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과 함께 47. 뒷모습과 앞모습



  갓꽃이 핍니다. 갓이라는 풀에서 피는 꽃이기에 갓꽃입니다. 갓풀은 잎사귀를 나물로 삼아서 먹기도 하고, 갓김치를 담가서 먹기도 합니다. 갓김치를 먹어 본 분들은 많을 텐데, 막상 갓풀에서 피어나는 갓꽃을 본 분은 드물리라 생각합니다.


  유채꽃이 핍니다. 유채라는 풀에서 피는 꽃이기에 유채꽃입니다. 요즈음은 웬만한 시골마다 논이나 빈터에 유채씨를 뿌리는 경관사업을 합니다. 구경거리로 볼 만하게 가꾸는 일이 경관사업입니다. 겨울 지나고 새봄인 삼월부터 사월까지 들판을 노랗게 물들이는 유채꽃입니다.


  경관사업을 벌이며 심는 유채는 노란 꽃이 지고 나서 씨앗을 맺는데, 이 씨앗이 바람 따라 날리며 곳곳에 드리웁니다. 꽃만 보도록 심은 유채이지만, 바람 따라 숲이나 들이나 마당에 내려앉은 유채씨는 해를 거듭하면서 나물로 거듭납니다. 잎이 펑퍼짐하게 퍼지고, 야들야들 맛난 나물이 됩니다.


  예부터 갓이나 유채는 따로 씨를 뿌리지 않았습니다. 꽃이 진 뒤 맺는 씨방이 무르익어 터지면 바람 따라 곳곳에 퍼져요. 겨울과 봄에 갓잎이나 유채잎이 돋으면 사람들은 즐거우면서 고맙게 갓잎과 유채잎을 얻었습니다.


  먼발치에서 바라보면 갓꽃과 유채꽃은 거의 똑같다 할 만합니다. 꽃으로만 놓고 본다면 갓꽃과 유채꽃에다가 배추꽃을 가리기란 퍽 어렵다 할 만합니다. 그러나, 시골에서 갓이랑 유채랑 배추를 돌보면서 살아가는 사람이라면 한눈에 알아보리라 생각해요. 늘 보고 언제나 함께 있으면 못 알아볼 턱이 없습니다.


  어버이라면 누구나 제 아이를 멀리에서도 알아봅니다. 수백 사람이 함께 찍어 머리만 깨알같이 나온 사진을 들여다보아도 어버이는 제 아이를 알아봅니다. 어버이라면 뒷모습으로도 제 아이를 알아봅니다. 앞모습도 알고 뒷모습도 아는 우리 아이예요. 몸과 마음을 함께 알고, 몸으로도 마음으로도 함께 살아가는 살붙이입니다.


  우리 집 옆밭에서 돋는 노란 갓꽃을 아이가 물끄러미 바라봅니다. 갓꽃을 바라보는 아이 뒤에 서서 아이를 물끄러미 바라봅니다. 바람이 고요하고 햇살이 포근합니다. 봄볕이 흐르고 봄바람이 살랑입니다. 갓꽃이 흔들립니다. 아이는 한참 꽃을 구경하다가 다른 데로 가서 까르르 웃으며 뛰놉니다. 나도 이제 꽃은 그만 구경하고 아이 뒤를 따라 다른 데로 가서 함께 놉니다. 4347.4.26.흙.ㅎㄲㅅㄱ


(최종규 . 2014 - 사진책 읽는 즐거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사진과 함께 46. 함께 걷는 사진



  네 식구가 함께 걷습니다. 시골버스는 우리 마을 어귀를 두 시간에 한 차례 지나갑니다. 버스 타는 때가 안 맞으면 이웃마을로 걸어갑니다. 네 식구가 이십 분쯤 걸려 이웃마을 큰길로 걸어갑니다. 큰아이는 혼자서 저 앞에서 걷습니다. 몸도 키도 작으나 걸음이 잽니다. 총총총 날듯이 나비걸음으로 앞장섭니다. 뒤에서 동생이 곁님 손을 잡고 걷습니다. 작은아이는 날마다 다리힘이 붙습니다. 얼마 앞서까지 이 길을 혼자서 걷지 못해 업히거나 안겼으나, 이제는 손을 잡고 씩씩하게 걷습니다.


  아이들은 몸이 차츰 자랍니다. 아이들이 자라면서 둘레 삶자락을 바라봅니다. 어른들은 마음이 차츰 자랍니다. 어른들은 자라면서 둘레 삶터를 헤아립니다.


  함께 걷는 길을 사진에 담습니다. 네 식구가 걷지만 사진에는 언제나 세 사람만 나옵니다. 사진을 찍는 사람은 어떤 모습인지 사진에 안 나옵니다. 그러나, 사진에 찍힌 식구들 모습을 살피면 사진 찍은 사람이 어떤 모습인지 마음으로 그릴 수 있습니다. 함께 즐겁게 걷는 길이라면, 사진 찍은 사람 모습이 없어도 모두 즐거운 빛이 흐릅니다. 함께 걷되 즐겁지 못한 길이라면, 찍힌 사람도 찍은 사람도 모두 즐겁지 못한 빛이 감돕니다.


