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말꽃

곁말 25 눈엣가시



  어린 날부터 아이를 낳아 돌보는 오늘에 이르도록, 저는 스스로 보고 느끼고 생각하여 알아낸 대로 말합니다. 안 보거나 못 본 모습은 말하지 않고, 안 느끼거나 못 느낀 대목도 말하지 않습니다. 한마디로 거짓말은 도무지 안 하며 살아요. 누구를 속인다는 생각도, 속여야 할 까닭도 못 느껴요. “에그, 그럴 때는 모르는 척해야지.” 하는 핀잔을, “좀 숨기면 안 돼?” 하는 짜증을 으레 들어요. 바른말을 하며 착하게 살고 싶은 사람이 어떻게 모르는 척하거나 숨길까요. ‘바른말’을 어렵게 바꾸면 ‘정론직필·내부고발’입니다. 우리 삶터는 바른말을 매우 꺼려 ‘눈엣가시’로 삼더군요. 온통 꾸밈말에 감춤말에 속임말이 판치지 싶습니다. 바르거나 곧거나 참하거나 착한 말을 싫어하니 저절로 눈가림말이 넘칠 테지요. 아이들도, 저랑 마주하는 이웃님도, 적어도 우리부터 참말이랑 착한말을 하면서 즐겁게 살아가기를 바랍니다. 참말을 눈엣가시로 여긴다면 “달콤한 딸기이기에 서둘러 먹으면 배앓이하기 쉬우니 가시가 있어요.” 하고 속삭입니다. 착한말을 자꾸 손사래치면 “고운 꽃찔레(장미)에 가시가 잔뜩이랍니다. 아름다운 꽃빛을 함부로 건드리지 말고 눈코귀로 가만히 느끼라는 뜻이에요.” 하고 들려줍니다.


눈엣가시 (눈 + 에 + ㅅ + 가시) : 눈에 박히거나 찔리는 가시. 눈에 가시가 박히거나 찔릴 때처럼 싫거나 밉거나 꺼리거나 치우고 싶은 일·사람·자리·때. 마주하거나 보거나 듣거나 겪거나 함께하고 싶은 마음이 하나도 없다.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곁노래

곁말 24 작은님



  언니가 있어 언제나 ‘작은아이’였습니다. ‘작은’이란 이름은 마흔 살이 넘든 여든 살이 지나든 매한가지입니다. 그러고 보면 저도 우리 집 둘째한테 ‘작은아이’란 이름을 씁니다. ‘작다·크다’는 좋거나 나쁘게 가르는 이름이 아닙니다. 그저 앞뒤를 가리려고 붙인 이름입니다. ‘작은아이’라서 물러서거나 입을 다물어야 하는 자리가 수두룩했고, ‘작은아이’인 터라 “워낙 힘이 딸리고 안 될 텐데?” 하는 말을 숱하게 들었어요. 가만히 돌아보면 작기에 잘못을 너그러이 봐주기도 했지만, 작다고 너그러이 보는 눈이 달갑지 않았어요. “날 작은아이라 부르지 말고 내 이름을 부르라고욧!” 하고 으레 외쳤지만, 어른들은 호호호 웃으면서 “쟤가 참 철이 없네.” 하고 여겼습니다. 어제를 돌아보고 오늘을 생각하다가 우리 집 두 아이를 놓고 어느 때부터인지 ‘큰아이·작은아이’란 말은 거의 삼가고 ‘아이들 이름’만 쓴다고 느낍니다. 그래요. 이름을 불러야지요. 꼭 첫째랑 둘째를 갈라야 한다면 ‘작은님·작은씨’처럼 불러야겠어요. 고운 빛을, 맑은 눈을, 환한 사랑을, 즐거운 길을 속삭이고 싶습니다. 아직 널리 알려지거나 빛나지 않으나, 머잖아 초롱초롱 빛나는 별님으로 드리울 작은님이요 작은씨입니다.


작은님 (작다 + 님) : 1. 솜씨나 재주가 살짝 뛰어나거나 훌륭한데 아직 널리 알려지거나 도드라지지 않은 사람. 앞으로 솜씨나 재주가 자라서 널리 알려지거나 도드라질 사람 2. 둘레에서 보기에 작거나 낮거나 바깥이라 할 만한 자리에 있는 사람 3. 사람·여러 목숨·풀꽃나무 같은 모습으로 꾸며서 곁에 두거나 함께 노는 님. ‘인형’을 가리킨다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곁노래

곁말 23 먹깨비



  저는 어릴 적에 무엇이든 참 못 먹는 아이였습니다. 스무 살까지 변변하게 안 먹으면서 살았는데, 싸움터(군대)에 끌려갈 적에 곰곰이 생각했습니다. “나는 김치뿐 아니라 못 먹는 밥이 잔뜩 있는데, 그곳(싸움터)에서는 주는 대로 안 먹으면 얻어터지잖아? 얻어터지면서 먹을 바엔 입에 무엇이 들어가는지 생각하지 말고 그냥 얼른 쑤셔넣고 끝내자.” 참말로 스물여섯 달 동안 맛이고 뭐고 안 가렸습니다. 밥판에 뭐가 있는지 안 쳐다보았습니다. 썩었는지 쉰내가 나는지 안 따졌어요. 배에서 다 삭여 주기를 바랐습니다. 마음에 새긴 말 때문인지 싸움터에서 밥 때문에 얻어맞거나 시달린 일이 없습니다. 싸움터에서 풀려난 뒤에라야 마음을 풀고서 몸한테 속삭였어요. “고마워. 몸이 이렇게 버티어 주어 살아남았구나. 앞으로는 몸이 거스르는 밥은 손사래칠게.” 우리 어머니는 입이 짧은 막내를 늘 걱정했습니다. 잔뜩 먹어야 한다고, 먹보가 되어야 한다고 여겼어요. 저는 어머니 뜻하고 달리 먹보도 먹깨비도 먹돌이도 먹꾼도 안 되었습니다. 그렇지만 다른 깨비로 나아갔어요. 책깨비가 되고 글깨비에다가 살림깨비에 자전거깨비, 또 시골깨비가 되었어요. 이제는 숲깨비에 풀꽃깨비에 나무깨비에 바람깨비로 하루를 지으면서 살아갑니다.


