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전거쪽지 2013.2.6.
 : 들바람과 구름

 


- 아침을 차리는데 작은아이가 메추리알만 쏙 골라먹었다. 큰아이더러 함께 밥상 앞에 앉은 다음 먹자 이야기하는데, 작은아이는 아버지와 누나 몰래 메추리알만 골라먹었다. 큰아이가 “달걀(메추리알) 어디 갔어?” 하고 말할 때에 비로소 알아챈다. 작은아이는 실실 웃으며 옆방으로 내뺀다. 어쩜 나날이 개구쟁이 짓만 하니. 큰아이는 한 알도 못 먹었는데 작은아이가 낼름 다 먹는 통에, 아무래도 큰아이한테 미안하구나 싶어, 면소재지 마실을 가서 메추리알을 사다가 다시 감자메추리알 삶기를 해야겠다고 생각한다. 바람이 되게 불지만, 겨울바람이니 되게 불지, 하고 생각한다.

 

- 설을 앞두고 다시 찾아오는 추위에 자전거를 몬다. 수레에 앉은 아이들은 추우면서도 “아아아아!” 소리 지르면서 잘 논다. 큰길 말고 논둑길로 달린다. 논둑길을 지나 이웃마을 안길로 달린다. 마늘밭 사이로 달린다. 마늘밭 한쪽에 배추를 나란히 심은 모습을 본다. 큰아이가 “왜 길에 저걸 심었어?” 하고 묻는다. “먹고 싶으니 배추를 심었지.” 하고 이야기한다. 자전거를 멈추고 마늘밭 배추 사진을 찍는다. 조용하다. 큰아이한테 “조용하지? 조용한데 무슨 소리가 들리지?” 하고 묻는다. “응, 조용해. 멍멍이 소리가 들려. 새 소리도 들려.” 개 짖는 소리와 멧새 날아가며 지저귀는 소리가 어우러진다. 여기에 바람 부는 소리. 새삼스럽지 않지만, 자동차 없는 고즈넉한 시골마을에서는 여러 소리에 귀를 기울일 수 있다.

 

- 면소재지 가게에서 메추리알 세 꾸러미 산다. 설에 들고 가려고 면소재지 술공장에서 빚은 유자막걸리 두 통을 산다. 아이들은 배가 안 고픈지 가게에 왔는데 과자를 집지 않는다. 좋다. 집에서 배를 채우고 나오니 이렇게 되는구나. 두 아이는 가게 골마루에서 기고 숨고 뛰며 논다. 너희는 어디에서건 스스럼없이 잘 노는구나. 좋아, 좋아. 그렇게 놀면서 크면 즐겁지.

 

- 집으로 돌아가는 길은 매서운 겨울바람이 맞받아친다. 수레에 앉은 두 아이 얼굴이 새파랗게 얼면서 떨떠름한 빛이다. 춥지? 겨울이니 춥고, 시골이니 더 춥단다. 너희는 시골 아이들이니, 이 추위에도 아랑곳하지 않으면서 씩씩하게 크기를 빈다. 너희 아버지는 이 매서운 바람을 맞으면서 자전거를 끌어. 앞으로는 찬바람 맞으며 몸이 얼고, 등판은 맞바람 헤치며 자전거 끄느라 땀이 줄줄 흐른단다.

 

- 구름을 바라본다. 마침 오늘 《하늘에 수놓은 구름 이야기》(임소혁 사진)라는 사진책을 읽었다. 구름을 이야기하는 사진책에 실린 온갖 구름을 떠올리며 하늘을 바라본다. 바람 싱싱 부는 오늘, 그야말로 갖가지 구름이 하늘 가득 흐른다. 내 마음속에 구름이 가득하니 하늘에도 구름이 가득한가. 아이들은 수레에서 바람에 덜덜 떨기에, 아버지가 구름 보면서 가자 하고 말해도 고개를 들어 하늘 볼 생각을 않는다. 그래, 너희는 추위를 견뎌라. 아버지가 실컷 구름을 마음에 담아 너희한테 나누어 줄게.

 

- 마을논 한켠에 선 빗돌 앞에서 자전거를 세운다. 빗돌 둘레에 유채꽃이 피었다가 진다. 포근한 날씨에 홀로 먼저 피었다가 찬바람 맞으며 그예 시든다. 괜찮아. 이렇게 시들면서도 너는 네 새 숨결을 씨앗에 담아 알뜰히 맺고는 조용히 스러지겠지. 네 몸이 거름이 되어 네 씨앗이 즐겁고 튼튼히 자라도록 돕겠지.

