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 게바라 자서전 - 20세기 가장 완전한 인간의 삶 - 체 게바라 전집 1, 개정판
체 게바라 지음, 박지민 옮김 / 황매(푸른바람) / 201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다듬읽기 / 숲노래 글손질 2024.4.9.

다듬읽기 195


《체 게바라 자서전》

 체 게바라

 박지민 옮김

 황매

 2004.12.31.



  《체 게바라 자서전》(체 게바라/박지민 옮김, 황매, 2004)이라고 하는 이름이 붙은 꾸러미는 ‘자서전’이라 하기 어렵습니다. 74쪽에 이르러서야 비로소 “체 게바라 님이 쓴 글”이 나오고, 한 줌쯤 되는 줄거리를 마친 뒤에는 “체 게베라 만남글(인터뷰)”을 줄줄이 붙입니다. 기림글(추천글)을 왜 이다지도 길게 붙여야 하는지 알쏭할 뿐 아니라, 옮김말도 영 사납습니다. 글님은 일본 한자말도 일본말씨도 옮김말씨도 안 썼을 텐데, 왜 우리는 우리말과 우리말씨를 다 잊어버린 채 뒤죽박죽으로 옮겨야 할는지 궁금합니다. ‘옮긴다’고 할 적에는 ‘글님 마음’을 ‘글님이 살아가는 터전에서 어떤 눈높이와 살림결로 폈는가’를 읽어서 이어야 어울립니다. 이웃말만 외울 적에는 우리말로 못 옮기겠지요. 우리말은 우리 삶과 살림과 사랑을 담습니다. 이웃말은 이웃나라 삶과 살림과 사랑을 담습니다. “무늬만 한글”이 아닌, “알맹이가 우리 삶과 살림과 사랑인 말”로 옮기기를 빕니다.


