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츠바랑! 14
아즈마 키요히코 지음 / 대원씨아이(만화) / 2018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만화책시렁 28


《요츠바랑 14》

 아즈마 키요히코

 김동욱 옮김

 대원씨아이

 2018.4.30.



  《요츠바랑》 열네걸음을 읽으며 다시금 생각합니다. 열세걸음이며 열두걸음이며 열한걸음이며 읽을 적에도 ‘다음 책’은 더 사지 말자고 생각했어요. 그런데 또 다시 사고는 거듭 뉘우칩니다. 이야기를 제대로 잇기보다는 질질 끄는 이 만화를 말이지요. 요츠바 이야기가 흐르는 만화책을 읽는 이는 어느새 훌쩍 자라지만, 이 만화책에 나오는 사람은 앞으로도 자랄 낌새가 없습니다. 어린이 요츠바뿐 아니라 둘레 어른도 거의 다섯 살 또래 눈높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어린 요츠바는 열네걸음에 이르기까지 ‘둘레 어른이 들려주거나 보여주거나 알려주는 길’에 젖어들 뿐, 스스로 새롭게 짓는 길이나 새롭게 꿈꾸어 생각을 펴는 길은 좀처럼 드러내지 못합니다. 다섯 살 아이가 ‘선물받기’에 길들 뿐, 스스로 이웃이나 동무한테 선물하기를 헤아리지 못한다면, 이 아이는 하루를 어떻게 보낼까요? 어른은 아이한테 선물을 주는 사람이 아닙니다. 어른은 아이하고 하루를 새롭게 배우면서 함께 자라는 넋이지 싶습니다. 이제 참말로 끊자고, 다음 이야기나 마지막 이야기가 나오든 말든, 더 쳐다보지 않기로 다짐합니다. ㅅㄴㄹ



“얀다는 선물 안 갖고 오네.” “선물? 누구한테?” “요츠바한테.” “요츠바한테? 왜?” “점보는 맨날 아이스크림, 비즈, 그림책이나 스티커처럼 이것저것 갖고 오는데.” “음. (점보는) 당연한 일을 했을 뿐이야. 어른이니까.” (109쪽)


(숲노래/최종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하쿠메이와 미코치 1 - 9cm 요정들의 알콩달콩 숲 속 생활
카시키 타쿠토 지음, 이기선 옮김 / 길찾기 / 2015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만화책시렁 27


《하쿠메이와 미코치 1》

 카시키 타쿠로

 이기선 옮김

 길찾기

 2015.4.30.



  하나씩 배우는 길이란 즐겁습니다. 저는 이제껏 살며 날마다 배우기에 새롭게 숨결을 얻는다고 느꼈어요. 배우지 못하면 죽은 삶이라고 여겼어요. 누가 이를 가르쳐 주지는 않았습니다. 그저 문득문득 느꼈고, 어느덧 ‘문득문득’이 ‘깊이깊이’로 바뀌었습니다. 《하쿠메이와 미코치》 첫걸음은 매우 자그맣게 보이는 두 사람이 짓는 살림을 보여줍니다. 다만 ‘사람 몸집’하고 댈 적에 자그마한 ‘두 사람’인데, 둘은 ‘숲 정령’이나 ‘숲 천사’일 수 있고, ‘작은이’일 수 있어요. 아무튼 둘은 어느 날부터 한집살림을 가꾸면서 지내는데, 저잣거리에서 요모조모 장만해서 쓰기도 하지만, 거의 모두 손수 지어서 씁니다. 한창 만화책을 읽다가 생각해 보았어요. 우리는 참말 누구나 예전에는 모두 손수 지어서 썼어요. 먹는 밥도, 입는 옷도, 자는 집도, 참말로 모든 사람이 손수 다룰 줄 알았습니다. 오늘날에는 밥이며 옷이며 집이며 돈으로 사다가 쓰기만 해요. 작은 만화책 하나입니다만, 우리가 늘 누구나 하던 살림을 이제 까맣게 잊고 말면서, 시나브로 이런 이야기를 만화로 알게 모르게 자주 담아서 나누는 흐름은 아닌가 싶곤 해요. ㅅㄴㄹ



“항구 보고 집에 갈까?” “하지만 지갑…….” “이제 됐어. 오늘 난 하쿠메이랑 놀러와서 빈털터리가 되어 돌아간다, 그거면 충분해.” (149쪽)


(숲노래/최종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 읽기 2018.6.2.


《행복한 꽃차 만들기》

이영득·고찬균 글·사진, 황소걸음, 2018.3.5.



