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전에 쓴 글을 새삼스레 손질합니다. 예전 글을 손질하다 보면, 참 부끄럽네 싶으면서도, 한결 씩씩하게 손질할 기운을 길어올립니다. 예전에는 그때만큼 배우고 알기에 그렇게 쓰고, 오늘은 오늘대로 새로 배운 넋으로 기쁘게 손질할 수 있습니다.


..


잣방울



  소나무에는 솔방울이 열립니다. 소나무 방울이라 솔방울입니다. 잣나무에는 잣방울이 맺힙니다. 잣나무 방울이기에 잣방울입니다. 오리나무에는 오리방울이 자랍니다. 오리나무 방울이니 오리방울이에요. 소나무에는 솔꽃이 핍니다. 소나무 꽃이라 솔꽃입니다. 잣나무에는 어떤 꽃이 필까요? 잣나무 꽃은 잣꽃일까요? 오리나무에는 어떤 꽃이 필까요? 오리나무인 만큼 오리꽃일까요? 한국말사전을 살피면 ‘솔방울’ 하나만 나옵니다. 한국말사전은 ‘잣방울’이나 ‘잣꽃’을 다루지 않고, ‘오리방울’이나 ‘오리꽃’을 헤아리지 않습니다. 소나무 꽃을 ‘솔꽃’이라 밝히지 못한 채 ‘송화’라는 한자말만 다뤄요. 그러나, 숲마다 잣방울과 오리방울이 맺습니다. 숲으로 들어가면 잣꽃과 오리꽃이 흐드러집니다. 솔꽃이 피면서 퍼지는 가루는 ‘송화가루’가 아니라 ‘솔꽃가루’입니다. 소나무를 좋아하는 벌레는 ‘송충이’가 아니라 ‘솔벌레’입니다. 소나무숲에서 부는 바람은 솔바람입니다. 잣나무숲에서 부는 바람이라면 잣바람이 될 테지요. 소나무가 우거진 곳에서 솔내음을 맡고, 잣나무가 빼곡한 곳에서 잣내음을 맡아요. 나무 한 그루를 가만히 쓰다듬습니다.


+


살펴 가셔요



  책이나 만화영화를 살피면 으레 “조심해!” 같은 말이 나옵니다. 아이들이 개구지게 뛰거나 달리면, 어른들이 곁에서 “조심해!” 하고 말합니다. 아이는 이래저래 ‘조심’이라는 한자말을 어린 나날부터 익숙하게 듣고 씁니다. 내 어릴 적을 돌아보면, 내 둘레 어른들은 ‘조심’이라는 한자말도 더러 썼지만, 이보다는 ‘살피다’와 ‘마음 쓰다’ 같은 한국말을 한결 자주 썼어요. 그래서, 나는 어릴 적에 ‘조심·살피다·마음 쓰다’가 다 다른 말마디인 줄 여겼는데, 나중에 철이 들고 한국말사전을 읽다가, 이 세 말마디가 모두 같은 자리에서 같은 뜻을 가리킨다는 대목을 깨달았어요. 내 둘레 어른들은 이 대목을 처음부터 알았을까요? 그러고 보니 언젠가 어느 어르신이 “조심해서 들어가셔요.” 하고 들려주는 말마디를 몹시 얹짢게 여기셨어요. 그분은 “살펴 가셔요.” 하고 말을 하며 절을 해야 바른 인사말이라 여긴다고 하셨어요. 그래서 ‘조심’이라는 한자말을 좀 살펴보았더니, 이 한자말은 일제강점기 즈음부터 스며들었구나 싶더군요. 예전에는 아이들한테도 “잘 살펴야지.”라든지 “마음을 잘 써야지.” 하고 말했대요. 길을 살피고, 뜻을 살피며, 사랑을 살펴요. 둘레를 살피고, 동무를 살피며, 숲을 살펴요.