ㅅㄴㄹ


#CheGuevara #SelfPortraitCheguevara



이것은 내가 첫 여행을 하던 때의 이야기다

→ 내가 처음 길을 떠나던 이야기다

→ 내 처음 마실을 나선 이야기다

74


우리는 대화를 시작했으며

→ 우리는 얘기를 했으며

→ 우리는 말꼬를 텄으며

77


그리고는 곧장 산 프란시스코 델차나르로 가는 마지막 여정을 출발했다

→ 그러고는 곧장 산 프란시스코 델차나르로 떠났다

→ 그러고서 마지막인 산 프란시스코 델차나르로 나섰다

82


그다지 심각하지 않게 여겨지는 것은 당연하다

→ 그다지 대단하지 않게 여길 만하다

→ 그다지 대수롭지 않게 여길 수 있다

90


그 장엄한 아름다움은 푸른 숲으로 뒤덮인 언덕에서 찾아볼 수 있다

→ 푸르게 뒤덮인 언덕은 놀랍도록 아름답다

→ 언덕은 푸른숲인데 무척 아름답다

→ 푸른숲 언덕은 아름답고 어마어마하다

91


이웃한 숲들로 이루어진 산속 오솔길들이 차례로 이어져 있다

→ 숲을 가로지르는 오솔길이 잇달아 나온다

→ 숲을 지나는 오솔길로 이어갔다

91


한 병동에서 푹 쉴 수 있었으나, 그 전에 나의 의학 지식을 보여주어야만 했다

→ 돌봄칸에서 푹 쉴 수 있으나, 먼저 돌봄길을 선보여야 했다

→ 돌봄칸에서 푹 쉴 수 있으나, 아픈이를 먼저 돌보아야 했다

92


이 모든 것을 설명하는 데는 긴 시간이 필요하다

→ 이 모두를 얘기하자면 오래 걸린다

→ 이 모두를 말하자면 한참 걸린다

99


연두 빛이 나는 경사면에 위치해 있었는데

→ 옅푸른 비탈에 있는데

→ 옅푸른 고갯길에 있는데

→ 옅푸른 언덕에 있는데

105


거구의 뚱뚱한 이 사람은 손톱처럼 단단해 보이는 얼굴을 하고 있었다

→ 뚱뚱한 이 사람은 손톱처럼 단단해 보이는 얼굴이다

→ 크고 뚱뚱한 이 사람은 손톱처럼 단단해 보이는 얼굴이다

105


우리의 코를 애무하는 듯한 자연의 향기를 맡으며 태고의 숲이 에워싸고 있는

→ 우리 코를 쓰다듬는 듯한 풀내음을 맡으며 오래숲이 에워싸는

→ 우리 코를 매만지는 듯한 푸른내를 맡으며 오래숲이 에워싸는

→ 우리 코를 간질이는 듯한 푸른냄새를 맡으며 옛숲이 에워싸는

111


길 위의 먼지를 온통 뒤집어쓴 우리의 행색에서 이전의 귀족적 풍모를 찾아내줄 사람은 없었다

→ 길바닥 먼지를 뒤집어쓴 우리 꼴에서 벼슬아치 같은 빛을 찾아낼 사람은 없다

→ 길에서 먼지를 온통 쓴 우리 꼬라지에서 멋스런 모습을 찾아낼 사람은 없다

114


새로운 땅에 대한 간절한 열망을 가지고 있었던 잉카인들은 자신들의 강력한 제국이 성장하는 것을 지켜보았고

→ 새땅을 애타게 바라던 잉카사람은 나라가 높이 솟는 모습을 지켜보았고

→ 새터를 뜨겁게 꿈꾸던 잉카사람은 나라가 힘차게 뻗는 길을 지켜보았고

129


자신의 영역을 침범하지 않는 몇 마디의 의미 없는 말들이 오가는 대화는 주춤거리기 시작해 서로 각자의 길로 떠나려던 참이었다

→ 안쪽을 건드리지 않는 몇 마디 덧없는 말이 오가다가 주춤거리며 서로 헤어지려던 참이다

→ 울타리를 넘보지 않는 몇 마디 뜻없는 말이 오가다가 주춤거리며 다들 갈라서려던 참이다

142


민중은 자신의 실수를 통해서만 배울 수 있는데

→ 사람들은 넘어져 보아야만 배울 수 있는데

→ 들꽃은 거꾸라져 보아야만 배울 수 있는데

142쪽


오늘은 훌륭한 조언을 해주는 좋은 할아버지가 된 기분이다

→ 오늘은 훌륭히 귀띔하는 상냥한 할아버지가 된 듯하다

→ 오늘은 훌륭히 말씀하는 착한 할아버지가 된 듯하다

211쪽


단식투쟁에 관해서는 어머니가 완전히 틀리셨어요

→ 굶기싸움은 어머니가 아주 틀리셨어요

→ 어머니는 밥굶기싸움을 잘못 보셨어요

213쪽


박애주의 단체의 회원들은 농부들의 죽음이 미국정부 내에 있는 자기 동포들이 지원한 무기 때문이라는 것을 알고 있을까

→ 이웃사랑 모임 사람들은 미국에 있는 제 겨레가 돈을 댄 총칼에 논밭지기가 죽은 줄 알까

224쪽


누가 그의 육체적 존재를 없앴는가

→ 누가 그를 죽였는가

→ 누가 그이 몸을 박살냈는가

290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어른이 된다는 서글픈 일
김보통 지음 / 한겨레출판 / 2018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다듬읽기 / 숲노래 글손질 2024.4.9.

다듬읽기 196


《어른이 된다는 서글픈 일》

 김보통

 한겨레출판

 2018.1.9.



  《어른이 된다는 서글픈 일》(김보통, 한겨레출판, 2018)을 펴면, 첫머리는 글님이 어릴 적부터 겪은 쓴맛과 멍울과 생채기를 고스란히 드러내는구나 싶다가, 어느새 글이 갈팡질팡 길을 잃는 듯싶습니다. 이모저모 꾸미거나 덧붙이려 들면서 들쑥날쑥합니다. “나이만 드는 사람”은 ‘어른’이 아닙니다. “철이 드는 사람”이 ‘어른’입니다. 어른이 되는 길이 서글플 까닭이 없습니다. 철이 들어 눈이 밝고 마음을 틔울 적에는 늘 스스로 생각하는 숨빛으로 사랑을 펴게 마련입니다. 철이 안 들고 나이만 먹기 때문에 ‘늙’으며, 이렇게 늙은 몸으로 뒹굴 적에는 서글플 수 있겠지요. ‘어른’은 말을 꾸미거나 감추지 않습니다. 어른은 수수하고 쉽게 숲빛으로 글을 살리고 가꿉니다. 어른이 아니기에 쉬운말을 안 쓸 뿐 아니라, 겉치레하고 허울을 자꾸 붙이려고 하더군요.


