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과 책꽂이
 [‘사진책 도서관’ 함께살기] 도서관일기 2011.3.7.



 내가 연 도서관은 내가 주머니를 털어 장만한 책으로 마련했다. 누가 거저로 준다든지 잔뜩 보내준 책으로 연 도서관이 아니다. 그러나 책꽂이만큼은 내가 장만하지 않았다. 아니, 나는 책꽂이를 장만할 생각을 하지 못했다. 책을 사느라 바빠 언제나 주머니가 쪼들렸으니까.

 인천집에 살던 고등학생 때에는 아버지한테서 얻은 책꽂이가 둘 있었다. 형이 쓰던 책꽂이는 형이 인천집을 떠나면서 나한테 물려주었다. 아버지가 쓰시던 장식장이나 책꽂이는 아버지가 인천집을 떠나면서 나한테 넘겨주었다. 내가 인천을 떠나 서울에서 신문배달을 하며 지내던 때에는 자전거로 신문을 돌리며 ‘버려진 책꽂이’가 있는지 눈여겨보았고, 제아무리 먼 데에 버려진 책꽂이라 하더라도 신문을 다 돌린 뒤 부리나케 달려가서 남들이 먼저 손을 쓰기 앞서 낑낑거리며 날랐다. 깊은 새벽, 신문배달 마치고 땀에 옴팡 젖은 후줄근한 젊은이는 무거운 책꽂이를 홀로 이리 들고 저리 지며 날랐다. 거의 다 혼자 들기 어려운 큰 책꽂이였는데, 서너 번쯤은 혼자서 한 시간쯤 낑낑대로 날라 오는 동안 팔뚝 인대가 늘어나서 자전거 타며 신문을 돌릴 때에 몹시 애먹었다.

 이러다가 두 차례 책꽂이를 여럿 얻는다. 먼저, 충북 충주에서 이오덕 님 글을 갈무리하는 일을 하던 때에 스무 개 남짓 얻는다. 다음으로, 인천에서 드디어 내 도서관 문을 열던 때에 헌책방 아주머니가 알음알음하여 장만한 미군부대 도서관 책꽂이를 서른 개 남짓 얻는다.

 날마다 책이 조금씩 늘어나니까 책꽂이 또한 날마다 늘어나야 하는데, 나는 책꽂이를 새로 살 생각을 늘 안 하면서 살았다. 인천에서 문을 연 도서관을 충북 충주 멧골마을로 옮기면서도 책꽂이를 새로 장만하지 못한다. 책짐을 옮기느라 돈이 무척 많이 들었고, 시골집 둘레에서는 책꽂이를 주워 올 데라든지 살 데를 찾기가 힘들기 때문.

 멧골마을로 도서관을 옮길 때, 멧골자락에 도서관 자리를 내어주신 분이 삼 미터 남짓 되는 벽을 따라 단단한 책꽂이를 가득 마련해 주었다. 이리하여 나로서는 또 책꽂이를 얻는다. 그런데 이 자리에 책을 꽂으면서 살피니, 이만큼으로도 책을 다 꽂아 놓지 못한다. 책꽂이가 모자라다.

 가만히 생각한다. 나는 이제껏 내 책을 책꽂이에 알뜰히 꽂은 채로 지낸 적이 한 번도 없다는 소리일까. 책꽂이가 조금은 빈 채, 그러니까 책들이 조금은 넉넉히 꽂힐 수 있도록 마음을 쓴 적이 없다는 이야기일까.

 그렇지만, 책꽂이가 꼭 모자라기 때문에 책을 제대로 못 꽂는다고는 볼 수 없다. 옆지기는 말한다. 내가 책을 이곳저곳에 늘어놓기 때문에 책이 얼마나 되는지 모르기도 하지만, 차곡차곡 제자리에 두지 않으니까, 이곳저곳에 잔뜩 쌓이기만 한다고.