+


겹문·덧문



  기차역에는 없지만 전철역에는 있는 문이 있습니다. 기차역에도 때때로 사람들이 복닥거리지만 전철역은 언제나 사람들이 복닥거리는 터라, 사람들이 한꺼번에 몰려들 적에 서로 다치지 않도록 하자면서 덧대어 붙인 문이 있습니다. 겹쳐서 붙인 문이 있어요. 처음에는 이 문을 가리키려고 영어로 ‘스크린도어’라는 말을 썼다고 하는데, 요즈음에는 ‘안전문’으로 고쳐서 쓰도록 한다고 합니다. 그래, 잘 고치려 하는구나 하고 생각하다가, ‘안전’이라는 한자말은 그냥 써도 될 만한가 하고 고개를 갸우뚱해 봅니다. “안전하도록 이중으로 달아 놓은 문”이기에 ‘안전문’으로 고쳐서 쓴다고 하는데, 조금 더 살펴본다면 ‘안전문’이란 ‘겹’으로 달아 놓은 문입니다. 또는 문 하나 앞뒤로 다른 문을 하나 ‘더’ 달아 놓은 셈입니다. 이른바 ‘겹문’이거나 ‘덧문’입니다. 다치지 말자는 뜻을 살펴서 ‘안전문’으로 쓸 수도 있습니다만, 다치지 말자는 뜻을 살펴서 ‘지킴문’이라는 이름을 새로 지을 수 있어요. ‘지킴겹문’이나 ‘지킴덧문’처럼 뜻이 한결 또렷하게 이름을 붙여도 될 테고요.


+


어린이 표



  나는 버스표를 끊을 적에 ‘어른 표’ 하나와 ‘어린이 표’ 하나, 이렇게 두 가지를 달라고 말합니다. 기차표를 끊을 적에도 ‘어른 표’랑 ‘어린이 표’를 달라고 말해요. 극장표를 끊든 다른 표를 끊든 늘 ‘어른 표’하고 ‘어린이 표’를 말합니다. 그런데 ‘표 파는 곳’을 살펴보면 ‘어른 표’나 ‘어린이 표’라는 이름을 거의 안 씁니다. 흔히 쓰는 이름은 ‘성인 표’하고 ‘학생 표’예요. 어린이라면 모두 학교를 다니기에 학생으로 여겨서 ‘학생 표’라고 써야 할까요? 학교를 안 다니는 어린이도 표를 끊을 적에는 ‘어린이 표’가 아닌 ‘학생 표’라고 말해야 할까요? 더 살펴보면, ‘푸름이 표(청소년 표)’는 아직 따로 없기 일쑤예요. 이때에는 ‘중학생 표’나 ‘고등학생 표’이기 일쑤이고, 때로는 ‘중·고등학생 표’라고 하지요. 더욱이 한국에는 ‘대학생 표’가 따로 있기까지 합니다. 배우는 사람인 학생을 섬기려는 마음에서 ‘어른이 아닌 사람’은 모두 ‘학생’으로 여길는지 모르지만, 어린이도 푸름이도 그저 어린이와 푸름이로 마주하며 아끼는 마음이 되어서 이름을 알맞고 사랑스레 붙이고 불러 줄 수 있기를 빌어요.


(최종규/숲노래 . 2016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예전에 쓴 '말이랑 놀자'를 손질한 글을 새로 올려 봅니다.


..


웃보



  작은 일에도 으레 우는 아이가 있습니다. 울음이 많은 아이를 가리켜 ‘울보’라 합니다. 작은 일에도 으레 웃는 아이가 있습니다. 웃음이 많은 아이를 가리켜 곧잘 ‘웃보’라 합니다. 한국말사전을 찾아보면 ‘울보’는 실어도 ‘웃보’를 안 싣습니다. 우는 아이를 가리키는 이름은 한국말사전에 나오지만, 웃는 아이를 가리키는 이름은 한국말사전에 안 나옵니다. 예부터 누구나 흔히 웃으면서 살아가니 “잘 웃는 사람”을 가리키는 이름은 따로 없을까요? 누구나 웃으며 살아간다 하더라도 “잘 웃는 사람”을 가리키는 이름이 있을 만하지 않을까요? 잘 웃어서 웃보이고, 잘 울어서 울보이니, 잘 먹어서 ‘먹보’입니다. 그러면 잘 노는 사람은 ‘놀보’라고 하면 어떠할까요? 일을 잘 하는 사람은 ‘일보’라고 할 수 있을까요? 샘을 잘 내는 사람은 ‘샘보’라 할 만하고, 미운 짓을 잘 하는 사람은 ‘밉보’라 할 만해요. 잠꾸러기는 ‘잠보’라고도 하고, 꾀를 잘 내기에 ‘꾀보’라 해요. 뚱뚱하기에 ‘뚱보’라면 마른 사람한테는 어떤 이름이 어울릴까요? 늘 툭탁거리거나 걸핏하면 싸우는 사람은 ‘싸움보’인데 언제나 따스한 사랑으로 동무나 이웃을 아끼는 사람이라면 ‘사랑보’일 테지요.