ㅅㄴㄹ


신기하게도 흐리멍덩한 잔상으로 남아 있던 것들이 쓰기 시작하면 조금씩 선명해집니다

→ 흐리멍덩하던 일을 글로 쓰는데 놀랍게도 조금씩 뚜렷이 떠오른다

→ 마음에 남아서 글로 쓰는데 믿기지 않지만 조금씩 또렷이 생각난다

10


마음속 심사위원들은 만장일치로 만점을 주었다

→ 마음으로 되씹으며 한목소리로 으뜸을 매겼다

→ 마음으로 살피며 다같이 첫째로 매겼다

20


배드민턴 라켓 없는 집이 없었던 것처럼

→ 깃공치기 채가 없는 집이 없었듯이

23


나 역시도 재미 같은 건 생각하지 않는다

→ 나도 재미는 생각하지 않는다

25


중요한 건 그래서 누가 이겼냐이다

→ 그래서 누가 이겼냐를 따진다

→ 그래서 누가 이겼냐를 들여다본다

25


거의 30년 전의 일이다

→ 거의 서른 해 일이다

→ 거의 서른 해가 됐다

32


첫 시합 1라운드 시작과 동시에 시원하게 케이오를 당했다

→ 첫판 첫마당을 열자마자 시원하게 드러누웠다

→ 첫겨룸 첫마루를 열면서 바로 시원하게 뻗었다

41


그것을 이별이라 부르기도 애매해다. 기본적으로 늘 떨어져 있다

→ 헤어졌다고 하기도 어설프다. 늘 떨어졌다

→ 갈라섰다고 하기도 멋쩍다. 늘 떨어졌다

51


그 도시의 어느 돈가스 가게에 앉아 있었다

→ 그 고장 어느 돼지튀김 가게에 앉았다

51


정신력의 문제가 아니야

→ 마음이 아니야

→ 마음힘이 아니야

58


한 명은 단란주점에 다닌다는 소문이 있는 여자애였다

→ 하나는 노닥술집에 다닌다고 하는 가시내였다

→ 하나는 노닥가게에 다닌다는 말이 있는 아이였다

67


살면서 예측하지 못한 시련에 부딪혀 고난을 겪을 때마다

→ 살면서 뜻하지 못한 고비에 부딪힐 때마다

→ 살면서 생각지 못한 벼랑에 부딪힐 때마다

90


할아버지의 등장을 알리는 것은 골목 어귀에서 들려오는 희미한 동요 소리였다

→ 할아버지는 골목 어귀에서 가물가물 노랫소리를 들려주며 나타났다

→ 할아버지는 골목 어귀에서 가늘게 놀이노래를 들려주며 나타났다

101


당시 열여덟 살이던 우리가 경험은커녕 상상도 할 수 없는 기행을 많이 저질렀다

→ 열여덟 살이던 우리가 겪기는커녕 꿈도 못 꿀 만한 뜬금짓을 자주 저질렀다

→ 열여덟 살이던 우리가 해보기는커녕 어림도 못 할 짓을 자주 저질렀다

111


이미 나의 덜 떨어짐이 평소의 행실로 익히 알려진 터라 부질없는 짓이었지만

→ 이미 늘 덜떨어진 내 모습이 익히 알려진 터라 부질없는 짓이지만

113


학교 대표로 여기저기 사생대회에 참가하곤 했다

→ 배움터에서 뽑혀 여기저기 그림잔치에 가곤 했다

127


너무 어린 것인지, 밤눈이 어두운 건지

→ 너무 어린지 밤눈이 어두운지

141


내가 근로장학생 일을 한 것은 단지

→ 내가 배움일꽃을 맡은 뜻은 그저

→ 내가 배움일꾼을 한 까닭은 그냥

147


잠시 정적이 흐르고 내가 물었다

→ 한동안 조용했고 내가 물었다

→ 살짝 말이 없고 내가 물었다

170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버지의 레시피 - 딸에게만 알려주고 싶었던 비밀
나카가와 히데코 지음 / 이봄 / 2020년 11월
평점 :
절판


다듬읽기 / 숲노래 글손질 2024.4.1.