 어서 날이 풀려 저녁나절에도 도서관에서 얼른 책 갈무리를 마무리짓고 싶다. 아직 저녁에는 손이 시려서 책 갈무리를 오래 하기 힘들다. 얼른 날이 풀려야 우리 집 물이 녹을 테고, 물이 녹아야 걸레를 빨아서 그동안 쌓인 먼지를 닦으면서 집이며 도서관이며 건사할 텐데. 이제는 부디 따스한 날이 온 멧자락에 가득하기를 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추운 날 책읽기
 [‘사진책 도서관’ 함께살기] 도서관일기 2011.3.4.



 이오덕학교 어린이와 푸름이가 우리 도서관에 책을 읽으러 온다. 아직은 만화책만 신나게 읽는다. 그러나 만화책만으로는 제 눈높이에 맞다 싶은 책을 찾기가 만만하지 않은 만큼, 다른 책을 바라기도 한다.

 나이가 가장 어린 아이는 그림책 꽂힌 자리에 가서 이것저것 살핀다. 나이가 조금 있는 아이는 이제 글책 있는 자리에 가서 이것저것 살피겠지.

 그나저나 지난겨울도 그렇고 아직까지도 그렇고, 한 주에 한 차례 모든 어린이와 푸름이가 찾아오는 때에는 한 주 가운데 가장 날이 춥다. 전기난로를 켜 놓지만 이 난로로 따뜻하기는 힘들다. 칸막이 있는 방이 아니라서 따스함이 고이 남지 못한다.

 그래도 차가워지는 손으로 만화책이든 그림책이든 글책이든 잘 읽는다. 아이들이 쥐는 책이 아이들한테 재미나지 않다면 손이 시린 데에도 읽을 수 없겠지. 손이 시려도 놓지 않을 만큼 재미나야 비로소 읽을 만한 책이라 여길 수 있겠지.

 나는 내 도서관에 갖춘 책을 겨울날에는 두 손이며 두 발이며 몸뚱이며 꽁꽁 얼어붙으면서 한 권 두 권 살피면서 장만했다. 책을 장만하고 집으로 돌아가는 길에도 몸과 손발은 얼어붙었고, 집에서도 시린 손을 비비면서 읽었다. 맨 처음 책을 장만하는 사람부터 손발이 얼어도 꼭 사야겠다 느끼는 책이기에 장만하며 살아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딸기씨 한살이를 사진으로 담는 손길
어린이가 읽는 사진책 1 : 카타노 타카시, 《새빨간 딸기》(한솔교육,2005)



 일본 ‘Child Honsha(チャイルド本社)’에서 1999년에 내놓은 《いちごのたね》를 옮긴 《새빨간 딸기》는 2005년 4월에 ‘한솔교육’이라는 곳에서 “자연과 함께하는 과학 그림책”이라는 이름을 달고 나옵니다. 겉장까지 모두 스물여덟 쪽짜리인 사진책이기에 ‘과학 그림책’이라는 이름은 걸맞지 않습니다. 그러나, 어린이한테 읽히는 ‘과학 그림책’ 가운데에는 사진으로 엮은 책이 꽤 많고, 이들 사진책을 가리켜 사진책이라 하는 일은 없습니다. 거의 언제나 그림책이라고만 이야기하고, 책을 나눌 때에도 그림책 갈래에만 넣습니다.

 도서관에서든 새책방에서든, 어린이책을 살필 때에 ‘사진책’을 따로 마련하는 곳은 없습니다. 도서관 분류법이 이와 같이 되었기에 ‘어린이가 읽는 사진책’ 갈래가 없다 할는지 모르는데, 막상 ‘어린이 도서관’에서조차 사진책을 따로 나누지 못합니다. 어린이 도서관이라 하더라도 어른 도서관에서 쓰는 나눔법을 쓰니까, ‘어린이책 빛깔하고는 어울리지 않는 나눔법’이 되고 말아요.

 생각해 보면, 도서분류법이라는 나눔법에서는 ‘어린이책’은 아예 살피지 않습니다. 어쩌면, 처음부터 어린이책은 책으로 여기지 않는다 할 수 있고, 어린이가 읽는 책을 돌아보지 않는다 할 수 있습니다. 오늘날뿐 아니라 꽤 예전부터 ‘새로 나오는 책’ 가운데 가장 많은 자리를 차지하는 책은 어린이책이지만, 정작 어린이책을 어떻게 나누고 갈라서 자리를 잡도록 해야 하는가를 생각하지 않는다고 하겠습니다. 온누리 수많은 어린이가 읽거나 즐기는 책을 어떻게 바라보거나 느끼면 좋을는지는 헤아리지 않는다고 하겠어요.