 

- 집에 닿을 무렵 큰아이가 수레에 기대어 자는 척을 한다. 아버지는 뒷거울로 큰아이 자는 시늉을 빤히 바라본다. 작은아이를 번쩍 안아서 내린다. 큰아이는 살며시 안아서 방으로 들어갈까 하다가, “너 안 자는 줄 다 알아.” 하고 말하며 번쩍 안는다. 큰아이가 빙그레 웃으면서 방으로 들어간다. “아 추워, 아 추워.” 하고 노래를 한다.

 

(최종규 . 2013 - 시골에서 자전거와 함께 살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자전거쪽지 2013.1.24.
 : 한겨울 달밤 자전거

 


- 옆지기가 과일을 먹고 싶다 말한다. 그래? 그럼 아직 면소재지 가게 안 닫았을 테니, 자전거 타고 휭 다녀오면 되지.

 

- 큰아이하고 작은아이 옷을 두툼하게 입히고 장갑을 끼운다. 내 바지 끝자락을 끈으로 묶는다. 마당에 자전거를 내놓는다. 그런데 바람이 되게 모질게 부네. 두 아이 데리고 밤저전거 타자면 퍽 힘들겠는걸. 그렇다고 힘들겠다고 생각하지 말자. 이렇게 생각하면 참말 힘들 테니까. 즐겁게 달밤 자전거를 탄다고 생각해야지. 저 달 좀 봐. 이렇게 동그란 빛깔로 환한 달이 우리를 비춰 주잖아. 달빛을 누리면서 자전거를 달리고, 별빛을 업으며 자전거를 달릴 텐데.

 

- 마을 어귀를 벗어나 첫 오르막을 만날 때 체인이 풀린다. 처음부터 모진 바람을 맞아 그만 체인까지 빠진다. 어라, 오늘은 남달리 대단하네. 이 겨울날 밤바람을 맞서며 면소재지까지 다녀와야 하는구나. 체인을 끼운다. 자전거 앞등 약이 다 떨어져서 손전등 하나를 오른손에 쥐고 달린다. 그래도 면소재지 가는 길은 등바람이 분다. 면소재지 가는 길은 내리막이라 등바람 안 불어도 되는데, 어쨌든 가는 길은 그럭저럭 괜찮다.

 

- 면소재지 가게에서 자전거를 내린다. 수레에서 아이들을 하나씩 내린다. 볼이 얼고 꼼짝을 않는다. 많이 추웠지? 괜찮아. 몸 녹이고 다시 집으로 돌아가면 돼. 과일을 산다. 아이들 다시 태운다. 자, 이제 추울 테니까 담요랑 겉옷 잘 여미어야 해. 휭휭 부는 칼 같은 바람을 맞는다. 면소재지를 천천히 벗어난다. 호젓한 시골길로 접어든다. 뒤에서 큰아이가 “아버지 추워요.” 하고 부른다. 그래, 춥지? 수레 덮개를 내려야겠구나. 덮개를 내리고 낑낑거리며 달리는데 큰아이가 또 “아버지, 아버지.” 하고 부른다. 응, 왜? 자전거를 멈추고 돌아본다. 덮개 아래쪽이 떨어져서 나풀거린단다. 그래, 덮개를 다시 여밀게. 한 발 두 발 힘을 내어 발판을 구른다. 아주 느리다. 그나마 걷기보다는 조금 빠르지만 퍽 힘이 든다. 아이들은 수레에 앉아 추운 바람 견딜 테지만, 아버지는 앞으로는 추운 바람 맞으며 몸과 얼굴과 손이 얼고, 등으로는 땀이 흥건하다.

 

- 고된 밤바람 자전거이지만, 웃으며 가자고 생각한다. 느릿느릿 발판을 구르면서 달을 올려다본다. 천천히 앞으로 나아가면서 별빛을 바라본다. 얘들아, 우리가 이렇게 시골에서 살아가기에 밤자전거도 호젓하게 타고, 차가운 겨울바람 맞으면서 한갓지게 마실 다닐 수 있단다. 겨울이니 겨울다운 바람인 줄 잘 아로새기렴. 밤이니 밤다운 별빛과 달빛인 줄 찬찬히 생각하렴.

 

- 집에 닿는다. 아이들을 수레에서 내리니, 둘 모두 춥다며 어머니를 부르면서 부리나케 방으로 들어간다. 이불을 뒤집어쓰면서 몸과 손을 녹인다. 나는 자전거를 벽에 붙이고 대문을 닫는다. 겉옷을 벗고 땀으로 흠뻑 젖은 속옷을 벗는다. 몸을 씻는다. 히유, 이제 살겠구나. 오늘은 매서운 겨울바람 실컷 먹었구나.