올해로 접어들어 새로 배운 하나는 ‘덖음질’이다. 사전 짓는 길을 걸으며 말을 늘 새로 돌아보며 배우는데 ‘덖다’라는 말을 처음 마주하던 무렵, 나 스스로 무언가 덖어 보지 않고는 이 낱말을 쓰거나 알려줄 수 없겠다고 느꼈다. 이렇게 느끼고서 스무 해쯤 되었지 싶네. 입으로만 읊는 ‘덖다’가 아닌 손수 ‘덖어’ 보고서 말할 줄 아는 살림이. 이른봄부터 한창 쑥차를 덖고 뽕잎차랑 감잎차를 덖을 무렵 《행복한 꽃차 만들기》라는 책이 나온 줄 알았고 냉큼 장만해서 읽었다. 온갖 꽃잎이며 풀잎을 찻물로 누릴 수 있다는 이야기를 큼지막한 사진으로 보여주는데, 막상 꽃잎이나 풀잎마다 ‘몇 분 몇 초’를 ‘어느 온도’로 ‘몇 벌’ 덖으면 되는가 하는 대목은 꼼꼼히 짚지 않는다. 이 짜임새로는 유튜브나 인터넷을 뒤질 적보다 자료가 허술하다. 다만 손수 이모저모 찾아보거나 이웃님한테 여쭈어 배우기까지는 퍽 오래 걸리되, 책으로는 그냥 곁에 두고 살피니 매우 좋은 도움벗이기는 하다. 무엇보다 모든 꽃잎·풀잎·나뭇잎은 고장마다 철마다 다르기에, 책으로 낱낱이 짚을 수 없다고 할 만하겠지. 그러나 아쉽기는 아쉽다. 사진을 좀 줄이고 ‘풀이말’을 넉넉히 늘리면 참말로 한결 나았을 텐데. ㅅㄴㄹ


(숲노래/최종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 읽기 2018.6.1.


《말 잘하고 글 잘 쓰게 돕는 읽는 우리말 사전 3》

숲노래 기획·최종규 글, 자연과생태, 2018.6.11.



광양고등학교에 찾아가서 이야기꽃을 편 뒤에 고흥으로 돌아오니 큼직한 책상자가 마루에 있다. 갓 나온 《말 잘하고 글 잘 쓰게 돕는 읽는 우리말 사전 3 얄궂은 말씨 손질하기》이다. 책이름이 길기에 “읽는 우리말 사전”이나 “읽는 사전”이나 “말잘글잘 사전”으로 줄여서 말한다. 상자를 끌러 처음 꺼내는 책은 곁님한테 건넨다. 열한 살 큰아이한테는 아직 어려울 책이지만, 큰아이도 문득문득 넘겨 보면 한국사람이 쓰는 한국말이 막상 한국말다운 한국말이 아니라서 큰아이가 못 알아듣기 일쑤인 줄 어렴풋이 짚을 수 있겠지. 광양고 푸름이하고 세 시간 즈음 이야기를 했다. 들려줄 이야기를 밝히고, 궁금한 이야기를 찬찬히 알려주었다. 광양길에 돌아보니, 이 땅에 한글(훈민정음)이 태어난 뒤 여태까지 말을 말답게 사랑하고 돌보면서 가꾸어 글로 담아내는 길을 제대로 걸은 적이 없구나 싶더라. 중국을 섬겼고, 일제강점기가 닥쳤고, 독재가 물결쳤으며, 민주바람이 분다 싶더니 입시지옥에 잠긴데다가 엉성히 영어를 가르친다. 한국은 한국말도 한문도 영어도 뒤죽박죽이다. 한국말부터 슬기로이 배우면 한문이든 일본말이든 영어이든 어려울 일이 없다. 얄궂은 글치레나 글자랑을 씻어낸다면 말을 비롯해 넋이며 삶이 살아난다. ㅅㄴㄹ


(숲노래/최종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 읽기 2018.5.31.


《천국으로의 계단 4》

무츠 토시유키 글·그림/이영신 옮김, 학산문화사, 2003.10.25.



아침에 일찌감치 시골버스에 시외버스를 갈아타고 순천에 닿는다. 순천버스역에 앉아서 글손질을 한다. 도서관일기를 올해에 낼 텐데 열두 해치 일기이다 보니 글이 넘쳐서 덜고 더느라 바쁘다. 엊그제 네벌 읽으며 줄였고, 버스역에서 두벌 읽으며 줄인 뒤, 밤에 다시 두벌 읽고 더 줄였다. 어찌 더 줄이나 싶다가도 자꾸 되읽으니 ‘이 대목은 덜어도 되겠네’ 싶네. 새삼스럽지만 모든 책은 글쓴이가 얼마나 되읽으며 손질하느냐에 따라 짜임새가 달라지겠지. 글손질 일거리도 많지만 광양고 푸름이하고 이야기꽃을 펴야 하기에 시골버스랑 시외버스에서 부리나케 책을 읽었다. 《천국으로의 계단》은 여섯 권까지 나오고 더는 못 나온 듯싶다. 이야기를 마무리 못 지었다고 할까. 땅나라하고 하늘나라 사이를 오가는 젊은이가 삶을 새롭게 깨달으면서 사랑에 천천히 눈을 뜨는 줄거리를 다루는데, 여러모로 뜻깊으면서 아름답다. 부디 일곱째 이야기도 그려 줄 수 있기를. 비록 여섯째 책을 2004년에 그리고 더는 못 그린 듯하지만. 넷째 책을 보면 네 사람 이야기가 흐르는데, 저마다 오래도록 가슴에 맺은 응어리를 어떻게 풀어야 할는지 모르는 채 헤매다가 끝끝내 ‘사랑’으로 간다. 고빗사위를 헤치는 사람들 이야기가 애틋하다. ㅅㄴㄹ


(숲노래/최종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