다듬읽기 139


《아버지의 레시피》

 나카가와 히데코

 박정임 옮김

 이봄

 2020.11.23.



  《아버지의 레시피》(나카가와 히데코/박정임 옮김, 이봄, 2020)는 책이름에 ‘레시피’라 적듯, ‘부엌’이 아닌 ‘주방’을 말하고, ‘밥차림·밥짓기·밥하기’가 아닌 ‘요리·요리 만들기’를 말합니다. ‘부용(육수)’처럼 적기에 무슨 소리인가 했더니, ‘고깃물’을 프랑스말로 ‘bouillon’이라고 하더군요. 밥 한 그릇을 놓고서 ‘하다·짓다·차리다’라 할 적에는 손끝이 조금씩 다릅니다. 다 다르되 모두 사랑을 바탕으로 살림하는 마음입니다. ‘요리·조리·레시피’는 모두 우리말이 아닙니다. 일본스러운 티가 묻어서 우리말이 아니지 않아요. 예부터 우리 살림자리에서 쓴 말은 ‘하다·짓다·차리다’인걸요. “아버지가 차리다”요 “아버지가 짓다”입니다. “아버지 손맛”이고 “아버지 부엌”입니다. 수수하게 오늘 하루를 바라보는 눈매라면, 옮김말뿐 아니라 밑글부터 좀 달랐으리라 봅니다.


ㅅㄴㄹ


아버지는 매일 아침마다 자전거를 타고 동네를

→ 아버지는 아침마다 두바퀴를 타고 마을을

8쪽


내 아이들이 아주 어렸을 때는 일본 본가에

→ 아이들이 아주 어릴 때는 일본집에

→ 우리 아이가 아주 어릴 때는 일본에

9쪽


아버지는 손님에 대한 마음을 요리 안에 담아내는 프로 요리사였다

→ 아버지는 손님을 헤아려 밥에 담아내는 솜씨꾼이었다

→ 아버지는 손님을 살피며 밥 한 그릇에 담아낼 줄 알았다

11쪽


주방에서의 아버지는 엄격했지만

→ 아버지는 부엌에서 깐깐했지만

→ 아버지는 부엌에서 딱딱했지만

→ 아버지는 부엌에서 매서웠지만

11쪽


맛있는 요리를 만들려면 먼저 맛있는 부용(육수)를 만들자

→ 밥을 맛있게 하려면 먼저 국물을 맛있게 마련하자

→ 밥을 맛있게 차리려면 고깃물부터 맛있게 내자

13쪽


아버지의 웃음이 씨줄과 날줄처럼 교차한다

→ 웃음짓는 아버지가 씨줄과 날줄 같다

→ 웃는 아버지가 맞물린다

18쪽


얼마 안 되는 쌀을 가지고

→ 얼마 안 되는 쌀로

→ 쌀 한 줌으로

20쪽


수습생으로 있는 동안에는

→ 곁일꾼으로 있는 동안에는

→ 심부름을 하는 동안에는

27쪽


그렇게 설명하는 아버지의 표정에 생기가 넘쳤다

→ 아버지는 이렇게 말하며 빙그레 웃는다

→ 아버지는 이렇게 들려주며 얼굴을 편다

40쪽


오랜 세월이 흘러도 변하지 않는 맛이 있다

→ 오래 흘러도 달라지지 않는 맛이 있다

→ 오래되어도 한결같은 맛이 있다

→ 오래도록 같은 맛이 있다

→ 오래오래 그대로인 맛이 있다

54쪽


잘 구워진 돼지고기를 접시 위에 올리고 프라이팬에 남아 있는

→ 잘 구운 돼지고기를 접시에 올리고 판에 남은

→ 돼지구그를 잘 구워 접시에 올리고 판에 남은

67쪽


모든 요리에 공통되는 점은 고기를 반드시 강불에서 볶아 색을 입히면

→ 어떤 밥차림이든 고기를 반드시 센불로 볶아 빛을 입히면

77쪽


철제 프라이팬이 있다

→ 쇠지짐판이 있다

→ 쇠자루판이 있다

90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재즈, 끝나지 않는 물음 - 인문학으로 재즈를 사유하다
남예지 저자 / 갈마바람 / 2022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다듬읽기 / 숲노래 글손질 2024.3.26.