  사진이 태어나는 곳은 우리가 살아가는 곳입니다. 내가 이곳에서 우리 삶을 사진으로 찍든, 이웃이 우리 보금자리로 찾아와서 사진으로 찍든, 모두 삶을 찍습니다. 내가 비행기를 타고 먼먼 나라로 찾아가서 사진을 찍는다 할 적에도, 먼 곳에 있는 이웃이 누리는 삶을 사진으로 찍습니다. 스튜디오나 사진관에서 찍을 적에도, 이제껏 살아온 발자국이 고스란히 사진에 깃듭니다.


  한 발 두 발 걷습니다. 천천히 걷습니다. 한 장 두 장 찍습니다. 천천히 찍습니다. 사진은 오늘 하루에 다 찍어야 하지 않습니다. 오늘 하루에 수십 장이나 수백 장을 찍어 건사할 수도 있으나, 여러 날에 걸쳐 찍을 수 있는 사진이요, 여러 달에 걸쳐 찍을 수 있는 사진이며, 여러 해에 걸쳐 찍을 수 있는 사진입니다.


  어느 한 가지를 사진감으로 삼았으면, 아침과 낮과 저녁과 밤과 새벽에 따라 달라지는 빛을 살펴보셔요. 여러 날에 걸쳐 다시 바라보고, 여러 달에 걸쳐 꾸준히 바라보며, 여러 해에 걸쳐 천천히 바라보셔요. 삶길을 함께 걸으면서 사진을 찍는 동안, 내 삶도 이웃 삶도 오순도순 어깨동무하면서 즐겁게 피어납니다. 4347.4.26.흙.ㅎㄲㅅㄱ


(최종규 . 2014 - 사진책 읽는 즐거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골짝물 사이에 가랑잎



  가랑잎이 진다. 골짜기에 떨어진다. 골짝물이 흐른다. 골짜기에서 흐르다가 돌에 걸려 멈춘다. 비가 내려 물살이 빨라지면 가랑잎은 다시 물을 타고 흐르겠지. 바람이 불어 휙 날려 주면 더 멀리 나들이를 하겠지. 비가 내리지 않고 바람이 불지 않으면, 가랑잎은 이곳에서 천천히 삭아 골짝물 바닥으로 내려앉으면서 시나브로 흙으로 바뀌겠지. 4347.4.26.흙.ㅎㄲㅅㄱ


(최종규 . 2014 - 꽃과 책읽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돌놀이 2 - 치마에 돌을 그러모아



  골짝물에서 놀며 돌을 치마에 그러모은다. 이쪽저쪽으로 옮긴다. 새로운 놀이를 찾았다. 온몸을 물에 적시고, 돌을 나르면서 새로운 만들기가 이루어진다. 돌을 옮기니 물살이 바뀐다. 바뀌는 물살 따라 물놀이가 재미있다. 4347.4.26.흙.ㅎㄲㅅㄱ


(최종규 . 2014 - 놀이하는 아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곡마단 사람들



  2004년 1월 5일에 나온 사진책 《곡마단 사람들》(호미 펴냄)이 있다. 이 사진책을 선보인 오진령 님은 꼭 열 해만에 새로운 사진책을 선보였다고 한다. 서울에서 사진잔치도 연다는데, 내가 살아가는 시골과 서울은 너무 멀어서 찾아갈 수는 없다. 먼발치에서 축하하는 마음을 보낼 뿐이다.


  《곡마단 사람들》을 2004년에 선보였고, 《짓》(이안북스 펴냄)을 2014년에 선보인 오진령 님이 오늘 낮 전화를 걸어 준다. 전화를 받고 깜짝 놀라면서 반갑고 미안하다. 오진령 님은 내가 2004년에 이녁 사진책을 놓고 쓴 느낌글을 무척 좋아해 주신다고 말하는데, 자그마치 열 해 앞서 쓴 내 글은 몹시 부끄럽다. 다시 들여다보고 싶지 않다.


  그렇지만, 그 느낌글을 열 해가 지난 오늘까지도 좋게 여기며 내 전화번호를 알아내어 전화를 걸어 주니 얼마나 고마운가. 여러모로 생각해 본다면, 내 느낌글도 열 해가 묵었으나 오진령 님 사진책도 열 해가 묵었다. 서로 열 해가 묵기로는 매한가지이다. 어찌 생각하면 오진령 님도 열 해 앞서 찍은 사진을 ‘그때로서는 조금 설익어서 부끄럽다’고 여길 수 있지 않을까.


  사진길을 쉰 해쯤 걸어온 어르신이라고 해서 오늘 모습이 가장 빛난다거나 훌륭하다고는 느끼지 않는다. 사진길을 쉰 해 걸었어도 앞으로 열 해 더 걷는다면, 열 해 뒤에는 오늘 이녁 모습을 부끄럽게 여길 만하지 않을까. 우리는 날마다 새롭게 배우며 살아가는 숨결이니까.


  열 해 앞서 즐겁게 읽은 사진책을 새삼스레 되새긴다. 나는 《곡마단 사람들》이라는 사진책을 지난 열 해에 걸쳐 열다섯 권쯤은 장만했지 싶다. 이 가운데 한 권만 내가 건사하고 나머지 열네 권쯤은 이웃한테 선물했다. 이만 한 사진책을 보시라고 이웃한테 내밀었고, 이러한 사진책이 한국에서 예쁘게 태어났다고 알려주었다. 앞으로 열 해가 새롭게 흘러도 2004년에 《곡마단 사람들》을 만났던 느낌은 오래오래 새삼스레 이어가겠지. 4347.4.25.쇠.ㅎㄲㅅㄱ


(최종규 . 2014 - 책과 책읽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