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책숲마실


오늘부터 이웃 (2021.4.23.)

― 포항 〈지금책방〉



  새삼스럽지 않지만, 걸어다니는 어린이나 푸름이가 줄어듭니다. 아이들을 자동차에 태우는 어버이가 많고, 배움터(학교)를 마친 뒤에 쉬거나 놀 겨를이 없이 다른 배움자리(학원)로 가느라 곧장 옮기기 일쑤예요. 마을 빈터나 골목에서 노는 아이가 사라지니, 걸어다니는 아이가 사라지기 마련입니다만, 빈터나 골목을 그대로 안 두고서 죄 잿빛집(아파트)으로 올려세우는 어른들은 아이를 제대로 바라보지 않아요. 아니, 아이를 볼 틈이 없다고 해야 맞습니다.


  오늘 이곳에서 느긋이 뛰놀며 자라는 아이는 스스럼없이 동무하고 이웃을 사귑니다. 굳이 배움터에서 안 가르쳐도 좋고, 배움자리에서 안 어울려도 됩니다. 마을에서 다같이 놀고 일하고 심부름하고 소꿉하던 아이들은 어른 곁에서 스스로 하루를 그리면서 마음을 살찌웠어요. 이 아이들은 스스로 사랑을 찾아 보금자리를 가꾸는 길로 나아갔습니다.


  포항에 계신 이웃님도 있지만, 포항에 〈달팽이책방〉이 태어났기에 늘 이 고장을 눈여겨봅니다. 〈달팽이책방〉이 아니었어도 포항에서 피어난 마을책집이 있었을 테지만, 마을이라는 터를 상냥하면서 즐거이 보듬는 손길이 차근차근 퍼지면서 바로 오늘 같은 포항 책살림이 물결칠 만하지 싶습니다.


  효자동에서 오천읍으로 갑니다. 드넓은 만듦터(공장)라든지, 들판을 밀어내어 올린 잿빛집은 인천이랑 같습니다. 이렇게 뚝딱 세워야 하더라도 들판을 아끼는 길이 있어요. 나무랑 숲을 건사하면서 다스리는 길도 있습니다. 이러자면 돈이며 품이 든다지만, 나무랑 들이랑 숲을 돌보면서 세우는 집이며 마을은 적어도 200∼300해를 가요. 집쓰레기(건축폐기물) 없이 포근집이란 숨결을 잇습니다.


  들·숲·멧골을 밀어서 잿빛터(아파트단지)로 바꿀 적에 시내버스나 찻길이나 가게를 살피기는 할 텐데, 여기에 책집하고 찻집을 함께 헤아리면 좋겠어요. 자가용을 대는 커다란 책집이 아닌, 두 다리나 자전거로 사뿐히 마실하는 책집을 두어 새롭게 삶터를 가꾸는 길(행정)을 열면 좋겠습니다. 포항 오천에서 〈지금책방〉은 바로 이곳에서 오늘을 되새기면서 가꾸는 책샘터이지 싶습니다.


  아직 멀다면 이제부터 가면 돼요. 여태 없다면 오늘부터 지으면 돼요. 어제까지 잿빛이라면 바로 이곳에서 우리가 풀씨·꽃씨·나무씨를 심으면 됩니다. 아직 모르는 책을 만납니다. 여태 어렴풋이 스친 책을 마주합니다. 어제까지 낯선 글님이 오늘부터 마음벗으로 녹아듭니다. 아이랑 읽고, 아이를 꿈꾸며 읽어요. 푸름이하고 읽고, 푸름이가 새롭게 가꿀 마을을 헤아리면서 읽습니다.


ㅅㄴㄹ


《부족해 씨에게 진짜로 필요한 것》(쥘리앵 비요도/손시진, 키즈엠, 2016.11.11.)

《에이드리언 심콕스는 말이 없다》(마시 캠벨 글·코리나 루이켄 그림/김경미 옮김, 다산기획, 2019.6.15.)

《엄마, 난 도망갈 거야》(마거릿 와이즈 브라운 글·클레먼트 허드 그림/신형건 옮김, 보물창고, 2008.7.15.)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쓰고 “말꽃 짓는 책숲(사전 짓는 서재도서관)”을 꾸린다. 1992년부터 이 길을 걸었고, 쓴 책으로 《쉬운 말이 평화》,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읽는 우리말 사전 1·2·3》, 《우리말 동시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시골에서 도서관 하는 즐거움》,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시골에서 책 읽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10대와 통하는 새롭게 살려낸 우리말》, 《10대와 통하는 우리말 바로쓰기》 들이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책숲마실


저녁길 (2021.4.22.)

