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책숲

책숲하루 2021.6.29. 걷다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국어사전 짓는 서재도서관)

: 우리말 배움터 + 책살림터 + 숲놀이터



  사흘 앞서 낮에는 대전에서 걸었고, 저녁에는 서울에서 걸었습니다. 그제하고 어제는 서울을 걸었습니다. 대전에서도 서울에서도 나무가 숨을 쉴 틈이 없이 빼곡한 찻길을 지켜보았는데, 그래도 귀퉁이나 구석이나 틈바구니에 뿌리를 내리는 들꽃이 있습니다.


  큰고장은 이름 그대로 커서 잿빛집이 까마득하고, 갈수록 부릉이(자동차)도 덩치가 자랍니다. 이와 달리 풀밭이나 빈터는 자취를 감추는데 쪽틈에서 돋는 들풀은 갸날프기까지 합니다. 시골에서 보는 풀하고 생김새도 크기도 너무 달라 “무슨 풀이려나? 낯은 익은데 알쏭하네.” 하고 여기다가, 이 가운데 하나가 씀바귀인 줄 뒤늦게 알아봅니다.


  어쩜 이렇게 조그마한 씀바귀가 커다란 대전이며 서울 구석퉁이에서 고개를 빼꼼 내밀까요. 큰고장 사람이 큰고장에서 숨을 쉬는 바탕은 이 조그마한 들꽃이지 않을까요? 그러나 대전도 서울도 걷기에 매우 나쁩니다. 조금만 걸어도 거님길을 차지한 부릉이 탓에 비켜서야 하고, 방귀를 훅 뿜으며 달아나는 씽씽이(오토바이)도 수두룩합니다.


  높다란 잿빛집이 하늘을 막기도 하지만, 두 다리로 걸으려 해도 거님길이 워낙 엉터리인 터라 하늘을 보기조차 어렵지만, 저잣거리나 가게골목 둘레는 사람물결로 미어지니 하늘을 봤다가는 발을 밟히고 이리저리 치이고 떠밀리기 마련입니다.


  사흘에 걸쳐 대전하고 서울을 거닐며 생각했어요. 하늘도 구름도 풀밭도 나무도 들꽃도 벌나비랑 새도 느긋이 지켜볼 말미가 없다시피 한 오늘날 모습이라면,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뿐 아니라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을 읽을 엄두를 못 내겠구나 싶습니다. 지끈거리는 머리를 식히고 퉁퉁 붓는 다리를 쉴 서울사람한테는 숲빛이나 풀빛이나 꽃빛이 아닌 꾸밈빛하고 잿빛이 익숙하고 좋을 만하겠구나 싶어요.


  별바라기를 하는 눈빛일 적에 “쉬운 말이 평화”인 줄 읽습니다. 숲바라기를 하는 눈망울일 때에 “곁책”을 마음자리에 둡니다. 대전이며 서울뿐 아니라, 순천이며 광주도, 대구랑 부산이며 고흥도, 별과 숲을 바라보기를 바라면서 글적이를 꺼내서 노래꽃을 새로 씁니다.


ㅅㄴㄹ


*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 짓는 일에 길동무 하기

http://blog.naver.com/hbooklove/220188525158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지기(최종규)가 쓴 책을 즐거이 장만해 주셔도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짓는 길을 아름답게 도울 수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책숲

책숲하루 2021.6.22. 초등학교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국어사전 짓는 서재도서관)

: 우리말 배움터 + 책살림터 + 숲놀이터



  우리 집안이 고흥으로 깃들던 2011년에 읍내 어린배움터는 즈믄(1000)이 넘는 어린이가 바글거렸고, 면소재지 어린배움터나 푸름배움터도 꽤 북적거렸습니다. 예전에는 훨씬 북적거렸다지요. 2000년을 넘어설 즈음 닫은 배움터조차 1970년대까지 칸마다 온(100)을 아우르는 아이가 왁자지껄했다더군요.


