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밥벌레 2023.10.29.해.



밥을 먹으니 ‘밥·보’이고, ‘밥·벌레’야. 다만, 밥을 먹기만 할 뿐이니 ‘밥보·밥벌레(밥버러지)’라 하겠지. 너희는 사람끼리 ‘밥사람’이라 하지 않아. 그렇지만 ‘이팝나무’라 하고, ‘밥꽃’이나 ‘밥동무’라 할 적에는 따뜻하거나 아늑하거나 즐거운 기운이 흐른다는 마음을 나타내지. 그러니까 곰곰이 생각해 보렴. ‘바보(밥보)’라는 낱말은 놀리거나 깔보거나 얕보는 마음이 깃들지 않아. 애벌레는 아기벌레이잖니? 사람이 낳은 아기는 엄마젖을 물며 무럭무럭 커. 아이로 뛰놀 적에도 으레 ‘밥아이’란다. 아이는 ‘밥짓는 아이’가 아닌 ‘밥 실컷 먹는 아이’야. ‘아기벌레·아이벌레’인 ‘애벌레’도 같아. 눈코입은 없지만, 무럭무럭 크려고 날마다 잎을 실컷 갉아. 나무도 풀도 ‘아기(애벌레)’한테 기꺼이 뭇잎을 내어주고 새잎을 꾸준히 내놓지. 풀과 나무는, 엄마아빠가 아기를 오직 사랑으로 돌보듯 애벌레를 푸르게 돌봐. 이윽고 아기는 혼자 서고 걷고 달려. 활짝 웃고 말을 터뜨리고 노래하고 춤추면서 온집과 온마을을 사랑으로 흠뻑 적시지. 애벌레는 입에서 실 한 오라기를 내놓고서 고치를 틀어 깊이 잠든단다. 사람 아이는 어린이에 푸름이를 거치며 생각이 깊고 철이 들어. 애벌레는 고치에서 깊이 자고서 드디어 깨어나는데, 날개에 더듬이에 눈코귀 모두 생겨. ‘밥아이’는 ‘어른’이 된단다. ‘밥벌레’인 애벌레는 나비가 돼. 자, ‘바보(밥보)’는 어떤 빛이 될까? 너희는 스스로 어떤 숨결로 눈뜨고 깨어나겠니?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숙제를 2023.10.30.달.



지난날 배움터(학교)에서는 무척 오랫동안 어린이·푸름이한테 짐을 떠넘기고 때리고 누르고 가두고 길들였어. 지난날에는 다들 ‘숙제 = 짐’이었단다. 그런데, 짊어지고 맞고 눌리고 갇히고 길든 쳇바퀴에서 허덕이던 아이들이 차츰 자라 어른으로 서면서 “더는 안 되겠어! 우리는 새로 낳아 돌볼 아이한테 이 짐을 이어주지 않겠어!” 하고 꿈을 그렸단다. 오래도록 배움터에는 짐도 주먹질·매질도 잦았지만, 어느새 조금씩 잦아들었어. 이윽고 요사이는 ‘숙제 = 익힘’으로 천천히 바뀌어 간단다. 이제 아이를 함부로 때리거나 괴롭히는 늙은사람이 확 줄었어. 그래도 아직 어린이·푸름이가 기지개를 활짝 켜지는 못 하지. 자, 생각을 해보자. ‘좋거나 싫다’는 금이 아닌, 스스로 보고 듣고 겪고 배우고 받아들이려면, 무엇이든 두고두고 새기면서 차분히 돌아볼 노릇이야. ‘익힘’은 사람이 밥을 익히거나 해가 열매를 익히듯, 누구나 넉넉하며 즐겁게 맞이할 수 있도록 알차게 돌보아낸다는 뜻이야. 밥을 익히거나 열매가 익거나 ‘따뜻볕’이라는 기운을 고루 품어. ‘설익은’ 밥은 못 먹겠지? ‘덜익은’ 열매도 못 먹을 테고. ‘무르익을’ 때까지 느긋이 지켜보면서 포근하게 온사랑을 담아서 두고두고 가꾸기에 ‘익힘’이요, 숙제란 바로 이 ‘익힘’으로 나아갈 노릇이란다. 숙제를 내는 사람은 먼저 새로 익히면서 내기에 새삼스레 배워. 숙제를 받는 사람은 새롭게 보고 맞아들일 이야기를 그리면서 설렌다면 새록새록 눈을 빛내면서 자라나지. ‘짐’이 아닌 ‘익힘빛’으로 나아가자.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나뭇잎 2023.10.31.불.



