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5.6.22.
《극채의 집 6》
빗케 글·그림/김진수 옮김, 대원씨아이, 2024.11.25.
비가 그친다. 아침이 맑다. 일찍 일어나서 아침일을 하는 작은아이를 지켜보고 나서 함께 ‘우리집 배움꽃’을 슬며시 연다. 셈쓰기부터 차분히 짚고서, 한글쓰기를 어찌하는지 새삼스레 보여준다. 이러고서 셈꽃(수학)을 가볍게 함께하고, 이윽고 한자 ‘일이삼(一二三)’하고 ‘속담(俗談)’에 얽힌 수수께끼를 들려준다. 배움꽃을 마무르고서 아침빨래를 한다. 낮밥을 끓이고서 글일을 여민다. 이윽고 낮빨래를 하고서 쉰다. 저녁에는 〈와일드 로봇〉을 넷이 함께 보고서 늦도록 밤수다를 한다. 이 보임꽃이 들려주는 대목과 아쉬운 대목과 짚을 대목을 찬찬히 이야기한다. 우리 스스로 들숲메바다를 잊고서 팽개치느라 “살려주셔요!” 하고 외치는 줄거리라고 할 만하다. 《극채의 집 6》을 읽었다. 너무 띄엄띄엄 나오는데, 뒷걸음이 못 나오려나 싶기까지 하다. 일본에서는 이미 열석걸음이 나왔으니까. 머리카락과 그림과 붓끝과 꽃뜰하고 자그맣게 얽히는 이야기꽃인데, 이런 줄거리는 우리나라에서 안 읽히거나 못 읽힐 수 있다. 아이들이 스스로 서면서 스스로 삶을 노래하고 스스로 사랑을 찾아나서면서 스스로 빛나는 하루를 살아간다는 줄거리야말로 찬찬히 짚고 새기면서 주고받을 살림조각 한 자락이지 싶다.
#極彩の家 #びっけ
ㅍㄹㄴ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