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화와 글쓰기


 옆지기 어머님이 전화를 했다. 오늘 갑자기 바람 몹시 불며 날이 썰렁해졌는데 우리 식구들 시골집에서 잘 지내느냐고 물으신다. 어머님 지내시는 집은 들판이라 바람이 많이 분다고 한다. 트인 들판이니 바람이 조금만 불어도 우리 시골집보다 훨씬 춥다고 느끼리라 생각한다. 아이 엄마랑 아이는 일찌감치 곯아떨어져서 내가 전화를 받으며 고맙다고 말씀드린다. 전화를 받는 내내, 또 전화를 끊고 나서 곰곰이 곱씹는다. 제대로 따진다면, 날씨가 이렇게 갑작스레 추워질 때에는 아들(이나 사위) 되는 사람이 먼저 ‘잘 지내시느냐?’ 하는 인사를 두 어머니한테 따로따로 전화로 여쭈어야 할 노릇이 아니었는가. 돌이켜보면, 날씨를 여쭙는 인사이든 살림을 여쭙는 인사이든 제대로 챙긴 적이 없지 않느냐 싶다. 집식구한테 알뜰히 한다고 느끼지 못하지만, 집식구한테뿐 아니라 바깥식구한테조차 살뜰히 못한다고 느낀다.

 부끄러우니까 글을 끄적인다. 두 시간쯤 앞서 곯아떨어진 집식구와 마찬가지로 나도 일찍 곯아떨어지고 싶으나, 홀가분한 저녁때에 글 한 줄이나마 적바림하고 싶어 아직 잠을 미룬다. 그러나 정작 홀가분한 저녁때를 맞이하니 글이 나오지 않는다. 불을 켤 수 없어 책을 읽지도 못한다. 억지로 볼펜을 쥔들 셈틀을 켠들 글을 쥐어짤 수 있겠나. 아이가 기저귀에 오줌을 눈 듯하다. 아이 기저귀를 갈고 나도 드러누워야겠다.

 아이 기저귀를 갈았다. 기저귀를 갈며 다리 쭉쭉이를 하니 아이 키가 또 제법 자란 듯 싶다. 날마다 아이를 보면서 아이가 조금씩 키가 자란다고 느끼기는 하는데, 이렇게 쭉쭉이를 해 보면 훨씬 잘 느낄 수 있다. 오늘 낮과 저녁, 아이가 졸음에 겨워 일부러 짓궂게(아이는 짓궂은 줄을 모르리라) 아빠 책을 마구 끄집어 내며 어지럽힐 때에 “그러면 안 되지.” 하고 말하니 “그러며 아 대지.” 하고 따라한다. “제자리에 꽂아 놔.” 하고 말하면 “지자리에 꼬아 나.” 하고 따라한다. 아, 이렇게 쏙쏙 받아먹는 아이를 어떻게 꾸짖을 수 있으랴. 이처럼 하나하나 제 엄마 아빠를 배우며 크고자 하는 아이 앞에서 어찌 이맛살을 찌푸릴 수 있으랴. 더 느긋하게 살아가며 더 차분하게 책을 사귀고 더 조용히 글을 쓰는 가운데 더 착하게 마음을 추슬러야 한다고 다짐한다. (4343.10.25.달.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입맛과 글쓰기


 아이가 누런쌀로 지은 밥을 잘 안 먹거나 못 먹는 듯하다 해서 흰쌀로 지은 밥을 먹이기로 한다. 그러나 흰쌀밥 또한 잘 안 먹으려 든다. 애 아빠로서 아이한테 밥을 차려 줄 때에 영양소를 거의 헤아리지 않는다는 소리를 듣는다. 밤잠을 자는 결에 생각하고 또 생각한다. 새벽에 일어나 글을 쓰고 쌀을 씻으며 거듭 생각한다. 애 아빠는 틀림없이 밥 차리느라 바쁘지만 애 아빠 입맛에 맞추어 밥을 차릴 뿐 집식구 입맛은 거의 돌아보지 않아 왔다. 아이가 찌개에 들어 있는 감자랑 두부는 잘 안 먹으나 찐 감자하고 따로 접시에 내놓은 두부는 잘 먹는다. 김을 싸서 먹는 밥도 즐긴다. 그러면 나는 이런저런 모습을 살피며 영양소를 헤아리는 가운데 아이 밥상을 차려 주어야 하지 않겠는가. 곰곰이 생각을 기울인다. 오늘은 감자랑 무랑 호박이랑 고구마랑 알맞게 썰어 무침을 해 보아야겠다. 국은 말 그대로 국으로 끓이고 찌개로는 하지 말자. 국물만 많이 마실 국으로 끓이자. 노른자를 살린 달걀국을 끓여 볼까. 낮에 읍내 장마당에 가서는 능금 몇 알하고 다른 과일이 있으면 가방에 차곡차곡 담아서 돌아와야겠다. (4343.10.22.쇠.ㅎㄲㅅㄱ)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카스피 2010-10-22 20:48   좋아요 0 | URL
요즘 아이들이 그렇게 밥을 잘 아먹느다고 하는군요.그나저나 아이에게 참 다정한 아빠세요^^

숲노래 2010-10-23 04:34   좋아요 0 | URL
부모가 잘해야 아이가 잘 따르는데, 부모가 좀더 따스하게 감싸지 못해 아이도 밥을 잘 안 먹지 않느냐 싶어요...
 