― 대전 〈다다르다〉



  공주 마을책집을 들르고서 대전으로 건너가려는데 버스나루에 닿자마자 버스가 떠납니다. 30분을 기다리면 다음 버스가 있습니다. 등짐을 걸상에 앉힙니다. 서서 책을 읽고 노래꽃을 씁니다. ‘유성’에서 내릴 생각만 했는데, 이에 앞서 ‘반포’에서 내리면 전철로 갈아타기 한결 좋군요.


  대전 한복판을 지나가려는 길은 한참 엉금엉금입니다. 큰고장에서는 흔하지요. 나무·풀꽃·멧골·벌나비·새·숲짐승·딱정벌레·개구리·뱀·잠자리는 안 흔하지만, 자동차랑 잿빛집만큼은 흔합니다.


  겨우 버스에서 내려 전철을 탑니다. 때를 살피니 〈다다르다〉에 살짝 깃들 겨를이 될 듯합니다. 저녁하늘을 보고 싶지만 번쩍거리는 불빛하고 높다란 집에 가립니다. 바삐 걷는 사람들 사이에서 하늘을 보기는 어렵습니다. 오늘 새로 쓴 노래꽃 ‘오래책’을 옮겨적습니다. “별님은 어디나 깃들면서 / 마음씨를 반짝반짝 심고 / 해님은 어디서 솟더라도 / 사랑씨를 따뜻따뜻 심고” 같은 글월을 옮기면서 이곳에 별빛이며 햇빛이 살며시 깃들면 좋겠다고 생각합니다.


  중앙로역에서 내려 걷자니 ‘성심당’을 가리키는 알림판이 곳곳에 있습니다. 대전에 성심당이 있지요. 다만 저는 대전이란 고장을 곳곳에 움튼 책집으로 떠올립니다. 오늘 다다를 마을책집을 그리면서 걷습니다. 골목 한켠에 1·2층으로 가꾼 〈다다르다〉에 닿습니다. 숨을 돌리고서 들어섭니다. 번들거리고 왁자지껄한 바깥물결을 막아 주는 이곳에서 땀을 훔칩니다. 책집 불빛은 맛집·멋집 불빛하고 다릅니다. 겉몸이 감싸는 속알을 헤아리도록 넌지시 이끄는 이곳입니다. 겉그림으로 여민 속그림을 톺아보도록 가만히 손을 내미는 이곳이에요.


  첫걸음은 사뿐히 다가갑니다. 두걸음은 가볍게 다가섭니다. 석걸음은 날듯이 다가오고, 넉걸음은 빛내며 다다르지요. 우리는 이 별에서 저마다 다른 보금자리를 생각하면서 두 다리를 디뎌요. 다르기에 닮고, 닮기에 다른데, 다같이 하늘을 바라보면 파랗게 물듭니다. 파란하늘을 머금은 누구는 풀빛이 되고, 빨강이 되고 노랑이 되며 하양이 됩니다. 때로는 하늘을 고스란히 머금어 파랑이 됩니다.


  지난 2018년부터 이곳에서 책쉼터 살림을 짓는 〈다다르다〉는 2011년부터 대전이란 고장에서 이슬받이로 지냈어요. 이슬 한 방울이 내려 풀님이 목을 축이고, 비 두 방울이 내려 나무님이 몸을 씻어요. 살랑 넘기는 책 한 자락은 우리한테 찾아와 마음을 밝히는 노래가 됩니다. 저녁에 저녁노래를 듣습니다. 사락 넘기는 책 두 자락에서 말없이 흐르는 가락을 품고서 길손집으로 갑니다.


ㅅㄴㄹ


《찾을 수 있다면 어떻게든 읽을 겁니다》(어슐러 K.르 귄/이수현 옮김, 황금가지, 2021.1.29.)

