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말꽃

나는 말꽃이다 55 경솔과 무례



  어느 글바치가 매우 가볍게 글을 쓰기에 그이한테 누리글월을 보냈습니다. 글이나 책에 기대지 말고 삶과 사람을 보면서 글을 쓰십사 하고 여쭈었습니다. 이 글바치는 제가 띄운 누리글월(인터넷편지)이 “경솔과 무례”라면서 “사과하라”고 하더군요. 모름지기 글이나 책에는 우리 삶이 아주 조금 깃듭니다. 하루를 살아낸 사람이 쓰는 글보다는, 글꾼이 쓰는 글이 훨씬 많습니다. “성폭력 피해자” 이야기를 글로 쓰는 이 가운데 스스로 “성폭력 피해자”인 분이 얼마나 될까요? 거의 다른 글(자료)·말(증언)에 기대어 쓰지요. 이 글바치도 스스로 겪거나 해본 일이 아닌 다른 글·말에 가볍게 기대에 글을 썼기에 넌지시 누리글월을 띄웠습니다만, 스스로 안 겪거나 안 치른 삶이라면 섣불리 다른 글·말에 기대어 쓰지 않을 노릇입니다. 우리는 스스로 겪거나 치른 삶을 차근차근 갈무리하면서 나누어야지요. 저는 어릴 적부터 으레 ‘노리개(성폭력 피해자)’가 되는 수렁을 살아내야 했다가 이를 까맣게 잊으려 했는데, 잊힐 일은 아니더군요. 그렇다고 때린이(가해자)를 미워하거나 밝힌대서 풀릴 일도 아니에요. 이러한 마음을 낱말풀이에 새롭게 담습니다. 가볍거나 방정맞지 않고, 미움도 아닌, 어진 사랑길을 뜻풀이에 얹으려 하지요.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말빛

나는 말꽃이다 54 나으면 돼



  배움터에 안 다니는 아이는 아마 100 가운데 1도 안 될 테고, 1000 가운데 1도 안 될 수 있습니다. 10000 가운데 1일 수도 있어요. 어린배움터부터 안 가는 이 아이는 열린배움터(대학교)에 갈 마음도 없습니다. 늘 스스로 하루를 그려서 살림을 지을 길을 걷습니다. 배움터에 안 다니는 아이는 미리맞기(예방주사)를 거의 다 안 합니다. ‘미리맞기 = 나쁜조각을 몸에 미리 넣어서 앓기’인 줄 아니까 안 하지요. 어떤 몸앓이에 걸리든 스스로 이기거나 씻으면 될 뿐 아니라, 그 몸앓이에 걸릴 까닭이 없도록 하루를 즐겁고 아름다우면서 해맑게 살아가면 넉넉합니다. 고뿔이나 돌림앓이에 걸린대서 ‘나쁘’지 않습니다. 걸릴 뿐입니다. 여느때에는 즐겁고 튼튼하게 삶을 돌보되, 앓거나 아플 적에는 어떻게 왜 얼마나 앓거나 아픈가를 들여다보면서 나으면 돼요. 앓거나 아파 보았기에 이웃을 더 헤아립니다. 앓거나 아파 보았기에 돌봄풀(약초)을 익히고, 돌봄손(간호)을 배워요. 걱정은 걱정을 낳지만, 돌봄빛은 돌봄빛을 낳지요. 삶터가 어수선하며 말이 어수선할 적에는 ‘어수선’이 아닌 ‘새길’을 바라본다면, 언제 어디에서나 즐겁게 ‘새말’을 마주하고 지으며 가다듬습니다. 아플 적에는 나으면 되고, 없을 적에는 지으면 됩니다.


ㅅㄴㄹ





댓글(1)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종이달 2021-10-15 07:5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고맙습니다
 