 버섯과 글쓰기


 우리 살림집 옆 멧기슭을 탄다. 엊그제에 이어 오늘 두 번째로 멧기슭을 걷는다. 아이한테 옮은 고뿔에다가 지난주부터 떨어지지 않는 몸살로 끙끙거리면서도 아침부터 신나게 밥해서 차리고 빨래해서 널고 아이랑 놀아 주며 그림책을 읽어 주다가 한 시 무렵인가 드디어 뻗는다. 아이는 한 시간 즈음 혼자 놀다가 아빠가 팔베개를 해 주며 다시 그림책을 읽히니 비로소 잠들어 준다. 아이는 한 시간 반쯤 더 낮잠을 자 준다. 아빠가 쉬를 하고 아이가 설마 쉬를 할까 싶어 기저귀를 바닥에 대어 주려는데 아이는 그사이에 쉬를 하고 만다. 1분만 쉬를 늦게 했으면 이불을 적시지 않았을 텐데. 그러나 아빠가 먼저 아이한테 기저귀를 깔아 주었으면 되었을 테지.

 아이는 잠에서 깬 다음 까까를 달라며 운다. 아침부터 밥을 한 술도 안 떴기에 밥을 먹으라 얘기한다. 아이는 그저 울기만 한다. 그러나 우리 집에 무슨 까까가 있나. 울고 싶으면 울라 하고 아이가 오줌으로 적신 옷가지 여러 벌을 빤다.

 빨래를 마치고 마당에 널어 놓는다. 아이 엄마를 불러 세 식구가 멧기슭을 타며 숲길을 걷기로 한다. 말은 숲길이지만 길 없는 숲이다. 나뭇가지를 헤치며 보송보송한 흙을 밟는 숲길마실이라고 할까. 몸에서 후끈후끈한 기운이 올라오며 머리가 어질어질하지만 아이를 품에 안고 비알진 숲길을 걷는다.

 숲길을 걷는 김에 멧느타리버섯을 다섯 송이쯤 딴다. 더 딸 수 있으나 나중에 먹을 때에 따기로 하고, 이듬날 먹을 만큼만 딴다. 올해에는 얼마 못 따는 셈이지만 이듬해에는 올해보다 더 딸 수 있겠지. 버섯 씨앗이 찬찬히 퍼지며 요 기스락에 버섯밭을 알뜰히 일구어 주기를 비손한다.

 마땅한 소리인데 작은 버섯까지 씨를 말리면 이듬해에 다시 버섯 구경을 하기 어렵다. 제법 커서 어른 손바닥만 하다 싶을 때에 따면 좋다고 느낀다. 버섯 나는 자리를 눈에 익히고서 나날이 얼마나 크는가를 돌아보는 재미가 쏠쏠하다.

 멧느타리버슷임을 알고 나서 읍내 장날에 마실을 갔다가 마을사람들이 파는 멧느타리버섯을 보았다. 이 버섯은 얼마든지 사서 먹어도 좋으리라 생각한다. 따로 비닐집이나 밭을 일구어 거둔 버섯이 아니니까. 척 보아도 알아볼 수 있다. 할매나 아지매가 산을 타며 딴 멧버섯은 값이 퍽 눅다. 마트에서 비닐팩에 담아 파는 버섯과 견주면 부피가 훨씬 많은데 값이 싸다. 아마 이 버섯은 아는 사람만 알아보며 사 먹지 않을까. 게다가 이 버섯은 아는 사람이라면 시골에서는 으레 몸소 산을 타며 따서 먹을 테고.

 먹으면 안 되는 버섯은 조금 뜯어 살살 물어 보면 쓴맛이 돌아 얼른 뱉게 된단다. 먹으면 되는 버섯은 아무 말썽이 없단다. 도감을 보아도 되지만, 스스로 몸으로 깨우칠 수 있단다. 좋은 글을 읽는 사람은 누가 ‘이 글이 참 좋답니다’ 하고 말해 줄 때에만 좋은 글임을 깨달을까. 따로 추천하거나 칭찬하는 사람이 없더라도 ‘이 글이 참 좋구나’ 하고 느낄 수 있는가. 글 한 줄 쓰는 사람은 글쓴이 스스로 내가 얼마나 좋은 글을 쓰는지 깨닫는가. 내가 쓴 글이 어느 때에는 참으로 좋고, 어느 때에는 참으로 얄궂은가를 깨닫는가. (4343.10.21.나무.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사랑과 글쓰기


