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을 새롭게 살려서 쓰자고 하는 이야기를 적은 짧은 글을 이모저모 크게 손질해서 새로 올립니다.


..


어깨동무



  남녘과 북녘이 갈라지고 난 뒤부터 한 나라는 두 나라가 되었고, 이동안 두 나라에서 쓰는 말이 차츰 벌어져요. 나라는 같아도 고장이 다르면 말이 다르기 마련이라서 고장말(사투리)이 있지요. 고장마다 다르면서 즐겁게 쓰는 고장말이에요. 그런데, 우리 삶터에서는 남녘하고 북녘이 서로 으르렁거리는 사이가 되면서 ‘동무’라고 하는 살갑고 오래된 낱말이 짓밟혔어요. ‘동무’라는 낱말은 마치 북녘에서만 써야 하는 낱말인듯이 윽박지른 어른이 많았어요. 이리하여 남녘에서는 ‘친구’라는 한자말을 써야 했습니다. 남녘에서 새롭게 태어나 자라는 아이도, 할머니 할아버지도 ‘동무’라는 낱말은 어쩐지 낯선 말로 여겨야 했어요. 그러나 ‘동무’라는 낱말은 ‘글동무·소꿉동무·어깨동무·놀이동무·길동무·책동무’ 같은 낱말에 씩씩하게 남았지요. 한 나라가 두 나라로 바뀌었어도 오래도록 사람들 삶에 뿌리내린 말이 하루아침에 사라지지는 않아요. 이제 우리는 남녘하고 북녘 사이에서도 기쁘고 사랑스럽게 어깨동무를 하면서 평화를 찾아야지 싶어요. 이웃에 있는 다른 나라하고도 어깨동무를 하면서 기쁘게 웃는 웃음동무도 되고 노래동무도 되며 꿈동무도 되는 삶으로 거듭나야지 싶어요.


+


아주까리기름



  마치 사람 손바닥처럼 생긴 잎이 돋는 풀이 있어요. ‘아주까리’라는 풀인데, 이 풀에서 꽃이 핀 뒤에 씨앗이 여물어 열매가 맺으면, 이 열매를 얻어서 기름을 짜요. ‘아주까리기름’은 여러모로 살림을 북돋우는 구실을 해요. 우리가 쓰는 여러 가지 기름을 살피면 으레 풀씨나 풀알(풀 열매)에서 얻어요. 참기름은 참깨를 짜서 얻고, 들기름은 들깨를 짜서 얻지요. 이밖에도 해바라기씨나 포도씨를 짜서 기름을 얻고, 유채씨를 짜서 기름을 얻기도 해요. 콩알을 짜서 얻는 기름이라면 콩기름이고, 옥수수알을 짜서 얻는 기름이라면 옥수수기름이에요. 우리가 쓰는 기름을 놓고 이처럼 어느 풀씨나 풀알에서 얻은 기름인가 하고 이름을 붙이면 알아보기 쉽지요. 그렇지만 어른들은 이런 쉬운 이름보다는 ‘캐놀라유’나 ‘채종유’처럼 어려운 말을 쓰기도 해요. ‘캐놀라유·채종유’는 ‘유채기름(유채씨기름)’을 가리킨답니다. ‘아주까리기름’을 놓고도 ‘피마자유’ 같은 이름을 쓰려는 어른이 많아요. 그런데 말이지요, 시골에서 살며 아주까리풀이랑 아주까리꽃을 가까이에서 볼 수 없는 어린이라면 ‘아주까리’라는 이름도 똑같이 어려우려나요?