다듬읽기 63


재즈, 끝나지 않은 물음

 남예지

 갈마바람

 2022.4.25.



  《재즈, 끝나지 않은 물음》(남예지, 갈마바람, 2022)을 읽으면서 ‘재즈’를 우리말로 담아낼 수 있을까 하고 한참 생각했습니다. ‘재즈’나 ‘스윙’을 그냥 쓸 수 있지만, 우리한테도 이러한 가락과 빛이 있는 터라, 예부터 흘러왔고 앞으로 이어갈 노래와 짓을 헤아릴 만합니다. 이를테면 “one string guita”로 노래를 여민 “Chicken in The Corn”이 있는데 ‘재즈’는 아니라고 여길 만하지만, 담벼락이 아닌 새길을 보았기에, “쪼아먹은 닭”을 놓고서 “외줄 기타”를 폈어요. 모든 노래도 글도 살림도, 수렁이나 바닥이나 끝에서 문득 솟아납니다. 죽음보다 나을 바 없다는 곳에서 노래가 흘러요. 우리한테 ‘일노래’가 있으니, 죽을 듯한 일에 치이면서도 부드러이 노래하고, 아이를 재우고, 살림을 이었습니다. 그래서 ‘가락꽃’이나 ‘신가락’이나 ‘널가락’을 떠올리고, 꽃으로 피어나는 가락을 신바람으로 품는 길을 살핍니다. 이 책도 멋부리는 옮김말씨나 일본말씨가 아닌, 들노래를 부르는 수수한 사람들 말씨로 가다듬었다면 한결 나았을 텐데 싶습니다.


