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도닷컴> 2014년 8월호에 실은 '사진책도서관 함께살기' 이야기입니다. <전라도닷컴>도 '사진책도서관 함께살기'도 모두 싱그럽게 빛날 수 있기를 빕니다.



..


시골도서관 풀내음

― 우리는 모두 밥 먹는 이웃



  네 살 작은아이가 문득 한 마디 합니다. “아버지, 밖에서 새소리가 들려요.” “그래, 새소리가 들리는구나. 새소리인 줄 알겠니?” “응.”


  처마 밑에 있는 제비집은 요즈음 쓸쓸합니다. 새끼 제비 네 마리가 모두 날갯짓을 하느라 새벽같이 둥지를 비운 뒤, 저녁 늦게 돌아오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제비는 이렇게 씩씩한 어른 제비로 자라나야 여름이 저무는 팔월 끝자락에 이웃 제비들하고 무리를 지어 태평양 너른 바다를 가로지를 수 있어요.


  우리 집 마당은 멧새 놀이터가 되곤 합니다. 지난겨울에는 빈 제비집에 딱새 두 마리하고 참새 두 마리가 깃들기도 했어요. 처마 밑에 제비집이 셋 있기에, 이 가운데 두 군데를 딱새와 참새가 나누어서 썼습니다. 마당에서 크게 자라는 후박나무에 온갖 새들이 내려앉아서 놀고, 옆에 있는 초피나무에도 갖은 새들이 내려앉아서 놉니다. 새들은 후박알을 따먹고 초피알을 훑습니다. 초피나무에 알을 까는 범나비 애벌레로 잡아서 먹기도 합니다. 마을 이웃 할배와 할매 가운데에는 ‘나비가 있으면 알을 까서 애벌레가 잎을 갉아먹는다’며 농약이나 살충제를 휘휘 뿌리는 분도 있지만, 제비와 직박구리와 딱새와 참새와 어치 같은 새들이 쉴새없이 찾아들어 바지런히 애벌레를 잡아서 먹곤 합니다.


  글을 익히는 아이는 책을 스스로 읽고 싶습니다. 글을 익히기 때문에 남이 읽어 줄 때보다 스스로 읽을 때에 한결 재미있습니다. 따사로운 목소리로 읽어 줄 때에도 즐겁지만, 새롭게 맞아들일 이야기를 스스로 알아내면서 더욱 즐겁습니다. 흙바닥에 나뭇가지로 글을 씁니다. 어버이한테서 배운 글을 척척 쓰면서 동생을 불러 이 글은 무엇이고 저 글은 무엇이라며 알려줍니다. 큰아이는 작은아이한테 스승이요 동무입니다.


  동생한테 글을 찬찬히 보여주며 물려주는 아이들입니다. 언니 오빠한테서 무엇이든 지켜보면서 물려받는 아이들입니다. 학교에 들어가야 배우는 아이들이 아닙니다. 언제 어디에서나 늘 배웁니다. 언제 어디에서나 늘 둘레 모든 것을 지켜보거나 바라보면서 배웁니다. 아이들은 들과 숲과 멧골과 바다를 바라보면서 배울 수 있습니다. 아이들은 아파트와 고속도로와 핵발전소와 군부대를 바라보면서 배울 수 있습니다. 툭하면 총을 들고 싸우는 어른들이 둘레에 있으면, 아이들은 툭하면 싸움놀이, 이른바 전쟁놀이를 합니다. 싸움놀이, 그러니까 전쟁놀이를 하면서 자란 아이들 마음에는 싸움과 전쟁이라는 생각이 크게 자리합니다. 동무를 아끼고 동생을 돌보면서 놀던 아이들 마음에는 따순 손길과 눈길이 넓게 자리하겠지요.


  〈뉴스타파〉라는 매체를 만든 최승호 님이 살아가는 이야기를 담은 《정권이 아닌 약자의 편에 서라》(철수와영희 펴냄,2014)라는 책을 읽어 봅니다. 신문기자나 방송피디로 일하는 사람은 정치권력이 아닌 ‘여린 이’, 그러니까 ‘수수한 사람들’ 곁에 서야 한다고 말합니다. 수수한 사람들이란 누구일까요. 정치권력이 아닌 여린 이는 누구일까요. 신문이나 방송은 어떤 사람들 이야기를 다루어야 할까요.


  학교에 집어넣기만 하면 끝나는 가르침(교육)이 아닙니다. 집과 마을에서 어떻게 살아가느냐에 따라 아이들 앞날이 달라집니다. 어버이는 밥을 어떻게 지을까요. 어버이는 밥을 어떻게 마련할까요. 어버이는 자전거를 탈까요, 아니면 자가용을 탈까요, 아니면 두 다리로 걸을까요. 어버이는 텔레비전만 보나요, 책을 가까이하나요, 거친 말을 일삼는가요, 보드라우면서 사랑스러운 말을 나누는가요.