《아이에게 배우는 아빠》(이재철, 홍성사, 1995.8.5./2021.1.26.)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쓰고 “말꽃 짓는 책숲(사전 짓는 서재도서관)”을 꾸린다. 1992년부터 이 길을 걸었고, 쓴 책으로 《쉬운 말이 평화》,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읽는 우리말 사전 1·2·3》, 《우리말 동시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시골에서 도서관 하는 즐거움》,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시골에서 책 읽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10대와 통하는 새롭게 살려낸 우리말》, 《10대와 통하는 우리말 바로쓰기》 들이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책숲마실


들꽃을 (2021.4.22.)

― 공주 〈느리게 책방〉



  시외버스를 타고 공주에 옵니다. 고흥에서는 광주를 거쳐서 오는 길이 있군요. 돌고돈다지만 서울을 안 거치고 여섯 시간 남짓이면 됩니다. 버스나루에서 어떻게 가면 좋을까 생각하다가 걷습니다. 어느 고장이든 두 다리로 느긋이 걸어야 마을빛을 느끼면서 사귑니다. 처음에는 늘 걷고, 다음에는 시내버스를 타며, 이윽고 택시를 타요. 여기에 자전거를 더하면 마을 곳곳을 새삼스레 헤아릴 만합니다.


  버스나루부터 〈느리게 책방〉까지 걷자면 어른걸음으로 40분입니다. 다리를 건너면서 냇빛을 누립니다. 길가에 드문드문 오르는 들꽃을 만납니다. 바쁘지 않다면 들꽃한테 손을 내밀어 봐요. “우리를 반기려고 이렇게 피었구나?”


  공주 시내를 걸으며 어쩐지 낯섭니다. 여태 어느 고장도 이렇게 거님길에 자동차가 없지 않습니다. 더구나 거님길이 꽤 넓어요. 거님길에 함부로 올라선 자동차가 드물 뿐 아니라 거님길이 넓으니 천천히 두리번거릴 만합니다. 다만 자전거로 놀러온 분이 갑자기 씽씽 달리니 때때로 아슬아슬합니다. 부디 자전거는 거님길 아닌 찻길에서 알맞게 달리면 좋겠습니다.


  공주우체국이 곁에 있고, 푸름이가 깔깔거리면서 지나가고, 해가 환하게 스며들고, 조용조용한 〈느리게 책방〉입니다. 하기는, 책집이라면 어디나 조용하지요. 바깥에서 퍼지는 시끌벅적한 소리를 가리면서 책이라는 새길에 오롯이 스며들도록 북돋우지요. 오늘 이곳으로 찾아오며 세 가지 버스를 타는 동안 ‘숨은책’이라는 노래꽃을 썼습니다. 아직 드러나지 않기에 숨은책이고, 앞으로 피어날 테니 숨은책입니다. 우리가 손에 쥐어 넘기는 모든 책은 숨은책이지 싶습니다. 우리 눈길을 기다리면서 숨은책입니다. 우리 마음이 닿기를 꿈꾸는 숨은책이에요.


  온누리 모든 책집은 숨은책집이겠지요. 우리 발걸음이 닿기를 기다리는 숨은책집이면서, 우리 숨결을 살짝 드리우면서 하루를 돌아보는 숨은책집입니다.


  자리에 앉아서 책을 넘기다가, 골마루를 찬찬히 거닐면서 햇빛을 살피다가, 문득 이곳에 오랜 여닫이짝 둘이 안팎에 있는 줄 깨닫습니다. 열고 닫는 구실을 하던 틀은 흙으로 돌아갈 뻔하다가 책집을 알리는 얼굴이 되고, 책집 한켠을 지켜보는 눈길이 됩니다. 열기에 들어가고, 닫기에 쉽니다. 열면서 마음을 틔우고, 닫으면서 꿈을 그립니다. 갓 열고 들어서면서 새빛을 담고, 막 닫고 돌아서면서 새걸음을 딛습니다.


  다 다른 들꽃이 물결처럼 모여서 들이 되고 숲이 되며 푸른별을 이룹니다. 들꽃 하나는 조그맣기에 서로 어깨동무를 하면서 옹기종기 빛납니다. 여러 가게 사이에 느긋이 마을책집이 깃들어 봄을 밝히는 들꽃빛이 됩니다.


ㅅㄴㄹ


《책갈피의 기분》(김먼지, 제철소, 2019.4.29.)

《스님과의 브런치》(반지현, 나무옆의자, 2020.6.23.)