+


첫물



  오월로 접어들어 드디어 들딸기를 땁니다. ‘첫물’ 들딸기입니다. 처음으로 익는 들딸기는 아직 통통하지 않습니다. 첫물이 지나고 나서 새로 돋는 들딸기는 차츰 통통하게 익으며, 새빨간 빛이 한결 곱습니다. 오이나 토마토를 심은 분이라면 첫물 오이와 토마토가 나온 뒤부터 꾸준히 새 오이와 토마토를 얻습니다. 씨앗을 받으려면 첫물 열매를 갈무리하곤 해요. 처음 맞이하기에 첫물입니다. 처음 누리기에 첫물입니다. 처음 얻으면서 처음으로 맛보기에 첫물입니다. 제철에 먹는 첫물 들딸기란 싱그러운 오월빛이 고스란히 녹아든 사랑스러운 숨결입니다. 제철에 먹는 숱한 ‘첫물 열매’는 그 철하고 달에 서린 따사로운 햇볕하고 바람하고 빗물 냄새랑 느낌이 골고루 깃든 숨결이에요. 처음으로 얻기에 첫물이고, 처음으로 내딛기에 ‘첫발’입니다. 아기는 첫발을 떼며 걸음마를 익히고, 우리는 무엇이든 처음으로 새롭게 배우려는 첫발을 떼며 씩씩하게 일어섭니다. 처음으로 먹기에 ‘첫술’이기에, 첫술에 배불러 하지 않으면서 느긋하고도 차분하게 몸짓을 다스립니다. ‘첫손’으로 꼽을 만한 ‘첫길’로 나아가고, ‘첫마음’을 고이 건사하면서 ‘첫꿈’을 가슴에 살며시 담습니다.


+


고운소금



  나는 왜 언제부터 ‘가는소금’이라고 말했는지 잘 모릅니다. 다만 퍽 어릴 적이었지 싶은데, 불쑥 ‘굵은소금·가는소금’을 말하다가 동무가 놓은 퉁을 들었어요. “얘, ‘가는소금’이 어디 있니? ‘고운소금’이지!” 이러구러 몇 해 지나 어느 날 또 ‘가는소금’이라고 말했는데, 어머니가 ‘고운소금’으로 바로잡아 줍니다. 얼마 뒤 또 ‘가는소금’을 말하고, 이웃 아주머니가 ‘고운소금’으로 바로잡아 줍니다. 한참 여러 해가 흐르고 흐른 요즈음, 우리 집 곁님이 ‘고운소금’ 이야기를 꺼냅니다. 곰곰이 돌이키니, 나는 어릴 적부터 참 끈질기게 ‘가는소금’이라 말했구나 싶습니다. 왜 그랬을까요? ‘곱다’라는 낱말을 ‘아름답다’라는 뜻으로만 써야 한다고 잘못 알기 때문일 수 있어요. 어쩌다 입에 한 번 붙은 말씨가 안 떨어지기 때문일 수도 있어요. 소금도 밀가루도 잘게 빻을 적에는 ‘곱다’라는 낱말로 가리킵니다. ‘가늘다’라는 낱말로 가리키지 않습니다. 한국말사전을 살피면 ‘굵은소금·가는소금’이 올림말로 나오고, ‘고운소금’은 올림말로 없습니다. 그러나, 내 어릴 적 동무와 이웃을 비롯해 곁님과 어머니와 할머니는 모두 ‘고운소금’만 말합니다.