  이제 고흥군 도화면 어린배움터는 학년에 열 아이 언저리입니다. 나날이 부쩍 줄어듭니다. 이곳 도화면 도화초등학교 어린이하고 노래짓기(동시짓기) 이야기를 펴기로 했습니다. 스쳐 지나가는 말이 아닌, 어린이 마음에 스스로 새길 노래가 되기를 바라면서 모든 어린이하고 이레마다 하루씩 석걸음으로 이야기를 폅니다. 이제 두걸음을 지나가는데, 아이들 입에서 고흥말이 흘러나오지 않습니다. 고흥말을 쓰는 길잡님부터 드물거든요.


  시골에는 덧모임(방과후수업)이 더러 있습니다만, 이마저 읍내에 쏠릴 뿐, 면소재지 어린이는 조용히 하루를 보낸다고 느낍니다. 읍내 어린이는 온갖 배움판(학원)이 넘쳐요. 그러나 읍내와 달리 면소재지인 터라 배움판 아닌 들판하고 바다판하고 숲판이 있습니다. 누리놀이나 손전화를 내려놓는다면, 동무하고 뜻을 모아 멧골을 오르내리거나 바다를 다녀온다면, 어버이 들일을 거든다면, 이 시골 아이들 마음에 새롭게 피어나는 들꽃내음이 눈부시리라 봅니다.


  고흥교육청이나 전남교육청이 꾀하는 길을 보면 하나같이 큰고장이나 서울로 내보내는 틀로 가닥을 잡습니다. 시골에서 나고자란 아이들이 시골순이·시골돌이로 듬직하게 빛나는 길은 하나도 안 헤아려요. 지난 열한 해 동안 고흥살이를 하며 누리고 지은 숲빛을 몇 가닥 모아서 도화초등학교 어린이한테 들려줍니다. 저는 이 어린이들을 가르치지 않습니다. 이 어린이들 마음자리에 씨앗 한 톨이 숲빛으로 살짝 깃들도록 다리를 놓습니다.


  초등학생이 중·고등학생이 되는 길보다는, 어린이가 푸름이로 피어나는 길을 바라봅니다. 이 아이들이 일거리(직업)를 찾는 길보다는, 꿈을 푸르게 노래하면서 사랑으로 살림을 짓는 길을 생각합니다. “글(동시)은 안 써도 좋단다. 글이란 생각에서 태어나고, 생각이란 오늘 누리는 하루에서 태어나니, 오늘 이곳(고흥이란 시골)에서 누리는 모든 이야기를 스스로 새롭고 즐거이 바라보는 눈길이면 돼.”


ㅅㄴㄹ


*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 짓는 일에 길동무 하기

http://blog.naver.com/hbooklove/220188525158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지기(최종규)가 쓴 책을 즐거이 장만해 주셔도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짓는 길을 아름답게 도울 수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책숲

책숲하루 2021.6.18. 찾아온다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국어사전 짓는 서재도서관)

: 우리말 배움터 + 책살림터 + 숲놀이터



  모든 일이나 놀이는 마음에 따라서 다릅니다. 쉽다고 생각하니 쉽고, 안 쉽다고 생각하니 안 쉬워요. 어렵다고 생각하니 어렵고, 안 어렵다고 생각하니 안 어렵습니다. 삶하고 죽음도 매한가지입니다. 삶을 생각하기에 삶을 지으면서 삶을 글이나 말로 담아냅니다. 죽음을 생각하니 죽음을 지으면서 죽음길로 차근차근 걸어갑니다.


