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곁노래 2021.11.6.

곁말 15 글이름



  어릴 적에는 언제나 어머니한테 “어머니, 이 나무는 이름이 뭐예요? 이 풀은 이름이 뭔가요?” 하고 여쭈었습니다. 어머니는 끝없이 이어가는 이 ‘이름묻기’를 꼬박꼬박 대꾸해 주었습니다. “걔는 예전에 이름을 알려줬는데, 잊었구나?”라든지 “어머니도 몰라! 그만 물어봐!” 같은 대꾸도 하셨지요. 이제 우리 집 아이들이 아버지한테 늘 “아버지, 이 나무는 이름이 뭐야? 이 꽃은 무슨 이름이야?” 하고 묻습니다. 저는 가만히 풀꽃나무 곁에 다가서거나 기대거나 쪼그려앉아서 혼잣말처럼 “그래, 이 아이(풀꽃나무)는 이름이 뭘까? 궁금하지?” 하고 첫머리를 열고서 “넌 어떤 이름이라고 생각해?” 하고 다음을 잇고 “네가 이 아이(풀꽃나무)한테 이름을 붙인다면 어떻게 지어 보겠니?” 하고 매듭을 짓습니다. 아이가 먼저 스스로 풀꽃나무한테 이름을 붙여 보는 생각을 펴고 나서야 비로소 몇 가지 이름을 들려줘요. 먼먼 옛날부터 고장마다 다르게 가리키던 이름 하나가 있다면, 오늘날 풀꽃지기(식물학자)가 갈무리한 이름이 둘 있습니다. 온누리 모든 풀꽃나무 이름은 처음에 옛날부터 시골사람 스스로 고장마다 새롭게(다르게) 붙였어요. 우리는 오늘날에도 풀이름을 지을 만하고, 글이름도 즐겁게 붙여서 이야기를 지을 만해요.


글이름 (글 + 이름) : 1. 글을 쓰는 사람을 밝히려고 붙이거나 지어 놓은 이름. 글을 쓸 적에만 따로 밝히거나 붙이거나 지어 놓은 이름. ‘필명·펜네임’을 가리킨다 2. 글·글씨·책을 잘 쓰거나 훌륭히 펴면서 널리 알려진 이름 3. 쓰거나 지은 글을 밝히거나 알리려고 지어 놓은 이름.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곁노래 2021.11.6.

곁말 14 길손집



  놀이란 늘 사뿐사뿐 즐기는 노래이지 싶습니다. 놀면서 우는 사람은 없어요. 놀면서 다들 웃어요. 놀이란 마음에 즐거이 웃는 기운을 맞아들이려고 새롭게 펴는 몸짓이라고 할 만합니다. 오늘도 웃는다면, 오늘도 노래하면서 즐거이 놀았다는 뜻이로구나 싶어요. 언제나 집에 머물며 하루를 그려서 짓고 가꾸고 누리다가, 곧잘 이 집을 떠나서 이웃이나 동무한테 찾아갑니다. 이웃하고 동무가 살아가는 마을은 바람이 어떻게 흐르고 풀꽃나무가 어떻게 춤추는가 하고 생각하면서, 하늘을 보며 걷습니다. 철마다 새롭게 빛나는 숨결을 아름다이 느끼면서 나들이를 합니다. 집을 나와 돌아다니기에 “우리 집”이 아닌 “다른 집”으로 찾아들어 하룻밤을 묵지요. 이때에 이웃이나 동무는 저한테 “숙소는 정하셨나요?” 하고 물으시는데, “잘곳은 그때그때 찾아요.” 하고 말합니다. 둘레에서 쓰는 말씨를 들으면서 제 나름대로 가다듬을 말을 짓습니다. ‘숙소’ 같은 한자말은 어린이가 못 알아들어서 ‘잘곳’처럼 투박하게 말을 엮어요. 이웃나라는 ‘게스트 + 하우스’처럼 재미나게 새말을 여며요. 우리는 ‘길손 + 집’이나 ‘나그네 + 집’처럼 이름을 지으면 어떨까 싶어, 아이한테 “우리는 오늘 길손이야. 길손집에 가자.” 하고 말합니다.


길손집 (길 + 손 + 집) : 길손이 깃드는 집. 집을 떠나서 돌아다니는 길에 하룻밤 있으면서 누리는 집. 한자말 ‘여관·숙소’나 영어 ‘호텔·게스트하우스’를 가리킨다.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곁노래

