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5.6.11.


《싸울게요, 안 죽었으니까》

 김진주 글, 얼룩소, 2024.2.28.



두 아이랑 하루쓰기를 이으면서 돌아본다. 우리 보금숲은 하루 내내 새소리를 듣고 바람소리와 푸른내음을 누린다. 밤이면 별을 보고, 여름개구리 울음소리가 가득하다. 이러한 터전은 까맣게 모르는 채 하루를 보낼 서울내기(도시인)라면 마음에 무엇을 담을까? 철이란 “석 달”만 가리키지 않는다. 봄여름가을겨울이라는 네 갈래뿐 아니라, 다달이 다르고 나날이 새롭기에 철이다. 철빛이란 언제나 한결같이 새롭게 피어나는 숨결을 품는 넋이라고 할 만하다. 서울에서는 여름겨울이 거의 똑같은 차림새이다. 여름에는 춥고 겨울에는 더운 버스·전철·일터·집이지 않은가? 큰아이하고 저잣마실을 다녀온다. 저잣짐을 함께 나른 큰아이가 대견하다. 《싸울게요, 안 죽었으니까》를 읽었다. 그런데 갑자기 판이 끊어졌다. 무슨 일이 있나 싶었는데, 펴냄터를 옮겨서 2025년 6월에 새로 나온다. 부디 작은목소리를 섣불리 누르거나 밟지 않기를 빈다. ‘무안참사 특검’도 여태 안 하는데, 이렇게 쭉쭉 갈라서는 나라인 채 안 바꾼다면, 아프거나 다치는 사람은 앞으로도 다시 나올 수밖에 없다. 흉과 허물은 달게 값을 치를 일이다. 잘잘못을 낱낱이 밝히고서 바보들한테 호미 한 자루에 바늘 한 쌈을 쥐여주고서 밭일을 시키고 바느질을 시켜야 한다.


ㅍㄹㄴ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5.6.10.


《냉전의 벽》

 김려실과 일곱 사람 글, 호밀밭, 2023.6.25.



집으로 돌아왔으니 저잣마실을 나갈까 했으나 그만둔다. 하루를 푹 쉬면서 여러 일을 돌본다. 집안일을 하고 빨래를 한다. 늦은낮에는 큰아이하고 앵두를 따면서 새소리를 듣는다. 둘이서 어느새 큰들이를 채운다. 이튿날 더 하면 큰들이 하나를 더 얻을 만하다. 구름이 짙다가도, 이슬비를 뿌리다가도, 새삼스레 해가 나면서 싱그럽고 따사로운 여름이다. 여름이되 덥지 않고 따사롭다. 워낙 새여름은 안 덥던 날씨이다. 구름 없는 한낮이라면 조금 덥더라도 바람과 구름이 이내 식히는 길목이다. 《냉전의 벽》을 읽었다. “차가운 담”은 남이 쌓지 않는다. 큰나라가 끼어들었다고 여기되, 우리가 큰나라 등쌀과 옷자락에 휘둘리기에 “얼음담”을 쌓는다. 옆에서 쑤석거리는 놈이 있기에 “겨울담벼락”이 생길 수도 있되, 모든 겨울담은 우리가 스스로 녹이고 허물 만하다. 이제는 우리가 할 때이다. 이제부터 우리가 치우고 걷어낼 노릇이다. 높녘(북)에도 ‘사람’이 살지만, 꼭두각시와 허깨비가 무시무시하게 도사린다. 마녘(남)은 어떤가? 우리는 서로 ‘사람’으로 여기는가, 아니면 이미 마녘에서도 서로 차갑게 담벼락을 높다랗게 세우면서 싸우는가? 민낯을 고스란히 바라볼 때라야 응어리도 고름도 생채기도 하나하나 달랠 수 있다.


ㅍㄹ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5.6.9.


《나무를 심은 사람》

 장 지오노 글·프레데릭 백 그림/햇살과나무꾼 옮김, 두레아이들, 2002.7.23.