나뭇잎은 데구르르 잘 굴러. 나뭇잎은 바람이 불면 훅 날아오르기도 하지. 나뭇잎은 함께 구르고 함께 날아. 먼저 가겠다면서 앞지르지 않고, 다른 나뭇잎을 밀거나 당기지 않지. 너희 사람들을 보면 으레 끼어들거나 밀거나 당기거나 밟더구나. 왜 그러니? 그저 가면 되고, 기다리면 되고, 때와 곳을 누리면 될 텐데. 빨리 가겠다며 밀치거나 새치기를 해본들, 얼마 안 지나 똑같거나 비슷하거나 뒤처지기도 해. 그런데도 밀치거나 새치기를 멈추지 않네. 뒤로 빼돌리거나 못된 짓을 해본들 늘 스스로 돌려받게 마련인데, 빼돌림짓에 뒷짓에 못된짓을 안 멈추네. 나뭇잎을 봐. 새벽이면 이슬을 넉넉히 맞아들여서 나무를 적시는구나. 봄여름이면 햇볕을 듬뿍 맞아들이다가도 애벌레 찾아오면 기꺼이 온몸을 내어주고서 새로 돋아나네. 그래, 고스란히 주니까 새로 돋아. 다 내어주면서 푸르게 웃으니까, 부드럽고 싱그럽게 새로 태어나. 여름에 지는 나뭇잎도 있지만, 가을겨울에 많이 지고, 다들 흙으로 돌아가. 나무뿐 아니라 풀도 개구리도 지렁이도 살리고 덮어주는 나뭇잎이야. 흙을 새로 북돋우고 온누리를 포근히 덮는 나뭇잎이지. 저 구름은 어디에서 왔을까? 저 구름은 어디로 갈까? 너라는 사람은 어디에서 왔을까? 너는 어디로 갈까? 하늘을 덮는 구름과 땅을 덮는 나뭇잎 사이에서, 너는 어떤 사람으로 하루를 살아가려나? 춤추고 노래하는 구름과 나뭇잎을 가만히 보고 느끼고 받아들이렴.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축제 2023.11.1.물.



모든 하루가 새로 태어나는 날인 줄 안다면 날마다 새잔치(생일잔치)를 하겠니? 사람은 굳이 안 먹어도 즐겁게 살아갈 수 있으니, 날마다 애써 밥을 차려서 먹는다면, 너희는 늘 ‘새잔치’를 하는 셈이야. 곁밥(반찬)을 잔뜩 놓아야 잔치이지 않아. 웃고 떠들면서 먹다가 깔깔깔 이야기하고 노래하는 자리라면 모두 잔치판이란다. 목돈을 들이기에 잔치이지 않아. 오늘 이 하루가 아름다운 줄 느끼면서 날마다 새롭게 사랑씨앗을 심는 길을 펴려는 잔치란다. 너희는 으레 ‘불꽃축제·유자축제’처럼 ‘축제’를 열고 ‘박람회·전시회’를 꾀하고 크게 판을 깔려고 하더구나. 다른 사람들을 그득그득 모아서 춤자랑·노래자랑에 술과 밥을 넘치게 놓아야 ‘잔치’인 줄 잘못 여겨. 그런 모든 허울은 ‘잔치’가 아닌 ‘자랑’이고 자질구레하지. ‘불꽃축제·유자축제’에 무슨 기쁨과 이야기가 있니? 돈을 억수로 쏟아붓는 구경거리는 ‘새잔치’가 아닌 ‘죽음수렁’이야. 모든 하루를 새벽에 맞이하고, 아침에 해바라기로 열고, 낮에 일하며 놀고, 저녁에 둘러앉아 얘기하고, 밤에 몸을 쉬며 다시 꿈을 그릴 줄 알면, 넌 이 수수한 몸짓과 말 한 자락이 늘 기쁘게 살찌우는 줄 알아가겠지. 먼발치에서 찾지 마. 멀리 내다볼 줄 몰라도 돼. 네 마음을 보고, 네 발밑을 보고, 네 머리 위로 뜨고지는 해와 별을 보고, 네 눈망울에서 피어나는 빛을 보렴. 노닥거리는 축제는 치우자. 어질어질 시끄럽게 떠드는 곳은 너희 숨·꿈·사랑·빛을 몽땅 잡아먹지. 아침저녁으로 늘 새롭게 집안잔치를 이루렴.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살림말


절뚝 : 왼무릎을 누가 송곳으로 찌르는 듯 쑤시지만, 낯에 티를 내지 않고 절뚝거리며 걷는다. 같이 있는 사람이 잰걸음으로 앞서간다. 낯에 티를 내지 않으나, 절뚝거리느라 말소리를 내기 버겁다. 뒤도 안 돌아보면서 재게 혼자 나아가는 사람은 누구일까? 어떤 마음일까? 절뚝이는 옆사람을 헤아리지 못 한다면, 어떤 어깨동무(민주·평등·평화)를 펼 수 있을까? 절뚝이며 등줄기로 땀을 쏟는 사람을 알아차리지 않고서 혼자 빠르게 걷는 사람은 어떤 책을 어떻게 읽을까? 사람들은 권정생이니 이오덕이니 전우익이니 하는 책을 꽤 읽기는 하지만, 정작 바로 옆에 있는 사람이 다리를 절뚝이면서 땀을 한참 쏟아도 나란히 걸을 줄 모른다. 2023.11.4.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