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책숲

책숲하루 2024.12.23. 함께 울다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국어사전 짓는 서재도서관)

: 우리말 배움터 + 책살림터 + 숲놀이터



  누구나 오늘을 살아가면서 어제하고 모레를 나란히 돌아봅니다. 오늘·어제·모레는 따로 흐르지 않습니다. 어제인 듯싶으나 바로 눈앞에 있구나 싶도록 떠올리고, 까마득한 앞날 같은데 어느새 코앞으로 다가와요. 오늘 누리는 동안 그대로 어제로 흐르되, 이 오늘이 씨앗으로 깃들어 새롭게 모레를 이룹니다.


  우리 보금자리에서는 곁님하고 두 아이하고 나누는 마음을 맞아들이면서 배웁니다. 저는 저대로 늘 새로 배운 마음을 새삼스레 풀어놓아 들려줍니다. 언제나 서로서로 오가는 마음이 있기에 늘 싱그러이 오늘과 어제와 모레가 맞물려요. 어제그제 부산에서 ‘이오덕 읽기 모임’을 꾸리면서 만난 이웃님을 돌아봅니다. 나중에 한 분이 제 글이 참 ‘수수하다’고 말씀해 주셔서 고마웠습니다. 굳이 수수하게 쓰려는 마음은 아니지만, 멋을 내거나 꾸미거나 더하거나 덜려는 마음이 없이, 늘 제 민낯을 그대로 담으려는 글일 뿐이거든요.


  민낯이란 맨낯입니다. 맨낯이란 맨몸이자 맨손이고 맨발입니다. 저는 한겨울이건 한여름이건 으레 맨발로 다닙니다. 얇은 바닥인 고무신을 꿰고서 시골도 서울도 걷습니다. 서울 아닌 시골조차 시골이웃은 저를 보며 “아니, 한겨울에 고무신에 맨발이면 안 추워요? 발 안 시려요?” 하고 묻습니다만, 저는 으레 “날씨가 찰 수 있지만, 찬바람을 구태여 받아들일 마음이 없고, 저는 발바닥과 발가락이 땅과 바람을 고스란히 느끼려고 할 뿐입니다.” 하고 여쭙니다.


  제가 뭘 잘 한다거나 못 한다고 여기지 않습니다. 늘 그만큼 하면서 그만큼 배운다고만 느낍니다. 그러나, 배울 적마다 늘 두 마디를 나란히 말합니다. 첫째는 “고맙습니다”요, 둘째는 “잘못했습니다”입니다. “잘못했습니다”라는 말을 “고맙습니다” 못지않게 자주 말합니다. 곁님하고 두 아이한테도 아마 날마다 말하지 싶은데, 아직 덜 배우거나 못 배운 나를 민낯 그대로 밝혀야, 비로소 작은걸음을 내딛는다고 느껴요. 그리고, 제가 아직 덜 배운 대목을 짚거나 알려주었기에 바로 “고맙습니다” 하고 보태요.


  부산에서 마주한 ‘이오덕 읽기 모임’ 이웃님 가운데 한 분이 한참 울었습니다. “이제 교사를 그만두어야 하나 싶다”고 말씀하시더군요. 오늘날에도 얼뜬 길잡이는 수두룩하지만, 거꾸로 얼뜬 아이도 너무 늘었습니다. 교실에서 아이를 부르는데 아이가 손전화에 넋이 나간 터라 부르는 소리를 못 듣기에, 어깨를 손가락으로 톡톡 건드리면서 “아무개야.” 하고 부르며 이 아이한테 알릴 이야기를 들려주려고 하는데, 이 아이는 길잡이를 ‘아동학대’로 걸고넘어지기 일쑤입니다. 이 ‘아동학대’ 탓에 여섯 달이나 이태 남짓 시달린 숱한 ‘길잡이 이웃’이 있는데요, 부산 길잡이 이웃님도 “학교에서 무엇을 할 수 있는지, 또 무엇을 해야 할는지 모르겠을 만큼 힘들다”고 하십니다.


  우리는 배우는 어른일까요? 우리는 배우는 아이일까요? 우리는 안 배우며 고여가는 고인물일까요? 우리는 고맙다거나 잘못했다는 말을 잊어버리고 꼬여버린 꼰대일까요?