멧새소리가 없는 아침을 인천에서 맞이한다. 어제 장만한 책을 간밤과 새벽에 읽는다. 아침글을 조금 여미고서 일찍 길손집을 나선다. 어제 못 들른 〈모갈1호〉에 찾아가는데, 아침에 다른 일이 있으셔서 늦게 여시는 듯하다. 배다리에서 서성이다가 〈아벨서점〉 작은지기님하고 길에서 마주친다. 꾸벅 절을 하고서 〈아벨〉에 깃든다. 내가 읽을 책보다 작은아이한테 읽히면서 들려줄 책을 한가득 살핀다. 바야흐로 나보다 두 아이한테 맞추는 책을 눈여겨본다. 뭐, 어버이라면 누구나 이렇게 책을 살피고 읽으면서 보금자리를 돌볼 테지. 쇳길(전철)로 서울로 건너가며 갈아탈 적에 안 놓치려고 눈을 부릅뜨고서 책을 읽는다. 드디어 14:40 고흥버스를 타고 나서야 온몸힘을 빼고서 까무룩 잠든다. 정안쉼터에 닿을 즈음 개운하게 일어나서 다시 책을 읽는다. 마지막으로 고흥읍에서 19:20 시골버스를 타고서 옆마을에 내려 논두렁을 걷는다. 두 아이가 마중을 온다. 함께 짐을 나누어 논둑길을 거닌다. 잘 익은 보리밭을 본다. 달빛이 비추는 논을 바라본다. 논둑길을 슬렁슬렁 걸어서 우리집으로 돌아온다. 《나무를 심은 사람》을 생각해 본다. 꽤 오래 읽히는 그림책이다. 이 책을 읽고서 서울을 떠난 분은 몇쯤 될까? 이 책을 읽은 뒤에 나무를 심은 아이어른은 얼마나 있을까? 이 책을 알든 모르든, 이 나라 곳곳을 나무숲으로 일굴 때라야 함께 노래하는 살림꽃을 피울 수 있다.


#TheManWhoPlantedTrees #JeanGiono #FredericBack

#L'homme qui plantait des arbres


ㅍㄹㄴ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5.6.8.


《이 세상은 싸울 가치가 있다 1》

 코다마 하츠미 글·그림/김수연 옮김, 서울미디어코믹스, 2025.2.28.



새벽 다섯 시 언저리에 택시를 타고서 고흥읍으로 나가려는데 큰아이가 일어났다. 고맙게 배웅을 받고서 움직인다. 고흥읍에서 첫 순천버스를 기다린다. 술에 전 아재가 버스나루 바닥에 드러누웠다. 순천에서는 07:30 서울버스를 탄다. 시골 사이를 잇는 시골버스는 없다시피 하지만, 서울 가는 버스는 어디서나 미어터진다. 북적거리는 서울 한복판에서 바로 쇳길(전철)로 갈아타서 인천으로 건너간다. 모처럼 송현2동 골목을 살살 에돌면서 배다리책거리로 간다. 〈삼성서림〉에 들른다. 밭게나마 책마실을 하고서 〈마을사진관 다행〉으로 옮긴다. ‘배다리책거리 흥망성쇠’라는 이름으로 이곳에 어떤 책집이 있었고, 내가 책벌레로서 1980해무렵부터 2020해무렵 사이에 마흔 해를 마주한 책집마실 이야기를 풀어놓는다. ‘잘(흥성)’은 옛일이라고 치기보다는, 아직 ‘잘’이 온 적이 없다고 여길 노릇이라고 본다. 이름값을 내려놓고서 그저 책을 책으로 품는 길을 이제 처음으로 열 때라고 본다. ‘한철 참고서 장사’로 책집지기가 집을 장만할 수 있던 지난날을 ‘전성기’로 보아서는 안 될 일이라고 느낀다. 아직 온나라 온책집에 빛날(전성기)이 온 적이 없다고 여긴다.


