직) 발자취는 ‘등 따습고 배부른 자리를 엄두조차 못 내는 사람’하고는 너무 먼 구경하는 눈길로 옮긴 ‘인문학 보고서’이거든요. 다만, ‘등 따습고 배부른 자리’를 잃었어도 이처럼 사잇일을 하며 발자취를 남긴 이는 드뭅니다. 틀림없이 뜻깊고 값진 책입니다. 이러구러 글쓴이는 2020년 3월에 책을 내며 글삯을 꽤 벌었고 곳곳에 책수다(강연)를 다녔다지요. 이러다 2020년 5월에 응큼질(성추행)을 일으켰고 이해 10월이 되도록 뉘우치는 빛 하나 없이 책을 실컷 팔고 책수다만 잘 다녔고요. 펴냄터는 2022년에서야 ‘품절’시킨 듯한데, 아직 아무도 뉘우침글을 밝히지도 않고, 글바치(기자)는 벙긋도 안 합니다. 참으로 창피합니다.


“내가 전에 다니던 공기업을 세상 사람들은 ‘신의 직장’이라 불렀다. 나는 그 말이 월급은 많고 하는 일은 적다고 비난하는 소리라 생각했다. 그러나 퇴직 후 경비원 일을 해보니 신의 직장이라는 표현은 과장이 아니었다.” (211쪽)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어제책 2022.6.10.

숨은책 672


《나라건지는 교육》

 최현배 글

 정음사

 1975.12.10.



  우리말 ‘열’은 셈으로 치면 ‘10’을 나타내면서, ‘열다’란 낱말을 밝히는 말밑입니다. ‘우리말 ‘온’은 ‘100’을 나타내면서 ‘온누리·온마음·온통’처럼 ‘모두’를 가리키는 말밑이에요. ‘1,000(천)’은 ‘즈믄’이요, ‘10,000(만)’은 ‘잘’이며, ‘100,000,000(억)’은 ‘골’입니다. ‘즈믄’은 ‘즐겁다’에서 말빛을 잇고, ‘잘’은 ‘잘하다’ 같은 데에서 말결을 엿보고, ‘골’은 ‘골머리’에서는 ‘뇌(腦)’를 가리키고 ‘골백번·골짜기·고루·곱다’ 같은 데에서 실마리를 찾습니다. 《나라건지는 교육》은 1963년에 처음 나왔고, 1975년에 손바닥책 “정음문고 101”가 되어 새로 나옵니다. 1960년으로 접어들 무렵 우리나라 배움판이 너무 끔찍하게 배움수렁(입시지옥)에 갇혀서 헤어나지 못한다는 한숨을 짙게 담은 이 책에서는 ‘국민학교 배움수렁’을 다룹니다. 지난날에는 ‘국민학교·중학교’에 들어가는 배움수렁이 훨씬 모질었다지요. 나라를 건지려면 아이들을 책상맡에 앉혀 셈겨룸(시험)을 시키는 짓을 멈출 노릇이지만, 이 대목을 걱정하는 어른이 매우 적습니다. 아이살리기를 미룬다면 나라살리기는 꿈도 못 꿀 테지요.


“아아, 거룩하다. 베스달로찌이는 골 해의 빛이요, 잘 사람의 거울이로다. 1962.2.27. 노고 산방에서 외솔 최 현배 적음”(169쪽)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어제책 2022.6.9.

숨은책 651


《히말라야 성자들의 超人生活 下》

 스폴딩 글

 강흥수 옮김

 선경도서출판사

 1985.3.2.



  어릴 적에 그렇게 자주 앓고 쉽게 드러누웠습니다. 우리 언니는 저더러 꾀앓이를 한다고 나무랐지만, ‘겉으로 멀쩡해 보여도 속으로는 다르게’ 마련인데, 튼튼몸인 사람은 도무지 못 알아봅니다. 겉으로 멀쩡하다고 해서 억지로 버티다가 쓰러진 적이 제법 있습니다. 싸움판(군대)에서도 끝끝내 버티다가 꼭 하루 쓰러진 적이 있어요. 쓰러지며 바로 넋이 나가기도 하지만, 넋은 있는 채 거품만 물기도 하지요. 고삭부리인 몸으로 앓아눕거나 쓰러질 적에 “난 왜 이렇게 여린 몸이지?” 하고 마음에 대고 물으면 문득 “그럼 넌 뭘 바라니?” 하는 소리가 들려요. “나한테 초능력이 있어서, 안 아픈 몸에 쏟아지는 돈이 있으면 좋겠어.” 하고 대꾸하면 “그래? 그러면 안 아프고서 돈이 많은 다음엔?” 하고 되묻더군요. “어, 어, 안 아프고 돈이 많으면, 그다음엔, 뭘 하지?” “훗, 네가 스스로 찾아보렴.” 《히말라야 성자들의 超人生活 下》 같은 책을 찾아서 읽을 줄은 몰랐으나, ‘초인·초능력자’를 배울 뜻이 아닌, 왜 이 별에 이 몸으로 태어나 이렇게 살아가는가를 스스로 배우고 싶습니다. 이 책은 2004·2020년에 다시 나오는데, ‘엄청난 솜씨’를 배우라는 줄거리가 아닌, 우리가 스스로 잊은 마음을 새롭게 찾으라고 속삭입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어제책 2022.5.29.

숨은책 686


《學生을 爲한 世界名作鑑賞》

 조연현 글

 고려출판사

 1955.1.10.



  이제 서울 남가좌동에도 북가좌동에도 헌책집은 다 사라졌습니다만, 골목집이 옹기종기 어깨동무하던 지난날에는 가좌동 곳곳에 헌책집이 많았어요. 자전거를 달리거나 걸어서 〈문화서점〉에 찾아가면 “요샌 책 보러 오는 사람이 없는데, 손님은 어디서 오셨나?” 하고 물으시며 “허허, 멀리서도 오셨네. 예까지 와서 볼 만한 책이 있으려나. 이젠 옛날 같지 않아 좋은 책도 없습니다. 아니, 좋은 책이 나와도 사가는 사람이 없습니다.” 2006년 6월 23일에 《學生을 爲한 世界名作鑑賞》을 보았습니다. 일본바라기(친일부역) 조연현 씨는 죽는 날까지 뉘우치는 빛이 없었고, 그이 뒷내기(후배)는 ‘조연현문학상’을 세웁니다. 글쟁이는 아무 글로나 밥벌이를 해도 될까요? 글바치이니 마음을 갈고닦아 참글을 짓고 사랑글을 노래할 노릇일 텐데요. 삶을 등진 글이 아닌, 삶에 숲빛을 심으며 아이를 돌보는 글을 여밀 노릇이고요. 《학생을 위한 세계명작감상》은 ‘일본바라기(친일문학)’하고 매한가지입니다. 그나저나 ‘4288年 5月 16日’에 누가 사읽어 “교과서·일반도서·문방구·지물·운동구·인쇄물. 매양 감사합니다. 안성읍 네거리 보문당. 전화七五번”이란 자취가 남은 책은 한때 ‘경희대학교 도서관’에 머물기도 했군요.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