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해인

 

 

  작은 시집 《작은 기쁨》(열림원,2008)을 읽는데, “시는 / 내 마음을 조금 더 / 착하게 해 주었다” 하는 노래 한 마디에 오래도록 눈길이 멎는다. 내가 글을 왜 쓰는가 하고 생각해 보니, 나 또한 내 마음을 내 손으로 착하게 다스리고 싶기 때문이로구나 하고 깨닫는다. 내 삶을 내 생각으로 예쁘게 일구고 싶기에 글을 쓰고, 내 꿈을 내 사랑으로 보듬고 싶기에 사진기를 쥐는구나 하고 느낀다.


  이해인 님은 수녀원에서 마흔 해를 넘게 살았다 하는데, 수녀원이란 어떤 곳일까. 수녀원에서 올리는 비손은 누구를 아끼거나 사랑하는 춤이나 노래일까. 수녀원에서 마주하는 사람들은 어떤 이야기를 품으며 어깨동무할까.


  참말, 착하게 살아가고 싶어 수녀원이라는 길을 걸어가며 싯말 몇 가닥 갈무리한 이해인 님이라 할 테지. 문학이나 예술이나 어떤 이름이 붙기 앞서, 스스로 착한 삶을 좋아하며 빙긋 지은 웃음 한 자락이 싯말 하나로 태어났겠지. 이해인 님과 이웃한 사람들이 저마다 착하게 살아가고 싶은 꿈과 예쁘게 사랑하고 싶은 이야기를 조곤조곤 나누면서 하루하루 고맙게 맞이하며 누릴 수 있기를 빈다. (4345.5.6.해.ㅎㄲㅅㄱ)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세실 2012-05-06 11:50   좋아요 0 | URL
제 사무실 책꽂이에 놓여 있는 이해인 수녀님 시집은 마음이 어수선할때, 누군가를 미워하는 마음이 생길때 읽으면 도움이 됩니다. 정갈하게 해주지요.

숲노래 2012-05-07 06:05   좋아요 0 | URL
마음속으로 바라는 대로 좋은 이야기를 찾으시리라 생각해요
 


 나무 책읽기

 


  시골에서 열 해쯤 살아야 시골사람이 된다고들 말합니다. 사진을 한다 할 때에 열 해쯤 해야 비로소 눈이 트인다고들 말합니다. 인천에서 살 적에 인천물을 열 해쯤 먹어야 바야흐로 인천사람이라 할 만하다고들 말합니다.


  그러나, 이런 말을 하는 사람들 스스로 열 해가 지난 누군가를 바라보며 당신 시골사람이요, 당신 사진하는 사람이요, 당신 인천사람이요, 하고 받아들이는 듯하지는 않습니다. 울타리 하나를 세워 사람들을 몰아세우고, 이 울타리를 넘으면 다른 울타리를 세워 다시 몰아붙이며, 이 울타리를 또 넘으면 새삼스러운 울타리를 거듭 마련해 자꾸 닦달합니다.


  나는 내 나름대로 생각합니다. 시골에서 하루를 살아도 시골사람입니다. 사진기를 갓 장만했어도 사진으로 바라보는 눈을 새로 틉니다. 인천에서 한나절을 보냈어도 인천사람이라 할 만합니다.


  스무 해를 살아야 시골사람이 되지 않습니다. 마흔 해를 뿌리내려야 토박이가 되지 않습니다. 예순 해 한길을 걸어야 사진빛을 뽐내지 않습니다. 시골을 아끼고 사랑하는 사람은 하루를 살아도 시골을 아끼고 사랑합니다. 사진을 좋아하거나 사랑할 사람은 꼭 한 번 사진기를 손에 쥐어도 좋은 빛과 사랑스러운 그림을 빚습니다. 스스로 가장 즐겁게 누릴 삶을 헤아린다면, 어디이든 이녁한테 고향이 되고 보금자리가 됩니다.