ㅅㄴㄹ


먹깨비 (먹다 + 도깨비) : 잘 먹는 사람. 밥을 즐기는 사람. 맛있게 잘 먹거나 실컷 먹으려고 하는 사람. 먹는 데에만 마음을 쓰는 사람. 남보다 더 먹으려고 나서는 사람. 마구 먹어치우려고 하는 사람. 마구 먹어치우려는듯 나서는 사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곁노래 2021.11.28.

곁말 22 시골사람



  낱말책에 ‘서울사람·시골사람’이 없습니다. ‘시골내기·서울내기’란 낱말이 있으니 없을 만할까요? ‘-내기’를 붙인 말씨도 퍽 쓰지만, ‘-사람’을 붙인 말씨를 훨씬 자주 쓸 텐데요. 고장이름을 붙여 ‘창원사람·화순사람’이라든지, 나라이름을 붙여 ‘네팔사람·폴란드사람’처럼 수수하게 씁니다. 이때에는 굳이 띄어쓰기를 할 까닭이 없다고 느낍니다. 붙여쓰기일 적에 알아보기 나아요. 저는 인천에서 나고자랐기에 인천사람이기도 하지만, 곁님이랑 아이들하고 시골로 옮겨 꽤 오래 살아가기에 시골사람이기도 합니다. 인천에서 살 적에는 ‘골목사람’ 같은 이름을 짓기도 했습니다. 잿빛집(아파트) 아닌 골목마을에서 살았거든요. 앞으로는 숲사람으로 살아갈 길을 생각하는데, 오늘 지내는 터전이 시골이다 보니, 이 시골은 어떤 자리인가 하고 되새기곤 합니다. 서울에서 멀기에 시골인가요? 서울사람이 배냇터를 그리는 데가 시골인지요? 시골은 모름지기 밥옷집이란 살림을 누구나 손수 지어서 누리는 터요, 숲이며 들이며 내에 바다나 멧골을 품은 삶터를 가리킨다고 느낍니다. ‘시골 = 손수짓기’라면 ‘서울 = 장사마당’이라 할 만해요. 시골은 살림집이 띄엄띄엄이고, 서울은 살림집이 겹겹에 다닥다닥이며 가게가 넘쳐요.


ㅅㄴㄹ


시골사람 (시골 + 사람 / = 시골내기) : 1. 숲·들·내·바다가 있으면서 물·바람이 맑고 해가 좋아, 삶·살림·사랑을 손수 짓는 터에서 태어났거나 살아가는 사람. 2. 시골에서 살거나, 시골에서 태어나고 자란 사람. 3. 서울·큰고장(도시)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서 태어났거나 살아가는 사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곁노래

곁말 21 쪼잔이



  어릴 적에 저한테 자꾸 돈을 빌리려는 아이가 있었습니다. 이 아이는 돈을 빌려주면 갚는 일이 없는데, 안 빌려주면 괴롭히거나 때립니다. 저는 여덟 살부터 집하고 배움터 사이를 걸었습니다. 다른 아이는 모두 버스를 타지만, 저는 걸으면서 날마다 120원씩 모았어요. 그러니 이 아이는 제 길삯 120원을 빼앗으려는 셈입니다. 돈을 빼앗기다가 얻어맞다가 도무지 견디지 못하고 맞붙으며 더 얻어맞곤 했지만, 그래도 그 아이 팔뚝에서 피가 나도록 이로 깨물거나 종아리를 깨물었어요. 주먹힘이 안 되니 깨물기라도 해야 떨어집니다. “너 참 쪼잔하다. 어떻게 깨무냐?” 하는 이 아이한테 “돈을 빼앗고 때리는 너야말로 쪼잔하지! 힘없다고 괴롭히잖아!” 하고 읊고서 더 얻어맞았어요. 이러던 어느 날 이 아이네 집으로 갔습니다. 기찻길 곁 가난한 집입니다. 이때에는 누구나 가난했어요. 이 아이 어머니는 종이꽃을 접어서 파시더군요. 저더러 “○○이랑 놀러왔니? 집에 없는데?” 하고 물으셨고, “아뇨. ○○이가 여태 저한테 빌리고 안 갚은 돈을 받으러 왔어요.” 하고 여쭈었습니다. 저는 이 아이한테 빌려준 돈을 0원 돌려받았지만, 이날 뒤로 이 아이는 저를 더 안 괴롭혔습니다. 어느 날 옆을 지나가며 또 “쪼잔한 놈!” 하더군요.


쪼잔이 (쪼잔하다 + 이) : 쪼잔한 사람. 마음이 좁고 작은 사람. 스스로한테도 남한테도 마음을 좁고 작게 쓰는 사람. ‘쪼잔하다 = 좁다·조그맣다·쪽(쫍다·쪼그맣다·조각) + 잔(잘다)’인 얼거리.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