ㅅㄴㄹ


20대의 대부분을 재즈가 뭔지도 모르는 채 재즈 보컬리스트로서 살았고

→ 스무줄을 신가락이 뭔지도 모르는 채 신가락을 부르며 살았고

→ 스무순이를 가락꽃이 뭔지도 모르는 채 신나게 부르며 살았고

5쪽


재즈가 무엇인지에 대한 답을 내리지 못할 것이다

→ 신가락이 무엇인지 길을 찾지 못한다

→ 널가락이 무엇이라고 말하지 못한다

7쪽


각주에 표기되어 있는 원전을 찾아볼 것을 추천한다

→ 꼬리글에 있는 밑글을 찾아보기를 바란다

→ 덧붙인 바탕글을 찾아보라고 꼽는다

7쪽


재즈에서의 즉흥연주가 무無에서 유有를 창조하는 과정이라고는 할 수 없다

→ 널노래에서 바로가락이 빈터에서 새롭게 짓는 길이라고는 할 수 없다

→ 가락꽃에서 바람노래가 없다가 생기는 발판이라고는 할 수 없다

20쪽


즉흥적으로 이루어지는 작곡이라는 점에서 연주자들의 독창적인 선율이 만들어지는 과정이기도 하지만

→ 문득 가락을 쓰기에 저마다 다르게 들려주는 길이기도 하지만

→ 바로바로 노래를 지으니 다 다르게 펴기도 하지만

25쪽


이렇게 무의식적 층위에서 이루어지는 즉흥연주는

→ 이렇게 얼결에 하는 바로꽃은

→ 이렇게 문득 태어나는 바람꽃은

30쪽


악보가 모든 것을 말해 주는 것은 아니다

→ 노래종이가 모두 말해 주지는 않는다

→ 가락종이가 모두 말하지는 않는다

38쪽


즉흥 솔로 연주를 듣다 보면

→ 혼바람꽃을 듣다 보면

→ 혼바로꽃을 듣다 보면

47쪽


지금, 이 순간에 만들어지는 음악이다

→ 바로 여기에서 태어나는 노래이다

→ 오늘 이곳에서 생기는 노래이다

→ 바로 이때에 피어나는 노래이다

→ 이곳 이때에 깨어나는 노래이다

48쪽


+


습관적 기억은 신체와 굉장히 가깝게 연결되어 있는 데 반해

→ 길든 이야기는 몸하고 아주 가깝게 잇닿지만

→ 물든 마음인 몸하고 무척 가깝게 닿지만

→ 스며든 옛생각은 몸에 착 붙었지만

82쪽


이 난해한 정의들을 종합해 보면 결국 스윙은 리듬을 타는 방식이자, 복층적 리듬 속에서 발생하는 긴장과 이완

→ 이 골아픈 풀이를 갈무리하면 너울은 가락을 타는 길이자 겹가락을 밀고 당기고

→ 이 어려운 말을 추스르면 물결은 가락을 타는 길이자 겹가락을 풀고 여미고

93쪽


건반의 틈새들 사이로부터 나오는 음들이라고 표현한다

→ 누름쇠 틈새로 나오는 소리라고 나타낸다

→ 누름판 사이로 나오는 가락이라고 그린다

→ 눌쇠 틈으로 나오는 소리라고 말한다

103쪽


스타일의 변화를 통시적으로 살펴보면

→ 춤추는 결을 길게 살펴보면

→ 바뀌는 모습을 두루 보면

125쪽


우리의 사고는 생각보다 창의적이지 않다

→ 우리는 뜻밖에 새롭게 바라보지 않는다

→ 우리는 썩 새롭게 헤아리지 않는다

144쪽


인간을 분류하기 위해 별자리, 혈액형 등을 기준으로 삼기도 하고

→ 사람을 나누려고 별자리, 피갈래롤 잣대로 삼기도 하고

146쪽


포스트모더니즘은 이성 중심의 근대적 사고에 반발하며

→ 새물결은 마음을 바탕으로 두는 길에 맞서며

→ 새너울은 넋으로 바라보는 길에 대들며

→ 새길은 마음꽃으로 생각하는 길을 부수며 

→ 새빛은 밝게 헤아리는 길을 받아치며

180쪽


음악의 절대적 시간은 선형적으로 흘러가지만

→ 노래는 가지런히 흘러가지만

→ 노랫가락은 길게 흘러가지만

229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한국이 싫어서 오늘의 젊은 작가 7
장강명 지음 / 민음사 / 2015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다듬읽기 / 숲노래 글손질 2024.3.25.

다듬읽기 191


《한국이 싫어서》

 장강명

 민음사

 2015.5.8.



  《한국이 싫어서》(장강명, 민음사, 2015)는 책이름처럼 이 나라가 싫어서 떠난 사람이 무엇이 왜 싫었는지를 들려주면서, 먼나라에서는 무엇을 좋아하려고 하는지 적는다고 여길 만합니다. 그런데 이 나라에서 싫었던 일을 저 나라에 가서도 똑같이 합니다. 저 나라에서 좋았던 일은 이 나라에서도 똑같이 좋았을 테고요. 가만히 보면 ‘좋은나라·나쁜나라’란 없습니다. 사람이 더 좋거나 나쁘지도 않습니다. 바라보는 마음에 따라서 좋기도 하고 나쁘기도 한데, ‘바라보는 마음’은 어릴 적부터 배움터하고 둘레에 길들거나 물든 몸짓입니다. ‘버릇대로 좋거나 싫다’고 가를 뿐입니다. 무엇보다도 굳이 글(문학)로 길게 짜려고 억지로 줄거리를 붙이는구나 싶고, 이러다 보니 ‘요즘 젊은이 말씨’를 흉내내려는 티가 자꾸 나면서 늘어집니다. “한국이 싫어서”라기보다는 “미친서울이 싫어서”이지 않을까요? ‘미친서울’ 못잖게 ‘미친시골’도 수두룩하겠으나, 서울 언저리에서 맴돌 적에는 ‘고요시골’도 ‘조용시골’도 못 봅니다. 글쓴이가 서울을 훅 떠나 고즈넉한 시골에서 여러 해쯤 살아 보았다면 글도 줄거리도 확 달랐을 테지요.