  시골집에서 지내며 늘 나무를 바라봅니다. 어디를 둘러보아도 온통 나무입니다. 도시로 마실을 나오며 나무만 바라봅니다. 어디를 둘러보아도 높고낮은 건물과 아스팔트와 자동차로 득시글거린다 하지만, 내 눈에는 나무만 한껏 들어옵니다. 나무가 숨쉬는 소리를 듣습니다. 나무가 노래하거나 우는 소리를 듣습니다. 나무가 부르는 소리를 듣습니다. 나무가 웃는 소리를 듣습니다. 나무가 잠을 자는 소리를 듣습니다. 나무가 꿈을 꾸는 소리를 듣습니다.


  도시에서 살아가는 나무는 참으로 가녀립니다. 늘 아프고 늘 콜록거립니다. 도시에서 뿌리내린 나무는 참으로 앙상합니다. 잎이 시들시들하고 힘알이가 없구나 싶습니다. 그러나, 모두 나무입니다. 모두들 봄맞이 푸른 잎사귀 달려고 힘쓰는 나무입니다.


  도시에서 마주하는 사람들은 도시에서 자라야 하는 나무처럼 힘알이가 없으며, 갖은 때와 먼지를 잔뜩 머금었다고 느낍니다. 도시에서 스치는 사람들은 도시에서 뿌리내려야 하는 나무처럼 가냘프고 아프며 힘들구나 싶습니다.


  모두들 사랑스레 살아갈 수 있기를 빕니다. 저마다 아름다이 뿌리내리며 어깨동무하기를 바랍니다. 서로서로 예쁘게 어깨동무하면서 고운 나날을 빛내는 꿈을 꿉니다. 내 시골집 나무를 그립니다. 내가 나들이를 온 도시에서 가만가만 바라보는 나무를 떠올립니다. 이 나무들과 함께 내가 살아가고, 내 목숨과 함께 나무들이 숨을 쉽니다. (4345.5.5.흙.ㅎㄲㅅㄱ)

 


댓글(4)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하늘바람 2012-05-05 10:05   좋아요 0 | URL
어릴때부터 보아온 커다란 나무 혹은 추억이 깃든 나무는 나이가 들어서도 마음에 안식이 될 것같아요. 존재감만으로도 힘이되는 게 나무네요. 전 딱이 생각나는게 없지만 집에 있었던 작은 포도나무 하나가 생각나네요

숲노래 2012-05-05 11:28   좋아요 0 | URL
좋은 나무 한 그루가
오래오래 내 마음속에서
사랑스러운 이야기를
이어가리라 믿어요~

순오기 2012-05-05 12:37   좋아요 0 | URL
오랜만에 들러 주욱 훑어봤습니다~~~~ 요즘 서재 마실도 못했거든요.
네식구가 파주로 마실 하셨네요~~ ^^

숲노래 2012-05-06 07:41   좋아요 0 | URL
네, 처가 식구 있는 일산 거쳐
오늘 시골집 고흥으로 돌아간답니다 !!!
@.@
 


 자동차 책읽기

 


  자동차를 얻어타고 움직이면 고맙다. 그러나 우리가 얻어타는 이 자동차 또한 길거리를 누비는 숱한 물결 가운데 하나이다. 시골집을 떠나 면내나 읍내로만 나와도 길가에 서서 우리 앞을 가로막는 자동차 옆으로 비켜 걷느라 우리 앞뒤로 달리는 자동차를 살펴야 하기에, 그만 아이한테 “저기 자동차 오잖아. 얼른 따라와!” 하고 다그치는 말을 하고야 만다. 자동차 소리가 워낙 크기 때문에 아이한테 나즈막한 소리로 “자, 어머니 어머니 놓치지 말고 잘 따라오렴.” 하고 나즈막하거나 부드러이 불러서는 듣지 못하기 일쑤이다. 고흥하고 가까운 도시 순천으로 마실을 나갈 적에도 자동차가 엄청나게 많다. 순천을 지나 시외버스를 타고 고속도로를 달리면 자동차가 어마어마하게 많다. 인천이나 부산이나 서울이나 일산 같은 커다란 도시에 내려 누군가를 만나러 길을 걷다 보면 거듭거듭 아이를 재촉하고 다그친다. 너무도 많은 자동차가 끝없이 시끄러운 소리를 내니 잔잔하거나 나긋나긋한 목소리를 자동차 바퀴 소리에 모두 짓이겨진다. 그예 아이한테 소리를 빽 지르는 바보 아버지 멍청이 어머니가 되고 만다.


