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알갛게 물드는 쑥잎

 


  가을은 바알간 단풍잎이나 노오란 은행잎에만 찾아들지 않습니다. 알록달록 숲에도 찾아들고, 끝자락부터 바알갛게 물드는 쑥잎에도 찾아듭니다. 스스로 씨를 내리고 스스로 자라다가 스스로 꽃을 피우는 쑥풀은 겨울이 되면 온 잎사귀가 바알갛게 타들면서 시들시들 흙으로 돌아갈까요. 이듬해에 새롭게 피어날 꿈을 꾸면서 새근새근 깊은 겨울잠을 잘까요. 우리 집 뒷밭 땅뙈기에서 흐드러지는 바알간 쑥풀이 겨우내 어찌 지내며 새롭게 거듭날는지 지켜봅니다. (4345.11.11.해.ㅎㄲㅅㄱ)

 

(최종규 . 201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쑥꽃 책읽기

 


  바지런히 뜯어서 먹는 쑥풀에서는 꽃대가 나와 꽃잎이 벌어지는 모습을 못 본다. 쑥이 돋으며 무럭무럭 자라는 동안 가만히 둔 쑥풀에서는 꽃대가 튼튼히 나오고 꽃잎이 살살 벌어지는 모습을 본다.


  마을 어르신들은 논둑이건 밭둑이건 쑥풀이 자라는 꼴을 지켜보지 않는다. 낫으로 베거나 손으로 뜯거나 기계로 밀거나 약을 뿌려 죽인다. 시골사람이래서 쑥꽃을 보는 일은 만만하지 않으리라 느낀다. 그런데, 쑥풀만 쑥꽃을 보기 힘들지는 않다. 모시풀 모시꽃을 본다든지, 미나리풀 미나리꽃 보기도 만만하지 않다. 따로 꽃씨를 받아 키우는 꽃송이가 아니라 할 적에는 시골 풀섶에서 살아남지 못한다. 호박이나 수세미처럼 열매를 베풀지 않으면, 딸기처럼 열매를 내놓지 않으면, 냉이나 달래처럼 통째로 밥이 되어 주지 않으면, 시골자락이라 하더라도 풀은 조그마한 보금자리를 얻기 어렵다.


  도시에서는 어떨까. 도시사람은 도시 ‘미관’이나 ‘경관’을 따지니까 쑥풀이 마음껏 흐드러질 데가 드물 테지. 건물지킴이가 뜯을 테고, 어디라도 시멘트와 아스팔트로 덮일 테니까 뿌리를 내리거나 줄기를 올릴 틈바구니가 없겠지. 아주 조그마한 틈에 아주 조그마한 씨가 깃들어 푸른 줄기 올라오더라도 도시사람이 쑥풀을 뜯어서 즐기거나 쑥꽃이 어여쁘다면서 바라볼 일이 있을까. 도시에도 곳곳에 푸른 기운이 넘치지만, 도시사람은 스스로 시멘트와 아스팔트 무덤에 사로잡히면서 잿빛 눈길이 되고 만다. (4345.11.11.해.ㅎㄲㅅㄱ)

 

(최종규 . 201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괭이밥풀꽃입니다. 11월 8일에 활짝 피어난 시골꽃이에요. 도시에도 이 꽃은 많이 피지요.)

 

..

 

 꽃을 읽다

 


  골목마실을 할 적에 참 많은 분들이 골목꽃을 알아보지 못한다. 제법 커다란 꽃그릇에서 빨갛고 노랗고 파란 꽃송이가 피어올라도, 꽃그릇 하나 놓인 골목집은 커다란 골목 가운데 아주 작은 점이고, 골목동네는 커다란 도시에서 아주 작은 섬과 같아서일까.


