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살림말


로봇 인권선언 : 누구나 몫을 누리기에 목숨이다. 흙하고 모래한테도, 빗물하고 바닷물하고 이슬한테도, 개미하고 벌하고 지렁이한테도 몫이 있다. 사람들이 서로 빼앗거나 다투거나 겨루거나 따돌리거나 괴롭히는 얼거리를 들여다보노라면, 이웃몫을 안 보는 얕은 마음이 도사린다. 요즈막에 ‘짐승몫(동물권)’을 말하는 분이 꽤 있다. 고기밥은 꺼리면서 풀밥을 먹는다는 분이 늘어난다. 그러면 ‘푸나무몫(식물권)’을 헤아릴 수 있을까? ‘물고기’가 아닌 ‘헤엄이’로 여길 줄 안다면, 풀이라고 해서 함부로 밥으로만 삼을 수 없는 노릇이다. “어떻게 풀한테까지 몫을 챙겨 줄 수 있느냐?”고 되묻는다면, 짐승몫을 어떻게 왜 따지는지 스스로 돌아볼 일이다. 고깃살 한 젓가락하고 풀잎 하나도 똑같은 숨결이다. 고기밥을 누리든 풀밥을 누리든, 우리한테 밥이 되어 준 모든 숨결한테 고개숙이고 고마워할 줄 알아야 사람이리라 본다. 예부터 숲에서 나무를 베어 집을 지을 적에 그냥 나무베기를 하지 않았다. 베려고 하는 나무한테 한참 절을 한다. 나무한테 오래오래 말을 걸었다. “그동안 이 숲에서 자라 주어 고마워. 네 몸으로 집을 지을게. 네 씨앗이 이곳에서 새롭게 싹터서 새나무로 자라도록 힘쓸게.” 하고 속삭이고 다시 속삭여서 나무가 받아들이고 난 뒤에라야 나무를 베었다. 풀밥을 먹을 적이든 고기밥을 먹을 적이든, 뭇숨결한테 고개숙이는 고즈넉한 마음부터 다스릴 일이다. 이렇게 마음을 다스리는 하루라면, ‘돌사람몫(로봇 인권)’을 헤아릴 수 있겠지. 테즈카 오사무 님은 《우주소년 아톰》이라는 그림꽃을 1950년대부터 그렸는데, 이 그림꽃에 ‘로봇 인권선언’을 담았다. 우리는 1950년이나 1960년에 ‘로봇 인권선언’은커녕 ‘나무 인권선언’은커녕 ‘헤엄이 인권선언’은커녕 ‘사람 인권선언’조차 밝히지 못 했다. 2020년을 넘었으나 아직 ‘사람 인권선언’조차 제대로 못 선다. ‘어린이몫’도 ‘어른몫’도, 무엇보다 ‘사람몫’마저 아직 까마득하다. ‘시골몫’이나 ‘숲몫’이나 ‘바다몫’을 헤아리는 이웃은 몇이나 될까? 내 목아지가 대수롭듯, 네 목아지가 대수롭다. 사람 목숨마다 값이 있듯, 푸나무와 숲짐승과 헤엄이와 모든 숨결한테도 값이 있다. 2021.12.20.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죽어간다 2023.12.1.쇠.



