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0.4.9.


《요정이 된 마녀 우파바루파》

 안나마리아 가티 글·라우라 코르티니 그림/안진원 옮김, 서광사, 1999.12.20.



바깥으로 볼일을 보러 다녀오고 나면 으레 집안일을 하기가 만만하지 않구나 싶다. 바깥으로 돌아다니면서 숱한 다른 기운 사이에서 맴도는 동안 내 기운을 많이 써야 하기 때문일까. 우리 보금자리에 없는 시끄러운 소리, 우리 풀밭에 없는 매캐한 바람, 우리 아이들하고 너무 다르게 거칠고 차가운 읍내(또는 큰고장) 아이들이나 어른들 ……. 그나마 요새는 돌림앓이가 퍼지면서 ‘알아서 떨어져 주’기에 그럭저럭 바깥일을 볼 만하지만, 전라남도에는 이 돌림앓이에 걸리는 사람이 없다시피 한 터라 좀 고단하다. 읍내 우체국을 거쳐 저잣마실을 마치고 집으로 돌아와서 저녁을 차리고는 자리에 쓰러져 《요정이 된 마녀 우파바루타》를 읽는다. 설마 판이 끊어졌나 싶어 살피니 고맙게도 판이 안 끊어졌다. 그래, 고맙다는 생각이 든다. 스무 해가 넘도록 조용조용 읽히는구나. 읽는 동안 글자락을 군데군데 손질해 놓고서 큰아이한테 건넨다. 동생하고 어머니한테 소리내어 읽어 준다. 이 동화책은 소리내어 함께 읽으며 아름다운 책이라고 느낀다. 어쩜 이렇게 이야기를 잘 엮었을까. 사잇그림도 퍽 어울린다. ‘마녀’하고 ‘요정’ 사이를 오가는 우파바루파인데, 우파바루파는 마녀도 요정도 아닌 오롯이 ‘숲님’이로구나 싶다.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0.4.8.


《고양이와 할아버지》

 네코마키 글·그림/오경화 옮김, 미우, 2016.5.31.



큰아이하고 둘이서 ‘바람 이야기’를 쓰기로 한다. 이런 이야기야 셈틀을 켜서 꾸준히 남기지만 공책에 따로 쓴다. 내가 먼저 연필을 쥐어서 척척 쓰고, 뒤이어 큰아이가 쓴다. 처음에는 그날그날 쓰려 했더니 어느새 하루씩 밀리는데, 그래도 꿋꿋하게 하루하루 이야기를 나란히 남기려고 한다. 어느덧 전남 고흥이란 시골자락에서 열 해를 살아내고 보니, 그동안 지켜보면서 배우고 받아들인 숲바람결을 두 사람 눈길로 하루하루 남겨 보려는 뜻이다. 이렇게 한 해치를 쓰고 보면 ‘철·달·날’에 따라 흐르는 숨결을 새삼스레 엿볼 만하겠지. 《고양이와 할아버지》를 아이들하고 읽는다. 아이들하고 읽어도 될 만하다. 고양이 눈길이랑 할아버지 눈썰미를 바탕으로 이야기를 엮는데, 이 만화를 그린 분은 나이가 얼마쯤일까? 아, 나이가 어리거나 젊더라도, 또 가시내가 그렸더라도, 얼마든지 ‘할아버지 마음’을 읽어내어 따사로이 담을 만하겠지. 사내라서 ‘할머니 마음’을 못 그리지 않는다. 그리려는 마음을 먼저 세우고서 즐겁게 사랑으로 다가선다면, 가시내는 사내를 읽고 사내는 가시내를 읽으면서 온누리를 아름다이 가꾸는 빛을 새록새록 그려내겠지. 한국 만화책이나 그림책이나 글책은 아직 이 대목이 모자라다고 느낀다.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0.4.5.


《로신선집 3》

 로신 글/계용신 옮김, 민족출판사, 1989.2.