+


멈춤 손잡이



  두 아이를 자전거에 태우고 마실을 가는 길입니다. 누렇게 고운 가을 들녘을 달리는데 내리막을 만납니다. 빠르기를 줄이려고 자전거 손잡이에 붙은 ‘브레이크’를 잡습니다. 샛자전거에 앉은 큰아이가 이때 뒤에서 묻습니다. “아버지 뭘 잡았어요?” “응? 멈추는 손잡이 잡았어.” “멈추는 손잡이?” “응, 멈춤 손잡이.” “아, 그렇구나.” 0.0001초쯤 ‘브레이크’를 잡는다고 말하려다가 그만두고, 일곱 살 어린이가 알아들을 수 있도록 말을 고쳐서 이야기해 줍니다. 자전거를 만드는 회사에서도, 자전거를 타는 사람들도, 거의 다 ‘브레이크 레버’라는 영어만 씁니다. ‘브레이크 손잡이’라 말하는 사람을 보기란 아주 어렵습니다. 한 걸음 나아가 ‘멈춤 손잡이’나 ‘멈추개’라 말하는 사람은 아예 찾아볼 수조차 없습니다. ‘멈추개’라는 낱말은 한국말사전에도 오르지만, 이 낱말을 제대로 살피거나 익혀서 알맞게 쓰는 사람은 좀처럼 나타나지 않습니다. 학교에서도 ‘멈추개’ 같은 말을 안 가르치겠지요? 신문이나 방송이나 책에서도 ‘멈춤 손잡이’ 같은 말을 안 쓰겠지요? 그렇지만 ‘멈추는 손잡이’라 하니 일곱 살 어린이도 알아들어요.


(최종규/숲노래 . 2016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예전에 쓴 글을 좀 손질해서 새로 써 보았다. 예전 글을 고칠까 하다가, 그 예전 글은 그대로 두고, 손질한 글을 모아서 올려 본다.


..


물빛그림



  ‘수채화’가 언제부터 수채화였을까 궁금합니다. 물감을 물에 풀어서 그리는 그림을 두고 언제부터 누가 왜 ‘수채화’라는 이름을 붙였는지 궁금합니다. 어른들은 그냥 ‘수채화’라고 말하니까 어린이는 어른들 말을 고스란히 따라서 ‘수채화’라 말할 수 있습니다만, 그래도 다시 한 번 가만히 헤아리면서 새로운 말을 써 보고 싶습니다. 아니, 물감을 물에 풀어서 즐기는 그림이 무엇인가를 새삼스레 바라보면서 가장 곱게 어울리는 이름을 지어 보고 싶습니다. 하얀 종이를 바닥에 펼치고 물감판을 옆에 두고는 물감을 짭니다. 물을 받은 그릇도 한쪽에 놓지요. 이렇게 마룻바닥에 판을 벌인 뒤에 붓을 듭니다. 붓에 물감을 묻히고 물을 알맞게 섞어서 종이에 처음으로 척 갖다 댑니다. 마음이 가는 대로 스으으윽, 슥슥, 삭삭, 사사삭 신나게 손을 놀립니다. 내 손놀림에 따라 물감 빛깔이 종이에 스며듭니다. 물을 탄 물감 빛깔은 새로운 숨결로 거듭납니다. 아하, 그렇구나. 수채화란 ‘물감 빛깔 그림’이로구나, 그러니까 ‘물빛그림’이네. 붓놀림에 따라 언제나 새롭게 태어나는 물빛그림에는 물결이 흐르고 물노래가 번집니다.


