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19.11.26.


《조선 이후 우리옷 한복 이야기》

 글림자 글·그림, 혜지원, 2019.2.15.



며칠째 끙끙거리면서 긴옷을 겹쳐 입는다. 겨울이 코앞이라 긴옷을 입지 않는다. 몸이 다시금 바뀌려 하는구나 싶어서 신나게 앓기로 했고, 이 앓음길을 지나면 어떤 몸빛이 되려나 하고 그리면서 긴옷을 겹쳐 입고서 해롱거린다. 끙끙대거나 해롱대면서 밥을 짓기는 수월하지 않다. 그러나 못할 일도 없다. 밥을 짓고서 드러누우면 되지. 뒷일은 아이들이 마무를 테고. 《조선 이후 우리옷 한복 이야기》를 넘겨 보았다. 셈틀로도 이렇게 그릴 수 있다고 여기지만, 어쩐지 옷결은 붓이나 연필로 담을 적에 한결 살아나지 싶다. 그린님이 무척 애써서 여러 자료를 살피고 이만 한 열매를 얻은 줄은 알겠는데, 자료만 살피고서 빚는 그림하고 몸소 입고서 돌아다니고서 빚는 그림은 사뭇 다르다. 눈으로만 보고 옮긴 그림이 왜 살아숨쉬지 못하겠는가. 미술관이나 박물관에서 아무리 ‘원화를 마주보고 옮기’더라도 ‘그 원화만큼 생생하지 않은’ 까닭이 뭐겠는가. 처음 그림을 빚은 분은 그림에 담기는 모습을 고스란히 마주한다. 자료만으로는 새로운 자료를 일굴 뿐, 그림으로서 새롭게 피어나는 길을 열지 못한다. 몸소 이 옷 저 옷 입어 보고서 그림을 빚었다면 이 알뜰한 책에 깃든 사람들이 모조리 똑같은 몸짓으로, 죽은 빛으로 서지는 않겠지.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19.11.25.


《기상천외한 코뮤니즘 실험》

 비니 아담착 글·윤예지 그림/조대연 옮김, 고래가그랬어, 2019.11.11.



‘고래가 그랬어’에서 텀블벅을 꾀하면서 뜻있게 펴낸 책인 《기상천외한 코뮤니즘 실험》을 받았고 차근차근 읽었다. 이제 이 나라에서 이만 한 책을 펴낼 수도 있어 대단하구나 하고도 생각하다가, 어린이책답게 ‘글씨는 크지’만 ‘옮김말은 너무 까다롭고 어려워’서 놀랐다. 어린이책은 인문책이든 문학책이든 번역으로 끝날 수 없다. 어른한테는 익숙하더라도 모조리 뜯어고쳐서 풀어내야 한다. ‘코뮤니즘’을 이론 아닌 이야기로 풀어내어 들려주려는 이 책을 헤아린다면, 말씨도 하나하나 살피고 되새기고 손질할 노릇 아닐까. 뜻이 있다고 해서 즐겁거나 아름답지 않기도 한 까닭을 이제는 생각할 수 있으면 좋겠다. 뜻만 있다고 해서 좋은 일이 되지는 않는다. 뜻있기에 더욱 즐겁게, 뜻있으니 더욱 아름답게, 뜻있는 만큼 더욱 사랑스레 추스르면 좋겠다. ‘기상천외’란 말도 썩 안 와닿는다. 남다르거나 뜻밖이거나 엉뚱하거나 대단하거나 놀랍다는 뜻일 텐데, 어린이책에 굳이 이런 한자말을 써야 했을까. ‘공산주의’도 알아듣기 어렵지만 ‘코뮤니즘’도 모르겠다. ‘두레·나눔·품앗이’이란 오랜 말이 있고, ‘함께살기·어깨동무’ 같은 말이 있다. “신나는 어깨동무 놀이”나 “신바람 함께살림 놀이”를 꿈꾸어 본다.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19.11.23.


《Field Guide to Knitted Birds》

 Arne Nerjordet·Carlos Zachrison 지음, Search Press Ltd, 2017.3.23.



