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환
이예식 지음 / 눈빛 / 2016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진책 읽기 365


사할린 한겨레가 돌아갈 곳은 어디?
― 귀환
 이예식 사진, 눈빛, 2016.10.26.


  올림픽이란 서로 하나로 어우러지는 자리라고 합니다. 누가 얼마나 잘하는가를 겨루기도 하지만, 겨루기보다 어우러지기를 더욱 높이 삽니다. 아니, 어우러지지 않고 겨루기만 하려 든다면, 이는 올림픽하고 어긋난다고 여겨요.

  어우러지기란, 하나되기란 올림픽에서만 이야기하지 않습니다. 여느 운동경기에서도 이야기하지요. 여느 운동경기에서도 팔꿈치로 몰래 찍는다든지, 다리를 슬쩍 걸어 넘어뜨린다든지, 꼼수나 속임수를 쓰면 손가락질을 해요.

  운동경기뿐 아니라, 마을이나 학교나 사회 어디에서나 첫자리 올라서기를 가장 높이 살 수 없습니다. 남보다 잘나 보여야 하기 때문에 집을 지어 살림을 꾸리는가요? 시험점수를 더 높이 받아야 하기에 학교를 다닐까요? 님을 밟고 올라서야 하는 사회일까요?


사할린 동포들의 운명은 참 억울하고 비참하다고 봅니다. 1939-1940년에 카라푸토(사할린의 일본식 지명)로 강제징용 당한 이들은 타국 땅 탄광, 벌목장에서 강제노동에 시달려야만 했습니다. 태평양전쟁이 끝나면서 일본이 패망하지만 동포들은 그렇게 그리웠던 조국으로 돌아가지 못했습니다. (131쪽)


  사진책 《귀환》(눈빛, 2016)을 읽으면서 어우러지기를 헤아려 봅니다. 사할린에서 살아야 했던 사람들은 일제강점기가 끝난 뒤에 그곳에 그대로 남습니다. 잃었던 나라로 돌아갈 길이 없었습니다. 더욱이 나라가 사할린 한겨레를 부르지 않았어요. 이 나라는 중국하고 중앙아시아하고 일본에서 살던 한겨레도 부르지 않았습니다. 이들을 돕는 일을 안 했으며, 까맣게 잊었어요.

  1949년 사할린 마카롭에서 태어나 〈새고려신문〉 사진기자로 일한 이예식 님은 사할린에서 살며 사할린 한겨레를 사진으로 담았습니다. 역사라고 하는 자리가 아닌, 삶터라고 하는 자리에서 사할린 한겨레가 걸어왔고 걸었으며 걸어갈 길을 사진으로 보여줍니다.

  한국 정부는 ‘영주귀국’이라는 일을 꾀한 적이 있으나 모든 사할린 한겨레를 아우르지 않았습니다. 무엇보다 사할린 1세를 지나 사할린 2세나 3세나 4세는 아예 생각 밖입니다.

  어우러지기나 하나되기는 마음에 없는 한국 정부라고 할 만합니다. 올림픽 같은 커다란 운동경기를 치르기는 하되, 정작 이 나라 안팎에서 아프고 슬픈 한겨레를 아우르는 길을 좀처럼 못 보여준다고 할 만합니다. 전쟁무기를 만들어 건사하는 데에 엄청난 돈을 들이지만, 평화로이 하나되는 길에는 아직 못 연다고 할 만해요.


영주귀국……. 사할린 1세 동포들의 영주귀국 주요 조건은 1945년 8월 15일 전 출생자들로 제한했고, 그들의 자식과 손자들은 언급하지 않았습니다. 이때 또 하나의 비극이 일어난 것이죠. 그립고 그리웠던 조국에 갈 수 있게 됐지만 자식들을 버려야만 하는 심정은 어땠을까요? 하루하루 늙어 가는 동포들의 삶은 기다림이었기 때문에 자식보다는 대부분 조국을 선택했습니다. (131쪽)


  숱한 이주노동자가 한국으로 들어옵니다. 한국에 일자리가 없지 않습니다. 온누리 여러 나라는 차츰 가까워집니다. 이웃나라는 이웃마을처럼 살가운 사이로 달라지는 판입니다. 여러 말을 쓰며 삶을 이어야 했던 한겨레붙이는 한국이라는 나라가 더 넓고 깊게 온누리를 바라보도록 북돋울 수 있는 슬기와 힘이 있습니다. 두 손이며 온몸이 거친 주름살이 되기까지 삶을 일군 한겨레붙이 발걸음이나 이야기는 우리 모두한테 살아숨쉬는 오랜 역사이자 교과서가 될 수 있습니다.

  기다리고 기다리다 지친, 기다리고 기다리다 흙으로 돌아간, 숱한 사할린 한겨레 이야기를 흑백사진으로 고요히 담은 《귀환》은 돌아갈 길을 찾다가 끝내 찾지 못한 우리 이웃이자 한식구 이야기를 들려줍니다. 이러면서 우리는 어디로 가야 하는가를 묻습니다. 어우러지기란, 하나되기란, 참말로 무엇인가를 묻습니다.

