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책숲

책숲하루 2021.10.6. 맡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국어사전 짓는 서재도서관)

 : 우리말 배움터 + 책살림터 + 숲놀이터



  제가 즐겨쓰는 낱말로 ‘곁’이 있어 《곁책》을 내놓기도 했으나, ‘맡’이란 낱말도 제법 씁니다. ‘곁’을 쓸 적에는 으레 말결이 좋다는 이웃님이 많으나 ‘맡’을 쓰면 고개를 갸웃하는 이웃님이 많습니다. ‘머리맡’이나 ‘책상맡’처럼 쓰는 낱말이라고 보태면 고개를 끄덕이는 분이 있고, 그래도 낯설다고 여기는 분이 있습니다. 더구나 ‘가까이’를 가리키는 낱말은 ‘-맡’이라서 띄어서 쓰지 않아요. 붙여요. 이를 모르고서 제 글을 “머리 맡”이나 “책상 맡”처럼 띄는 분(편집자)까지 있습니다만, 띄어서 쓰는 ‘맡’은 “책집에 가는 맡에 풀밭에 앉아서 쉰다” 꼴입니다.


  띄는 ‘맡’은 ‘김’하고 비슷해요. “오는 김에 가져왔지”처럼 “오는 맡에 가져왔지”로 씁니다. 다만 “들어서는 맡에 너를 만났어”처럼 쓰더라도 이 자리에 ‘김’을 넣지는 않아요.


  글을 즐기고 책을 사랑하는 이웃님이라면 “글맡에 살림”을 놓고, “책맡에 숲”을 두면 좋겠습니다. 이 ‘맡’이 말밑이 되어 ‘맡다’란 낱말을 씁니다. ‘맡다 1 : 가까이 두다”가 밑뜻이에요. 이러한 밑뜻이 퍼져서 “냄새를 맡다”로 나아가지요. 아이들도 어른들도 우리말을 스스로 곁에 두면서 상냥하고 싱그러운 숨결을 스스로 맡을 수 있기를 빕니다.


ㅅㄴㄹ


*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 짓는 일에 길동무 하기

http://blog.naver.com/hbooklove/220188525158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지기(최종규)가 쓴 책을 즐거이 장만해 주셔도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짓는 길을 아름답게 도울 수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책숲

책숲하루 2021.10.4. 돌아온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국어사전 짓는 서재도서관)

 : 우리말 배움터 + 책살림터 + 숲놀이터



  어젯밤에 고흥집으로 돌아옵니다. 10월 1일에 여수 마을책집 〈낯 가리는 책방〉에 찾아갔고, 진주 헌책집 〈형설서점〉하고 〈동훈서점〉에 깃들었으며, 이튿날 대구 〈태전도서관〉에서 이야기꽃을 폈으며, 저녁에 마을책집 〈직립보행〉에 깃들다가, 다음날 아침에 부산으로 건너가서 보수동 〈우리글방〉하고 〈파도책방〉까지 머물러 보았습니다. 진주·대구·부산에서 더 찾아가고픈 책집이 꽤 있었으나 흙날·해날에 쉬는 곳이 많아서 이다음 여느날(평일) 마실길에 찾아가자고 생각했습니다.


  책짐을 두 꾸러미 고흥으로 부쳤으나 등짐이 제법 남았어요. 책으로 가득한 짐을 신나게 부둥켜안고서 꽤 걸었고요. 오늘 한낮까지 등허리를 펴면서 쉬고, 사흘째 미룬 글을 이제 매듭지으려고 할 즈음, 이웃님 한 분이 저승길로 가셨다는 쪽글을 받습니다. 저녁에 곡성으로 건너가자고 생각합니다.


  우리는 모두 돌아가고 돌아옵니다. 돌면서 살아갑니다. 때로는 ‘돌아이(또라이)’라고도 하는데, 남이 나를 어떻게 보든 우리 스스로 남을 함부로 바라보지 않는 매무새이면 넉넉하다고 생각해요. 크게 본다면 이 푸른별도 ‘돌’입니다. 조그마한 모래알도 ‘돌’입니다. 우리는 저마다 다른 숨붙이요 돌인 셈입니다. 모두 다른 돌이기에 돌고돌면서 숨이 흐르고 사랑을 스스로 지어서 나누는 하루이지 않을까요?


  구르는 돌이 되면 ‘동그라미’가 됩니다. 푸른별도 해도 “구르는 돌인 동그라미 모습”입니다. 모가 나지 않으려고 둥글둥글하게 살 마음은 없습니다. 무엇이든 사랑하려고 돌고돌면서 오늘을 맞이합니다.