  이웃님이 이오덕 어른 이야기를 듣고 나누면서 울 적에, 저도 함께 울었습니다. 울면서 함께 녹일 일이요, 눈물을 닦고서 앞으로 새로 일굴 보금자리·마을·배움터·나라·우리별을 그릴 노릇이라고 봅니다. 어른으로서 어진 마음을 함께 배우고 익히기를 빕니다. 아이로서 알아가는 길을 함께 걷기를 빕니다.


ㅅㄴㄹ


*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 짓는 일에 길동무 하기

http://blog.naver.com/hbooklove/28525158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지기(최종규)가 쓴 책을 즐거이 장만해 주셔도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짓는 길을 아름답게 도울 수 있습니다


+ + +


읍내에서 돌고도는 시외버스를 내려서

옆마을로 지나가는 시골버스를 1시간 기다렸고

옆마을에 내려서 한참 논두렁을 걸어

집에 닿았다.

이러고서 여섯 시간을 쓰러져 잤다.

이제 몸이 조금 개운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이오덕 읽는 “이응모임” 8걸음

― 새롭게 있고, 찬찬히 읽고, 참하게 잇고, 느긋이 익히고



때 : 2024.12.21.토. 20시

곳 : 부산 연산동 〈카프카의 밤〉

님 : 숲노래 × 곳간출판사

곁 : 《내가 무슨 선생 노릇을 했다고》를 미리읽기, 또는 〈카프카의 밤〉에서 사기



줄거리

가. 글을 읽는 눈

 ㄱ ‘소년소녀’가 아닌 어린이

 ㄴ 오누이와 언누이

 ㄷ 아이한테서 배우는 길

 ㄹ 아이 곁에 있어야 본다

 ㅁ 낳고 돌보는 아이


나. 글로 잇는 마음

 ㄱ 누구나 아기로 태어난다

 ㄴ 언제나 아이답게 자란다

 ㄷ 어떤 어른으로 서려는가

 ㄹ 어른으로서 물려줄 마음

 ㅁ 낱말을 어떻게 고르는가


다. 글로 새기는 뜻

 ㄱ ‘동심천사주의’를 깬다

 ㄴ ‘색동회’를 벗긴다

 ㄷ ‘권장도서’를 없앤다

 ㄹ ‘글쓰는 형식’을 지운다

 ㅁ ‘문인·작가 흉내’를 버린다


라. 글을 빗질하는 손

 ㄱ 아이어른을 쓰다듬는 길

 ㄴ 잘잘못을 바라보는 길

 ㄷ 좋고나쁨을 넘어서는 길

 ㄹ 씨앗글을 헤아리는 길

 ㅁ 이야기로 피어나는 길


+


일곱걸음 : 이원수가 일깨운 글빗(비평)


  ‘역사’를 배우겠다는 분이 《조선왕조실록》 한글판부터 읽겠다고 하면 얼른 말립니다. 제발 ‘임금놀이’에 사로잡히지 말라고, 집안일부터 하라고 말합니다. 다들 으레 “아니, 집안일에 무슨 역사가 있어요?” 하고 되물을 텐데, “먼먼 옛날부터 손에서 손으로 이은 집안일을 해야, 먼먼 옛날부터 사람들이 하루를 어떻게 그리고 지으며 사랑으로 살림했는지 먼저 몸으로 느끼고, 이내 마음으로 돌아보고, 차분히 이 삶으로 들여다볼 수 있습니다.” 하고 대꾸합니다.


  우리 어린이문학은 거의 일본을 거쳐서 그냥 들어왔습니다. 나중에 ‘색동회’로 자란 방정환 님이 일군 《어린이》라는 잡지는 온통 ‘일본 어린이문학 + 어린이놀이 + 어린이노래’였습니다. 일제강점기에 뜻깊게 엮은 어린이잡지이기는 하되, 우리 어린이를 헤아린 책하고는 한참 멉니다. 이런 뿌리인 탓에 ‘색동회’는 언제나 이승만·박정희·전두환·노태우한테 이바지하면서 거꾸로 어린이한테는 등졌습니다. 이런 슬픈 ‘역사’를 바탕으로 또아리를 튼 ‘동심천사주의’요, 오늘날 ‘창비·문학동네’ 글담(문학권력)입니다.


