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발 꿰기

 


  여섯 살 큰아이는 혼자서 신발을 꿴다. 세 살 작은아이는 혼자서 신발을 꿰지 못한다. 여섯 살 큰아이는 더러 작은아이 신발을 꿰어 주곤 한다. 세 살 작은아이는 뒷꿈치 없는 끌신은 혼자서 꿸 수 있다. 큰아이는 혼자서 신발을 꿰려고 무던히 애쓴 끝에 퍽 이른 나이부터 혼자서 신발을 꿴다. 작은아이는 누나가 곁에서 혼자 용쓰며 신발을 꿰는 데에도 가만히 지켜보거나 구경하면서 스스로 신발을 꿸 생각을 아직 못한다. 작은아이는 언제쯤 제 손을 놀려 제 신을 마음껏 꿸 날을 맞이할까. 4346.3.1.쇠.ㅎㄲㅅㄱ

 

(최종규 . 201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당신은 어른입니까 15] 숲읽기
― 밥과 옷과 집

 


  고등학교를 마치면 무엇을 하며 살아야 할까요. 나는 고등학교를 다니며 이 대목을 배운 적 없습니다. 고등학교에서는 ‘고등학교 교육 얼거리’에 맞추어 교과서 지식을 집어넣으려 했을 뿐, 내 삶을 헤아리지 않았습니다. 더구나, 교과서 지식을 집어넣으면서 시험을 치르는데, 시험점수가 어떠한가에 따라 몽둥이찜질과 줄세우기를 함부로 했습니다(1991∼1993년).


  중학교를 마치면 무엇을 하며 살아야 할까요. 나는 중학교를 다니는 동안에 이 대목을 배운 적 없습니다. 중학교에서는 고등학교에서처럼 ‘중학교 교육 얼거리’에 맞추어 교과서 지식을 집어넣기만 했습니다. 중학교에서 우리한테 할 수 있던 일이라면 ‘고등학교에 보내기’였어요.


  곰곰이 돌아보면, 고등학교가 하는 일도 ‘대학교 보내기’에 머무는구나 싶습니다. 인문계 고등학교가 아니라면 ‘공장 보내기’나 ‘회사 보내기’가 될 테지요. 그러면, 인문계 고등학교는 왜 대학교에 보내려 하는가요. 대학교에 보내면 아이들은 무엇을 할 수 있을까요. 또, 대학교를 여러 해 다녀서 마치는 아이들은 무엇을 할 수 있을까요.


  도시에서 태어나 초·중·고등학교를 다니던 나는 ‘고등학교를 마친 뒤 무엇을 하며 살아갈 수 있을까’ 하는 대목에서 갈팡질팡했습니다. 오직 입시시험만 가르치는 고등학교를 마친 내가 무슨 일을 할 수 있는지 하나도 몰랐습니다. 다른 대목보다 ‘먹고 입고 자는’ 대목을 생각했습니다. 이른새벽부터 늦은밤까지 학교에 붙들린 채 입시교육만 받는데, 밥하기와 바느질부터 빨래나 집일 어느 하나 익히거나 배울 틈이 없습니다. 집에서 어머니가 혼자 김치를 담그셔도 도우러 갈 수 없습니다. 학교에서는 문제집 한 번 더 들추어야 한다고 말할 뿐, 김치가 어쩌고 자시고 아랑곳하지 않아요. 설이나 한가위를 앞둔대서 수험생이 집일을 거들 틈이 없습니다. 명절 코앞까지 밤늦도록 입시교육을 시키니까요.


  그러니까, 고등학생이 대입시험을 치러 붙지 않으면, 그야말로 할 줄 아는 일이 없습니다. 책상맡에서 문제집 들여다보기 빼놓고 할 수 있는 일이 없습니다. 짐을 나를 줄 아나, 연장을 고칠 줄 아나, 삽질을 할 줄 아나, 망치질을 할 줄 아나, 도무지 어느 하나 스스로 하도록 가르치거나 이끌지 않는 학교입니다.


  도시에서 태어나 자라는 아이들이 고추포기를 고추나무로 잘못 알고, 벼 또한 벼나무라도 되는 줄 잘못 안다고 나무라는데, 도시 아이들은 곁을 둘러볼 겨를이 없습니다. 도시 아이들한테 둘레를 살펴볼 틈을 안 줍니다. 도시에는 논도 밭도 없어요. 고추이든 벼이든 구경할 수 없어요. 사내도 가시내도 스스로 밥상 차릴 일이 없습니다. 사내도 가시내도 제 옷을 스스로 빨아서 입을 일이 없습니다. 사내도 가시내도 제 방을 스스로 쓸고 닦을 일이 없습니다. 이 얼거리는 대학생이 되어 여러 해 지난 뒤 회사원이나 공무원이 된 다음에도 늘 매한가지입니다. 대학생이 된대서 집일을 배우거나 집살림을 배우는 아이는 없어요. 대학교를 마치고 회사원이나 공무원이 되니까 집일하고 집살림을 익히려는 젊은이는 없어요. 한 마디로 간추리면, 오늘날 아이들은 도시에서나 시골에서나 어린이집에 한 번 들어가고 나면, 그 뒤로 집일하고 집살림하고는 아예 등을 지고 맙니다.