  말꽃짓기를 할 적에는 “오늘 반드시 끝내겠어!” 같은 생각을 안 합니다. “오늘까지 익히고 받아들인 길에서 풀어내고 지나가자.”고 여깁니다. 두 가지 한자말 ‘만년(晩年·萬年)’을 놓고 꽤 여러 해 실랑이를 하다가 비로소 매듭을 짓고 지나가는데, 우리가 오래도록 익히 쓰던 말씨가 참 많더군요. 우리가 저마다 어떤 말씨로 ‘만년’을 가리킬 낱말을 펼쳤는가 하는 쓰임새가 낱낱이 떠올라서 제 혀끝을 스쳐 손끝으로 스며들기까지 여러 해 걸린 셈이로구나 싶습니다.


  얼핏 보면 글손질이나 다듬기이지만, 곰곰이 보면 제자리에 제대로 쓰는 즐거운 말씨를 상냥하게 헤아려서 온몸으로 녹이는 길입니다. 자꾸 넘어지던 아이가 다릿심을 길러 걷다가 달리고 뛰는 길하고 매한가지예요. 글쓰기가 어렵다고 여기는 분은 스스로 올챙이 적을 잊기 때문입니다. 어른인 이 몸이 아닌, 아기였던 예전 몸을 떠올려요. 어떻게 걸었나요? 어떻게 말꼬를 틔웠나요? 어떻게 수저를 집었나요? 어떻게 웃었나요?


  글쓰기를 둘러싸고서 숱한 책이 나오지만, 바로 이 수수께끼는 일부러 안 건드리는 듯싶습니다. 글쓰기란 말하기처럼 쉽거든요. 수다 못 하는 사람이 있는지요? 사람을 잔뜩 불러모은 자리에서 펴는 이야기 말고, 마음 맞는 사이에 속닥속닥하는 말을 못 하는 사람이 있는지요? 아니, 두 다리가 멀쩡히 있으면서 못 걷는다든지, 가슴이 멀쩡히 있으면서 숨을 못 쉬는 사람이 있는가요? 두 눈을 뜨면 뭔가 보기 마련입니다. 이처럼 글이란, 우리 생각을 그저 머리끝에서 혀끝을 거쳐 손끝으로 옮기는 가벼운 소꿉놀이입니다. 그냥 쓰면 되고, 신나게 쓰면 되고, 노래하고 춤추면서 쓰면 됩니다. 다만, 아기가 걸음을 가다듬듯, 우리 생각을 담아낼 낱말을 하나부터 열까지 추슬러야지요. 한자말이냐 영어냐를 따지기보다는, 제대로 제자리에 쓰는 말씨인가 하고 살필 노릇입니다. 제대로 제자리에 쓸 말씨인가 아닌가를 가늠하다 보면 일본스러운 한자말이나 미국스러운 말씨는 감쪽같이 사라진답니다.


ㅅㄴㄹ


*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 짓는 일에 길동무 하기

http://blog.naver.com/hbooklove/220188525158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지기(최종규)가 쓴 책을 즐거이 장만해 주셔도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짓는 길을 아름답게 도울 수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책숲

책숲하루 2021.6.14. 배우자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국어사전 짓는 서재도서관)

 : 우리말 배움터 + 책살림터 + 숲놀이터



  한자말 ‘배우자’를 우리말로 풀어내기란 쉽습니다. 다만 쉽기는 쉬운데, 이제 끝났겠거니 하고 여길 적마다 새 쓰임새가 튀어나옵니다. 아니, 우리말로 때랑 곳에 따라서 알맞게 쓰는 말씨가 떠올라요. 먼저, ‘배우자’란 한자말은 ‘짝’을 가리킵니다. 가장 수수한 쓰임새예요. 다음으로 ‘곁짝’이요, ‘곁사람’이지요. 이윽고 ‘사랑’으로 닿고, 수수하게 쓰는 ‘임자’나 ‘그이’나 ‘각시’나 ‘이녁’이 뒤따릅니다. 이쯤에서 마칠 수 있으나 ‘사랑짝’처럼 새말을 지을 만하고, 저는 여기에 ‘곁님’을 곁들입니다. 슬슬 마칠까 싶더니 ‘분’으로도 가리키고 ‘님’으로도 나타내요. 짝이면서 ‘짝꿍·짝지’가 있으니 ‘곁짝꿍·곁짝지’가 되기도 합니다.