《이 세상은 싸울 가치가 있다 1》를 읽고서 두걸음도 읽었다. 내내 스스로 억누르면서 시달리고 들볶이던 아가씨가 “이제 이렇게 살 까닭은 없어! 차라리 죽자!” 하고 마음을 먹는 날부터 삶을 바꾸는 줄거리이다. “싸울 값어치가 있다”는 말마디란 “싸울 값어치가 없다”는 마음이기도 하다. 싸울 값어치가 없는 이 나라라면 뭘 해야 할까? 바로 하나이다. “싸울 값어치가 없는 나라”이지만, “살아갈 까닭이 있는 나”이다. ‘나라’가 아닌 ‘나’를 바라보면 된다. 여태 ‘나’를 안 쳐다보면서 ‘나라’하고 ‘남’만 바라보느라, 여태껏 ‘나’를 죽이고 억누를 뿐 아니라, “좁쌀보다 작은 ‘나’는 아무 값어치가 없구나!” 하고 스스로 깎아내리고 갉아먹는다.


우리는 누구나 저마다 스스로 ‘나라·남’이 아닌 ‘나’를 바라볼 적에, 나부터 나대로 사랑한다. 내가 나를 사랑하고 바라보기에, 이때에 비로서 ‘너’를 느끼고 알아보면서 만난다. ‘너’랑 ‘남’은 다르다. 나하고 동떨어진 저 차디찬 굴레인 ‘나라’하고 마찬가지인 놈이라서 ‘남’이다. 이와 달리, ‘너’란 ‘나’랑 다르면서 같은 사랑이라는 하늘빛이다. 너를 알아보려면 내가 나부터 알아보아야 한다. 너랑 만나려면 내가 나부터 속빛으로 만나야 한다.


#この世は戰う價値がある

#こだまはつみ


ㅍㄹㄴ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5.6.7.


《녹색 시민 구보 씨의 하루》

 앨런 테인 더닝·존 라이언 글/고문영 옮김, 그물코, 2002.3.5.



시골밤은 서늘하다. 어느덧 새여름이지만, 새벽 너덧 시 즈음에는 바닥에 불을 넣는다. 두 아이와 살아온 열여덟 해를 돌아보면, 지난해까지는 ‘우리나라 날씨’를 아이들한테 알려주기 어려웠는데, 올봄과 올여름은 ‘오랜 우리나라 날씨’인 줄 알려줄 만하다. 워낙 봄여름이 이런 날씨였다. 낮에 작은아이랑 저잣마실을 갈까 했으나 혼자 나선다. 작은아이한테 집안일 몇 가지를 맡으라고 이르고는 시골버스를 탄다. 졸린 몸을 다독이며 노래를 쓰고 책을 읽는다. 오늘은 유난히 짐이 많다. 이튿날에 다시 바깥일을 보러 길을 나서는 터라, 저잣짐이 앞뒤로 넘친다. 집으로 돌아와서 짐을 부리고서 씻는다. 곯아떨어지기 앞서 아이들하고 살림살이와 시골빛과 마음돌봄 이야기를 한다. 《녹색 시민 구보 씨의 하루》를 되읽는다. ‘민주시민’이며 ‘세계시민’이라는 이름을 들을 적마다 ‘녹색시민’이란 이름이 떠오르는데, 일본스런 한자말 ‘시민’은 ‘도시민’을 줄인 얼개이다. 우리는 이제 ‘바른사람(←민주시민)’과 ‘온사람(←세계시민)’과 ‘푸른사람(←녹색시민)’처럼 ‘사람’으로 새롭게 설 때라고 본다. 서울내기(도시민·시민)라는 틀을 내려놓고서 그저 사람으로서 이 별과 마을과 보금자리를 가꿀 수 있기를 빈다.


#Stuff

#AlanTheinDurning #JohnCRyan


ㅍㄹㄴ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