보름을 기다려 책 하나를 받다. 보름을 기다린다니 오래 기다린 셈일까? 오늘날로 친다면 오래 기다렸겠지. 그렇지만 고작 서른 해쯤 앞서만 해도 보름뿐 아니라 달포쯤 기다려서 책을 받기도 했다. 더구나 한국에서 날아온 책이 아닌 이웃나라에서 배를 타고서 찾아왔지 싶다. 뜨개순이로 즐겁게 놀고픈 큰아이가 바라던 《Field Guide to Knitted Birds》를 넘긴다. 작은아이도 앞으로 뜨개질을 익히면 누나한테서 바늘놀림을 물려받을 수 있겠지. 아르네 아저씨하고 카를로스 아저씨 두 분이 뜬 ‘새’는 두 분이 사는 집에서 마주하는 이웃이란다. 두 아저씨는 늘 이웃으로 지내는 뭇새를 가만가만 바라보면서 뜨개질로 옮겼다고 한다. 그렇다. 모두 그렇지. 옷에 넣은 무늬뿐 아니라 그림에 담는 빛깔도 언제나 우리 둘레에 모두 흐른다. 우리를 둘러싼 터전을 차근차근 바라보기만 하더라도 뜨갯거리에 글쓸거리에 그림감에 사진감에 줄줄이 흐르리라. 곁님이 이모저모 도와서 코를 잡거나 세는 길을 하나하나 익힌 큰아이는 ‘새 뜨개’를 열넷이던가 열일곱을 마련하려 한단다. 날마다 조금씩 뜨면서 ‘새 뜨개’를 누구한테 드릴는지 즐겁게 그린다. 뜨개책을 빚은 두 아저씨도 ‘나누려는 마음’으로 바늘을 놀렸으리라. 함께하고 같이하면서 활짝 웃는 노래를 즐기고 싶기에 오늘도 곁에 뭇새가 찾아오리라.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19.11.24.


《채널고정! 5》

 사사키 노리코 글·그림/오경화 옮김, 서울문화사, 2013.9.30.



유자물을 담그려고 유자를 따고서 바로 썰어서 담그지는 못했다. 여러 일을 나란히 하기도 하지만 몸에 힘이 돌아오기를 기다려서 한낮부터 저녁까지 신나게 썰었다. 유자를 썰고 나면 손이며 몸에 유자내음이 짙게 밴다. 손도 미끌미끌하다. 싫지 않은 미끌거리는 손에 물을 조금 묻혀서 얼굴을 문지르고 팔뚝도 문지른다. 오늘 하루는 유자사람이 된다. 《채널고정! 5》을 읽었다. 집에 텔레비전을 안 들이고 살기에 방송국을 다루는 만화책은 오래도록 시큰둥하다. 이 만화책도 예닐곱 해 만에 손에 쥔다. 그런데 서울(도쿄) 한복판에서 뛰는 방송국이 아닌 훗카이도 시골집에서 나고 자란 아가씨가 나오는 만화책이네. 이 시골 아가씨하고 짝을 이루는 사내는 서울(도쿄 또는 둘레 도시)내기. 방송국이야 어디를 가도 방송국이지만 터전에 따라 마주할 사람이 달라지기 마련이다. 늘 사람을 마주하면서 사람마다 달리 짓는 삶을 마음으로 들여다볼 줄 알아야 하기에, 서울내기가 시골이나 숲이나 바다란 터전을 마주하자면 스스로 모든 틀을 허물고서 새롭게 설 줄 알아야 한다. 책을 덮고 생각한다. 서울(도시)에서 나고 자라서 시골에서 교사나 공무원이나 정치꾼이 되는 이들은 시골살림이며 시골숲을 어느 만큼 헤아리거나 껴안을까.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19.11.22.


《엄마의 공책》

 서경옥 글·이수지 그림, 시골생활, 2009.5.20.



내가 낄까 하다가 작은아이한테 건넨 장갑을 작은아이가 처음에는 내키지 않는 눈치이더니 빨래해서 잘 말려 놓으니 이 장갑을 끼면서 논다. 그래, 그러면 네 살림으로 건사하렴. 큰아이가 신기를 바라며 장만했던 알록달록 목긴신은 어느덧 작은아이 발에 맞는다. 이 신도 작은아이가 누리렴. 며칠 쌀쌀했으니 며칠째 포근한 늦가을이다. 나는 맨손에 반소매 차림이 되어 자전거를 달린다. 이렇게 하늘볕이며 바람을 누릴 수 있는 고장이 또 어디에 있을까. 《엄마의 공책》을 조금씩 읽는다. 글쓴이를 낳은 어머니가 있고, 글쓴이가 곁님으로 만나면서 모시는 어머니가 있다. 두 어머니 사이에서 마주하는 미처 몰랐던 삶, 또 글쓴이 어머니를 낳아서 돌본 어머니하고 얽힌 삶을 책 하나로 단출히 여미었네. 그리고 글쓴이도 어느덧 어머니라는 나이를 지나서 할머니에 들어서는 터라 숱한 어머니가 얽히고 흐르고 만나고 피어나다가 저물면서 새삼스레 이야기꽃이 된다. 어머니마다 이처럼 살뜰한 사랑으로 피우며 가꾼 이야기가 책으로 태어난다면, 아버지라는 자리에 서는 어버이는 어떠한 사랑꽃을 이야기꽃으로 여미는 길일까. 아버지란 숨결은 아이한테 무엇을 보여주면서 어떤 삶을 짓는 의젓한 사람일까.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