 

(최종규 . 201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자전거쪽지 2013.1.4.
 : 겨울은 겨울자전거

 


- 새해 겨울자전거를 탄다. 해가 따사롭게 걸릴 적에 타려고 하지만, 막상 해가 따사롭게 걸린다 하더라도 겨울은 겨울이라 바람이 차다. 그렇지만, 음성 멧골집에서 높다란 고개 너머 읍내를 오갈 적에 맞던 바람보다는 한결 따사롭다. 높다란 고개를 오르고 내리면서 얼마나 차가운 바람을 맞으며 자전거를 달렸던가. 수레에 탄 두 아이도 한결 따사로운 시골마을에서 한결 포근한 자전거를 탄다고 할 텐데, 면소재지 우체국에서 편지를 부치고 집으로 돌아오는 길에 큰아이가 아버지를 부른다. “아버지, 추워요.” 그래? 춥지? “추우니 가림막 내리자? 내리면 덜 추워.” 큰아이가 고개를 끄덕인다. 작은아이는 볼따귀 얼어붙으면서 말이 없다.

 

- 큰길을 달려 집으로 오다가, 큰길에서 벗어나 논둑길로 접어든다. 겨울 논둑길 빛깔은 겨울빛. 봄과 여름은 푸른 빛깔이라면, 가을은 살그마니 노랗게 물드는 빛깔이요, 겨울은 하얀 서리와 눈발 닮은 하양이 섞인 누런 빛깔.

 

- 마을 어귀 빈집 처마에 대롱대롱 매달린 고추자루를 본다. 빨강도 푸름도 모두 스러진 겨울인데, 고추 너만은 빨갛게 빛나네. 일찍 지는 겨울햇살 등에 업으며 집으로 돌아온다. 집에 닿아, 수레에서 내려 주니, 아이들 얼굴에도 비로소 웃음이 돈다. 자전거 타고 마실 잘 다녀왔니? 또 집에서 뛰고 구르면서 놀아라.

 

(최종규 . 2013 - 자전거와 함께 살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자전거쪽지 2013.1.8.
 : 논고양이 만나는 고흥살이

 


- 아침에 차린 밥을 낮이 되도록 먹을 생각 않는 큰아이는 집에 떼어놓고 작은아이만 수레에 태워 마실을 나온다. 마실을 나온다기보다 서재도서관에 책을 갖다 놓으려고 살짝 길을 나서는 셈인데, 큰아이더러 밥을 다 먹어야 함께 마실을 다니지, 밥을 다 안 먹으면 아무 데도 함께 가지 않겠다고 말하고 또 말하지만, 나아지지 않는다. 돌이켜보면, 말로 해서 될 일이 아니리라. 곁에 달라붙어 밥 한 술 두 술 차근차근 먹도록 북돋울 노릇이리라. 집안일로 하루해 꼴딱 넘기는 나날을 보내면서 나 스스로 지친다고 여겨, 아이가 찬찬히 밥을 먹도록 못 이끌고는 괜히 나 스스로 골을 부리는 셈이 아닌가 싶다.

 

- 집과 서재도서관 사이는 아주 가깝다. 자전거를 몰면 1분쯤 걸릴까. 그런데, 작은아이는 이동안 수레에서 까무룩 잠든다. 덜컹거리는 흙길을 지나 서재도서관 앞에 닿으니 덜컹덜컹 하는 결에 살며시 눈을 뜨기는 하지만, 이내 무거운 눈꺼풀이 된다. 쿵쿵 흔들려도 다시 깨지 않는다.

 

- 작은아이가 잠들었으니 내려서 뛰어놀라 하지도 못하고, 도서관 청소도 못한다. 다시 집으로 간다. 가만히 안아 방으로 옮긴다. 겉옷 하나 벗기고 기저귀를 댄 다음 이불을 여민다. 그러고 나서 큰아이를 부른다. 자전거 타고 싶니? 그러면 밥 한 술 뜨고 와. 밥 한 술 떴니? 그러면 한 술 더 떠. 어머니한테 겉옷 내려 달라 해. 밥 한 술 더 뜨고 신 신어.

 

- 봉룡마을 길가에 있는 기름집으로 간다. 면소재지 수협주유소는 기름값이 너무 비싸 도무지 그곳에서 기름을 못 사겠다. 봉룡마을 작은 기름집은 1370원이라 한다. 이곳도 참 비싸지만 면소재지보다는 싸다. 300리터를 넣어 달라 하고 값을 미리 치른다. 면소재지로 달린다. 모레에 아버지가 인천으로 사진강의를 다녀와야 해서, 집에 몇 가지 먹을거리를 챙기려 한다. 오늘은 면에서 살 만한 먹을거리를 사고, 이듬날에는 읍에 가서 먹을거리 더 사 두어야지.