죽어가는 사람은 죽음이 무섭고 두렵고 싫어서 자꾸 떨치려 하다가 벌벌 떨어. 죽어가는 사람은 죽어가는 줄 문득문득 느끼지만 죽음을 받아들일 마음이 없어. 죽어가는 사람은 스스로 사랑하는 마음부터 잊고, 이웃을 사랑하는 눈을 버렸어. 죽어가는 사람은 죽지 않기를 바라지만, 안 죽고서 어떻게 사랑으로 살아가겠다는 꿈이 없어. 무서움·두려움·싫음·시샘이 가득하기에, 이런 마음에는 사랑이 깃들거나 싹트거나 자랄 틈이 없단다. 죽어가는 사람은 곧 죽는데, 무섭고 두렵고 싫은 모든 수렁을 치르고 맛보아야 죽지. 그냥 안 죽는단다. 마음에 ‘죽음’이랑 ‘죽기 싫다’는 수렁을 파놓았으니, 이 수렁을 실컷 누릴밖에 없어. 죽어가는 사람은 삶도 모르지만, 죽음이 무엇인지 아주 몰라. ‘삶죽음’이나 ‘죽살이’를 안다면 죽어갈 까닭이 없어. 삶은 삶대로 모르거나 등진 채, 죽음은 죽음대로 등돌렸으니, 그저 죽어갈 뿐이야. 넌 죽어가고 싶니? 넌 죽고 싶니? ‘살아가지’ 않고 ‘죽어가야’ 할 까닭이 있니? 나무나 풀은 죽어가지 않아. 풀벌레나 나비나 매미도 죽어가지 않아. 모두 살아간단다. 살아가는 숨결이라서 저마다 이 삶을 빛내는 씨앗을 남기면서 열매를 맺어. 풀과 나무도 씨앗과 열매를 내놓아. 모든 숨붙이·벌레·짐승도 씨앗과 열매를 내놓지. 너는 사람으로서 무슨 씨앗과 열매를 맺는 삶이니? 너는 사람으로서 어떻게 살림을 하고 사랑을 하니? 네 하루가 씨앗과 열매를 바라보는 꿈길이라면, 넌 늘 살아간단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무덤 2023.12.2.흙.



가지나 줄기가 매단 잎은 푸르지. 잎이니 푸르고, 나무하고 풀이 파란바람을 머금어서 푸르단다. 나무나 풀은 해마다 잎갈이를 해. 철이 돌고돌잖니. 새롭게 맞이하는 철을 넉넉하고 즐겁고 아늑하게 맞이하려고 잎갈이를 한단다. 이때에 푸른잎은 새롭게 물들어. 노랗게도 발갛게도 붉게도 물들면서 앞으로 나아갈 길을 새록새록 받아들여. 새철이 스미기에 ‘잎물’이 든단다. 봄에 망울을 새로 틔울 적에는 아직 줄기하고 같은 빛깔인데, 새바람에 새볕을 머금는 새철인 봄이며 여름에는 풀빛을 이뤄. 이 풀빛인 잎빛은 온누리를 푸근하게 덮지. 무엇이든 품으면서 풀어내는 풀잎하고 나뭇잎은 가을이 깊어 겨울로 가는 길에 꿈을 그린단다. 겨우내 잠들어서 흙한테 스미면서 나아갈 새길이 무엇일까 하고 헤아려. 자, 그러면 너희 사람은 어떠한지 보렴. 철갈이를 하는 사람일까? 철맞이를 하는 사람일까? 철들면서 하늘숨을 머금어 스스로 푸르게 깨어나다가 노을빛에 햇빛에 열매빛으로 무르익은 사람일까? 철빛으로 물들지 않으면서 철없이 뒹굴거나 쳇바퀴이지는 않을까? 먼먼 옛날부터 푸나무도 짐승도 벌레도 헤엄이도 무덤을 쌓지 않았어. 사람도 무덤 없이 보금자리를 지었단다. 너희는 들숲메를 깎고 밀어서 무슨 짓을 하는지 생각해야 해. 풀과 나무가 자라서 이 별을 아름다이 품고 풀어낼 숨결을 깡그리 잊은 하루가 아닌지 부디 돌아보렴.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주장 2023.12.3.해.