  과학 수업에서 별이름을 배웁니다. 원소가 어떠하고 화학조합물이 어떠하고 배웁니다. 옛 임금들 이름과 이런저런 옛 제도와 정책 줄거리를 외웁니다. 때때로 나무이름도 외우지요. 그러나, 학교 언저리에 심은 나무가 소나무인지 향나무인지 알 턱이 없습니다. 알려주는 교사가 없고, 푯말이 붙지도 않습니다. 소나무와 잣나무가 어떻게 다른지 배울 길 없고, 가르치는 교사가 없습니다. 참나무는 왜 참나무이고, 참나무 열매가 왜 도토리이며, 도토리를 열매로 맺는 참나무 갈래는 어떻게 되는가를 배울 수 없고, 알려줄 만한 교사가 없어요. 대나무조차 못 알아보는 동무가 있습니다. 감이 열린 감나무를 바라보면서 저 불그스름한 알이 무언지 모르는 동무가 있습니다. 포도가 나무에 열리는지, 능금꽃이나 배꽃이 어떠한지 생각하거나 헤아리거나 아는 동무가 거의 없습니다.


  요즈음은 시골에서도 숲을 마주하거나 누리기 어렵습니다. 이제 한국에서 시골자락은 ‘고속도로와 고속철도가 지나가는 길목’이거나 ‘공장하고 골프장하고 발전소 짓는 터’이거나 ‘관광지’로 꾸미는 데가 됩니다. 도시에서는 아파트와 건물 늘리느라 바빠, 그나마 도시 바깥쪽에 있던 논밭이나 뒷동산조차 사라집니다.


  도시에서는 자가용 몰아 ‘수목원’이라 따로 이름을 붙이는 데로 찾아가야 나무내음 맡을 수 있습니다. 도시에서는 나비박물관 아니고서야 나비조차 볼 수 없습니다. 참새나 비둘기가 더러 도시에서도 살아간다지만, 멧새나 들새를 볼 수 없는 도시예요. 소쩍새나 참수리가 살 터가 없는 도시요, 들쥐나 멧쥐조차 살 터가 없는 도시예요.


  입시공부에 찌들리던 지난날, 나는 무엇보다 ‘숲을 모른다’는 대목이 부끄럽습니다. 매캐한 자동차 냄새는 그만 맡고 싶습니다. 갑갑하고 어두운 시멘트 교실에서 벗어나고 싶습니다. 내가 태어나 자란 인천 어디에나 수두룩하게 많은 공장마다 내뿜는 매연덩어리에서 홀가분하고 싶습니다. 송전탑과 전봇대하고 헤어지고 싶습니다.


  바람이 들려주는 소리를 듣고 싶어요. 바람에 실리는 꽃내음과 풀내음을 맡고 싶어요. 바람결에 살랑이는 햇살을 쬐고 싶어요. 바람 따라 흐르는 구름을 바라보고 싶어요. 창밖을 바라보아도 잿빛투성이일 뿐이었지만, 창밖으로 숲이 있기를 빌었어요. 나무그늘에서 책을 펼치고, 풀밭에 앉아 도시락을 즐기며, 나무타기를 하며 쉬다가는, 싱그럽고 푸른 맛난 풀 뜯어먹고 싶었어요.


  밥과 옷과 집은 어디에서 얻을까요. 바로 숲에서 얻지요. 숲이 있어야 밥을 얻지요. 숲이 있어야 옷을 얻지요. 숲이 있어야 집을 얻지요. 공장에서 가공식품 찍어낸대서 배부르지 않아요. 공장에서 천을 짜고 옷을 짓는대서 예쁘지 않아요. 공장에서 시멘트와 플라스틱과 쇠붙이 얽어 높다란 아파트 짓는대서 반갑지 않아요. 숲에 푸른 숨결 가득한 나무가 있을 때에 먹을거리가 나와요. 숲에 푸른 숨소리 가득한 나무가 있어 비로소 입을거리를 빚어요. 숲에 푸른 숨빛 해맑은 나무가 있기에 튼튼히 기둥 세우고 서까래 얹으며 집을 지어요.