 한글판으로는 《새빨간 딸기》로 옮긴 사진책은 일본판으로는 《딸기씨》입니다. 일본에서 나온 책이름은 ‘딸기씨’이지 ‘빨간 딸기’도 ‘새빨간 딸기’도 아닙니다. 그도 그럴 까닭이, 《새빨간 딸기》를 넘기면, 딸기 겉에 씨앗이 어떻게 붙었으며, 씨앗은 몇 알이나 되고, 이 씨앗을 흙에 떨어뜨려 뿌리를 내리고 싹을 틔우는 흐름에다가, 씨앗 하나에서 딸기가 어떻게 꽃을 피운 다음 열매를 맺는가를 찬찬히 보여줍니다. ‘빛깔이 빨간 딸기라는 열매’가 아니라 ‘씨앗 하나와 딸기가 얽힌 삶’을 보여주는 사진책입니다. ‘딸기는 빨갛다’를 보여주는 사진책이 아니라 ‘우리가 흔히 먹는 딸기 또한 씨앗 하나에서 태어난다’를 보여주는 사진책입니다.

 한글판 《새빨간 딸기》를 살피면, 책 뒤쪽에 붙인 간기에 ‘한글로 옮긴 사람과 한국 출판사 일꾼 이름’만 잔뜩 적습니다. ‘이 사진책에 사진을 넣은 사진쟁이 이름’조차 ‘한글로 밝히지’ 않습니다. 그래도 영어로 ‘Takashi Katano and others’라고 적었기 때문에 ‘카타노 타카시’라는 이름을 찾을 수 있습니다만, 일본사람 이름을 한자로 함께 밝히지 않으면, 이이가 누구인가를 알아보기 몹시 힘듭니다.

 어른책을 만드는 사진쟁이라 할 때에도 이렇게 사진쟁이 이름을 안 밝힐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한국에서 만든 어린이 사진책이라 할 때에도 이처럼 사진쟁이 이름을 안 밝혀도 되는지 궁금합니다.

 아이하고 《새빨간 딸기》를 즐겁게 읽었습니다. 아이는 혼자서도 책을 넘깁니다. 이 사진책을 보면 소담스러운 딸기를 냠냠짭짭 하고 싶으나, 아직 우리 시골마을에서도 딸기는 멀었습니다. 이제 겨우 3월을 살짝 넘었으니, 지난해 멧딸기가 내린 씨앗이 새봄에 조용히 뿌리를 내리고 새 줄기를 올리어 꽃을 피우기까지 꽤 기다려야 합니다. 아이한테 이야기합니다. “딸기를 먹고 싶어도 우리는 조금 더 기다려야 해. 앞으로 한두 달 있으면 멧자락마다 가득 핀 딸기꽃을 만날 수 있어.”

 《새빨간 딸기》는 딸기가 먹음직스럽다는 이야기를 들려주지 않습니다. 일본판 《いちごのたね》라는 이름 그대로 ‘딸기씨’를 차근차근 살펴보는 ‘과학 그림책’입니다. 한국이든 일본이든 어린이책 나눔법이 제대로 자리잡는다면 ‘과학 사진책’이라는 이름을 붙여야 마땅한데, 이 사진책은 ‘아이들한테 과학이란 무엇이며 자연이란 어떠하고 사람은 또 어떠한가’를 하나하나 느끼도록 돕습니다. 지식이나 이론으로 보여주는 과학이 아닙니다. 정보나 학습으로 머리속에 집어넣는 책 또한 아닙니다. 짤막한 글줄 몇에 두 쪽을 가득 채우는 큼지막한 사진을 하나둘 보여주면서 ‘내 둘레 흔하거나 너른 자연 터전’을 곱게 껴안을 수 있기를 바라는 사진책입니다.

 딸기씨 이야기는 글로도 알뜰히 적바림해서 나눌 수 있습니다. 딸기씨 한살이는 그림으로도 알뜰살뜰 그려서 나눌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 사진책 《いちごのたね》처럼 오로지 사진으로 가만히 나눌 수 있습니다.