  바람이 부는 소리를 들으며 들길을 거닐 때에는 아이를 부르지 않아도 좋다. 서로 웃으며 바라보면 즐겁다. 새들 노래하는 소리를 들으며 멧길을 걸을 때에는 아이를 부르지 않아도 아이 스스로 어버이 앞뒤로 신나게 달음박질을 하고 뜀뛰기를 한다. 서로 새처럼 노래하며 마주하면 기쁘다.


  자동차를 얻어타고 어디로 움직일 때에는 창문을 열면 새삼스레 시끄럽다. 창문을 닫아도 그리 조용하지 않다. 자동차를 얻어타고 움직이며 새들 지저귀는 소리나 벌레들 우짖는 소리를 듣기 아주 힘들다. 저기 틀림없이 새가 있고 벌레가 있을 텐데 하고 느끼지만, 귀로 와닿는 소리는 자동차들이 깡그리 치고박아 멀리 흩어지고 만다.


  아이가 신나게 달리며 놀 수 있는 곳은 어버이가 신나게 땀흘리며 일하거나 어우러질 수 있는 곳이라고 느낀다. 아이가 마음껏 노래하며 춤출 수 있는 데는 어버이가 예쁘게 꿈을 꾸며 사랑할 수 있는 데라고 느낀다. (4345.5.4.쇠.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도시에서 살아가며 책읽기

 


  돈을 벌려면 도시에서 살아가며 일자리를 찾아야 한다고 이야기합니다. 꼭 도시에서 살아가기에 돈을 벌 만한 일자리를 찾을 수 있지 않을 텐데, 도시에 돈이 될 일자리가 많으리라 스스로 생각하기에 스스로 도시 삶자락에 기대리라 느낍니다. 돈을 벌더라도 시골에서 벌 수 있습니다. 바다에서 고기를 낚거나 김을 훑으며 돈을 벌 수 있습니다. 멧자락에서 나물을 캐며 돈을 벌 수 있고, 들판에서 푸성귀와 곡식을 거두며 돈을 벌 수 있어요. 돈이 될 일거리는 도시에만 있지 않습니다. 글을 쓰더라도 번듯한 작업실을 마련해야 글을 쓸 수 있지 않습니다. 달동네 작은 집을 얻어야 글을 쓰기에 좋지 않습니다. 시골마을 작은 집에서 텃밭을 일구면서도 얼마든지 글을 쓸 수 있습니다. 아이들하고 복닥이면서도 글을 쓸 수 있습니다. 꼭 아이가 없어야 글을 쓰지 않으며, 반드시 혼자서 살아야 글을 쓰지 않아요.


  돈이 있어야 먹고살 만하지 않듯, 돈이 없을 때에 먹고살 만하지 못할 수 없습니다. 자가용이 있어야 돌아다니기 좋지 않듯, 자가용이 없대서 돌아다니기 안 좋지 않습니다.


  다만, 사랑이 없어도 즐겁게 살아갈 수 있다고는 느끼지 않아요. 돈은 없어도 즐거이 살아갈 수 있지만, 사랑이 없을 때에는 즐거이 살아갈 수 없구나 싶어요. 내 집이 없거나 내 자동차가 없더라도 즐거이 어우러지는 길은 있지만, 내 사랑과 내 꿈이 없을 때에는 즐거이 어우러지는 길을 스스로 못 찾는구나 싶어요.