《여보, 나의 마누라, 나의 애인》(윤이상, 남해의봄날, 2019.11.5.)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쓰고 “말꽃 짓는 책숲(사전 짓는 서재도서관)”을 꾸린다. 1992년부터 이 길을 걸었고, 쓴 책으로 《쉬운 말이 평화》,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읽는 우리말 사전 1·2·3》, 《우리말 동시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시골에서 도서관 하는 즐거움》,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시골에서 책 읽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10대와 통하는 새롭게 살려낸 우리말》, 《10대와 통하는 우리말 바로쓰기》 들이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책숲마실


우리말은 노래꽃 (2019.10.17.)

― 순천 〈책방 심다〉



  2019년 한글날을 앞두고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을 매듭지어서 선보였습니다. 새롭게 엮는 낱말책(사전)은 두께가 아닌 속살을 헤아립니다. 낱말을 더 많이 다루기보다는 ‘낱말을 다루는 손길·눈길·넋길’을 짚으려고 합니다. 낱말을 적게 알기에 생각을 못하거나 말을 못하지 않아요. 새롭게 지피려는 마음이 있기에 비로소 삶을 읽고 말을 펴며 이웃을 사귑니다. 낱말은 잔뜩 알더라도 새숨결이 아니라면 겉치레 글쓰기·말하기에 스스로 얽매입니다.


  순천 〈책방 심다〉에서 책수다를 엽니다. 숲노래는 노래꽃(동시)을 쓰고 사름벼리 씨는 그림을 그렸습니다. 노래꽃그림도 책집 한켠에 놓았습니다. 〈심다〉 지기님은 숲노래 노래꽃을 읽고서 “동시로 말을 짚고 북돋아서 훨훨 꿈이랑 사랑을 키우는 책! 먼먼 옛날부터 흘러왔고, 오늘도 흐르며, 앞으로 흐를 새롭고 싱그러운 한국말을 바탕으로 만등 동시집!”이라고 책느낌을 적어 주었어요.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쓰는 까닭은 수수합니다. 모든 말은 숲에서 비롯해요. 모든 집·밥·옷이 바로 숲에서 와요. 숲은 ‘자연’만 나타내지 않아요. 사람인 우리도 언제나 숲입니다. 스스로 숲이고 다같이 숲인 삶을 어린이랑 노래하는 말을 바탕으로 하나씩 살펴보려고 우리말꽃을 씁니다. 이런 일을 서울 아닌 시골에서 하는데, 서울하고 시골이 어깨동무하기를 바라기에 시골살림을 지으면서 우리말꽃을 쓰지요. 큰길도 작은길도 아닌 사랑길을 바랍니다. 성평등·페미니즘 같은 이름을 안 써도 좋으니 살림길을 가면 좋겠다고 여깁니다. 아이들하고 꿈꾸는 숲집을 저마다 다른 보금자리에서 저마다 새롭게 가꾸면 된다고 봅니다.


  우리가 두 발을 디딘 이곳은 서로 어떻게 이어지는 보금자리일까 하고 말을 징검다리 삼아서 헤아립니다. 마을을 가꾸거나 짓는 말은 마을 어린이하고 어른이 손을 맞잡는 곳에서 마을꽃처럼 피어납니다. 굳이 꾸미려 하기에 겹말이 불거집니다. 겉멋을 털지 않으니 겹말뿐 아니라 낡은말에 갇힙니다. 즐겁게 일하고 놀면서 노래하는 길을 가만히 생각한다면 일놀이랑 말글 모두 부드러우면서 아름다이 이룰 만합니다. 풀밭에 쪼그려앉거나 무릎을 꿇어 봐요. 비슷해 보여도 모두 다른 풀입니다. 똑같은 이름으로 가리켜도 다 다른 숨결이 흘러요. 비슷한말이란 뭘까요? ‘비슷하다 = 다르다’인 얼거리이지 싶습니다. 풀빛을 읽으면 말빛을 읽을 테고, 사람빛하고 사랑빛도 읽겠지요.


  우리말은 노래꽃입니다. 바르게 쓸 우리말이 아닌, 즐겁게 노래할 우리말입니다. 틀에 맞출 우리말이 아닌, 생각을 심고 마음을 가꾸는 빛줄기인 우리말입니다.