+


봄까지꽃



  조그마한 봄꽃을 놓고 세 가지 이름이 있습니다. 아기 손톱만큼 조그마하면서 보랏빛 꽃송이가 피는 봄꽃인데, 이를 놓고 ‘봄까지꽃·봄까치꽃·개풀알풀꽃’이라고 가리키곤 해요. 이 가운데 ‘봄까지꽃’이 옳고 알맞게 쓰는 이름이에요. 이 봄꽃은 한겨울에 볕이 포근할 적부터 떡잎이 돋고 꽃망울이 터져요. 이러다가 봄이 저물고 여름으로 접어들면 모두 시들어서 사라지지요. 이름 그대로 “봄까지 피는 꽃”이기에 ‘봄까지꽃’이랍니다. ‘봄까치꽃’이라는 이름은 이 봄꽃 이름을 어느 분이 잘못 알아듣고 시를 쓰면서 잘못 퍼졌어요. ‘개불알풀꽃’은 일제강점기에 일본 식물학자가 붙인 이름을 한국 학자가 고스란히 옮긴 이름이고요. 세 가지 이름을 놓고 어느 이름을 쓰더라도 우리 마음에 사랑이 있으면 될 노릇이에요. 이름 때문에 꽃이 달라지지는 않으니까요. 다만 이 작은 봄꽃을 바라보면서 가만히 생각을 기울일 수 있기를 바라요. 작은 들꽃 한 송이한테는 누가 어떤 이름을 어떻게 지어서 붙일 적에 더없이 사랑스레 어울리면서 고울까요? 꽃이름은 예부터 이 꽃을 가까이 두며 아낀 사람이 붙일 만할까요, 아니면 식물학자한테 맡겨서 붙일 만할까요?


+


제비꽃빛



  제비꽃은 한 가지가 아닙니다. 하얗게 꽃송이를 피우는 제비꽃이 있고, 노랗게 꽃잎을 벌리는 제비꽃이 있어요. 가장 흔히 볼 만한 제비꽃이라면 보랏빛입니다. 한겨울에도 볕이 잘 드는 자리에서 씩씩하게 고개를 내미는 제비꽃을 물끄러미 바라보면서 생각해 봅니다. 제비꽃은 으레 ‘보랏빛’이라 하는데, 보랏빛을 가리키는 이름으로 ‘제비꽃빛’을 쓸 만하겠구나 싶어요. 하얗거나 노란 제비꽃을 볼 적에는 ‘흰제비꽃빛’이나 ‘노란제비꽃빛’이라 말하면 될 테고요. 그래서 빛깔을 나타낼 적에 꽃빛을 놓고 여러모로 재미나게 빛깔 이름을 지어 볼 수 있어요. 감꽃빛, 살구꽃빛, 탱자꽃빛, 벚꽃빛, 개나리꽃빛, 민들레꽃빛, 모과꽃빛, 능금꽃빛, 배꽃빛, 오얏꽃빛, 복숭아꽃빛, 콩꽃빛, 배추꽃빛, 무꽃빛, 유채꽃빛, …… 그야말로 모든 꽃은 저마다 꽃빛이 다르니, 이 다르면서 고운 꽃송이하고 꽃내음을 헤아리는 빛깔말을 지을 만하지요. 꽃빛으로 빛깔을 가리키면 빛깔뿐 아니라 그윽한 냄새까지 우리 마음으로 스며들리라 느껴요.


(최종규/숲노래 . 2016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말이랑 놀자 182] 툭탁질



  작은 일을 놓고 둘이 다툽니다. 처음에는 가볍게 다투다가 어느새 손이 올라가더니, 한 사람이 때리고 다른 한 사람이 맞다가, 맞은 사람도 때린 사람을 때리면서 마구 뒤엉켜서 큰 싸움으로 번집니다. 작은 일을 놓고 둘이 옥신각신합니다. 한쪽이 옳으면 다른 한쪽은 그른 셈입니다. 서로 으르렁거리더니 다시 다툼질이 되고 싸움질로 되고 말아요. 작은 일을 놓고 서로 뜻이 안 맞습니다. 한번은 가볍게 티격을 벌이다가, 이내 티격태격 말소리가 높아지고, 어느새 툭탁거리면서 눈알을 부라리기까지 합니다. 어린이도 때때로 툭탁거리는 툭탁질을 합니다. 어른도 곧잘 툭탁거리면서 툭탁질을 해요. 우리는 누구나 서로 다른 사람이기에 마음이 다르기 마련일 텐데, 서로 얼마나 다른 사람인가를 찬찬히 헤아리지 못한 나머지 그만 다툼질을 하고 싸움질을 하며 툭탁질을 하고 티격질을 해요. 잘못하다가는 주먹질이나 발길질이 나올 수 있어요. 이러다가는 서로 마음이 크게 다쳐서 앞으로 앙금이 깊이 쌓일 수 있어요. 손을 잡거나 어깨동무를 하면서 한마음이 되어야 비로소 툭탁거리는 소리가 잦아듭니다. 4349.1.19.불.ㅅㄴㄹ