  도시가 아주 나쁜 곳이라고까지는 생각하지 않습니다. 스스로 슬기롭게 생각하며 아름다이 살아갈 꿈이 있으면서 사랑을 품는다면, 도시에서도 예쁘게 살며 즐거이 얼크러질 수 있습니다. 그러나 슬기롭게 생각하지 않고 아름다이 살아갈 꿈을 품지 않으며 고운 사랑을 건사하지 않는다면, 도시에서든 시골에서든 삶이 엉망진창이 되리라 느낍니다.


  오늘날 이 나라 도시사람은 얼마나 좋은 슬기이거나 꿈이거나 사랑일까요. 얼마나 좋은 슬기나 꿈이나 사랑을 뽐내며 스스로 아름답다 여기는 책을 만나거나 사귈까요.


  스스로 좋은 사랑을 빛내며 돈을 버는 삶이라 한다면, 도시사람이 읽는 책이든 시골사람이 읽는 책이든 아름다우리라 생각합니다. 스스로 좋은 사랑을 빛내며 돈을 벌지 못하는 삶이라면, 그저 돈벌이 되는 일자리를 붙잡기만 한다면, 퍽 많다 싶은 돈을 벌더라도 스스로 그닥 아름답지 못한 삶이며 나날이고 보금자리가 아닐까 싶습니다.


  도시이냐 시골이냐에 앞서, 얼마나 좋은 사랑인가를 생각해야지 싶어요. 그리고, 도시가 온통 시멘트투성이와 아스팔트투성이로 덮이며 숨이 막히지 않도록, 도시 곳곳에 나무숲과 풀숲을 이루도록 애써야지 싶어요. 나무그늘 자리를 마련하고, 풀숲 쉼터를 일구어야지 싶어요. 몸이 쉬고 마음이 쉴 만한 터전이 있어야 도시가 좋은 삶자리가 되리라 생각해요. 눈이 쉬고 코가 쉬며 귀가 쉴 만한 자리가 있을 때에 도시 또한 좋은 삶터가 되리라 느껴요. (4345.5.3.나무.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책빛 사랑―최종규, 헌책방 이야기 사진잔치 열여섯, 2012.5.

 


찾아오는 길 www.gegd.co.kr/map.html
때 : 2012년 5월 3일∼5월 31일
곳 : 김형윤편집회사 1층, 헌책방 〈지나간 시간〉

 


  모든 책에는 저마다 다 다른 빛을 담습니다. 스스로 가장 사랑하는 보금자리에서 살아가며 이루는 이야기가 한 줄기 빛이 되어 책 한 권으로 스며듭니다. 갓 나온 책을 살피면, 이제 막 이웃들 앞에 선보이면서 즐겁게 나누고픈 고운 사랑을 따사롭게 담은 빛이 환합니다. 새책방 책꽂이를 거쳐 헌책방 책시렁으로 옮긴 책을 돌아보면, 오래도록 이웃들하고 주고받던 고운 사랑이 보드랍게 무르익은 빛이 그윽합니다.


  새책이기에 더 빛나지 않습니다. 헌책이기에 더 어둡지 않습니다. 책이란 이야기입니다. 이야기 한 자락이 얼마나 사랑스러운가에 따라 책 하나가 나한테 아름답게 스며들 수 있습니다. 빛나게 스며드는 책이라 한다면, 두고두고 즐겁게 물려줄 수 있는 이야기를 담습니다. 환하게 녹아드는 책이라 한다면, 오래오래 기쁘게 돌이킬 수 있는 이야기를 보여줍니다.