  골목마실을 하면서 골목 틈바구니에서 예쁘게 피어나는 골목꽃을 생각없이 발로 밟는 분이 제법 많다. 어른 손바닥만큼 꽃송이가 올라와야 알아볼까. 어른 손톱만큼 되는 노란 민들레조차 알아보지 않고 밟는 분이 참으로 많다. 아이 새끼손톱보다 작은 괭이밥풀꽃이라든지 봄까지꽃이라든지 별꽃은 거의 아무렇지 않게 밟고 만다.


  시골을 찾아온 도시내기라고 다르지 않다. 가끔 논둑이나 숲길을 함께 거닐며 바라보면, 도시 분들은 으레 유채꽃이든 갓꽃이든, 또 엉겅퀴꽃이든 자운영꽃이든, 또 들꽃이든 풀꽃이든 마음쓰지 못한다. 부추꽃을 본 도시내기는 얼마나 될까. 감자꽃이나 진달래꽃은 알아볼 테지만, 장미꽃과 동백꽃이 어떻게 다른가를 알아보면서 예쁘게 들여다보는 도시내기가 너무 적다. 그러니까, 도시에서는 장미잔치를 할 테지만 동백잔치를 하지 못한다. 벚꽃잔치를 하지만 매화꽃잔치라든지 살구꽃잔치나 복숭아꽃잔치 이야기는 듣지 못한다.


  작은 들꽃 하나 들여다보지 못하고, 작은 들꽃에 서린 이야기를 읽지 못한다면, 이 땅 이 나라 이 마을에 있는 ‘이름 안 알려진 작고 여린’ 사람들 목소리와 이야기 또한 못 듣거나 못 읽는 셈이라고 느낀다. ‘이름난’ 몇몇 사람들 ‘이름난’ 몇몇 책은 읽을는지 모르나, 아름다운 삶과 어여쁜 사랑과 아리따운 꿈이 깃든 ‘작은 풀꽃과 풀꽃 같은 사람’, 또 ‘작은 들꽃과 들꽃 같은 사람’ 목소리와 책은 얼마나 가까이하려나.


  그런데, 풀꽃은 도시내기가 저를 알아보지 못한대서 서운해 하거나 슬퍼 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풀꽃은 너르며 조용한 시골이 좋아 풀꽃끼리 옹기종이 어깨동무하면서 즐겁게 살아가니까. 들꽃은 도시내기가 저를 알아채지 못한대서 안타까와 하거나 밉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들꽃은 따사롭고 넉넉한 시골이 기뻐 들꽃끼리 알콩달콩 얼크러지면서 재미나게 살아가니까.


  작은 사람들은 작은 사람들끼리 작은 보금자리를 이루어 재미나게 살아간다. 여린 사람들은 여린 사람들끼리 사랑 어린 마을을 일구며 즐겁게 살아간다. 작은 보금자리에는 신문이 없다. 사랑 어린 마을에는 텔레비전이 없다. 신문을 안 읽고 신문기자도 없으나, 집집마다 숟가락이 몇 개 있는지 훤히 안다. 텔레비전을 안 보고 방송기자라든지 지식인이라든지 학자라든지 교수라든지 작가라든지 아무도 없으나, 네 철 날씨를 알고 아이들 보살피는 따순 손길을 고이 물려줄 줄 안다. (4345.11.10.흙.ㅎㄲㅅㄱ)

 

(최종규 . 201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가을들 유채꽃 책읽기

 


  가을들 사이를 아이와 함께 지나가다가 노란 꽃송이를 본다. 유채꽃일까 갓꽃일까. 잎사귀를 보면 푸르다가도 살짝 까맣게 올라오려는 모습인데, 갓잎은 훨씬 넓게 까만 빛이 올라오니까 갓잎은 아닐 듯한데, 그러면 유채일까 궁금하다. 또는 유채를 닮은 다른 풀은 아닐까 알쏭달쏭하다. 논둑에 다른 풀은 거의 나지 않았고, 다들 추위에 하나둘 스러지는데, 오직 이 녀석만 푸른잎을 달고 꽃송이까지 노랗게 피운다. 며칠 따스한 바람이 불었기 때문일까. 가을에도 퍽 따스한 남녘 날씨 때문일까.