(최종규/숲노래 . 2016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말이랑 놀자 181] 날개 나래



  학교에서는 ‘상상화’를 그리라고 가르치거나 시킵니다. 나는 어릴 적에 ‘상상화’가 무엇인지 갈피를 잘 잡지 못했습니다. 아무래도 ‘상상’이라는 말부터 살갗으로 느끼기 어려웠어요. 어른들한테 상상화가 무엇이냐 하고 여쭈면 “상상을 그리면 된다”고 했어요. 그래서 다시 ‘상상’이 무엇이냐 하고 여쭈면 ‘생각’을 그리라고 하다가, ‘아직 일어나지 않은 생각’을 그리라고도 하고, ‘앞으로 이루고 싶은 꿈’을 그리라고도 했어요. 이때에 비로소 알아차리지요. 아하, ‘꿈을 그리면’ 되는구나 하고. 이러면서 고개를 갸우뚱하지요. 꿈을 그린다고 한다면 ‘꿈그림’이라 말하면 쉽게 알아차릴 수 있지 않을까요? 잠을 자면서 꾸는 꿈이 아니라 앞으로 일어나기를 바라거나 이루려는 꿈이라면 ‘앞꿈그림’이나 ‘새꿈그림’이라 이름을 붙일 만해요. 종이 한 장을 책상에 펼치고 내 꿈을 가만히 헤아립니다. 내 꿈에 날개를 달아 보려고 합니다. 꿈날개를 펼쳐서 새로운 생각을 지으려고 합니다. 때로는 꿈나래를 펄럭이면서 마음껏 온갖 생각을 지으려고 합니다. ‘나래’는 ‘날개’를 가리키는 옛말이라고도 하고 고장말이라고도 해요. 4349.1.19.불.ㅅㄴㄹ


(최종규/숲노래 . 2016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새로 쓰다시피 고쳐쓰고 손질한 '말놀이' 이야기 네 가지를 새로 걸칩니다.


..


손닦는천



  얼굴이나 몸이나 발을 씻은 뒤에는 물기를 천이나 헝겊으로 닦습니다. 그런데 천이나 헝겊을 써서 물기를 없애는 일은 따로 ‘훔치다’라는 낱말로 가리켜요. 걸레를 써서 방바닥을 닦을 적에도 “방바닥을 훔친다” 하고 가리키지요. 그러니까 몸을 씻고 나서 천으로 물기를 ‘훔칠’ 적에는 ‘잘 마른 천’을 씁니다. 젖은 천으로는 물기를 못 훔칠 테니까요. ‘마른 천’ 가운데에는 부엌에서 개수대 둘레에 놓으면서 쓰는 행주가 있고, 얼굴이나 손을 훔칠 적에 쓰는 천이나 헝겊이 있으며, 발을 닦는 천이나 헝겊이 있어요. 뒷주머니나 앞주머니에 넣으며 늘 들고 다니는 천이나 헝겊도 있지요. 자, 그러면 얼굴이나 손을 훔치는 천을 무엇이라 하나요? 발을 닦는 천은 무엇이라 하지요? 주머니에 넣어서 들고 다니는 천은 무엇이라 할까요? 어른들은 으레 ‘수건’이라는 낱말을 써요. ‘수건’은 한자말이고 ‘手巾’처럼 적어요. ‘手’는 “손”을 뜻하고, ‘巾’은 “천”을 뜻해요. 곧 ‘수건 = 손천’인 셈이에요. 우리가 ‘발수건’이라 말하면 ‘발 + 손천’이 되고, ‘손수건’이라 말하면 ‘손 + 손천’이 돼요. 뭔가 말이 엉뚱하지요? 어른들이 처음부터 ‘수건’ 아닌 ‘손천·발천·얼굴천·주머니천’ 같은 말을 썼다면 어떠했을까요?