 

- 집으로 돌아가는 길에 빈논에서 해바라기 즐기는 고양이를 여럿 만난다. 우리 마을에서도 이웃 마을에서도, 고양이들은 이렇게 논 한복판에서 해바라기를 하는구나. 논 한복판이라면 사람들이 해코지할 일도 없고, 해코지하려고 다가와도 곧 자리를 비킬 수 있으리라. 이 아이들은 논고양이라고 해야 할까. 논이나 밭은 모두 들이니까, 그냥 들고양이라고 할까.

 

- 우리 마을에 새 식구가 들어올 듯하다. 마을 안쪽 다른 빨래터 옆 빈집을 말끔히 고쳤다. 지붕과 대문과 마루 모두 퍽 돈을 들여 고쳤다. 누구일까. 누가 이 집에 들어올까. 귀촌하는 사람일까, 아니면 마을 누구네 아들이나 딸이 고향으로 돌아오는 셈일까. 며칠 지나면 곧 알 수 있겠지.

 

(최종규 . 2013 - 자전거와 함께 살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자전거쪽지 2012.12.31.
 : 겨울바람 춥다

 


- 우체국에 간다. 1월 11일에 인천 혜광학교 아이들하고 사진이야기를 나눈 다음 골목마실을 하고, 저녁에는 인천에서 사진 즐기는 분들이랑 사진이야기를 나누기로 해서, 이때에 쓸 책을 미리 부치려 한다. 상자에 책을 꾸리는데 꽤 무겁다. 두 아이를 수레에 태우고 갈 수 있을까 걱정스럽지만, 올여름에 수레 받침끈 끊어진 뒤 튼튼하게 여미었으니 버틸 만하리라 믿는다. 어쨌든 집부터 우체국까지는 살짝 내리막길이니 그럭저럭 잘 갈 수 있겠지. 우체국에 닿아 책상자 무게를 다니 15킬로그램이 넘는다. 수레에 아이 셋을 태우고 달린 셈이다.

 

- 바람이 차다. 겨울바람이니까. 아이들은 수레에 앉아 담요와 두툼한 내 옷을 덮어쓰지만, 그래도 춥겠지. 자전거 모는 나는 힘을 쓰느라 살살 땀이 돋기도 하지만, 가만히 앉아서 가는 아이들은 더 추우리라 본다. 우체국에서 책상자 보내고 집으로 돌아오는 길, 수레에 탄 아이들이 아주 조용하다. 문득 뒤를 돌아본다. 다들 추워서 덜덜 떠는 모습이다. 자전거를 세운다. “많이 춥지? 아무래도 덮개를 덮어야겠지? 덮개 내리면 한결 나을 테야.”

 

- 우체국에서 책상자를 내려놓은 가벼운 수레를 끌지만, 면소재지부터 집까지는 살짝 오르막길이니, 바람이 얼마 안 불어도 힘이 부친다. 얼굴로는 찬바람이 닿고, 등판으로는 땀이 흐른다. 여름이고 겨울이고 자전거마실은 땀잔치로구나 하고 새삼스레 생각한다. 큰아이는 몸무게가 얼마쯤 될까. 작은아이는 몸무게가 얼마쯤 되려나. 두 아이 모두 제법 몸무게 나갈 텐데. 아이들은 날마다 씩씩하게 크며 몸무게 불어나고, 아버지는 날마다 크는 아이들 끌고 다니자만 날마다 새롭게 힘을 키워야 한다. 아이들아, 너희들 참말 씩씩하게 커서, 큰아이부터 이 수레를 박차고 나와 혼자 야무지게 자전거 몰아야겠지? 큰아이 네가 먼저 수레를 박차고 나온 다음, 작은아이도 수레를 박차고 나와야겠지? 아무래도 새해 2013년까지는 둘 모두 수레를 타겠지만, 그 다음 2014년에는 큰아이 너부터 홀로타기(홀로서기) 할 수 있기를 빈다. 겨울바람은 춥지만 웃옷은 옴팡 젖는다.

 

- 서재도서관 앞부터 큰아이가 수레에 내려서 집까지 힘차게 달린다. 고맙다.

 

(최종규 . 2013 - 자전거와 함께 살기)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울보 2013-01-02 09:59   좋아요 0 | URL
정말 추운 올겨울입니다,
아이들 님 모두 건강하시기를 바랍니다,
항상 건강한 두 남매 이야기 님의 이야기 귀담아 듣는 한사람의 바람, 건강한 2013년이 되십시요,ㅡ 복도 많이 받으시고요,

숲노래 2013-01-02 10:58   좋아요 0 | URL
네, 그럼요. 울보 님도 따사롭고 추운(?) 겨울 누리시기를 빌어요.
그래도 전남 고흥 시골은 퍽 따사롭답니다.
웬만해서는 영 도 밑으로 안 내려가거든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