 아무래도 글이나 그림보다 사진으로 보여줄 때에 가장 어울린다고 느끼기에 이렇게 사진책으로 묶었다 할 만합니다. 글도 좋고 그림도 좋으나, 딸기씨 한살이 이야기는 사진일 때에 가장 아름다우며 사랑스럽다고 여기며 ‘어린이 사진책’을 일군다 하겠습니다.

 마크로렌즈가 달린 사진기여야 딸기 한 알을 더 낱낱이 찍을 수 있는지 모릅니다. 여느 사진기로는 딸기 한살이를 담기 어려울는지 모릅니다. 그렇지만 딸기씨를 아주 크게 보이도록 잡아당긴 사진 한두 장을 빼고는, 이 사진책에 실린 사진은 모두 ‘여느 값싼 사진기’로도 얼마든지 찍을 수 있습니다. 누군가는 ‘어린이도 손쉽게 다룰 만한 여느 값싼 사진기’로 딸기씨 한살이 이야기를 담아서 신나게 나눌 수 있겠지요.

 딸기씨를 맺기 힘들다 하지만, 딸기씨를 심어 딸기씨가 뿌리를 내려 잎을 틔우는 삶을 지켜볼 수 있습니다. 어미그루 줄기를 옮겨심어 딸기를 키워 볼 수 있습니다. 들판이나 멧자락에서 자라는 들딸과 멧딸을 찾으러 다닐 수 있습니다. 어린이 눈높이와 어린이 마음밭과 어린이 삶자락으로 어우러질 때에, 어린이부터 어른 누구나 살가이 즐기며 껴안을 좋은 사진책 하나 태어납니다. 사진책 《새빨간 딸기》 또한 멋스러운 다큐사진입니다. (4344.3.7.달.ㅎㄲㅅㄱ)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하이드 2011-03-07 09:5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우와 - 딸기가 저렇게 열리는군요. 저도 처음 봤네요. 이 책은 시리즈일까요? 좋은 사진책이네요.

숲노래 2011-03-07 10:47   좋아요 0 | URL
좋은 시리즈인데.. 다 일본책이랍니다 ㅠ.ㅜ
고래 사진책은 얼마나 훌륭한지 모릅니다.
게다가... 학습지 별책부록 같은 거라서,
헌책방에서만 사서 볼 수 있어요...
 



 사진책 읽는 어린이


 아이들은 어른 못지않게 사진책을 읽는다. 아이들이 보는 숱한 어린이책을 살피면, 사진으로 이루어진 책이 꽤 많다. 사진책은 으레 어른들만 보는 줄 잘못 생각하는 사람이 많지만, 아이들은 만화책 못지않게 사진책을 대단히 많이 본다.

 만화로 이루어지거나 그림으로 빚은 책 가운데에도 좋으며 훌륭한 책이 많다. 글로 된 어린이책 가운데에도 빼어난 책이 많다. 그런데, 글책은 글책 노릇을 하고, 그림책은 그림책 노릇을 하며, 사진책은 사진책 노릇을 한다. 글이 아니고서는 느끼기 어려운 이야기를 글책이 보여주고, 그림책이 아니라면 느끼기 어려울 이야기를 그림책이 보여주며, 사진책이기 때문에 느끼도록 하는 이야기를 사진책이 보여준다.

 자연대백과사전이라든지 자연그림책은 으레 사진책으로 만든다. 사진책이 먼저 있고서야 그림책이 있다. 아니, 사진이 없던 먼 옛날에는 그림책만 있었겠지. 그런데, 사진이 없던 옛날에는 아이들이 읽도록 마련한 그림책 또한 없었다. 더욱이, 아이들이 읽도록 엮은 글책마저 없었다.

 생각해 보면, 옛날로 거슬러 올라갈수록 아이들이 읽을 책이란 몹시 드물다. 아예 없기까지 한 나날이 꽤 길다.