+


찻삯



  시외버스를 탑니다. 고흥부터 서울까지 달리는 시외버스에 네 식구가 타니, 네 사람 몫 표를 끊습니다. 어른 두 장을 끊고 어린이 두 장을 끊습니다. 버스에 손님이 거의 없으면 버스 일꾼은 “아이 표는 안 끊어도 되는데.” 하고 말씀합니다. 그러나, 버스에 손님이 있을는지 없을는지 우리가 알 길은 없습니다. 네 식구가 움직이면 표를 넉 장 끊으니 버스삯을 만만하지 않게 쓴다고 할 만하기에 버스 일꾼이 걱정해 주는구나 싶은데, 그러면 우리가 끊은 차표를 돌려주거나 물려주면 될 테지요. 아무튼 우리 네 식구가 기차를 타면 기찻삯을 냅니다. 배를 탄다면 뱃삯을 치르고, 비행기를 탄다면 비행기삯을 뭅니다. 택시를 타면 택시삯을 내요. 여러 가지 탈거리에 몸을 실으면서 찻‘삯’을 치릅니다. 함께 나들이를 다니면서 바깥에서 밥을 사서 먹으면 밥‘값’을 치르지요. 자가용을 모는 분이라면 다른 사람이 모는 차를 얻어타지 않으니 삯을 치르지는 않되, 자가용에 기름을 넣어야 할 테니 기름‘값’을 들입니다. 그러고 보면, 우리 집 아이들은 아버지를 말로 삼아서 타고 놀기를 즐기는데, ‘아버지 말’을 타는 아이들은 웃음이랑 노래를 ‘아버지 말삯’으로 재미나게 치릅니다.


+


마늘빵



  마늘을 넣어 밥을 지으면 마늘밥이 됩니다. 고구마를 넣어 밥을 지으면 고구마밥이 됩니다. 쑥을 넣으면 쑥밥이요, 팥을 넣으면 팥밭이며, 콩을 넣으면 콩밥입니다. 보리로 지으면 보리밥이고, 쌀로 지으면 쌀밥이에요. 이리하여, 마늘을 써서 빵을 구으면 마늘빵이 될 테지요. 한국사람도 오늘날에는 빵을 널리 먹으니, 마늘로 얼마든지 빵을 구울 만합니다. 영어를 쓰는 나라에서는 ‘마늘’이 아닌 ‘갈릭’이라는 낱말을 쓸 테니 ‘갈릭 브레드’라 해요. 한국말에서는 ‘빵’이지만 영어에서는 ‘브레드’이기도 해요. 그러고 보니 ‘바게트’ 같은 서양말도 한국에서는 그냥저냥 쓰기 일쑤입니다. 한국말로 손쉽게 알아들을 수 있도록 ‘막대빵’이라 해도 될 텐데 말이지요. 마늘을 써서 구운 빵이기에 ‘마늘빵’이라 하면 누구나 쉽게 알아볼 만하고, 막대기처럼 길게 구운 빵이기에 ‘막대빵’이라 하면 참말 누구나 바로 알아차릴 수 있어요. 팥빵도 한국말로 ‘팥빵’이라 해야 알아듣기에 좋아요. 일본말로 ‘앙꼬빵’이라 하지 않아도 됩니다. 일본말로 쓰는 ‘소보로빵(소보루빵)’도 ‘곰보빵’이나 ‘오돌빵’이나 ‘못난이빵’ 같은 한국말로 고쳐서 쓰면 한결 낫습니다.


+


셋길



  네 식구가 서울마실을 하며 전철을 탈 적입니다. 우리 집 큰아이가 전철 길그림을 읽습니다. “저기는 노란 줄로 셋이라고 적혔네. 셋길이야, 셋길! 어, 저기는 다섯이라고 적혔네. 다섯길이야!” 나는 큰아이한테 ‘삼호선’이나 ‘오호선’이라는 말로 바로잡아서 알려주지 않습니다. 아이가 한 말 그대로 “그래, 셋길이네. 저기는 다섯길이네.” 하고 이야기합니다. 전철을 타고 나서 곰곰이 생각합니다. 서울이든 부산이든 인천이든 큰도시에 놓은 전철이나 지하철에는 모두 ‘일호선·이호선’처럼 이름을 붙입니다. 나이 어린 아이가 문득 떠오르는 대로 말하듯이 ‘한길·두길·셋길·네길·다섯길’처럼 이름을 붙이지 않습니다. 이렇게 이름을 붙이면 어떠할까 하는 생각조차 어른들은 못 했으리라 싶습니다. 이런 이름을 생각했다 하더라도 이런 이름을 즐겁게 널리 쓰자는 데까지 생각을 뻗지 못했으리라 싶습니다. 그렇다고 지하철 이름을 ‘삼호선’이나 ‘오호선’이라 하지 말고 ‘셋길’이나 ‘다섯길’로 고치자는 얘기는 아니에요. “한길 지하철·셋길 지하철·다섯길 지하철”이라든지 “하나 지하철·셋 지하철·다섯 지하철”처럼 수수하게 이름을 붙일 수도 있었다는 얘기입니다.