숲노래 말빛

나는 말꽃이다 53 하루쓰기



  우리한테 익숙한 말씨를 그냥 쓸 적에는 이 말씨가 아직 안 익숙한 사람한테는 낯설거나 어려울 만합니다. 우리가 스스로 생각을 지펴서 말을 하거나 글을 쓸 적에는 우리 말씨·글씨가 낯선 사람한테 생각을 새로 북돋울 만합니다. 언뜻 보면 똑같은 말이지만, 어떻게 바라보고 생각하느냐에 따라 확 달라요. “둘레에서 다들 쓰니까 그냥 쓴다”고 할 적에는 우리 스스로 생각이 솟지 않습니다. ‘따라가기’일 뿐이니까요. “내 나름대로 바라보고 살펴보고 지켜본 끝에 내 마음을 담아낼 말을 찾아서 쓴다”고 할 적에는 우리 생각이 샘솟습니다. 둘레에서는 으레 ‘일기(日記)’라 하지만, 저는 아이들하고 ‘하루쓰기’를 합니다. 때로는 ‘오늘쓰기’를 하지요. 하루를 살아가며 보고 겪고 듣고 생각한 이야기를 쓴다는 뜻으로 ‘하루쓰기’입니다. 오늘을 살며 스스로 짓고 보고 겪고 살핀 이야기를 쓰니 ‘오늘쓰기’입니다. 소리만 같은 다른 한자말 ‘일기(日氣)’도 있으나, 저는 ‘날·날씨’라고만 합니다. 어린이부터 바로 알아들을 뿐 아니라, 낱말을 듣거나 읽으며 곧장 생각을 지피거나 북돋우도록 저부터 생각을 가다듬어 말 한 마디를 쓰려 하지요. ‘마음쓰기(명상록)’도 해봐요. ‘생각쓰기’랑 ‘사랑쓰기’도 즐겁습니다.


ㅅㄴㄹ




댓글(1)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종이달 2021-10-15 07:5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고맙습니다
 

숲노래 말빛

나는 말꽃이다 52 알고 모르고



  둘레에서 “아니, 어떻게 다 아는 듯이 말해요?” 하고 물으면 “네. 저는 제가 보고 듣고 느끼고 생각하고 찾고 깨닫고 배워서 아는 만큼 말해요. 저는 모르는 일은 하나도 못 말해요.” 하고 대꾸합니다. 참으로 그렇지요. 못 봤고 못 느꼈고 못 배우면 말할 턱이 없어요. 다만 “아는 만큼 말할” 뿐입니다. 이제 둘레에서 묻는 말에 보탭니다. “모르면 어떤가요? 모른다고 느끼면 부끄럽나요? 저는 무엇을 모른다고 느낄 적에 온몸이 찌릿찌릿해요. ‘이야, 오늘 새길을 보고 느끼고 만나는구나! 오늘까지 몰랐던 어떤 일이나 이야기를 배워서 내 앎빛으로 가꾸면서 신나는 하루일까?’ 하는 말이 터져나온답니다. 우리는 모르기에 배워요. 우리는 아직 모르기에 새롭게 배워서 처음으로 지어요. 우리는 이제 알기에 말해요. 우리는 참으로 알기에 아이한테 알려주고 이웃한테 얘기하지요. 이야기란, 우리가 아는 빛을 즐거이 나누려고 기쁘게 흩뿌리는 씨앗이 되는 생각이라고 할 만해요. 알기에 이야기하고, 모르기에 들어요. 들으면서 알아차리면 어느새 말길이 터지지요. 서로서로 이야기꽃이 피어요. 자, 그러니, 알아도 기쁘고 몰라도 기쁘답니다. 알기에 말하고 모르기에 눈을 반짝이면서 즐겁게 듣는답니다.”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말넋 2021.9.27.

나는 말꽃이다 51 갓벗·아이어른



  뒷간(화장실)을 가르는 그림을 보면 순이(여자)가 드나들 곳에는 치마차림·빨강이요, 돌이(남자)가 드나들 곳에는 바지차림·파랑입니다. 이 씨가름(남녀구분)은 옳을까요? 바지를 즐기거나 치마를 안 입고 머리카락을 짧게 치기를 즐기는 순이가 많습니다만, “긴머리 치마 차림”을 순이로만 못박아도 될까요? ‘긴머리’인 돌이가 부쩍 늘었고 “치마 차림”인 돌이가 있는데, 이제는 겉모습·옷차림으로 갓벗·순이돌이(남녀)를 가를 수 없습니다. 억지로 순이차림·돌이차림을 몰아세우면 부질없어요. 우리말 ‘아이’나 ‘어른’은 순이나 돌이 한 쪽만 가리키지 않습니다. 굳이 순이하고 돌이를 가르지도 않아요. 따로 ‘갓벗·가시버시’나 ‘순이돌이’처럼 갈라서 쓸 수 있습니다만, ‘사내아이·계집아이’처럼 앞말을 덧달기도 합니다만, 겉모습·겉차림으로 구태여 가를 마음이 없는 우리말 밑넋을 읽을 만합니다. 우리도 이러한 말결을 찬찬히 읽으면서 이웃을 마주하면 아름답습니다. 긴머리에 배롱꽃빛 옷을 즐기고 곱상하게 생긴 아이를 애써 순이인지 돌이인지 가르기보다 ‘아이’라고만 하면 돼요. ‘어른’한테도 똑같아요. 뒷간을 비롯한 모든 곳에 ‘갓벗·순이돌이’를 가르는 그림·빛깔을 치우고 글씨만 크게 적으면 됩니다.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