ㅅㄴㄹ


*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 짓는 일에 길동무 하기

http://blog.naver.com/hbooklove/220188525158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지기(최종규)가 쓴 책을 즐거이 장만해 주셔도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짓는 길을 아름답게 도울 수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책숲

책숲하루 2021.10.1. 사놓다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국어사전 짓는 서재도서관)

 : 우리말 배움터 + 책살림터 + 숲놀이터



  대구 태전도서관으로 이야기꽃을 펴러 가는 길에 여수하고 진주를 들르기로 합니다. 여수에서는 마을책집 〈낯 가리는 책방〉을, 진주에서는 〈형설서점〉하고 〈동훈서점〉을 찾아가려고 생각했고, 세 곳을 모두 잘 돌아보았습니다. 오늘 장만한 책을 한밤에 읽으며 이모저모 헤아리다가, 《現行朝鮮語法》(鄭國采, 宮田大光堂, 1926)이란 책에 깃든 숨결이 무엇인지 오래오래 생각했습니다. 이러한 책이 있다는 얘기는 얼추 스무 해쯤 앞서 듣기는 했으나 막상 책으로는 오늘 처음 만났습니다. 속으로 생각했지요. “큰일이다! 드디어 이 책을 만났어! 그런데 책값은 얼마나 될까? 아, 이튿날 태전도서관에서 이야기꽃을 펴면서 받을 일삯을 다 쏟아부어도 이 책을 못 사지는 않을까? 아니야. 지레 걱정하지 말고 이 책값부터 여쭈자.”


  책집지기님은 ‘우리말꽃(국어사전)을 혼자 쓰는 시골내기’를 어여삐 여기시면서 책값을 무척 덜어 주겠노라 말씀합니다. 더없이 고맙지요. “사장님. 언제나 이렇게 알차고 아름다운 책을 만날 수 있도록 이곳에 건사해 주셔서 얼마나 고마운지 몰라요. 참말로 고맙습니다. 이다음에는 사장님이 마음에 매긴 값대로 이 책꾸러미를 모두 장만할 수 있도록 돈을 넉넉히 벌어서 오겠습니다.”


  어느새 온(100) 해 가까이 묵은 《現行朝鮮語法》은 조선총독부가 앞장서서 뒷배를 한 책이요, 책을 쓴 이라든지 돈을 댄 이는 모두 한겨레(조선사람)입니다만, 더구나 책쓴이는 한힌샘 님한테서 우리말길(국어문법)을 배운 사람이지만, ‘내선일체’를 헤아려 ‘일본사람이 한글을 익히는 길잡이’로, 또 ‘일본글을 익혀 아직 한글을 모르는 한겨레한테 한글을 가르치는 책’으로 나왔습니다. 우리나라 숨은 발자취요, 고린내가 풀풀 나는 발자국 가운데 하나입니다. 모든 삶에는 빛과 어둠이 있기 마련입니다만, 빛이기에 좋고 어둠이기에 나쁘지 않아요. 빛자취 곁에 어둠자취가 있을 뿐입니다. 그들(친일부역자)이 아무리 불사르고 치우고 없애더라도 어딘가에 책 한 자락이 남아서 이렇게 돌고돌다가 헌책집 책시렁에 깃들었고, 때마침 제 눈에 뜨이고 제 손에 들어올 뿐입니다.


  환하게 피어나는 새벽에 새삼스레 생각합니다. 그나저나 책값을 무시무시하게 썼기에, 아침에 여러 이웃님한테 말씀을 여쭈어 ‘책값을 보태어’ 달라고 해야겠구나 싶어요. 이미 책값은 치렀되 살림돈을 많이 덜었거든요.


  불살라 없애려던 책이 자취를 감추지 않고 남았기에 기꺼이 찾아내어 손에 쥡니다. 아무튼 사놓고 볼 노릇입니다. 오늘을 생각하고 어제를 돌아보며 모레를 그리는 길에 징검다리가 될 책 하나일 테니까요. 이 책을 온 해 가까이 건사하다가 내놓아 준 어느 분이 고맙고, 이 책을 알아보고 책시렁에 놓아 준 책집지기님이 고맙고, 이 책을 장만하느라 목돈을 쓴 아버지를 헤아려 주는 아이들이 고맙습니다.


