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어제책 2022.7.13.

숨은책 189


《숲속의 소녀》

 로우라 I. 와일더 글

 방순동 엮음

 정민문화사

 1956.11.15.



  열세 살까지는 보임틀(텔레비전)을 어머니랑 언니하고 함께 보았으나, 푸른배움터에 들어가는 열네 살부터 배움수렁(입시지옥)에 빠지며 볼 틈이 없고, 스무 살로 접어들며 아예 끊습니다. 어릴 적에 “초원의 집”이란 이름인 풀그림을 보았어요. 그때에는 책을 몰랐어요. 《보리 국어사전》을 엮던 2001년에 이웃님 한 분이 《초원의 집》을 알려주었어요. 학원출판공사에서 《큰숲 작은집》으로 옮겼으며, 시공사에서 《큰 숲속의 작은집》으로 다시 옮겼다고 귀띔했어요. “Little House in the Big Woods”이니 “큰숲 작은집”으로 옮겨야 맞고, “Little House on the Prairie”라면 “너른들 작은집”으로 옮겨야 맞겠지요. 그런데 지난날 새뜸(방송) 일꾼은 일본말씨처럼 “초원의 집”이란 이름을 붙였고, 뒷날 김석희 님도 이 일본스런 이름을 따릅니다. 흔히 ‘ABE전집’으로 이 책이 처음 나온 줄 여기지만, 1956년에 《숲속의 소녀》란 이름으로 방순동 님(1922∼2006)이 진작 정갈하게 옮겼습니다. 오랜 옮김말씨에는 숲빛하고 들내음이 흘러요. 이 책은 숲과 들 사이에서 온몸으로 풀빛을 머금는 살림 이야기를 들려줍니다. 오늘 우리가 잊어버린 손빛을, 풀꽃나무를, 하늘빛을, 숲노래를 고이 풀어내요. 숲순이가 노래하는 하루를.


ㅅㄴㄹ


#LittleHouseintheBigWoods #LittleHouse

#LittleHouseonthePrairie

#LauraIngallsWilder #GarthWilliams

#大きな森の小さな家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어제책

숨은책시렁 124


《韓國의 書誌와 文化》

 모리스 쿠랑 글

 박상규 옮김

 신구문화사

 1974.5.1.



  혼자 책길을 알아 가던 어느 날, 저처럼 혼자 책길을 알아 가던 책벗님이 ‘모리스 쿠랑’이라는 프랑스사람이 쓴 책을 아느냐고, 이녁이 쓴 책을 찾아서 읽어 보면 재미있으리라고 알려주었습니다. 처음에는 웬 프랑스사람 책을 챙겨 읽느냐고 시큰둥했습니다만, 이 얘기를 듣고서 며칠 뒤에 《韓國의 書誌와 文化》를 만났고, 첫 줄부터 끝 줄까지 깜짝 놀랄 만한 눈길·생각·손길·마음을 느끼면서 읽었습니다. 우리는 프랑스 싸울아비(군인)가 우리 책을 잔뜩 훔친 일을 아파하는데, 우리한테 빛살(보물)인 책은 이들이 훔친 책만 있지 않았다고 느꼈어요. 우리 삶을 적은 책이라면 모두 빛살이요, 무엇보다 ‘우리 삶을 손수 적은 책을 알아보는 눈썰미’가 책값을 한껏 살리는구나 싶더군요. 모리스 쿠랑이라는 프랑스사람이 있었기에 우리 책이 걸어온 길을 찬찬히 새기거나 갈무리할 수 있었다고 할까요. 책을 읽거나 다루는 눈길을 프랑스 이웃님한테서 고맙게 배우면서 고이 돌아보았어요.


“귀족들이 유교를 채용한 것은 우선 자기네를 민중으로부터 구별시키기 위해서였음도 사실이지만, 나중엔 그들 자신이 중국식 교훈에 너무 젖어들어서 학식이 바로 그들의 독점물이요, 그들 계급의 가장 빛나는 표지가 되는 것으로 생각하기에 이르렀다.” (101쪽)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어제책 2022.7.13.

숨은책 723


《백설공주의 계모는 어떻게 되었나》

 라이너 쿤체 글

 차경아 옮김

 두레

 1978.9.1.