  한자말 ‘가장(家長)’을 놓고도 매한가지예요. 10분쯤이면 매듭지을까 싶더니 자꾸 새 쓰임새가 떠올라 하루를 넘기고 이틀을 보냈습니다. 따지고 보면 몇 해 앞서 ‘가장’을 좀 손질하다가 남겨 놓았어요. 바탕으로는 ‘집지기·집임자’이니 ‘지기·임자’나 ‘기둥’으로 손질할 만한데, ‘들보·대들보’라는 낱말로도 가리켜요. 이뿐인가요. ‘이끌다·끌다’에 ‘거느리다·다스리다’에 ‘꾸리다·돌보다·보살피다’를 돌아서 ‘아우르다·건사하다·지키다’로 뻗어요.


  곰곰이 보면 우리 낱말책 가운데 우리말 씀씀이를 제대로 밝힌 적이 여태 없지 싶습니다. ‘배우자 → 짝. 곁짝. 임자. 그이’나 ‘가장 → 집지기. 기둥. 들보’로만 다룰 수 없어요. 숱한 자리에서 사람마다 새롭게 바라보면서 찬찬히 담아내는 말결을 살피면서 어우르는 눈빛이 있어야 합니다.


  말맛(어감)이라고 한다면, 이러한 결을 짚어야 말맛이 되겠지요. 왜 사람들이 때에 따라서 ‘배우자’를 ‘님’으로도 ‘분’으로도 ‘사랑’으로도 ‘짝’으로도 알맞고 부드러이 나타내는가를 살펴야 참다이 말맛입니다. 어떻게 사람들이 곳에 따라서 ‘가장’을 ‘지키다’로도 ‘돌보다’로도 ‘보듬다’로도 ‘건사하다’로도 ‘거느리다’로도 나타내는가를 읽어야 슬기로이 말맛이에요. ‘고독’이란 한자말하고 ‘외롭다’ 같은 우리말이 말맛이 다르다고 갈라 보았자, 이때에는 ‘혀에 길든 글맛’일 뿐입니다. 삶을 헤아리면서 가누거나 가리는 말맛은 ‘한자말하고 우리말로 가르’지 않아요. ‘우리가 지은 삶에서 피어나는, 우리가 지은 말로 생각을 담아내는 자리’에서 비로소 말맛이 뭉게뭉게 자라나서 퍼집니다.


  이렇기에 《우리말 어감 사전》이 아쉽지요. 뉘앙스나 어감에 갇혀서는 말맛을 못 읽습니다. 아니, 뉘앙스나 어감에 낱말을 가둘 적에는 사람들 스스로 누구나 예부터 즐겁게 펴던 말빛에 도사리는 말결을 나누던 말맛을 그만 죽이기 쉽습니다.


ㅅㄴㄹ


*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 짓는 일에 길동무 하기

http://blog.naver.com/hbooklove/220188525158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지기(최종규)가 쓴 책을 즐거이 장만해 주셔도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짓는 길을 아름답게 도울 수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책숲

책숲하루 2021.6.13. 엑기스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국어사전 짓는 서재도서관)

: 우리말 배움터 + 책살림터 + 숲놀이터



  서너 해쯤 앞서 “영어 손질 꾸러미(영어 순화 사전)”를 갈무리하면 좋겠다고 여쭌 분이 ‘엑기스’란 낱말을 놓고 한참 헤매고 힘들었다는 이야기를 들려주었습니다. 이 이야기를 들으면서 속으로 ‘왜 힘들지?’ 하고 아리송했어요. 그분은 ‘엑기스’가 영어가 아닌 일본말인 줄 알기는 하지만 어떻게 풀거나 옮겨야 할는지 못 찾았다고 하셔요.