  생각해 보면, 네 이름이 유채꽃이든 갓꽃이든 다른 풀꽃이든 그리 대수롭지 않다. 나는 네 잎을 뜯어서 맛나게 먹으면 즐겁다. 네 노란 꽃송이를 가을날 반가이 맞이하며 예쁘게 들여다보면 즐겁다. 봄에 만날 꽃을 가을에 먼저 만나니, 이러한 삶은 이러한 삶대로 즐겁다.


  아이하고 한참 노란 꽃을 구경하다가 곰곰이 돌이켜본다. 마을마다 가을걷이를 마친 다음에는 ‘경관사업’이라는 이름으로 빈논에 유채씨를 잔뜩 뿌리곤 한다. 유채는 씩씩하게 꽃을 피우고 씨앗을 퍼뜨린다. 이 씨앗이 바람 따라 곳곳에 흩날리면서 논둑에도 뿌리를 내려 이 가을에 새삼스레 피어날 만하리라 느낀다.


  봄볕을 받아도 푸르며 노랗게 빛나고, 가을볕을 받아도 푸르며 노랗게 빛나는구나. 봄에도 가을에도 따순 사랑과 같이 햇살이 드리우니 언제나 즐거울 테지. 내 마음속 빛줄기는 이 가을에 어떠한 무늬와 모습으로 따사로운 꿈길이 될 수 있을까. (4345.11.9.쇠.ㅎㄲㅅㄱ)

 

(최종규 . 2012 - 꽃읽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가을들 누런빛 책읽기

 


  한국사람이 한국말을 살찌우지 않은 지 오래되었기 때문에 한국말이 한국말답게 국어사전에 제대로 안 실리곤 한다. 그런데, ‘노란빛’도 ‘누런빛’도 국어사전에 실린다. 뜻밖이라 하거나 놀랍다 할 만하다. 그렇지만, 두 빛깔말이 국어사전에 실린 줄 아는 사람은 얼마나 될까. 아니, 국어사전에 이런 빛깔말이 실리고 안 실리고를 떠나, 노란빛과 누런빛이 얼마나 다르고 어떻게 환하거나 해맑은가를 살결 깊숙이 가슴으로 느끼거나 아는 사람은 얼마나 될까.


  사람들은 스스로 살아내지 않으니 스스로 겪지 못한다. 스스로 겪지 못하니 스스로 알지 못한다. 스스로 알지 못하는데 깨닫거나 빛내지 못하고, 스스로 깨닫거나 빛내지 못하기에 스스로 느끼지 못한다. 스스로 느끼지 못하는 사람이 노란빛과 누런빛 이야기를 글로 쓴다든지 그림으로 그린다든지 사진으로 찍는다든지, 아니 무엇보다 말로 들려주지 못한다.


  스스로 살아낼 때에 알 수 있다. 스스로 살아낼 때에 비로소 알아보고 느끼며 말할 수 있다. ‘황금빛 물결’이란 너무 안 맞는다. 시골사람은 어느 누구도 ‘황금빛 물결’이라 말하지 않는다. 시골서 살며 ‘금’을 보거나 ‘금빛’을 생각할 일이 없는걸. 도시에서 금덩이나 돈을 주무르는 사람들 눈썰미로 생각하자니 ‘황금빛 물결’이라는 터무니없는 소리가 튀어나올 뿐 아니라 널리 퍼진다.


  가을들은 ‘가을들빛’이다. 가을들빛은 누런빛이다. 누런빛은 나락빛이다. 나락빛은 사람들을 살찌우고 먹여살리는 밥빛이다. 밥빛은 삶빛이요, 여름부터 가을까지 곱다시 드리운 햇빛이다. 햇살이 살찌우고 돌본 벼빛이다. 흙일꾼이 구슬땀을 흘리며 사랑한 흙빛이면서 손빛이고 사랑빛이다. (4345.11.5.달.ㅎㄲㅅㄱ)

 

(최종규 . 201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