 오늘날, 아이들이 읽을 글책이며 그림책이며 사진책이며 몹시 많다. 아이들은 책을 참 많이 읽는다. 아이들은 책으로 가득 둘러싸인 곳에서 살아간다. 그런데, 이 책바다요 책숲이라 할 터전이 중학생만 되면 싸그리 사라진다.

 먼 옛날까지 아니더라도 쉰 해쯤 앞서나 서른 해쯤 앞서만 하더라도, 아이들은 책이 아닌 삶으로 삶을 배웠다. ‘삶으로 삶을 배우’는 어린이였지 ‘책으로 삶을 배우’는 어린이가 아니었다.

 지난날 어린이는 ‘자연으로 자연을 배우’는 어린이였다. ‘책으로 자연을 배우’는 어린이는 아무도 없었다.

 요즈음 어린이는 ‘자연으로 자연을 배우’지 못한다. 아주 드물게 ‘자연으로 자연을 배우’는 어린이가 있다. 그렇지만 거의 모든 어린이는 ‘책으로 자연을 배울’ 뿐 아니라 ‘책으로 책을 배우기’까지 한다. 아예, 책에 파묻힌다고 하겠다.

 사람은 사람으로 배운다. 밥은 밥으로 배운다. 밥이 맛난지 맛이 없는지는 밥으로 먹어야 안다. 밥을 다루는 책을 읽는다 해서 밥을 알 수 없다. 사랑이 따스한지 차가운지 기쁜지 슬픈지는 사랑을 해야 안다. 사랑소설을 읽는다 해서 사랑을 알 수 없다. 사랑을 어림하거나 생각할 뿐, 사랑을 알 수 없다. 사랑은 사랑으로 배울 뿐이다.

 온누리 모든 앎이란 그저 앎이지, 삶이 되지 않는다. 아는 만큼 본다는 말이란 거짓일 수밖에 없다. ‘아는 만큼 알’ 뿐, 보고 싶은 마음이라면 몸소 겪거나 치르며 움직여서 ‘늘 보면서 살 때에 볼’ 수 있다. 곧, ‘삶으로 보는 눈’이지 ‘앎(책)으로 보는 눈’은 있을 수 없다. 앎으로는 생각할 뿐이기에, ‘앎으로 생각하는 눈’만 있다.

 아이한테 ‘딸기 한살이 다룬 사진책’을 하나 사서 읽힌다. 바야흐로 한 달만 있으면 온 들판과 멧자락에 딸기가 그득그득 돋을 테니까, 딸기철을 기다리며 딸기 사진책 하나 장만해서 읽힌다.

 딸기 사진책은 한국 출판사에서 나왔으나, 이 사진책을 만든 사람은 일본사람. 누구나 흔히 먹거나 자주 먹는다 하는 딸기인데, 막상 딸기 이야기를 차분히 글로 쓰거나 그림으로 그리거나 사진으로 담는 한국 어른은 몹시 드물다. 스튜디오에서 예술을 만들거나 모델을 꾸미는 사진은 넘치지만, 정작 ‘딸기 사진책’이라든지 ‘콩 사진책’이라든지 ‘양말 사진책’이라든지 ‘빨래 사진책’ 따위는 한 가지조차 없다.

 대나무가 어떻고 소나무가 어떻다는 사진을 찍으면 뭐하나. 막상 도토리를 맺는 참나무 한살이 사진은 한 장조차 없는 대한민국인데. 백두산이 어떻고 한라산이 어떻다는 사진을 만들면 뭐하나. 정작 논은 어떻고 밭은 어떻다는 사진책 하나 없는 이 나라인데.

 아이들은 사진으로 된 책, 그러니까 사진책을 읽는다. 아이들이 읽는 어린이책 가운데 사진으로 이루어진 책치고 한국사람이 빚은 책은 거의 없거나 아예 없다. 드물게 나오거나 가끔 태어나지만, 하나같이 깊이가 얕고 너비가 좁다. 어린이가 어떤 어린이책을 즐기거나 어떤 사진을 좋아하며 어떤 삶을 사랑하는지를 헤아리면서 사진을 찍는 일꾼이랑 사진책을 엮는 일꾼이 도무지 없다. 한국에서 쏟아지는 ‘어린이 사진책은 모조리 일본 사진책’이라 할 만하다.