  어느 책은 더할 나위 없이 많은 사람한테서 사랑을 받습니다. 어느 책은 몇 안 되는 사람한테서 사랑을 받습니다. 백만 사람한테서 사랑받던 책이 있고, 열 사람한테서 사랑받은 책이 있습니다. 어느 책이 더 아름답다고 말하지 못합니다. 어느 책이 더 값지다고 따지지 못합니다. 그저 나 스스로 내 삶을 알뜰살뜰 꾸리는 길에서 좋은 길동무나 이슬떨이로 삼을 만했다면 고마우며 반가운 책입니다.

 

  헌책방 마실을 즐기면서 찍은 사진들을 그러모아 “책빛 사랑” 이야기를 나누려 합니다. ‘책사랑’도 ‘빛사랑’도 아닌 ‘책빛 사랑’입니다. 책으로 스며드는 빛을 사랑합니다. 책을 바라보는 빛을 사랑합니다. 책을 일구던 빛을 사랑합니다. 책을 읽는 빛을 사랑합니다.


  사람들은 책을 읽습니다. 새책방에 가건 도서관에 가건 헌책방에 가건 대여점에 가건 책을 읽습니다. 내 집 책꽂이에서 꺼낸 책이건 동무네 집 책꽂이에서 빌린 책이건 그예 책을 읽습니다. 나는 헌책을 읽거나 새책을 읽지 않습니다. 나는 그저 책을 읽습니다. 1950년에 나온 책도 책이고, 2010년에 나온 책도 책입니다. 1850년에 나온 책이든 1990년에 나온 책이든 ‘나온 해’는 대수롭지 않습니다. 이 책 하나를 읽으며 내 가슴이 어여삐 빛날 수 있으면 흐뭇합니다. 나로서는 ‘새책’도 ‘헌책’도, 또 ‘비싼 책’도 ‘값싼 책’도 읽지 않습니다. 나로서는 ‘내가 좋게 느끼는 책’을 읽습니다. 나로서는 ‘내가 사랑할 책’을 읽습니다.

 

  책 하나로 이루어진 빛을 느낄 수 있기를 꿈꿉니다. 책 하나로 이루어진 빛을 바라보며 찍은 사진을 즐길 수 있기를 바랍니다. 한국땅 조그마한 책마을에 조그마한 씨앗 하나로 태어나려는 아리따운 책터에 ‘사랑씨’와 ‘꿈씨’와 ‘믿음씨’가 찬찬히 얼크러지면서 ‘삶을 빛내는 씨앗’ 하나 싱그럽게 맺을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ㅎㄲㅅㄱ)

 


* 최종규
1975년에 인천 도화1동에서 태어남. 전남 고흥 동백마을 시골집에서 네 식구가 살아가며, ‘사진책 도서관 함께살기’를 꾸림. 《골목빛, 골목동네에 피어난 꽃》, 《사진책과 함께 살기》, 《10대와 통하는 우리말 바로쓰기》, 《뿌리깊은 글쓰기》, 《어른이 되고 싶습니다》, 《책 홀림길에서》, 《자전거와 함께 살기》, 《사랑하는 글쓰기》, 《생각하는 글쓰기》, 《헌책방에서 보낸 1년》, 《모든 책은 헌책이다》 같은 책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 경기 파주 책잔치 하는 동안에

   나들이 하실 수 있는 분은 마실해 주셔요.

 

.. 저희 식구는 5월 3일부터 5월 5일까지

   파주에서 지낼 생각입니다.

 

.. 5월 5일 14시에는, 모이는 사람이 제법 되면

   "헌책방과 책과 삶"이라는 주제로 '사진잔치 강연'을 마련합니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카스피 2012-05-02 22:4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전남에서 파주까지 마실오시는군요.따남은 커서 괜찮겠지만 아드님은 아직 어린데 먼길을 가면 좀 힘들겠네요.된장님은 차가 없으신것 같으신데 설마 두 아이를 데리고 버스타고 기차타고 올라오시려면 좀 힘드실것 같습니당^^;;;

숲노래 2012-05-03 06:31   좋아요 0 | URL
모두 힘든 나들이입니다 @.@
에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