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소녀 전사 세일러 문 완전판 2
다케우치 나오코 지음, 안은별 옮김 / 세미콜론 / 2021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만화책 / 만화읽기 . 만화비평 2023.7.26.

책으로 삶읽기 834


《미소녀 전사 세일러 문 2》

 다케우치 나오코

 안은별 옮김

 세미콜론

 2021.1.15.



《미소녀 전사 세일러 문 2》(다케우치 나오코/안은별 옮김, 세미콜론, 2021)을 읽었다. 두걸음까지 읽고서 더는 읽을 마음이 안 든다. 첫걸음을 보았을 적에도 더 읽고 싶지 않았고, 첫걸음 첫 줄거리부터 ‘이미 끝이 다 나왔’기에 ‘왜 보아야 하나?’ 싶기까지 했다. 곰곰이 보면, 이 그림꽃은 알차거나 알뜰한 줄거리나 이야기하고는 한참 멀다. 그저 푸름이(중학생)를 그리되, 더 이쁘장하게, 더 깡똥한 치마차림으로, 이러면서 ‘왕자님을 만나서 입을 맞추는’ 줄거리를 보여주기만 하면 될 뿐일 수 있다. 어린이를 홀려서 겉치레에 눈이 팔리는 굴레에 가두는 짝퉁이라고 할까.


ㅅㄴㄹ


‘오늘의 너는 얼마나 강한지! 만날 때마다 다른 얼굴을 보여주고 있어.’ (44쪽)


‘우리는 우리의 주인. 앤디미온 왕자님을 찾아 다시 태어났어. 허나 그 기억조차 찾지 못한 채, 또 한 번 녀석의 손에 놀아나, 몸을 넘겨버린 거야.’ (75쪽)


“‘환상의 은수정’은 모두 당신의 마음에 달렸습니다. 강한 신념과 굳은 의지, 그리고 깊은 애정, 그 모두를 갖추지 않으면 악을 물리칠 수 없어요.” (124쪽)


+


결행은 다음 만월의 밤이 좋겠어

→ 다음 보름달 밤에 하면 좋겠어

101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팔로마르의 아이들
힐베르트 에르난데스 지음, 박중서 옮김 / 고트(goat) / 2020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만화책 / 만화읽기 . 만화비평 2023.7.26.

만화책시렁 557


《팔로마르의 아이들》

 힐베르트 에르난데스

 박중서 옮김

 goat

 2020.5.30.



  “미국 멜로드라마 만화의 완벽한 고전”이라든지 “마르케스를 환기하는 마술적 사실주의 분위기가 돋보이는 놀라운 장편만화”라는 이름을 내세운 《팔로마르의 아이들》을 진작 읽기는 했으나, “미국 언더그라운드 만화의 고전” 같은 추킴말은 너무 허울스러우면서 낯간지럽습니다. 그저 ‘이야기’로 읽고 ‘그림꽃(만화)’으로 바라보려 한다면, ‘아주 나쁘지는 않’을 만하지만, 그렇다고 우리 터전하고 맞아들어가는 줄거리로 여기기도 어렵다고 느낍니다. 거꾸로 본다면, 우리나라에서 널리 읽히거나 손꼽기에 이웃나라에서 널리 읽어야 하거나 손꼽아야 하지 않습니다. ‘대단하고, 훌륭하고, 아름답고, 멋지고, 이름나고, 손꼽히’니까 ‘그저 닥치고 읽으라’고 들이민다면, 문득 들여다보기는 하겠지만, 고개를 절레절레 흔들 수밖에 없습니다. 게다가 ‘긴’ 줄거리도 아닌데 ‘장편’이라고 내세우니 아리송합니다. “대안만화의 역사에 굵직한 획”을 그었다고 외치는 ‘보도자료’는 창피하기까지 합니다. 왜 이렇게 올려세우려고 할까요? 그저 오늘을, 이곳을, 사람을, 삶을, 하루를 담아내고 가만히 손을 내밀면, 모든 이야기는 시나브로 피어납니다. 애써 얼기설기 짜맞추려 하면, 오히려 군더더기에 덕지덕지 어지럽습니다.


#ChildrenofPalomar #GilbertHernandez


저 바위가 이 지역의 가장 순수한 식수를 가로막고 있어요

→ 저 바위가 이 고장에서 가장 맑은 샘물을 가로막아요

→ 저 바위가 이곳에서 가장 맑은 물줄기를 가로막아요

27쪽


아이를 보호하기 위해선 무슨 일이든 감수할 거고요

→ 아이를 지키자면 무슨 일이든 할 테고요

→ 아이를 보듬자면 무슨 일이든 받아들일 테고요

57쪽


괜히 여신 이름을 따서 네 이름을 지은 게 아니구나

→ 빛순이 이름을 그냥 따서 네 이름을 짓지 않았구나

→ 꽃순이 이름을 슥 따서 네 이름을 짓지 않았구나

76쪽


두 사람 모두 조류 연구학자일 뿐이라네요

→ 두 사람 모두 새를 살필 뿐이라네요

→ 두 사람 모두 새바라기일 뿐이라네요

93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보노보노 1
이가라시 미키오 지음 / 거북이북스 / 2017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만화책 / 만화읽기 . 만화비평 2023.7.26.