 우리 아이는 굳이 ‘딸기 사진책’을 읽을 까닭이 없다. 그러나 시골아이인 우리 아이가 ‘딸기 사진책’을 보면서, 곧 맞이할 딸기철에 한결 신나게 딸기를 만날 수 있으며, 사진책으로 담아낸 아름다운 딸기 한살이를 헤아릴 수 있을 뿐 아니라, 사진책이 미처 담지 못한 새삼스러이 아름다운 밭둑과 멧자락 자연을 품에 안을 수 있다.

 어린이 눈높이가 되지 않고서는 어린이책을 만들 수 없다. 어린이와 함께 살아가지 않고서는 어린이가 읽을 사진책을 일굴 수 없다. (4344.3.6.해.ㅎㄲㅅㄱ)
 

 

(ㅋㅋㅋ 100만 원쯤 되는 사진책더미를 밟고 서서 노래 부르는 돼지... ㅠ.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만화책 《아빠는 요리사》 111권


 만화책 《아빠는 요리사》 111권을 사다. 예전부터 이 만화책을 볼까 말까 망설이다가 그예 안 보면서 지냈다. 50권쯤 나왔을 무렵 ‘아이고, 50권이나 되는 만화책을 언제 다 사서 보나.’ 하고 생각했는데, 이렇게 생각하며 지나치고 보니 어느새 100권이 나왔다. 그래, 100권까지 되고 보니 ‘으악, 100권이나 되면 이 만화책을 다 장만하자면 돈이 얼마가 되지? 눈알이 핑핑 도는구나.’ 하고 생각했다. 그런데 이렇게 생각하며 하루하루 지나고 보니, 이제는 111권까지 나온다.

 예쁘게 쌓인 만화책을 물끄러미 바라본다. 만화책방에 찾아간 나는 《아빠는 요리사》 111권을 두리번두리번 바라본다. 바로 이 자리에서 이 111권부터라도 읽자고 생각하지 않는다면, 아마 머잖아 150권이 나오는 모습을 볼 테며, 어느덧 200권까지 나오는 모습을 마주할 테지. 이런 생각으로 살아가면, 나로서는 내 눈을 고이 감아 흙으로 돌아가는 때까지 《아빠는 요리사》를 한 권조차 못 보며 지내겠지.

 곰곰이 생각한다. 그래, 앞선 백열 권은 못 읽을 수 있다. 이제부터 읽으면 되지. 만화책방 일꾼한테 여쭈니, 앞쪽 1권부터 100권 사이에는 다시 안 찍는 책이 있기 때문에 짝을 다 맞추기란 몹시 힘들단다. 그러니까, 앞엣권을 사자고 한다면 배부른 꿈일 수 있다. 앞엣권을 빈틈없이 장만해서 읽어도 기쁠 테지만, 111권부터 읽어도 기쁜 일이 되리라 본다. 바야흐로 111권째를 그린 만화쟁이 한 사람 손길과 마음길을 곱씹으면서 이 한 권에 깃든 사랑과 꿈을 내 가슴으로 받아들이면 좋으리라 생각한다.

 집에서 밥하기를 도맡는 아버지로서, 나는 우리 살림집에서 우리 살붙이한테 어떠한 밥을 어떠한 맛이 나도록 어떠한 손품을 들여 얼마나 알뜰살뜰 사랑스레 차리는가를 돌아본다. 아이가 밥상머리에서 딴짓을 하거나 제대로 말을 안 듣는다며 골을 부리면서 무서운 얼굴을 하지 않느냐 되씹는다. 아버지로서 사랑을 담아 밥상을 차리면 아이 또한 시나브로 아버지 사랑을 느끼면서 즐거이 먹지 않겠는가. 채근한대서 더 맛나게 먹을 수 없다. 닦달하거나 나무란대서 아이가 밥을 더 기쁘게 먹을 수 없다. 차리는 마음은 차리는 마음대로 웃음으로 차리고, 차린 밥상 앞에서 다 함께 조용히 비손을 하면서, 오늘 우리한테 좋은 먹을거리가 되어 준 목숨한테 고맙다고 꾸벅 절을 하면 넉넉하다. (4344.3.5.흙.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