곁말 12 주제



  어릴 적부터 “○○하는 주제에” 소리를 익히 들었습니다. “힘도 없는 주제에”나 “골골대는 주제에”나 “못하는 주제에”나 “말도 더듬는 주제에” 같은 소리에 으레 주눅들었어요. “넌 그냥 쭈그려서 구경이나 해” 하는 말을 들으며 스스로 참 못났구나 하고도 생각하지만, ‘난 스스로 내 주제를 찾겠어’ 하고 다짐했어요. 어릴 적에는 우리말 ‘주제’가 있는 줄 모르고 한자말 ‘주제(主題)’인가 하고 아리송했습니다. 나이가 들고 나서는 “돈없는 주제에”나 “안 팔리는 주제에”나 “시골 주제에” 같은 소리를 곧잘 들으며 빙그레 웃어요. “주제모르고 덤벼서 잘못했습니다” 하고 절합니다. 이러고서 “돈없고 안 팔린다지만, 늘 즐겁게 풀꽃나무하고 속삭이면서 노래(시)를 쓰니, 저는 제 노래를 부를게요.” 하고 한마디를 보태요. 나설 마음은 없습니다. 들풀처럼 들숲을 이루면 넉넉하다고 여깁니다. 손수 지으면 모든 살림이 아름답듯, 언제나 끝없이 새롭게 샘솟는 손빛으로 신나게 글꽃을 지어서 그대한테 드릴 수 있어요. 이러고서 “돈있는 주제라면 둘레에 널리 나눠 주셔요. 저는 글쓰는 주제라 글꽃을 드리지요.” 하고도 읊습니다. 왁자지껄한 소리는 때때로 바람에 흘려 하루를 잊도록 쓰다듬어 주기도 하더군요.


주제 : 볼만하거나 넉넉하거나 제대로라 하기 어려운 모습·몸·몸짓·차림새 (못나거나 모자라다고 여길 만한 그릇·살림·삶)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곁노래

곁말 11 이웃사람



  ‘이웃’이라는 낱말만으로도 “가까이 있는 사람”을 가리킵니다만, 이제는 따로 ‘이웃사람’처럼 쓰기도 해야겠구나 싶습니다. ‘이웃짐승·이웃별·이웃목숨·이웃짐승·이웃나무·이웃숲’처럼 쓰임새를 자꾸 넓힐 만해요. ‘이웃-’을 앞가지로 삼아 새 낱말을 차곡차곡 지으면서 말결이 살아나고, 우리 스스로 둘레를 바라보는 눈길을 새록새록 가다듬을 만하지 싶습니다. 요사이는 ‘서로이웃’이란 낱말이 새로 태어났습니다. 그저 옆에 붙은 사람이 아닌 마음으로 만나면서 아낄 줄 아는 사이로 나아가자는 ‘서로이웃’일 테니, 따로 ‘이웃사람’이라 할 적에는 ‘참사랑’이라는 숨빛을 얹는 셈이라고 할 만합니다. 어깨동무를 하기에 서로이웃이요 이웃사람입니다. 손을 맞잡고 춤추며 노래하는 사이라서 서로이웃이자 이웃사람이에요. 이웃마을에 찾아갑니다. 이웃넋을 읽습니다. 즐겁게 이야기꽃을 엮고, 새삼스레 수다잔치를 폅니다. 옆집에 산다지만 아침저녁으로 시끄럽게 굴거나 매캐한 냄새를 피운다면 이웃하고는 동떨어질 테지요. 나무를 심어 돌보고, 밤이면 별빛을 헤아리고, 낮에는 멧새하고 풀벌레 노랫소리를 그윽히 누릴 줄 알기에 비로소 서로이웃이자 이웃사람이 되어, 온누리를 밝히는 길을 열리라 생각합니다.


이웃사람 (이웃 + 사람) : 그저 옆에 붙거나 있는 사람이 아닌, 몸으로도 마음으로도 깊고 넓게 아낄 줄 아는 포근한 숨결로 만나거나 사귀거나 어울리는 사람.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곁노래 2021.10.28.

곁말 10 밥투정



  어릴 적부터 못 먹는 밥이 잔뜩 있습니다. 둘레에서는 “뭐든 다 잘 먹어야 튼튼하게 자라지!” 하면서 제가 못 먹는 밥을 자꾸 먹였습니다. 입에도 속에도 와닿지 않는 먹을거리를 받아야 할 적에는 눈앞이 캄캄하더군요. 어떻게 이곳을 벗어나려나 아무리 생각해도 뾰족한 길이 없습니다. 둘레 어른들은 제가 코앞에 있는 밥을 말끔히 비워야 한다고만 여겨요. 눈을 질끈 감고서 입에 넣어 우물거리지만 목구멍에 걸립니다. 억지로 삼키면 이내 배앓이를 하거나 게웁니다. 거의 모두라 할 어른들은 ‘가려먹기(편식)’를 한다고 여겼어요. 그런데 마땅하지 않을까요? 몸에 안 받을 적에는 가려야지요. 다른 사람이 잘 먹기에 모든 사람이 잘 먹어야 하지 않아요. 사람마다 밥살림은 다르고, 옷살림도 집살림도 글살림도 다릅니다. “또 밥투정이야?” 하는 말을 들을 적마다 죽도록 괴로웠어요. 아이들은 왜 밥투정을 할까요? 싫거나 질리기도 할 테지만 ‘몸에 받을 만하지 않아’서입니다. 곰곰이 보면 ‘투정’이란, 모든 사람을 틀에 가두어 똑같이 길들이려 하면서 닦달하는 말 같아요. 다 다른 목소리를 듣고, 다 다르게 살림을 꾸리고, 다 다르게 말빛을 가꿀 적에, 비로소 함께 살아나며 즐거울 하루가 되리라 생각합니다. 투정은 안 나쁩니다.


ㅅㄴㄹ


밥투정 (밥 + 투정) : 어느 밥이 안 맞거나 싫다고 여기는 마음. 맞거나 좋다고 여기는 밥을 찾는 마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