+


바지저고리



  예부터 한국사람이 입은 옷은 ‘바지저고리’와 ‘치마저고리’입니다. 바지와 치마는 아랫도리이고, 저고리는 웃도리예요. 사내가 걸치는 바지랑 저고리를 아울러 ‘바지저고리’라 가리키고, 가시내가 걸치는 치마랑 저고리를 묶어서 ‘치마저고리’라 가리켜요. 한겨레 옛 옷을 흔히 ‘한복’이라고도 하지만, 한겨레는 예부터 우리 옷을 놓고 ‘바지저고리·치마저고리’라고만 가리켰어요. 그런데, 일제강점기에 일본사람은 한국사람이 입은 ‘바지저고리’를 업신여겼고, 일제강점기가 끝난 뒤에는 도시 문화가 크게 퍼지면서 시골살이를 깔보았어요. 이 두 가지 슬프고 아픈 발자취는 오늘날 한국말사전 뜻풀이에까지 고스란히 남습니다. 솜을 두어 겨울에 따스하게 입는 옷을 가리키는 ‘핫바지’를 놓고도 일제강점기부터 잘못 퍼진 슬프고 아픈 발자취가 그대로 남아서 어수룩한 사람이나 시골내기를 놀리는 말로 ‘핫바지’를 얄궂게 쓰기도 합니다. 어른들은 이런 말결이나 말씨를 살뜰히 가다듬지 못하는데, 우리 어린이들은 새로운 말결이나 말씨로 한국사람 옷차림을 가리키는 수수한 이름을 곱게 되찾을 수 있을까요?


+


해와 별



  어린이는 해를 바라보면서 ‘해’라 말합니다. 해가 비출 적에는 ‘햇빛’이라 말하고, 해가 풀과 나무를 살찌울 적에는 ‘햇볕’이라 말합니다. 해가 빛줄기를 곱게 퍼뜨릴 적에는 ‘햇살’이 눈부시다고 말합니다. 그런데, 꽤 많은 어른은 해를 바라보며 ‘해’라 말하지 않고 ‘태양’이라는 한자말을 쓰려 합니다. 해가 베푸는 빛과 볕과 살을 맞아들여 이 기운을 쓸 적에는 ‘태양에너지’라 하기도 해요. 왜 해는 해가 되지 못하고 ‘태양’이 되어야 할까요? 햇빛을 살리는 힘이라면 ‘햇빛힘’이 될 테고, 햇볕을 살리는 힘이라면 ‘햇볕힘’이 될 테며, 햇빛이랑 햇볕을 함께 살리는 힘이라면 ‘해힘’이나 ‘해님힘’이 될 텐데요. 더 헤아리면, 지구별이 있는 우주는 ‘해누리’입니다. ‘태양계’가 바로 ‘해누리’예요. 밤하늘에 눈부시도록 빛나는 별은 저마다 다른 ‘별누리’에 깃들어요. 그러니까 ‘은하’가 바로 ‘별누리’입니다. 그러면 너른 ‘우주’는 어떤 곳일까요? 바로 ‘온누리’랍니다. 모든 누리를 아우르기에 ‘온누리’이거든요. 모든 별을 아우른다고 하는 ‘천체’는 ‘온별누리’가 되지요.