  이제 눈을 뜨고 바라보아야지 싶어요. 함께 살아갈 나라를, 함께 일굴 터전을, 함께 사랑할 마을을, 함께 손을 잡고 활짝 웃음지을 길을 바라보아야지 싶습니다. 2018.2.20.불.ㅅㄴㄹ

(숲노래/최종규 . 사진읽기/사진비평)

* 이 글에 붙이는 사진은 눈빛출판사에 말씀을 여쭈어 고맙게 받았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 읽기 2018.2.18.


《신통방통 도깨비》

서정오 글, 보리, 1999.2.10.



  일요일이 저문다. 설날이 지나간다. 면소재지나 읍내쯤 나갈 적에는 긴바지를 입지만, 집에서는 늘 반바지를 입을 뿐 아니라, 오늘부터는 웃옷마저 한 벌만 반소매로 걸친다. 참으로 따뜻하구나. 겨울에만 쓰던 ‘포근하다’라는 말도 이제는 떠나보낼 때로구나 싶다. 큰아이가 옛이야기를 좋아하기에 《신통방통 도깨비》를 들춘다. 이 책을 오랜만에 집는다. 1998년 8월에 보리출판사에 영업부 일꾼으로 들어갔고, 이 옛이야기를 참 재미나게 읽던 일이 떠오른다. 그때에는 몰랐는데 큰아이하고 이 책을 읽으려고 펼치니 ‘구수하다는 입말’ 사이사이 얄궂은 말씨나 좀 어려운 한자말이 보인다. 스무 해 앞서는 이 대목을 몰랐네. 스무 해 지난 오늘에는 이 대목이 환히 보이네. 옛이야기를 입으로 들려주는 말씨로 잘 가다듬을 수 있어야 할 뿐 아니라, 옛이야기를 들을 어린이 눈높이에 맞출 수 있어야 하고, 되도록 더 쉽고 맑은 말씨가 되도록 손볼 수 있어야지 싶다. 더 마음을 기울여야 할 이야기이다. 더 사랑을 쏟아 더 손보고 추스를 이야기이다. 책이란, 말이란, 글이란, 삶이란, 사랑이란 그냥 태어나지 않는다. 따사로운 봄볕이란 달력에 적힌 숫자가 아닌, 시나브로 젖어들며 피어나는 고운 숨결이다. ㅅㄴㄹ


(숲노래/최종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 읽기 2018.2.17.


《바람의 지문》

조문환 글, 펄북스, 2016.12.22.



  어느 책이든 ‘바람’이라는 말을 쓰면 으레 눈이 간다. 시집도 만화책도 사진책도 수필책도, 참말 ‘바람’ 한 마디에 눈길이 쏠린다. 왜 이렇게 바람에 눈이 갈까? 왜 이다지 바람이 마음에 들까? 나는 바람에서 왔을까? 저 먼먼 별누리에서 바람 같은 빛줄기를 타고서 이 별에 닿았을까? 수십억 해에 이르는 나날을 바람을 타는 작은 먼짓조각으로 살다가 어느새 사람이라는 몸을 입었기 때문일까? 경상도 작은 시골인 악양면에서 면지기 일을 한다는 조문환 님이 쓴 시집 《바람의 지문》을 읽으며 사뭇 놀란다. 사진책을 두 권 내놓기도 한 조문환 님인데 ‘면지기’ 일을 하셨네! 시골 면지기로서 사진을 찍고 시를 쓰셨네! 어쩜 이리 멋스러울까. 시골자락을 사랑하는 손길이 바람이 되어 사진으로 태어나고 시로 흐르리라 느낀다. 시집을 읽으니 슬쩍 멋을 부리려는 대목이 엿보이는데, 멋부림을 좀 누그러뜨리신다면, 시골스럽게, 그저 시골스럽게 참말로 시골 티를 물씬 내면서 시를 써 보신다면 악양뿐 아니라 하동을 넘고 경상도를 지나 이 땅뿐 아니라 온누리 골골샅샅에 봄바람을 일으키는 상냥한 노래가 될 만하지 싶다. 바람을 바라보며 바람을 그릴 수 있을 적에 시가 태어난다. ㅅㄴㄹ


(숲노래/최종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재일의 틈새에서 동아시아 라이브러리 3
김시종 지음, 윤여일 옮김 / 돌베개 / 2017년 12월
평점 :
절판


다 읽고서 돌아본다. 아무래도 ‘같은 얘기를 되풀이한 글’이 많아서 어수선하다. ‘재일’이라는 삶이 ‘어수선하면서 갈피를 잡기 어렵구나’ 싶은 대목을 이런 엮음새로도 보여줄 수 있지만 못내 아쉽다. 부디 ‘나라’가 사라지기를. 나라를 잊고 이웃으로 서로 어깨동무할 수 있기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고깔모자의 아틀리에 1
시라하마 카모메 지음 / 학산문화사(만화) / 2018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마법을 이야기하는 만화를 보면 손에 쥐고 본다. 이 만화책은 마법을 ‘부리지’ 않고 ‘그린다’는 대목에 눈길을 맞추어 줄거리를 편다. 새롭구나 싶으면서 바지런히 읽는데, ‘일본 영어’가 너무 자주 튀어나온다. 옮김말이 엉성하다. 뒷그림에 몹시 손을 많이 쓰는데 다음 권을 기다려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