  ‘소년소녀 세계문학전집’은 이름부터 일본말일 뿐 아니라, 그냥 일본책을 모조리 베낀 얼거리입니다. 우리는 예부터 ‘아이’라 했고, 이따금 ‘어린이’라 했습니다. ‘어린이’는 방정환 씨가 새로 지은 말이 아닙니다. 이미 있던 말입니다. ‘어린이·젊은이·늙은이’처럼 쓰던 말입니다. 방정환 씨는 ‘어린이’라는 이미 있던 낱말에 뜻을 보태었을 뿐이고, 이렇게 보탠 뜻이 깊을 뿐입니다.


  예부터 우리 옛이야기나 온겨레·온나라 이야기에는 ‘어린이’가 나옵니다. ‘소년소녀’가 안 나옵니다. 그런데 창비·김이구·원종찬으로 손꼽는 어린이문학평론은 ‘소년에 치우친 어린이문학을 소녀한테 돌려준다’는 말을 자꾸 퍼뜨리고 가르칩니다. 모름지기 ‘아이·어린이’뿐 아니라 ‘어른·어버이’라는 이름에는 ‘남녀’나 ‘여남’을 가리는 뜻이 없습니다. 그저 아이요 어른입니다.


  낳아도 아이요, 이웃에도 아이입니다. 낳으면 낳기 때문에 하루 내내 아이하고 어울리면서 아이한테서 배웁니다. 아이를 어떻게 돌보아야 하는가를 바로 아이가 가르치거든요. 이웃 아이를 지켜볼 적에는 ‘낳은 어버이’하고 다른 눈이기에, ‘이웃 어른’으로서 아이가 듣거나 보거나 새길 대목을 이웃으로서 새롭게 추슬러야 하는구나 하고 배웁니다.


  이러한 얼거리를 우리 어린이문학에서 제대로 바라본 사람이라면 이원수 님이고, 이원수 님은 이오덕 님한테서 ‘글빗(비평)’을 오롯이 할 만한 빛을 찾아보았습니다. 1950년대에는 웬만한 초등교사는 아이를 욱여내고 닦달하면서 돈을 거두어들이고 흠씬 두들겨패는 망나니였습니다. 이런 망나니는 1990년대까지 꽤 이었는데, 이오덕 님은 유난스레 아이한테서 돈을 욱여내지 않고 닦달을 안 하고 안 때리는 드문, 어쩌면 거의 없던 사람입니다. 이러면서 아이들한테 붓종이(필기구)를 선뜻 내주면서 글과 그림을 스스로 펴는 길을 마련하고 북돋았습니다.


  여러모로 보면, 모든 어린이를 나란히 품고 헤아리면서, 아이가 스스로 제 마음을 제 손으로 종이에 적어 보고 그려 보도록 이끈 어른이자 길잡이인 이오덕 님이기에, 글빗(비평)을 고르면서도 곱게 펼 수 있는 밑바탕을 가꾸었다고 여길 만합니다. 이름값이 높다고 해서 이름값에 휘둘린다면 글빗이 아닙니다. 출판사에서 드린 책이라고 해서 치켜세운다면 글빗일 수 없습니다. ‘권장도서’가 아닌, 아이하고 함께 읽을 책을 살핀 길을 열려던 이오덕 님이기에, 여러 인문출판사가 어린이책을 제발 꾸준히 펴내기를 그토록 바라고 여쭈고 손수 꾸러미를 모아서 갖다주기까지 했다고 느낍니다.


  글빗은 어느 글이나 책 하나만 쓰다듬지 않습니다. 어느 글이나 책에 깃든 씨앗을 눈여겨보면서 살리는 손길이자 눈길입니다. 아이가 생각을 밝히도록 북돋울 낱말을 하나하나 고르면서 쓸 글이고, 스스로 어른답게 사랑하고 살림하는 오늘을 고스란히 담을 글이고, 누구 흉내를 낼 까닭이 없는 글입니다. ‘아이마음(동심)’은 ‘천사’가 아닌, ‘사람마음’은 다 ‘하늘’이라고 해야 알맞습니다.