+


찬바람이



  찬바람을 일으키는 기계를 ‘선풍기’라고 합니다. 더운바람을 일으키는 기계를 ‘온풍기’라고 해요. 우리 집 큰아이가 ‘온풍기’를 처음 보던 날 “저것 선풍기야?” 하고 묻기에 “응? 아니야. 선풍기 아니야.” 하고 말하니, “그러면 뭐야?” 하고 묻고, 나는 “더운바람이 나오는 아이야.” 하고 말해 줍니다. 아이는 문득 “‘더운바람이’겠네?” 하고 말합니다. 아이와 이야기를 나누면서 곰곰이 생각에 잠겨 보았습니다. 아이 말대로라면 ‘찬바람’이 나오는 선풍기란 바로 ‘찬바람이’입니다. 온풍기가 ‘더운바람이’라고 한다면, 참말 선풍기는 찬바람이 나오니 ‘찬바람이’가 되지요. 그렇다면 에어컨은? 에어컨도 찬바람이일 텐데, 선풍기하고 같은 이름이 될 테군요. 선풍기는 날개가 돌아가니까 ‘날개바람이’나 ‘날개찬바람이’라 하고, 에어컨은 그냥 ‘찬바람이’라고 하면 될까요? 선풍기도 온풍기도 에어컨도 이 이름대로 써도 되지만, 퍽 재미있게 새로운 이름을 지어서 선물처럼 붙여 볼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어서 빙그레 웃음이 납니다.


(최종규/숲노래 . 2016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말놀이' 이야기 네 가지를 새롭게 손질하고 고쳐 보았습니다.


..


은지은지



  개구리는 어떤 소리를 내면서 노래할까요? 개구리가 내는 소리를 ‘노래한다’고 여기면서 듣는 사람이 있고, ‘운다’고 여기면서 듣는 사람이 있어요. 노래하는 소리하고 우는 소리는 사뭇 달라요. 매미가 노래하거나 울 적에도 소리가 사뭇 다를 테고, 비둘기나 제비나 참새가 노래하거나 울 적에도 소리가 사뭇 달라요. 자, 그러면 가만히 생각을 기울여서 노랫소리나 울음소리를 들어 보기로 해요. 병아리랑 닭은 어떻게 노래하거나 울까요? 소랑 돼지는 어떻게 노래하거나 울까요? 귀뚜라미랑 방아깨비는 어떻게 노래하거나 울까요? 냇물은 어떤 소리를 내면서 흐를까요? 빗방울은 어떤 소리를 내면서 떨어질까요? 빨래를 손으로 비빌 적에는 어떤 소리가 날까요? 달걀을 부치거나 소시지를 익히거나 감자를 볶을 적에는 어떤 소리가 날까요? 밥이 끓는 소리랑 국이 끓는 소리는 어떠할까요? 참새는 ‘짹짹’이라 하는데 참말 참새 노랫소리나 울음소리는 ‘짹짹’ 하나뿐일까요, 아니면 다른 소리가 있을까요? 시냇물은 ‘졸졸’ 소리만 내면서 흐를까요, 아니면 새로운 소리가 있을까요? 우리 집 큰아이가 다섯 살이던 때에 우리 집 마당에 찾아온 멧새를 보더니 “아버지, 저 새는 ‘은지은지’ 하고 우네?” 하고 말했어요. 그때 우리는 그 멧새한테 ‘은지은지새(또는 은지새)’라는 이름을 붙여 주었어요.


+


에누리



  네 식구가 면소재지 마실을 하면서 중국집에 들르던 날입니다. 중국집에서 몇 가지를 시켜서 먹은 뒤 값을 치르려는데 아주머니가 “500원은 깎아 줄게요.” 하고 말씀합니다. 중국집에 이어서 면소재지 빵집으로 갑니다. 몇 가지 빵을 산 뒤 값을 내려는데 아주머니가 “이건 어제 거니까 디시(DC)해 줄게요.” 하고 말씀합니다. 면소재지 마실을 마친 뒤 군내버스를 타고 집으로 돌아오는 길에 생각합니다. 한곳에서는 ‘깎는다’고 말씀하고, 다른 한곳에서는 ‘디시(디스카운트)’를 한다고 말씀합니다. 하나는 한국말이고 하나는 영어예요. 값을 깎는 일을 놓고 한국말로는 따로 ‘에누리’라 하기도 해요. 그리고 ‘에누리’를 한자말로는 ‘할인’이라 하기도 하지요. 한국에서는 한국말 ‘깎다’랑 ‘에누리’도 쓰지만, 영어 ‘디시’나 ‘디스카운트’도 쓰고, 한자말 ‘할인’도 써요. 한국사람은 한국에서 한국말을 올바로 쓸 줄 알아야 합니다만 여러 가지 말을 재미나게 쓸 수도 있어요. 그나저나 값을 깎는 일을 가리킬 적에는 어떤 말을 주고받을 적에 즐거울까요? 어린이랑 어른이 한국에서 즐거이 함께 쓸 낱말은 무엇일까요?