ㅅㄴㄹ


인천공항에서 공식적으로 헤어졌지

→ 인천나루에서 씩씩하게 헤어졌지

→ 인천나루에서 환하게 헤어졌지

9쪽


“너무 부실하게 먹지 말고” 하는 레퍼토리를 세 번이나

→ “너무 모자라게 먹지 말고” 하는 얘기를 세 판이나

→ “너무 두루뭉술 먹지 말고” 하는 말씀을 석 벌이나

9쪽


무슨 불매운동을 벌이자는 것도 아니고

→ 무슨 내치자는 짓도 아니고

→ 무슨 도리도리도 아니고

→ 무슨 끊기도 아니고

11쪽


반찬은 간소하게 두세 가지만 먹을 건데 내가 직접 만들 거야

→ 곁밥은 단출하게 두세 가지만 먹을 텐데 내가 손수 할래

→ 곁거리는 가볍게 두세 가지만 먹을 텐데 내가 지을래

14쪽


상추 같은 작물을 텃밭에

→ 상추 같은 남새를 텃밭에

15쪽


서울은 1년에 한 번만 올라와

→ 서울은 한 해에 하루만 와

15쪽


비실비실거리면서 아흔 살이고

→ 비실비실하면서 아흔 살이고

→ 비실거리면서 아흔 살이고

16쪽


내가 어떤 조직의 부속품이 되어서 그 톱니바퀴가 되었다 해도

→ 내가 어떤 일터에서 톱니바퀴가 되었다 해도

→ 내가 어떤 일터에서 곁거리가 되었다 해도

19쪽


그래도 나름 규모가 있는 회사다 보니까

→ 그래도 그 나름대로 큰 일터다 보니까

→ 그래도 꽤 큰 일터다 보니까

21쪽


근무조를 바꿔 주긴 하더라

→ 일때를 바꿔 주긴 하더라

→ 일모둠을 바꿔 주긴 하더라

22


어찌해야 할지 몰라 전전긍긍하다가 자뻑의 길을 택하는 거지

→ 어찌해야 할지 모르다가 거드름길을 고르지

→ 어찌해야 할지 발동동이다가 겉멋으로 가지

25


개인적으로 쇼킹했던 뉴스가 또 있었는데

→ 내가 놀란 일이 또 있는데

→ 난데없는 얘기가 또 있는데

27


이 나라에서는 자동차가 좌측통행이라는 사실을 잊고 왼쪽만 흘끗 살핀 뒤

→ 이 나라에서는 쇳덩이가 왼길인 줄 잊고 왼쪽만 흘끗 본 뒤

→ 이 나라에서는 부릉길이 왼쪽인 줄 잊고 왼쪽만 흘끗댄 뒤

31


보디랭귀지가 왜 이렇게 매력적이야?

→ 몸짓이 왜 이렇게 멋있어?

→ 몸놀림이 왜 이렇게 달콤해?

31


추워지면 손가락과 발가락 속에서

→ 추우면 손가락과 발가락에서

33


고개 까닥까닥거리면서 싫대

→ 고개 까닥거리면서 싫대

→ 고개 까닥까닥하현서 싫대

36


혼자 꽃단장하고 나왔다 싶더라니. 유부녀가 말야

→ 혼자 꽃차림하고 나왔다 싶더라니. 아줌마가 말야

→ 혼자 꽃꾸밈하고 나왔다 싶더라니. 핫어미가 말야

39


연식이 좀 되는 분인가 보네

→ 나이가 좀 되는 분인가 보네

→ 좀 늙은 분인가 보네

47


우리나라 행복 지수 순위가 몇 위고 하는 문제는 관심 없어

→ 우리나라 꽃나래가 몇 째고 하는 일은 몰라

→ 우리나라 늘기쁨이 몇 째칸이고는 마음 안 써

61


내가 거지인 줄 알아? 적선하냐?

→ 내가 거지인 줄 알아? 동냥하냐?

→ 내가 거지인 줄 알아? 베푸냐?

83


네 결심에 대해서 말이야?

→ 네 뜻 말이야?

→ 네 다짐 말이야?

109


보증금도 받을 수 없다고요?

→ 밑돈도 받을 수 없다고요?

→ 밑천도 받을 수 없다고요?

126


오늘의 스페셜 메뉴는 갈릭 새우와

→ 오늘 꽃밥은 마늘새우와

→ 오늘 꽃차림은 마늘새우와

130


나는 내가 좋아하는 것들을 생각해 봤어

→ 나는 뭘 좋아하는지 생각해 봤어

→ 내가 좋아하는 일을 생각해 봤어

152쪽


따뜻한 열대지방으로 떠나려 하지만 번번이 실패해

→ 따뜻한 곳으로 떠나려 하지만 늘 쓴맛이야

→ 더운땅으로 떠나려 하지만 언제나 그르쳐

157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