  요즈음 책집에는 책이 참 많습니다. 새로 나오는 책도 예전에 나온 책도 많아요. 이 가운데 어린이책이 남달리 많아요. 갈수록 어린이책은 더 늘어날 테고, 푸른책도 꽤 나올 테지요. 그런데 웬만한 어린이책·푸른책은 ‘삶을 새롭게 읽어 스스로 생각을 북돋우는 살림길로 이끄는 징검다리’이기보다는 ‘배움틀(학습과정)에 맞춘 곁배움책(참고서·학습보조도구)’ 같습니다. 어린이 스스로 앞날을 새롭게 가꾸는 슬기로울 이야기를 담는 어린이책보다는 ‘어른들이 짜맞춘 수렁에 갇혀 고단하거나 서로 싸우는 줄거리’에 그치는 책이 지나치게 많아요. 《백설공주의 계모는 어떻게 되었나》는 1978년에 우리말로 처음 나옵니다만 일찍 사라졌습니다. 아직 어린이책이 제대로 읽히기 어려운 무렵에 나오기도 했고, 요새는 책이 넘치는 바람에 다시 읽히기 힘들 수 있습니다. 저는 어릴 적에 책은 거의 못 읽거나 안 읽으며 뛰놀고 짐(숙제)에 짓눌려 살았는데, 이즈막 어린이는 뛰놀 틈도 빈터도 없이 쳇바퀴에 갇히고 부릉이(자동차)에 얽매입니다. 어른도 아이도 발을 땅에 디디지 않는 오늘날은 책이 무슨 구실을 할까요? 하얀눈이(백설공주) 뒷이야기를 넌지시 그리면서 ‘바보스런 어른 굴레(사회)’를 나무란 책을 가만히 쓰다듬습니다.


ㅅㄴㄹ


#ReinerKunze

#DerLoeweLeopold #FastMaerchen #fastGeschichten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어제책 2022.7.8.

숨은책 69


《이 아이들을 어찌할 것인가》

 이오덕 글

 청년사

 1977.5.10.



  1995년 2월 4일, 서울 연대 앞에 있던 헌책집 책시렁에서 찾아내어 읽은 《이 아이들을 어찌할 것인가》는 제가 걸어갈 길은 스스로 열어야 한다는 대목을 일깨웠습니다. 곧이어 《삶과 믿음의 교실》을 헌책집에서 찾아내어 읽었습니다. 속으로 뜨거운 불길이 솟습니다. 지난 열두 해 동안 못 만난 길잡이를 묵은 책에서 만났어요. 열린배움터(대학교)에 들어간 지 이태째인 1995년 봄, 길잡이가 아닌 ‘고약한 샌님’이 장난치듯 읊는 자리(강의)는 돈도 하루(시간)도 너무 아까웠습니다. ‘고약한 샌님’은 ‘복사한 네덜란드말 교재’를 베껴쓰도록 시키며 하루를 때우고, 우리더러 머리카락이 길면 안 된다느니 민소매나 반바지를 입으면 안 된다느니 집회에 나가면 안 된다느니, 낡은 굴레에 가두려 했습니다. 그런데 다들 ‘고약한 샌님’한테 값(학점)이 깎일세라 눈치만 보더군요. “교수님, 아니 교수라는 이름도 부끄러운 너, 나는 너한테서 도무지 못 듣겠어. 혼자 녹음테이프 들으면서 배워도 더 빨리 잘 배우겠다. 어떻게 입시교실보다 뒤떨어지면서 머리 길이가 어떻고 옷차림이 어떻고 따지니? 너는 교육이 뭔지 알고, 삶이 뭔지 아니? 머저리 강의는 집어치워!” ‘고약한 샌님’한테 이 말을 들려주고서 열린배움터를 그만두었습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어제책 2022.7.7.

숨은책 70


《나무 위의 여자》

 줄리아 버터플라이 힐 글

 강미경 옮김

 가야넷

 2003.3.10.



  1975년에 태어나서 자라는데, 푸른배움터(중학교)에 들어설 무렵 배움책(교과서)이 통째로 바뀌어요. 배움책 말씨도 몽땅 바뀌어 예전 책은 다 버려야 했어요. 배움수렁(대학입시)을 치를 적에는 옛틀(연합고사)이 사라지고 새틀(수학능력시험·본고사)이 서요. 제 또래 사내가 싸움판(군대)에 갈 적에 방위병이 사라지면서 공익근무가 생기고, 싸움판에서 살아남아 삶터로 돌아온 1997년 늦겨울인 12월에 국제통화기금이라는 일이 불거져요. 재미난 고갯마루를 탔구나 싶은데, 《나무 위의 여자》라는 책을 읽다가, 글쓴이가 저보다 한 살 위인 벗인 줄 깨닫습니다. 숲을 숲다이 지키는 길을 가고 싶어 큰나무 한 그루에 올라앉아 이태 남짓 살았대요. 땅에 안 내려오고 오롯이 큰나무랑 한몸이 되었다지요. 틀림없이 둘레에서는 사나운 손길·발길이 춤추지만, 둘레(사회)가 아닌 나(참된 나)를 가만히 바라보도록 나무를 품으면, 숲하고 하나로 살면, 하늘빛을 머금고 빗물에 춤춘다면, 시끄러운 둘레를 밝게 어루만지는 길을 얼마든지 싱그럽게 찾아나설 만합니다. 가싯길이나 꽃길은 따로 없겠지요. 다 다른 또래(세대)는 다 다른 삶을 맞아들이며 스스로 자라요. 저 길을 가야 낫지 않으니, 이제 핑계는 그만 대고 제 별빛을 찾아야겠습니다.


ㅅㄴㄹ

#JuliaButterflyHill

#SavingtheAncientRedwoods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