+


씨앗콩



  우리가 먹는 여느 밥은 쌀밥이고, 쌀밥은 쌀알로 지어요. 쌀알은 볍씨를 심어서 거둔 열매인 ‘벼알’에서 껍질을 벗겨 얻습니다. 벼알 껍질인 겨를 살짝 벗기면 누르스름한 빛깔이 감도는 ‘누런쌀(현미)’이고, 겨를 많이 벗기면 하얀 빛깔이 감도는 ‘흰쌀(백미)’이에요. 겨를 많이 벗긴 흰쌀은 노란 쌀눈까지 깎이기 마련인데요, 노란 쌀눈은 이 열매(벼알)를 흙에 심어서 자라도록 하는 바탕입니다. 볍씨를 심어서 얻은 벼알을 껍질을 벗기지 않고 잘 건사하거나 갈무리해서 이듬해에 심으려고 하면, 이 볍씨를 ‘씨나락’이라고 따로 가리켜요. 씨(씨앗)가 되는 ‘나락’이라는 뜻입니다. 감자는 열매이면서 씨앗이에요. 감자가 묵으면 눈이 돋고 싹이 나오지요. 이 눈이나 싹이 돋은 자리를 알맞게 잘라서 밭자락에 심으면 줄기가 오르고 잎이 돋으면서 새로운 감자알이 맺어요. 이렇게 새 감자알을 얻도록 따로 건사하거나 갈무리하는 감자는 ‘씨감자’라 하지요. 밥에 함께 넣는 콩이라든지, 된장이나 고추장이나 두부로 바뀌는 콩도 열매이면서 씨앗이에요. 이듬해에 새로 심을 콩이라면 이때에는 ‘씨앗콩’이거나 ‘씨콩’이에요. 가만히 보면 우리가 먹는 모든 열매는 열매이면서 씨앗이에요. 밭에서 자란 씨앗을 먹으면서 마음밭에 생각이라는 새로운 씨앗을 품지요.


+


볏짚말이



  가을에 아이들하고 논둑길을 걷는 나들이를 다니다 보면, 아이들은 으레 묻습니다. “아버지, 저기 저 똥그랗고 커다란 건 뭐야?” “뭘까? 너는 뭐라고 생각해?” “어! 아, 음, 음. 잘 모르겠어.” “그러면, 이름을 한 번 붙여 봐.” “이름? 글쎄, 음, 그래, 똥그라니까 똥그라미!” 큰아이가 일곱 살이던 때까지 이런 이야기를 아이들하고 주고받았는데, 큰아이는 만화책에서 저 논바닥에 있는 커다란 동그라미를 보았고, 제대로 이름을 알려 달라고 묻습니다. 그래서 이제는 아이들한테 다른 이야기를 들려줍니다. “저기 저 논에 있는 커다란 동그라미는 ‘볏짚말이’라고 해.” “‘볏짚말이?’” “응, 볏짚을 동그랗게 말아서 볏짚말이라고 하지. 달걀말이도 달걀을 동글동글 말지.” “아하, 그렇구나.” “볏짚을 동그랗게 말면 ‘동글볏짚말이’나 ‘둥근볏짚말이’라 하면 되고, 볏짚을 네모낳게 여미면 ‘네모볏짚말이’라 하면 돼.” “응, 알았어.” 이렇게 큰아이하고 ‘볏짚말이’라는 이름을 놓고 생각을 나눈 뒤에 인터넷으로 ‘볏짚말이’를 무어라 가리키는가 하고 찾아보았어요. 그랬더니 ‘원형(梱包) 곤포(梱包) 사일리지(silage)’라는 이름을 쓴다더군요. 어떤가요? ‘원형 곤포 사일리지’라 하면 무엇을 가리키는지 알 만할까요?


(최종규/숲노래 . 2016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