후박나무가 곳곳에서 싹을 튼다. 사람이 심은 후박알보다는 새가 심는 후박알이 잘 싹트지 싶다. 새가 꿀꺽 삼키고서 뱃속을 거쳐서 똥으로 빠져나와 흙에 닿을 적에 후박알이 한결 기운을 낼까. 후박나무뿐 아니라 다른 나무도 으레 새가 심는다. 다람쥐는 참나무를 많이 심기로 알려졌는데, 숱한 나무는 다람쥐에 새에 숲짐승하고 멧새를 벗삼아서 온누리를 두루 돌아다니는구나 싶다. 아이들은 후박싹이 트는 곳을 알아차리면 “얘야, 거기서 너 못 자라! 내가 옮겨 줄게!” 하면서 삽이나 호미를 써서 살살 파낸다. 이러고서 마땅한 자리를 찾아서 옮긴다. 이렇게 옮겨심은 후박나무 가운데 꽤 여러 아이를 훔쳐간 사람이 있다. 왜 훔쳐가는지 아리송하지만, 어린나무를 훔쳐가더라. 《로신선집 3》을 읽는다. 지난달에 순천 〈형설서점〉에 갔다가 《로신선집》 넉 자락을 만났다. 우리 책숲에 갖추었는지 안 갖추었는지 돌아보지도 않고 덥석 집었다. 책값으로 얼마를 썼을까. 연변에서 나온 이 책은 앞으로 얼마나 알뜰한 꾸러미로 흐를까. 연변 한겨레가 옮긴 말씨는 북녘말이라 할 만하다. 북녘말로 새로 읽는 로신(노신·루쉰) 이야기는 새삼스럽다. 어떤 한국말로 읽느냐에 따라 이야기빛이 다르다. 이 말빛을 고이 품어 본다.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0.4.6.


《미스터 초밥왕 world stage 2》

 테라사와 다이스케 글·그림/서현아 옮김, 학산문화사, 2014.11.25.



지난달에 나한테 ‘해낼거리’ 하나를 들려준 이웃님이 있다. 이 ‘해낼거리’를 맡느냐 지나치느냐를 놓고 한 달 가까이 망설이다가 이틀을 들여 가까스로 마무리를 지어서 보냈다. 진땀이 절로 났지만, 뭐 ‘해낼거리’이니 ‘해낼’ 노릇 아닌가. 이 해낼거리를 맡아야 한다면 올 7월부터 11월 사이에 여든 날은 집밖을 떠돌며 살아야 한다. 이틀에 하루만 집에 머물며 아이들하고 지내는 셈일 텐데, 이러한 일을 해보라고 한다면 얼마든지 해내리라 하고 생각해 본다. 아무래도 큰아이하고 《미스터 초밥왕 world stage》를 읽은 탓이지 싶다. ‘쇼타네 초밥’ 이야기는 아이한테 ‘부엌지기 살림’을 물려준 두 어른이 어떻게 ‘일본이란 좁은 틀’을 벗어나서 온누리를 사랑으로 품는 길을 스스로 찾아내느냐를 다룬다. 한국하고 이웃한 일본은 언제나 두 모습이다. 바보스러운 이들이 한켠에 득시글대고, 슬기로운 어른이 다른켠에 가득하다. 한국도 매한가지이겠지. 이 나라도 바보스러운 이들이 이쪽에 넘실거리고, 슬기로운 이들도 저쪽에 춤춘다. 좁게만 보면 좁쌀뱅이가 된다. 크게만 보면 떠덜이가 된다. 좁게도 크게도 아닌, 오직 한마음으로 포근하게 마주할 적에 비로소 제길을 찾아나선다. 오늘도 바람을 먹는다.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0.4.7.


《백수 삼촌을 부탁해요》

 박혜선 글·이고은 그림, 문학동네, 2016.1.27.



전남문화재단에서 ‘재난 긴급지원 사업’이 있다고 쪽글로 알려준다. 그렇구나 하고 여기는데, 이러한 일을 전남도청이나 전남문화재단이 아닌 군청 누리집에 들어가서 알아보라 한다. 군청 누리집에 들어가니 고흥사람이면 누구나 받는 재난생계비이며 여러 가지 알림글이 있다. 고흥에도 이런 일이 있네? 그런데 어디에서도 알려주거나 들려주지 않던데? 면사무소는 하루에 열 판쯤 ‘산불조심’ 방송에다가 ‘사회적 거리두기’ 방송을 해댄다. 그러나 ‘재난 생계비’를 놓고는 여태 알린 적이 없다. 재미난 나라인 셈일까. 벼슬아치 노릇을 하는 그들이 재미난 사람인 셈인가. 미리 챙기라는 서류가 하도 많아서 이모저모 부랴부랴 떼어 면사무소에 전화를 걸어 보니 ‘서류 안 챙겨도 되’고, ‘다음주에 마을마다 불러서 고흥사랑쿠폰을 나누어 준다’고 한다. 참말로 손발 안 맞고 앞뒤 다르게들 일하시네. 《백수 삼촌을 부탁해요》를 읽으며 꽤 갑갑했다. 무늬는 동시책인데 졸가리는 그냥 어른시이다. 어른시 쓰는 마음이나 눈길로 동시를 쓰는 이가 참 많다. 왜 어린이 삶이나 마음이나 눈길로 녹아들지 않을까? 왜 어린이랑 손잡고 노는 몸짓으로 노래하지 않을까? 하긴, 군청·면사무소 벼슬아치가 하는 짓도 마을사람 눈높이가 아닌걸.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