  일본말이나 영어나 한자말이나 독일말, 또는 네덜란드말이나 포르투갈말이나 에스파냐말을 쓴대서 잘못이 아닙니다. 생각을 안 하는 채 쓰기에 말썽이 됩니다. ‘엑기스’ 같은 얄딱구리한 말씨가 이 땅에 깃들기 앞서도 ‘엑기스란 말로 가리킬 살림’은 이 땅에도 어엿하게 있습니다. 그러니 예전에 살림하던 사람들이 어떻게 가리켰을까 하고 생각하면 돼요. 또는 시골에서 살림하는 사람들 말씨를 헤아리면 되고, 집에서 수수하게 살림지기 노릇을 하던 할머니나 어머니 말씨를 떠올리면 되어요.


  우리말은 ‘알뿌리’이지만, ‘구근’이란 한자말을 써야 꽃밭일(원예·조경)을 하는 듯하다고 여기는 꾼(전문가)이 많습니다. ‘알뿌리’는 석 글씨라 길다고 손사래치는 분도 있어요. 이때에는 빙그레 웃으며 “옛날에는 그냥 ‘알’이라고만 했어요. ‘알’은 글씨가 하나라 더 짧은걸요?” 하고 대꾸했습니다.


  어느덧 꽤 퍼진 ‘대리운전’이란 말씨가 있어요. 일본에서 들어온 이름입니다. 우리는 툭하면 일본말을 그냥 끌어들이면서 일본을 꾸짖거나 나무라는데요, 겉속이 다르고 앞뒤가 일그러진 꼴입니다. ‘대리운전’ 한 마디도 우리말로 지을 생각을 못 한다면 일본을 나무랄 주제가 못 돼요. 그러나 저는 부릉이(자동차)를 안 모는 사람이라서 이런 일을 맡길 까닭이 없다 보니 아예 생각조차 안 하며 지냈어요. 어느 책을 읽다가 비로소 ‘대리운전’이란 말씨를 보고는 “아, 더는 안 되겠구나” 하고 여기면서 생각해 보았습니다.


  제가 누구를 불러서 부릉이를 몰아 달라고 한다면, 또 제가 누구 부릉이를 몰아서 옮겨다 준다면, 이러한 일을 어떤 이름으로 가리켜야 서로 어울리고 즐거우면서 이 삶터가 아름다울까 하고 곰곰이 생각했어요. 첫째로 바탕은 ‘모시다’입니다. ‘대리’란 한자말은 ‘맡다·심부름·몫·돕다’가 밑뜻입니다. “과장 대리”란 “과장을 맡다·과장 심부름·과장 몫·과장 도움이”를 가리켜요. 그 자리에 서지는 않되 그 자리에서 해야 하는 일을 하기에 한자말 ‘대리’를 쓰지요. 이런 얼거리를 더 들여다보니 ‘모시는 길·모시는 손’이 생각나고, 단출히 ‘모심길·모심손’ 같은 이름을 지을 만하겠구나 싶어요.


  그나저나 ‘엑기스’는 어떻게 옮길까요? 첫째는 ‘우리다·짜다·뽑다’입니다. 둘째는 수수하게 ‘물’입니다. 셋째는 ‘단물’이지요. 넷째는 ‘알짜·알맹이·고갱이·벼리’요, 다섯째는 ‘알차다·노른자’이고, 여섯재는 ‘몸통·몸·씨알·알·톨’입니다. 일곱째 여덟째 아홉째는 그때그때 우리 나름대로 새롭게 바라보면서 차근차근 가다듬으면 돼요.


ㅅㄴㄹ


*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 짓는 일에 길동무 하기

http://blog.naver.com/hbooklove/220188525158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지기(최종규)가 쓴 책을 즐거이 장만해 주셔도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짓는 길을 아름답게 도울 수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