ㅅㄴㄹ


*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 짓는 일에 길동무 하기

http://blog.naver.com/hbooklove/220188525158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지기(최종규)가 쓴 책을 즐거이 장만해 주셔도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짓는 길을 아름답게 도울 수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책숲

책숲하루 2021.9.28. 함께걷기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국어사전 짓는 서재도서관)

 : 우리말 배움터 + 책살림터 + 숲놀이터



  작은아이랑 마실을 나왔습니다. 24일부터 부평·부천·시흥·일산을 지나고, 서울을 거쳐 상주에서 이틀을 묵었습니다. 26일하고 27일은 상주 멧숲에서 묵는데, 작은아이는 입가리개 없이 마음껏 뛰고 달리면서 놀 수 있습니다. 28일에 고흥으로 돌아가는 길에는 내내 입가리개를 하지요.


  요즘 들어 나라(정부)에서는 하루에 100만을 훌쩍 넘겨 살핀다(검사진행)고 합니다. 9월 28일만 해도 112만 남짓 살폈다고 해요. 지난 이태에 걸쳐 ‘입가리개 쓰레기’가 어마어마합니다. 죄다 ‘플라스틱 쓰레기’입니다. 비닐자루를 줄이자고 하면서 막상 플라스틱 쓰레기는 넘치고, 바깥밥을 시켜먹을 적에도 플라스틱·비닐 쓰레기는 쌓입니다. 하루에 100만 남짓 살핀다면, ‘살핀 쓰레기(검사기 쓰레기)’는 또 얼마나 많을까요?


  돌림앓이에 걸리는 사람이 많더라도 낫는 사람이 훨씬 많습니다. 돌봄물(치료약)이 없더라도 그냥 낫는 사람이 수두룩합니다. 미리맞기(예방주사·백신)를 해서 크게 안 앓거나 안 걸리는 사람도 있을 테지만, 미리맞기 때문에 걸리거나 목숨을 잃는 사람도 많습니다. 미리맞기 탓에 돌림앓이가 더 퍼지기도 합니다. “미리맞기를 하는 나라치고 걸린 사람이 안 늘어난 나라”는 없습니다. 왜냐하면 사람마다 미리맞기를 하면 돌림앓이가 될 조각(병원균)을 확 퍼뜨리거나 뿌리는 셈이거든요.


  나라에서는 속이야기를 틀어막거나 감춥니다. 나라에서는 사람들이 갈라치기(분열·대립)를 스스로 하도록 내몹니다. ‘미리맞기 덤(백신 인센티브)’이란 곧바로 따돌림(차별)인데, 버젓이 밀어붙일 뿐 아니라, 사람들 스스로 ‘미리맞기 덤’을 누려야 할 뿐 아니라, 스스로 조용히 몸을 정갈히 돌보는 사람을 미워하고 괴롭히고 짓밟는 마음이 되도록 부추기기까지 합니다.


  어깨동무(평등·평화)로 가는 길을 책으로 읽거나 배움터를 다녔어도 돌림앓이·미리맞기 앞에서 그만 어깨동무넋을 스스로 잊거나 잃거나 버리는 사람이 잔뜩 나옵니다. 돌림앓이판에서조차 스스로 새롭게 이 터전을 배울 마음을 일으키지 않는 셈입니다. 왜 돌림앓이판이 터지겠습니까? 바로 서울(도시)에서 비롯하고, 바로 플라스틱·비닐을 앞세운 서울살이(도시문명)에서 불거집니다. 그러나 나라는 서울을 줄이거나 서울에 숲을 늘리는 길을 안 폅니다. 잿빛집(아파트)하고 부릉이(자동차)만 더 늘립니다. 2022년에도 온나라에 찻길을 새로 까는 데에 아마 100조 남짓에 이르는 돈을 쓸 듯하고, 새 하늘나루(공항)를 또 짓겠다고 나설 뿐 아니라, 파란바다(해상국립공원)에 ‘해상 태양광·풍력발전’을 200조 남짓을 들여서 때려짓겠다고 일찌감치 밝혔어요.


  함께걷기란 무엇일까요? 우리가 저마다 어느 쪽(정당)을 민다고 하더라도 민낯하고 속낯을 옳게 읽을 노릇입니다. 어린이한테 물려줄 푸른별과 삶터와 마을을 생각해서 슬기롭게 오늘을 살아갈 노릇입니다. 꼭 살아야 할 집이 아닌데 애먼 숲들바다를 함부로 밀거나 죽이는 짓을 일삼는 쪽(정당)이라면 이놈도 저놈도 그놈도 한통속이지 않나요? 우리는 어느 한 쪽을 밀어야 할 사람이 아닌, 우리 살림살이를 사랑으로 바라보면서 손수짓기라는 길을 새롭게 가다듬어 아이들한테 물려줄 어른으로 서야지 싶습니다.