  된장국을 끓이는데 된장을 안 넣었다면 알려주어야지요. 불을 만지고 칼을 다루는 부엌에서 불이나 칼을 함부로 휘두르거나 다루면 바로바로 따끔하게 멈춰세워야지요. 면허증을 땄더라도 섣불리 자동차를 씽씽 달리지 않도록 타이르고, 천천히 길부터 익히고 사람부터 살피라고 알려야지요. 글빗을 하려면, 누구보다 더 읽고, 누구보다 더 돌아보고, 누구보다 스스로 고요히 마음을 그리면서 이 길을 사랑하려는 하루일 노릇입니다. 이쪽도 좋고 저쪽도 좋다며 춤추는 매무새는 도무지 글빗일 수 없고, 몇몇 글담(문단권력)에 기대어 이름을 파는 몸짓도 영 글빗일 수 없습니다. 이야기를 읽고서 새롭게 이야기를 풀어낼 적에 비로소 글빗입니다.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책숲

책숲하루 2024.12.6. 알라딘 서재달인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국어사전 짓는 서재도서관)

: 우리말 배움터 + 책살림터 + 숲놀이터



  누리책집 〈알라딘〉을 언제부터 했는 지 가물가물합니다. 다만 2009년부터 책마루빛(서재의 달인)으로 뽑혔고, 2024년까지 줄이었습니다. 문득 보니 2024년 12월로 접어들어 ‘숲노래 알라딘 글집’을 찾아온 분이 400만을 넘깁니다. 언제나 까칠하게 읽고 쓰는 숲노래 씨일 텐데, 그동안 드나든 400만 발자국도 고맙습니다.


  아이들하고 살림하는 시골 아저씨 이야기를 꾸준히 지켜보는 눈길이 있기에, 오늘도 새삼스레 아이들하고 살림하는 시골 보금자리를 곰곰이 되짚습니다. 인천도 서울도 충주도 다 떠나고서 고흥이라는 조그마한 두멧시골에 깃들어서 지내기에, 서울에서 어떤 모지리가 멍청짓을 하더라도 이곳에서는 그저 조용합니다. 시골에서 스스로 살림하면서 집안일을 건사할 줄 안다면, 모지리로 기울거나 멍청짓을 할 까닭이 없다고 느낍니다.


  이리하여 숲노래 씨는 스스로 생각해 봅니다. ‘대통령·국회의원·장관·시도지사·군수·교육감’ 같은 일꾼으로 서려면, 다음 네 가지 밑틀을 세울 수 있다면, 이 나라는 아름길을 걸으리라 봅니다.


ㄱ. 적어도 열 해 동안 집안일을 하면서 아이를 돌본 사람만

ㄴ. 적어도 열 해 넘게 시골에서 밭을 일구면서 살아가는 사람만

ㄷ. 운전면허 없이 대중교통과 자전거로 다니는 사람만

ㄹ. 대학교를 다니지 않은 사람만 


  여기에서 ㉠은 ‘낳은 아이만 돌보’지 않습니다. ‘이웃아이 돌보기’도 아이돌봄입니다. 나라일꾼을 맡는 사람은 고등학교만 마쳤거나 그냥 아무 학교를 안 다닌 사람이 어울린다고 느낍니다. 여태껏 푸른별 모든 나라를 보면 알 만합니다. 대학교 졸업장으로 줄세우기를 하니까 나라꼴이 망가져요. 초중고등학교가 바로서려면, 대학입시가 아닌 사람으로서 사람답게 배우는 틀을 제대로 다시 세워야 합니다. 운전면허증이 없을 뿐 아니라, 운전기사를 안 거느리려고 하는 사람만 벼슬자리를 얻어야 한다고 봅니다. 걸어다니지 않는 사람이 나랏일을 어떻게 살필까요? 집안일을 안 하는 사람은 나랏일도 엉망진창일 수밖에 없습니다. 그리고 밥살림을 손수 건사해 본 적이 없는 사람은 이웃하고 어깨동무할 줄 모릅니다.


  그래서 까칠한 숲노래 씨는 몇 가지를 보태고도 싶습니다. ‘올해책’을 뽑을 적에도 다음처럼 ‘올해책 후보’ 밑틀을 짠다면, 우리나라 책마을이 아름답게 피어나는 밑거름이 될 만하리라 봅니다.


ㄱ. 집안일을 하며 아이를 돌보는 사람

ㄴ. 시골에서 밭을 일구는 사람

ㄷ. 걷고 자전거를 타는 사람

ㄹ. 졸업장과 자격증 모두 버린 사람


  이쯤은 해야 ‘서울쏠림’을 풀 만하고, 이렇게 해야 ‘인구소멸·지역소멸’을 조금은 풀어낼 길을 열 만하지 싶습니다. 까칠한 숲노래 씨한테 2008년부터 2024까지 내리 ‘책마루빛’이라는 보람을 주셔서 고맙습니다. 그러고 보니 꽤 예전부터 숲노래 씨한테 ‘알라딘서재 꼭두자리(1등)’를 내어주신 듯한데, 이런 꼭두자리를 오래오래 내어주셔서 더더욱 고맙습니다. 새해에도 한결같이 까칠하게 읽고 쓰고 살림하는 시골내기로 하루를 노래하겠습니다.