ㅅㄴㄹ


《나무의 마음에 귀 기울이다》(세이와 겐지/양지연 옮김, 목수책방, 2018.10.31.)

《U zine》(책방 심다, 2019) vol.0

《사랑해 아니요군》(노인경, 이봄, 2019.9.1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책숲마실


닿는 길 (2019.6.8.)

― 인천 〈한미서점〉



  똑같이 찾아드는 하루란 없고, 똑같이 하는 일이란 없습니다. 바람이 똑같이 분 적이 없고, 햇볕이 똑같이 쬔 날이 없습니다. 늘 다르게 흐르면서, 언제나 새롭게 맞이하는 삶입니다. 어제 읽은 책을 오늘 쥐기에 어제처럼 느껴야 하지 않습니다. 오늘 읽는 책을 이튿날 쥔대서 오늘처럼 느끼지 않습니다. 늘 다르게 맞이합니다. 하루만큼 새로 배우고, 쪽틈만큼 새록새록 담아요.


  어느 날 어느 분 손길이 닿아서 읽힌 책이 어느 보금자리에 깃들다가 어느 날 새롭게 길을 떠납니다. 처음 알아본 사람이 오래오래 곁에 두는 책이 있고, 처음 알아본 사람이 스스럼없이 내놓는 책이 있습니다. 책은 한 사람 곁에서 두고두고 흐르기도 하고, 여러 사람 눈을 거치며 나들이를 다니기도 합니다. 때로는 조용히 숨을 내려놓고서 흙으로 돌아갑니다.


  인천 가좌동에서 책숨을 나눈 자취가 “신간·각종서적·기술서적, 경기서점, 가좌동 주공APT 앞 571-5058”이라 적힌 책집 붙임띠(테이프) 넷으로 남습니다. 1990년에 태어난 책은 그즈음 어느 마을책집에서 비닐싸개에 책집 딱종이를 온몸에 안고서 길을 나섰어요. 이러다가 새 손길을 기다리며 헌책집으로 옵니다.


  문득 돌아보면 마을책집뿐 아니라 마을가게는 가게이름이랑 전화번호를 깨알글씨로 담은 조그만 딱종이를 썼습니다. 여느 붙임띠를 쓰는 곳도 있지만, 가게이름이랑 전화번호를 새긴 붙임띠도 꽤 썼어요. 가게 붙임띠를 고이 건사하는 곳이 있을까요? 틀림없이 살림자취(생활사) 가운데 하나일 텐데, 이 대목을 눈여겨볼까요? 책을 다루는 살림숲(박물관) 가운데 ‘책집 싸개’나 ‘책집 붙임띠’나 ‘책집 이름쪽’이나 ‘책집 알림판’을 건사하는 곳은 아직 없다고 느낍니다. 아니 ‘책집 발자취’를 건사하는 살림숲은 아예 없지 싶어요.


  인천 배다리 〈한미서점〉에서 여러 가지 책을 돌아보고 읽다가 몇 자락 고릅니다. 발길이 닿아 눈길이 가고, 손길을 뻗어 숨길을 읽고, 마음길을 헤아려 생각길을 엽니다. 마을이웃이 마을책집을 찾고, 먼먼 고장에서 사는 이웃이 먼걸음으로 이곳에 이릅니다. 연속극·영화를 보았기에 책집골목을 찾아오는 발걸음도 있는데, 어떤 뜻으로 마실하더라도 ‘책이 있는 집’을 만나요. 누구한테나 열린 책이듯 누구나 바라보면서 읽고 아끼는 이야기가 되리라 생각합니다.


  책집에 와서 책만 읽다가 갈 수 있고, 골마루를 조용히 거닐다가 갈 수 있습니다. 바쁜 나머지 허둥지둥 책만 사고서 떠날 수 있고, 느긋이 수다를 떨다가 갈 수 있어요. 다 다른 발길에 다 다른 삶길입니다.


ㅅㄴㄹ


《톡톡 알에서 나와요》(르네/조병준 옮김, 웅진닷컴, 2001)

《스스로 고통을 간직한 사랑은 참으로 아름답습니다》(오리아나 팔라치/안젤라 옮김, 참빛, 1990)

《꽁지머리 소동》(로버트 먼치 글·마이클 마르첸코 그림/박무영 옮김, 풀빛, 2002)

지도는 수정하실 수 없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