 아이를 안고 비알진 멧기슭을 천천히 탄다. 아이는 아빠가 하듯 나뭇가지를 한손으로 들어서 앞을 틔운다. 판판한 길이 나오니 아빠 등에 붙은 나뭇잎과 잔가지를 털어 준다. 아이는 어디에서 이런 몸짓을 배웠을까. 엄마나 아빠가 하는 양을 보다가 따라했을 테지. 엄마나 아빠가 다른 양을 보여주었다면 다르게 움직였겠지. 그리 굵지 않은 나무가 띄엄띄엄 선 풀숲 한복판에 조용히 앉아 우리 살림집을 내려다본다. 멧기슭을 고작 조금 올라왔을 뿐인데 사뭇 다르게 보인다. 내가 살아가는 곳에서 아이가 자라나고, 내가 바라보는 곳에서 아이 눈높이가 자라며, 내가 사랑하는 글을 아이가 읽으며 큰다.

 잠자리에 들기 앞서 아이를 품에 안으며 엉덩이와 등을 토닥인다. 아이한테 바라는 말을 조곤조곤 들려주고, 아이가 얼른 고뿔이 나아 더 씩씩하게 놀면 좋겠다고 얘기한다. 천천히 이부자리에 앉아 아이를 눕힌다. 아이 이마와 가슴과 어깨에 살며시 성호를 그리니 “또또와 또또와 아멘.” 한다. 아이는 어버이한테서 사랑을 받고 싶어 한다. 어버이는 아이한테 참답고 착하며 고운 사랑을 물려주어야 한다. 내가 쓰는 글을 먼 뒷날 아이가 커서 읽을 무렵에 아이는 내 글에 참답고 착하며 고운 사랑이 깃들어 있다고 느낄 수 있겠는가. (4343.10.19.불.ㅎㄲㅅㄱ)
 

(그래, 너 세 살이야... -_-;;;;)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달빛과 글쓰기


 인천 골목동네에서 살던 때 늘 전기불빛에 가려진 달빛을 보려고 바둥거렸다. 아마 골목동네 작은 달삯집이 아닌 아파트숲에서 살았더라도 달빛은 얼마든지 볼 수 있었을는지 모른다. 어쩌면 골목동네 낮은 집들은 아파트에 가려 달을 올려다볼 수 없고, 골목동네 낮은 집들을 가로막은 높직한 아파트에서만 달을 살필 수 있을는지 모른다.

 멧기슭에 깃든 시골집에서 살며 언제나 달을 보고 별을 본다. 아마 몽골이라든지 티벳이라든지 아프리카라든지 칠레 멧기슭 같은 데에서 달이나 별을 본다면 한국땅 시골과 견줄 수 없이 아주 많이 보고 느끼며 가슴이 젖어들는지 모른다. 어쩌면 이 나라에서 올려다보는 달은 달답지 않다 할 만하고 별은 별답지 않다 하여도 틀리지 않다. 달처럼 생긴 작은 동그라미 하나에 별처럼 생긴 소금가루 몇몇을 보는 밤하늘일는지 모른다.

 아침부터 집 옆 고구마밭에서 고구마를 함께 캐며 놀던 아이는 낮까지 고구마밭에서 함께 어울려 논다. 아침 먹을 무렵을 보내고 낮잠 무렵이 지나면서도 흙을 맨발로 밟고 마음껏 뛰노는 재미에 푹 빠진다. 저녁에는 음성읍내 장날 마실을 한다. 집으로 돌아와서 하루 내 거의 안 먹은 밥을 억지로 먹인다. 아이가 가까스로 잠들었나 생각하면서, 지친 아빠는 먼저 까무룩 잠이 든다. 그러다가 밤 열 시와 열한 시와 새벽 두 시에 세 번 깬다. 아이가 자지러지듯 울어대기 때문.

 고단한 아기는 제대로 잠들지 못한다. 한참한참 울고 불며 칭얼거린 끝에 겨우 다시 잠들어 코를 곤다. 잠이 깨어 울어댈 때마다 한 시간씩 함께 잠이 깨어 토닥거리며 달랜다. 아이 울음이 가까스로 잦아든 다음에는 잠들기 어렵다. 이불을 무릎에 덮고 한참 가만히 앉아 있는다. 어설프게 쳐 놓은 창문가림천 사이로 달빛이 비쳐 든다. 조각 달빛 한 자락 내 잠자리로 비춰 든다. 달빛 어린 이부자리를 살살 어루만진다. 달빛에 기대어 내 마음을 몇 마디로 갈무리한다.

 고단한 아기 한참한참
 울고불며 칭얼거린 끝에
 겨우 잠들어 코 고는
 깊은 저녁 조각 달빛 한 자락
 내 잠자리로 비춰 든다.


 (4343.10.18.달.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