  학교는 모름지기 숲학교여야 한다고 느낍니다. 어린이집도 유치원도 초등학교도 모두 숲배움터여야 한다고 느낍니다. 중학교와 고등학교도 숲배움터가 되면서, 아이들이 나이와 눈높이에 맞게 ‘밥·옷·집’ 스스로 건사하는 슬기와 넋을 익힐 수 있어야 한다고 느낍니다.


  인문계 고등학교이든 실업계 고등학교이든 예체능계 고등학교이든, 모두 너른 숲 한복판에 깃들어, 숲내음 맡고 숲살이 익히면서 차근차근 자랄 수 있어야 한다고 느껴요. 운전면허증은 아예 안 따거나 나중에 따도 돼요. 굳이 열아홉 살이나 스무 살에 대학생 되어야 하지 않아요. 대학생 애써 안 되어도 즐겁지요. 삶을 누릴 수 있을 때에 즐겁고, 삶을 사랑할 수 있을 때에 아름답습니다. 숲이 곧 살림터요 배움터일 수 있기를 꿈꿉니다. 나는 숲배움터를 조금도 누리지 못했지만, 우리 아이들은 숲배움터를 실컷 누릴 수 있기를 꿈꿉니다. 숲에 깃들 때에 시나브로 사람다움과 참다움과 나다움을 다스릴 수 있구나 싶어요. 4346.3.1.쇠.ㅎㄲㅅㄱ

 

(최종규 . 201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소리

 


  내가 듣기 좋은 소리는 아이들도 듣기 좋습니다. 아이들이 듣기 좋은 소리는 나도 듣기 좋습니다. 내가 듣고 싶은 소리는 아이들도 들으며 좋아합니다. 아이들이 듣고 싶은 소리는 나도 들으며 좋아할 만합니다.


  사랑을 담아 부르는 소리는 따스합니다. 꿈을 담아 부르는 노랫소리는 아름답습니다. 이야기를 담아 읊는 싯말 한 대목 두 대목은 달콤합니다. 여섯 살 아이가 한글과 숫자를 익히려고 놀이 삼아 ㄱㄴㄷ을 읽습니다. 123을 읽습니다. 곁에서 세 살 아이가 누나 목소리를 흉내냅니다. 혀가 짧은 소리를 내며 웃습니다. 혀가 짧은 소리를 저희 나름대로 굴리며 노래를 부릅니다.


  바람이 붑니다. 바람이 풀잎을 건드립니다. 바람이 불어 구름이 흐릅니다. 바람이 불며 햇살내음 퍼뜨리고, 꽃내음 흩뿌립니다. 봄날 피어나는 크고작은 꽃이 바람결 따라 나긋나긋 춤을 춥니다. 일찌감치 깨어난 봄나비 한 마리 밭자락을 맴돕니다.


  온누리 밝힐 수 있는 소리에는 사랑이 감돕니다. 온누리 감쌀 수 있는 소리에는 꿈이 서립니다. 즐겁게 웃는 소리로 지구별에 사랑을 부릅니다. 반갑게 노래하는 소리로 숲에 푸른 싹 틔웁니다. 4346.2.28.나무.ㅎㄲㅅㄱ

 

(최종규 . 201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밥 먹자

 


  얘들아, 밥 다 되었다. 밥 먹자. 맛나게 먹고, 즐겁게 뛰어놀자. 기쁘게 먹고, 신나게 뒹굴자. 바람이 따스하게 분다. 햇살이 곱게 드리운다. 밥 한 숟갈로 내 몸을 살찌우고, 국 한 숟갈로 내 마음을 다스리자. 씩씩하게 먹고, 튼튼하게 자라자. 도란도란 먹으며, 사랑스레 웃자. 4346.2.25.달.ㅎㄲㅅㄱ

 

(최종규 . 201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손 잡고 구경

 


  지게차 있는 이웃 불러 뒷밭 쓰레기를 파내고 뽕나무를 세우며 흙을 갈아엎는다. 이동안 아이들이 아버지 곁에 서서 구경한다. 더 가까이 오고 싶으나, 오지 말라 하니, 살짝 떨어진 자리에서 구경한다. 큰아이가 작은아이 손을 잡는다. 작은아이는 큰아이 손을 잡는다. 서로가 서로를 기대고, 서로가 서로를 돌본다. 어버이 하는 일이란 아이들 늘 함께 따라다니며 어울릴 만해야 한다고 새삼스레 느낀다. 아이들이 가까이 다가서지 못하는 어른들 일이라면, 아이들이 배우거나 받아들이거나 즐길 만하지 못하리라 느낀다. 아이들한테도 즐겁고 반가우면서, 어른들 누구나 즐겁고 반갑게 빛낼 일을 할 때에, 보금자리가 살아나고 살림이 알차면서 사랑이 솟아나리라 느낀다. 4346.2.22.쇠.ㅎㄲㅅㄱ

 

(최종규 . 201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