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삼우체국



  시외버스를 내립니다. 고속버스역에서 가까운 누리책방을 헤아립니다. 처음 간 곳에는 뜻밖에 차를 시키는 곳이 없습니다. 무릎셈틀을 꺼내어 쓸 수도 없습니다. 속으로 ‘이럴 수가!’ 하고 외면서 걸음을 돌려 역삼우체국에 갑니다. ‘3층이네!’ 하고 마음으로 외칩니다. 계단을 밟고 올라가서 가방을 뒤지는데 큰아이 통장을 안 챙겼네요. 아차! 다른 가방에 넣고서 잊었습니다. 히유. 큰아이 통장을 갈아야 하는데 말이지요. 오늘 드디어 스토리닷 출판사에서 큰아이 몫으로 그림삯을 넣어 주었다고 했는데, 통장에 그 숫자를 못 찍네요. 터덜터덜 돌아나와서 전철역으로 갑니다. 9호선을 타고 노량진역에서 내립니다. 찻집에 들어 다리를 쉬고 등허리를 쉽니다. 얇은 웃옷 두 벌을 입었으나 땀이 후줄근하게 흐릅니다. 2017.12.21.나무.ㅅㄴㄹ


(숲노래/최종규 . 삶노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전주서 김치를 얻다



  전주마실을 하는 길에 서학동사진관에 들렀습니다. 이곳을 지키는 두 분하고 이야기를 하다가 낮밥을 함께 먹다가 차를 마시며 다시 이야기를 하다가 고흥으로 돌아올 즈음 “올 김장철에 김장 하셨어요?” 하는 물음을 들었어요. “올 김치철에 온 식구가 몸살에 걸려 꼼짝없이 드러눕느라 올해에는 김치를 못 담갔어요.” 하고 얘기했더니 “그러면 이 김치 가져가셔야겠네. 가져가서 드셔요.” 하는 얘기를 들었어요. 참말로 올해 김치철에 무김치도 배추김치도 신나게 담그려 했으나 열흘 가까이 밥을 거의 한 술도 못 뜨면서 골골 앓느라 김치를 못 담갔는데, 뜻밖에 전주에서 김치를 한 통 얻습니다. 고흥집에서 아버지를 기다리던 세 식구는 전주에서 들고 온 김치를 맛보더니 김치가 맛있다면서 두 접시를 먹습니다. 김치를 맛나게 담그는 손길이란, 이 맛난 김치를 베푸는 손길이란, 그리고 이 맛난 김치를 반가이 먹는 손길이란, 모두 사랑스럽습니다. 2017.12.14.나무.ㅅㄴㄹ


(숲노래/최종규 . 삶노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늘어지다



  여섯째 이야기꽃을 어제 마치고 오늘 일곱째 이야기꽃을 피우려고 전주로 기차를 달리는 길입니다. 어제는 아침에 보성중학교 푸름이를 만났고, 저녁에 서울에 있는 마을책방 ‘메종 인디아’에서 이웃님을 만났습니다. 오늘 아침에 씩씩하게 일어나 즐거이 길을 나서는데 기차에 자리를 잡고 앉아서 글을 쓰다가 갑자기 늘어집니다. 수다꽃을 피우느라 힘을 꽤 많이 쓴 듯합니다. 몸에서 단것을 바라기에 커피도 두 잔을 마시고 케익도 한 조각을 먹었어요. 앞으로 한 시간쯤 기차에서 그야말로 늘어지게 쉬고서 새 기운을 차려야겠습니다. 2017.12.13.물.ㅅㄴㄹ


(숲노래/최종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5분 버스



  광주에서 서울을 오가는 버스는 5분마다 있습니다. 5분이란 어느새 훌쩍 지나갑니다. 1∼2분을 앞두고 이 시외버스 또는 고속버스를 타려고 서둘러야 할 까닭은 없다고 느껴요. 다음 버스를 탄다 한들 고작 5분 뒤요, 그 다음 버스를 타더라도 겨우 10분 뒤입니다. 그렇지만 5분마다 있는 광주 오가는 버스를 타려고 서두르는 분이 있고, 막 떠나려는 버스를 붙잡고 달려오는 분이 있어요. 이러한 손님을 바라보며 생각합니다. 어쩌면 나도 예전에는 이렇게 버스를 붙잡으려 했는지 몰라요. 이제 나는 시골에서 살며 두어 시간에 한 번 지나가는 군내버스를 기다리면서 타고, 읍내에서 밖으로 나가는 시외버스를 한두 시간쯤 가볍게 기다리면서 탑니다. 5분마다 광주하고 서울을 오가는 시외버스나 고속버스를 보니, 참말로 도시란 대단할 뿐 아니라, 이렇게 차편이 많아도 서두르도록 내모는 얼거리인가 싶어요. 5분 버스이니 한결 느긋하면서 넉넉하게 다닐 수 있기를 빌어 봅니다. 2017.12.13.물.ㅅㄴㄹ


(숲노래/최종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고맙습니다



  어제 아침에 전남 광주 ‘신시와’에서 일어나 길을 나서려는데 어디가 어디인지 알 노릇이 없습니다. 저는 광주사람이 아니거든요. 그래도 손전화를 켜서 길그림을 어림하며 어디로 걸으면 될까 하고 생각했습니다. 손전화란 참 놀라운 기계예요. 낯선 곳에서 헤매지 않도록 길을 잡아 주거든요. 이때에 서울에서 쪽글이 하나 날아옵니다. 철수와영희 출판사에서 ‘2017 하반기 세종도서 문학나눔’ 가운데 한 권으로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이 뽑혔다고 알려줍니다. 이런 추천도서 제도가 있었지 하고 문득 떠오르면서, 출판사에 한 가지를 여쭈어 봅니다. 철수와영희 다른 이쁜 책도 함께 뽑혔을까 하는 대목이 궁금합니다. 철수와영희는 《우리 학교 장독대》하고 《10대와 통하는 동물 권리 이야기》도 나란히 뽑혔다고 합니다. 몇 월부터 몇 월까지 나온 책을 놓고서 세종도서 추천도서로 뽑는지 잘 모르겠는데, 철수와영희에서 2017년에서 펴낸 책 가운데 《10대와 통하는 농사 이야기》하고 《야생 동물은 왜 사라졌을까?》는 함께 안 뽑혔나 싶어 살짝 서운합니다. 이 두 가지도 더없이 알찬 책이요, 푸름이한테 농사 이야기를 들려주는 책은 매우 드물면서 뜻있는 책이기도 합니다.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에 이어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이 세종도서 문학나눔으로 뽑혔다면, 앞으로 한 권을 더 써서 세 권 꾸러미로 마무르려고 하는 ‘어린이 우리말 꾸러미’ 가운데 하나인 “별에서 살려낸 우리말”을 잘 써 볼 밑힘이 생기겠지요. 고마운 일입니다. 고맙습니다. 2017.12.7.나무.ㅅㄴㄹ


(숲노래/최종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