(최종규/숲노래 . 2016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달걀부침



  내가 달걀을 부치면 우리 집에서는 ‘달걀부침’을 먹습니다. 내가 계란을 후라이로 하면 우리 집에서는 ‘계란후라이’를 먹습니다. 내가 달걀을 지글지글 익히면서 살살 말면 우리 집에서는 ‘달걀말이’를 먹지요. 내가 계란을 자글자글 익히면서 찬찬히 말면 이때에 우리 집에서는 ‘계란말이’를 먹어요. 어떤 낱말을 골라서 쓰느냐에 따라 삶이나 살림이 가만히 바뀌는 셈입니다. 이리하여 어릴 적부터 달걀부침이나 달걀말이를 먹고 자란 어린이는 ‘계란후라이’나 ‘계란말이’가 무엇을 가리키는지 아리송할 수 있어요. 거꾸로 어릴 적부터 계란후라이나 계란말이만 먹고 자란 어린이라면 ‘달걀부침’이나 ‘달걀말이’가 무엇을 가리키는지 알쏭달쏭할 수 있습니다. 예부터 한국에서는 기름이 지지거나 부쳐서 먹을거리를 장만했어요. 지글지글 지지면 ‘지짐’이나 ‘지짐이’입니다. 자글자글 부치면 ‘부침개’나 ‘부침’이에요. 굴비지짐이나 쑥부침개를 먹고, 떡지짐이나 부추부침을 먹지요. 도란도란 이야기꽃을 피우면서 서로 빙그레 둘러앉아서 지짐이 하나에 이야기 한 타래를 풀어놓습니다. 부침개 하나에 이야기 한 자루를 털어놓습니다. 4349.1.6.물.ㅅㄴㄹ


(최종규/숲노래 . 201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흙일꾼



  집에서 살림을 하기에 ‘살림꾼’입니다. 살림꾼은 집일만 하는 사람을 일컫지 않습니다. 집일을 하는 사람이라면 ‘집일꾼’이에요. 살림을 하기에 살림꾼이라고 따로 일컫습니다. 흙을 만지면서 일을 한다면 ‘흙일꾼’입니다. 글을 쓰면서 일을 한다면 ‘글일꾼’이 되고, 책을 펴내거나 짓는 일을 한다면 ‘책일꾼’이 되어요. 노래를 부르는 일을 한다면 ‘노래일꾼’이라 할 수 있어요. 일꾼은 일하는 사람을 가리키는 이름입니다. 살림꾼은 살림하는 사람을 가리키는 이름이고요. 그런데, ‘살림꾼’은 살림하는 사람 가운데에서도 살림을 알뜰살뜰 가꿀 줄 아는 사람한테 붙이는 이름이기도 해요. 집안일을 이렁저렁 맡아서 한다면 그냥 ‘집일꾼’이지만, 집살림을 요모조모 아기자기하거나 알차게 건사할 줄 알면 이때에는 ‘살림꾼’이나 ‘집살림꾼’이라는 새로운 이름이 붙지요. ‘주부·가정주부’는 으레 여자 어른인 어머니만 가리키는 이름입니다. 살림은 여자 어른만 하지 않고 남자 어른도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여자 어른하고 남자 어른이 사이좋게 함께 할 때에 한결 빛나요. 그러니 우리는 저마다 새로우면서 어여쁜 ‘살림꾼’으로 될 수 있다면 아주 아름답고 사랑스러운 사람이 되리라 생각해요. 4349.1.6.물.ㅅㄴㄹ


(최종규/숲노래 . 201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