ㅅㄴㄹ


*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 짓는 일에 길동무 하기

http://blog.naver.com/hbooklove/220188525158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지기(최종규)가 쓴 책을 즐거이 장만해 주셔도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짓는 길을 아름답게 도울 수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책숲

책숲하루 2021.9.24. 부천에서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국어사전 짓는 서재도서관)

: 우리말 배움터 + 책살림터 + 숲놀이터



  바깥일을 보러 마실하는 길에 작은아이가 함께합니다. 아버지하고 다니자면 참으로 오래 자주 걷고, 시골길이 아닌 서울길(도시 도로)을 하루 내내 가로질러야 합니다만, 씩씩하게 걷고 놉니다. 낮은 낮대로 하늘이 막혀 구름을 올려다볼 틈이 없는 큰고장입니다. 하늘이 파랗게 트여도 하늘이 아닌 길을 살핍니다. 조금만 하늘이나 나무나 풀꽃을 들여다볼라치면 “어라. 이 길이 아니네.” 하면서 헤맵니다.


  낮에 길손집을 미리 알아보고 저녁에 간다고 했는데, 저녁에 값을 치르려니 5000원을 더 받습니다. 바가지란 이런 모습이로군요. 저잣길에서 장사하는 어느 분은 슬쩍 500원을 퉁쳐서 더 받습니다. 비닐자루를 안 받고 천바구니를 챙길 뿐 아니라 손으로 들면 된다고 하니 미친놈 다 있다면서 혀를 차는 장사꾼이 있습니다. 손님을 임금(왕)으로 섬길 일은 없으나 손님을 고까이 내려다보는 가게일꾼을 보면서, 이이 탓에 이 가게를 꾸리는 지기는 꽤나 뒷말을 듣겠다고 느낍니다. 가게지기는 자리를 비울 적에 가게일꾼이 손님을 어찌 마주하는가를 모를밖에 없으니까요. 큰짐을 이고 지며 아이를 이끌고 버스에 전철을 타고내리는데, 밀치고 끼어들며 새치기를 한다든지, 비켜야 할 쪽에서 안 비키고 밀어붙이는 일을 하루에 여럿 만납니다.


  그저 웃으면서 지나가고, 작은아이한테 차근차근 말합니다. 이런 일을 마주하는 까닭이 있고, 우리가 들려줄 말이 있으며, 우리 생각을 어찌저찌 다스릴 적에 스스로 즐거운가 하고 이야기합니다.


  인천 부평에 깃든 〈북극서점〉으로 노래꽃판(동시판)을 챙겨 갑니다. 열여덟을 시골집에서 미리 썼고, 둘은 책집으로 가는 시외버스에서 썼습니다. 시골집에서 다 쓰려고 하다가 꼭 오늘 마실길에 새로 피어날 이야기를 적으면 한결 나으리라 생각했습니다. 길손집에서 작은아이하고 빛그림(영화) 하나를 보고 잠들며 마음을 다스립니다. 사람이 지나치게 북적이는 탓에 우리 스스로 옆에 사람이 있는 줄 잊고, 제 목숨 건사하느라 바쁠 만하겠구나 싶어요. 요새는 시골에서도 제 밥그릇 챙기느라 바쁜 분을 곳곳에서 부딪힙니다.


  이런저런 자리에서 고요히 생각합니다. “이 숱한 사람들은 나더러 제발 짜증을 내고 성내라고 부추기려나 보네. 그렇지만 짜증이 아닌 사랑을 보낼 생각이고, 성내지 않고 빙그레 웃을 생각인걸.” 고약한 이웃을 마주칠 적에 이이 얼굴이 아닌 곁에 있는 조그마한 가을풀꽃이나 커다란 가을나무를 바라봅니다. 제 눈길은 늘 풀꽃나무한테 놓으려고, 아이 손을 잡고서 숲을 그리려고 합니다.


ㅅㄴㄹ


*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 짓는 일에 길동무 하기

http://blog.naver.com/hbooklove/220188525158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지기(최종규)가 쓴 책을 즐거이 장만해 주셔도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짓는 길을 아름답게 도울 수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