너희는 두 가지 ‘주장’을 말하는구나. 무리를 앞장서서 이끄는 사람인 ‘주장’ 하나에, 무엇보다 앞세우고 싶다는 뜻으로 ‘주장’을 쓰네. 그런데 왜 무리에서 ‘주장’이 되거나, 너희 목소리를 ‘주장’해야 할까? 어느 무리·모임·자리·두레·마을·나라일 적에는 누구나 이끌 수 있을 노릇이야. 저마다 다르게 ‘이끎이’요 ‘앞님’이지. 누구나 살림빛을 읽어내어 ‘길잡이’ 노릇을 할 적에 어느 무리·모임·자리·두레·마을·나라는 아름답고 즐겁겠지. 한두 사람이나 몇몇 사람이 이끄는 대로 우르르 몰리거나 쏠린다면 참으로 가난하고 허술해. 너희가 내는 목소리는 늘 빛날 노릇이야. 어느 한 가지 목소리만 키운다면, 너희 스스로 텅텅 빈수레로 떠드느라 시끄럽겠지. 들판에 심은 나락이 모두 나란한 키여야 할까? 모든 사람이 똑같이 옷을 맞추고 똑같이 말해야 할까? 가만히 보면, 너희는 ‘다 다른 몸으로 사는 사람’인 주제에, ‘모두 똑같이 찍어낸 아파트와 자동차와 손전화와 학교’에 길든 채 지내더구나. 길들었기에 길든 줄 모를까? 길들었기에 길든 줄 알면서 그냥 지나갈까? 집에서는 한집을 이루는 누구나 길눈을 밝히고 말소리를 나누어야 살림을 이루고 이야기를 잇는단다. 배움터(학교)에서는 아이어른이 나란히 이끌고 이야기해야 함께 배우고 익힐 테지. 잘 생각하렴. 너도 네 곁이나 둘레에 있는 모두가 다 다르게 스승이면서 살림빛이란다. 지는 해도 뜨는 해도 그저 해야. 모든 구름은 아주 먼 옛날부터 늘 달랐어. 오늘은 무슨 말을 하겠니? 오늘은 어디를 걸어가니?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알짜 2023.12.4.달.



냇물에 발자국을 통통 튀기면서 물떼새가 날아가는구나. 너는 문득 바깥을 보다가 물떼새 발걸음하고 날갯짓을 느꼈어. 기차를 타고 달리다가 졸려서 한참 잔 뒤에 눈을 떴더니 바로 새부터 만났구나. 무슨 뜻일까? 아무 뜻이 없을까? 네가 시골에서나 서울에서나 골목을 거닐 적에 앞뒤에서 붕붕 내달리는 쇳덩이(자동차)를 부대끼는데, 아무 뜻이 없을까? 모두 뜻이 있고, 늘 다시 배우고, 하루하루 새롭게 느껴서 누릴 삶이야. 어떤 일을 치르거나 보거나 겪든 너 스스로 마음에 둘 씨앗을 곰곰이 살필 노릇이지. 너는 네 마음에 기쁨씨나 놀람씨나 웃음씨를 묻을 수 있어. 울음씨나 슬픔씨나 미움씨를 심을 수 있지. 이미 묻은 씨앗을 바꿀 수 있고, 한참 예전에 심은 씨앗이 다르게 자라도록 바꿀 수 있지. 오늘 문득 씨앗을 어떻게 다독이고 싶니? 네 씨앗으로 자라는 마음을 어떻게 품겠니? 좋은일이 없어서 좋은마음일 수 없다고 여기지는 않아? 그런데 좋은일이 따로 있어? 네가 스스로 다듬거나 가꾸지 않아서 ‘안 좋게 여길 일’이지는 않아? 씨앗에는 ‘알짜’를 둘러싼 ‘속살’이 있고, 속살을 감싼 ‘겉살·겉껍질’이 있어. 모두 아울러서 씨앗이야. 넌 알맹이만 있으면 된다고 여길는지 모르는데, 알짜를 감싼 옷이 있어서 씨앗 한 톨이 흙한테 안겨서 깨어난단다. 너는 넋한테 네 몸이라는 옷을 입혔기에 삶을 누려. ‘넋(알짜)’만으로는 살지 않아. ‘늘 있는 빛’인 넋(알짜)이 옷(겉·몸)을 입어서 삶이야.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