만화책시렁 555


《보노보노 1》

 이가라시 미키오

 권성애 옮김

 서울문화사

 1997.12.5.



  새판으로 나온 《보노보노》입니다. 아무것도 아니라 할 이야기를 아무것도 아닌 듯 그려내는 얼거리이고, 굳이 뭘 얻거나 배우거나 느끼거나 알려고 할 까닭이 없이, 여기에 있는 오늘을 마주하며 걸어가는 길을 들려준다고 여길 만합니다. 다만, 《보노보노》는 줄줄이 나올수록 어쩐지 ‘그린 얘기를 또 그리고, 한 말을 다시 하는구나’ 싶더군요. 읽다가 지쳐서 더 읽지 않았습니다. 그렇지만 ‘그린 얘기를 또 그리고, 한 말을 다시 하는 얼개’가 오히려 마음에 드는 분도 많으리라 봅니다. 글을 꼭 이렇게 써야 할 까닭이 없고, 그림을 반드시 그렇게 그려야 할 일이란 없습니다. 마음이 흐르는 결을 스스로 즐길 적에 빛나고, 마음이 닿는 곳으로 느긋이 걸어갈 적에 웃거나 울면서 오늘을 바라보게 마련입니다. 1997년에 나온 한글판을 모처럼 되읽으면서 생각합니다. 처음 이 그림꽃을 알아보고서 장만한 1999년에도, 되읽는 2023년에도 ‘어린이한테 읽으라’고 말할 마음은 터럭만큼도 없습니다. 1986∼1997년 무렵에 스물∼서른 살이던 사람들한테 어울리는 얼거리로 그린 줄거리입니다. 이런 줄거리를 오늘날 젊은이나 어른도 즐길 수 있겠지요. 지나간, 흘러간, 해묵은 지난날 발걸음 한 자락도 틀림없이 ‘삶길’이니까요.


ㅅㄴㄹ


“받든지 해야 할 거 아냐!” (51쪽)


“그럴까? 이게 나를 좋아하는 돌일까?” (79쪽)


“근데 근데, 하루 만에 다 먹을 수가 없어서 좀 남겼지 뭐야. 근데 다음날, 비가 오는 바람에 남은 걸 다 먹이치웠어, 헥헥!” (99쪽)


마모트는 정말 대단한 애라고 생각한다. (103쪽)


#ぼのぼの #五十嵐三喜夫

+


그런 이유 때문이 뭐냐구

→ 그 때문이 뭐냐구

→ 그런 까닭이 뭐냐구

《보노보노 1》(이가라시 미키오/권성애 옮김, 서울문화사, 1997) 116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유키x츠바사 2
타카하시 신 지음 / 대원씨아이(만화) / 2013년 2월
평점 :
절판


숲노래 만화책 / 만화읽기 . 만화비평 2023.7.26.

만화책시렁 569


《유키×츠바사 2》

 타카하시 신

 편집부 옮김

 대원씨아이

 2013.2.28.



  마음을 읽을 적에 서로 마음으로 만납니다. 마음을 안 읽는다면, 마음이 없이 얼굴을 보고, 몸매를 보고, 겉모습을 봅니다. 마음을 바라보기에 마음에 심을 사랑이라는 씨앗을 그립니다. 마음을 안 바라보기에 코앞에서 얼굴에 몸매에 겉모습을 보기는 하되, 정작 함께 그리고 지으면서 새롭게 펼 사랑은 아예 생각조차 않습니다. 《유키×츠바사 2》을 되읽다가 문득 헤아려 봅니다. 사람들은 으레 ‘사랑’이란 낱말을 혀끝에 올리지만, 정작 ‘사랑 아닌 살섞기’에서 맴돌기 일쑤입니다. ‘사람·사랑·살’이 모두 ‘사’에 ‘ㅅ’이 말밑이되, 셋은 다 다른 결로 쓰는 낱말입니다. 사람은 사랑으로 숨결을 입으면서 ‘살덩이로 몸을 이루’지만, ‘몸뚱이만 쓰는 굴레’로는 사랑하고는 동떨어집니다. 그래서 얼굴·몸매·겉모습뿐 아니라 옷차림·매무새(태도)로 ‘사람을 재려(판단)’고 들면, 뜬금없거나 엉뚱하게 덫에 걸리지요. ‘살갗·살덩이’를 쳐다보면서 ‘살섞기’에 얽매일 적에는 사랑이 아닌 굴레이자 덫이자 수렁일 뿐입니다. 숱한 그림(영화·영상)은 온통 살섞기입니다. 사람들 눈을 홀리면서 가두려는 우두머리(권력자) 꿍꿍이에 휩쓸리는 노릇이에요. 마음을 읽고 목소리를 듣고 넋을 숨빛으로 마주해야 비로소 사랑입니다.