ㅅㄴㄹ


*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 짓는 일에 길동무 하기

http://blog.naver.com/hbooklove/28525158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지기(최종규)가 쓴 책을 즐거이 장만해 주셔도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짓는 길을 아름답게 도울 수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책숲

책숲하루 2024.11.23. 부산이웃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국어사전 짓는 서재도서관)

: 우리말 배움터 + 책살림터 + 숲놀이터



  부산에서 마실하는 이웃을 맞이하기 앞서 책숲을 신나게 치웁니다. 한나절을 꼬박 들여서 책더미 여럿을 제자리를 찾아서 꽂아 놓고, 잔뜩 쌓인 종이꾸러미도 조금쯤 끌러서 한켠에 쌓습니다.


  오늘 고흥에서 꾸리는 ‘이응모임(새롭게 있고, 찬찬히 읽고, 참하게 잇고, 느긋이 익히고)’은 네 가지 ㅇ(있·읽·잇·익)을 놓고서 따르 밑글을 마련하지 않습니다. 〈숲노래 책숲〉에 건사한 이오덕 어른 책을 자리에 몇 더미로 쌓아 놓으면서 엽니다. 이오덕 어른 책을 이렇게 수북수북 건사해서 읽은 사람은 몇쯤 될까요?


  다만, 종이책만 훑기에 ‘읽는다’고 여기지 않습니다. 첫줄부터 끝줄까지 죽 훑을 적에는 ‘훑다’라고 합니다. ‘읽다’라는 낱말은 한 줄을 읽건 쉰 벌을 되새기건, 우리가 눈을 거쳐서 마음으로 스민 이야기를 우리 몸으로 녹이고 풀어서 우리 삶으로 펼쳐서 사랑으로 밝히고 살림으로 가꾸는 길을 가리킵니다. ‘있’기에 ‘읽’는데, ‘이으’면서 ‘익히’는 하루예요.


  이런 여러 ㅇ을 돌아보면서 ‘가고 오는’으로 쪽글을 씁니다. 이윽고 ‘단맛 쓴맛’을 놓고서도 쪽글을 써요. 어디로 가고 어디로 오는지, 누가 가고 누가 오는지, 무엇이 달고 쓴지, 이 삶은 얼마나 달콤하면서 씁쓸한지 하나씩 짚고 살피면서 구름 짙은 고흥밤을 포근히 누립니다.


ㅅㄴㄹ


*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 짓는 일에 길동무 하기

http://blog.naver.com/hbooklove/28525158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지기(최종규)가 쓴 책을 즐거이 장만해 주셔도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짓는 길을 아름답게 도울 수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책숲

책숲하루 2024.11.16. 헌책집 번개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국어사전 짓는 서재도서관)

: 우리말 배움터 + 책살림터 + 숲놀이터



  11월 16일 14시에는 서울 〈숨어있는 책〉에서 ‘헌책집 나들이 번개’를 합니다. 11월 17일 13시에는 인천 〈나비날다〉에서 ‘헌책집 나들이 번개 + 책수다’를 하고요. 미리 날을 잡기는 했지만, 문득 이날에 이르러 알림글을 남겨 봅니다. 마음이 만나면서 흙날(16일)이며 해날(17일)을 책빛으로 포근하게 쉬고 싶은 이웃님이라면 책집에서 어울리면서 책시렁을 함께 돌아볼 만합니다.


  혼자 둘러볼 적하고 책동무랑 나란히 돌아볼 적은 사뭇 다릅니다. 서로 다르게 살피는 눈길을 느끼면서, 서로 재미나게 이 책 저 책을 짚어 주면서 나누는 자리입니다. 사뿐사뿐 거닐면서 누리는 책마실을 함께 누릴 이웃님을 책집에 먼저 깃들어서 기다리려고 합니다.


ㅅㄴㄹ


*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 짓는 일에 길동무 하기

http://blog.naver.com/hbooklove/28525158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지기(최종규)가 쓴 책을 즐거이 장만해 주셔도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짓는 길을 아름답게 도울 수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