ㅅㄴㄹ


#高橋しん #世界の果てには君と二人で


‘내 목소리, 누군가에게 닿지 않으려나? 목소리를 잃어버렸지만, 더럽혀지고 너덜너덜해져 외톨이가 된 내 울음소리에 그날, 츠바사가 알아차려 준 것처럼.’ (8쪽)


‘선배가 마음속으로 하는 말은 나한테밖에 안 들려서, 가끔 너무나 창피하다. 그런데, 너뮤 유치하고 창피하지만, 두근두근 설렌다.’ (113쪽)


‘하지만 범인 따윈 정말로 알고 싶지 않았어. 아무것도 알고 싶지 않았지. 선배, 초능력은 절대 선배가 생각하는 것처럼 좋은 게 아니야. 무척이나 괴롭고, 관련된 사람이나, 자신에게도, 상처를 줘.’ (204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돌프에게 고한다 3
데즈카 오사무 글.그림, 장성주 옮김 / 세미콜론 / 2009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만화책 / 만화비평 2023.7.20.

만화책시렁 514


《아돌프에게 고한다 3》

 테즈카 오사무

 장성주 옮김

 세미콜론

 2009.9.28.



  누구나 무엇이든 말할 수 있을 적에, 마음이 흐르고, 이 마음이 무럭무럭 자라서 삶을 이루고, 이 삶이 새롭게 모여서 살림으로 꽃이 피니, 이 꽃이 지면서 맺는 씨앗에 사랑이 깃듭니다. 그러나 누구나 무엇이든 말할 수 없을 적에는, 마음이 안 흐르고, 삶이 막히고, 살림이 꽃으로 피어날 틈이 없는데다가, 씨앗을 맺지 않고 사랑이 퍼지지 않습니다. 억누르는 무리는 늘 총칼에 주먹을 앞세웁니다. 힘으로 찍어 입부터 꿰매요. 시키는 말만 읊으라고 다그칩니다. 스스로 마음을 기울여서 하는 말은 ‘다른 목소리’가 아닌 ‘틀린 목소리’라고 윽박지릅니다. 어느새 모든 나라에 ‘옳으냐 그르냐’로 다투며 가르는 싸움이 불거집니다. 우두머리랑 벼슬아치는 사람들이 서로 다투는 모습을 흐뭇하게 웃으며 지켜봅니다. 사랑씨앗이 싹트지 않는 곳에는 뒷질이 넘치고, 우리 스스로 철이 안 들면서, 윗놈한테 종(노예)으로 얽매입니다. 《아돌프에게 고한다》는 ‘세 아돌프’가 저마다 다른 자리에서 저마다 걷는 길을 보여줍니다. 나이가 들면서 외곬로 기울어 ‘옳으냐 그르냐 싸우는 굴레’에 사로잡힌 ‘세 아돌프’는 다 다르게 죽음길로 치달아요. 왜 안 멈출까요? 왜 눈을 안 뜰까요? 오직 사랑으로 말할 때에만 사랑입니다.


ㅅㄴㄹ


“손을 못쓴다는데 기뻐하란 말입니까?” “죄송해요. 그치만 전쟁터에 끌려가면 왼손이 아니라 목숨을 잃을지도 모르니까, 그러니까 목숨을 건진 셈이잖아요! 도게 씨, 아버지처럼 덧없이 목숨을 버리시면 안 돼요!” (75쪽)


“지금 일본에선 사상의 자유를 말하는 사람이 죄다 빨갱이로 몰린단다. 그러다 보니 큰소리로 얘기도 못 하는 처지야.” (79쪽)


“유대인이지만 내 친구야.” “당신, 유대인 편이오? 적이 아니라?” “그건 아무래도 상관없어! 어쨌든 거기 가면 안전하게 살 수 있다고.” “뭐야, 이건! 냉장육 운잔차잖소! 이걸 타란 말이오?” (169쪽)


《아돌프에게 고한다 3》(테즈카 오사무/장성주 옮김, 세미콜론, 2009)


#アドルフに告ぐ #手塚治虫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