  우리 집에는 텔레비전이 없으니 방송을 안 봅니다. 이웃에 나들이를 가면 가끔 텔레비전을 구경합니다. 시외버스를 탈 적에도 더러 텔레비전을 구경합니다. 켜진 텔레비전을 문득 들여다보면 온통 사건·사고요, 연예인과 운동경기요, 정치권력하고 가까운 사람들 모습입니다. 굵직굵직하다는 일이라서 방송에 나와야 할는지 모르는데, 저 방송에서 ‘팔월에 뙤약볕 받으면서 풀을 뜯는 이야기’를 다룰 수 있으면 어떠할까 궁금합니다. ‘잡초가 아닌 풀을 뜯어서 나물로 먹는 이야기’를 다룰 수 있으면 어떠할까 싶습니다. ‘학교에 붙들려 꼼짝없이 걸상에 앉아서 지내는 아이들이 아닌, 팔월 한여름에 시원한 골짜기로 놀러가서 물놀이를 하는 아이들 모습을 한 시간이나 두 시간쯤 그대로’ 보여주면 어떠할까 하고 생각합니다.


  씨앗을 심는 어버이 곁에서 씨앗을 심는 아이들이 자랍니다. 자가용 손잡이를 붙잡는 어버이 곁에서 자동차를 빠르게 익히고 받아들이는 아이들이 자랍니다. 손으로 옷가지를 복복 비벼 빨래하는 어버이 곁에서 손빨래 삶을 살피는 아이들이 자랍니다. 아무 곳에나 쓰레기를 버리는 어버이 곁에서 과자봉지를 아무 데나 버리는 아이들이 자랍니다.


  달포쯤 되었지 싶은데, 두 아이를 자전거에 태우고 면소재지 우체국으로 가는 길이었는데, 면소재지에 있는 고등학교를 다니는 머스마 넷이 나란히 걷다가 빈 음료수 깡통을 하늘로 높이 던지며 버려요. 이 아이들 뒤에서 자전거를 세운 뒤 “얘들아, 여기는 너희들이 사는 동네이고 너희들 고향이야. 너희가 이곳을 함부로 다루면 어떡하니.” 하고 얘기했습니다. 깡통을 버린 아이는 어기적거리며 주웠지만, 우리가 지나간 뒤 다시 아무 데에나 깡통을 집어던집니다. 읍내에서도 초등학교 아이들이 곧잘 과자봉지를 길바닥에 휙 던집니다. 이 아이를 붙잡고 주워서 가져가라고 얘기하면 마지못해 줍고는 몸을 돌리고 몇 걸음 가다가 다시 휙 던집니다.


  엊그제부터 상추씨를 얻습니다. 노란 상추꽃이 지면서 작은 씨앗을 맺습니다. 아이들 가슴마다 작은 씨앗이 있을 텐데, 시골 아이들은 어떤 어른들 곁에서 무엇을 보면서 어떤 씨앗을 키울까요. 고등학교만 마치면 얼른 떠나야 할 시골일까요. 언제나 즐겁게 두레를 하며 지낼 시골일까요. 푸른 바람을 마시고 푸른 노래를 부르며 훨훨 날아오르듯이 뛰노는 맑은 아이들을 그립니다. 4347.7.9.물.ㅎㄲㅅㄱ


(최종규 . 2014)









* 사진책도서관(서재도서관)을 씩씩하게 잇도록 사랑스러운 손길 보태 주셔요 *

* 도서관 지킴이 되기 : 우체국 012625-02-025891 최종규 *

* 도서관 지킴이 되어 주는 분들은 쪽글로 주소를 알려주셔요 (010.5341.7125.) *

* 도서관 나들이 오시려면 먼저 전화하고 찾아와 주셔요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잡지에 실린 기사 (사진책도서관 2014.8.4.)

 ― 전라남도 고흥군 도화면 동백마을, ‘사진책도서관 함께살기’



  〈best baby〉라는 잡지가 있다. 어떤 잡지인지는 모른다. 언제였는지 가물거리는데, 이곳에서 취재를 왔다. 아이들과 시골에서 살며 도서관을 꾸리는 네 식구 이야기를 담고 싶다 했다. 그동안 여러 매체에서 시골 도서관 이야기를 취재하고 싶다는 연락이 왔으나, 서울에서 고흥까지 너무 멀다며 거의 안 찾아왔다. 서울에 있는 기자들이 으레 하는 말은 “서울에 오실 일 없으세요?”였다.


  네 식구가 나란히 사진에 찍히는 일이 한 해에 한 차례 있을까 말까 싶다. 이런 일이 참말 없는데, 취재기자가 찾아왔기에 모처럼 네 식구가 집과 마을과 도서관에 있는 모습을 찍히기도 한다. 잡지사에서 보내 준 책을 들여다본다. 〈best baby〉라는 잡지에 실린 다른 글을 살피니, 이 잡지는 도시에서 아이를 키우는 어버이가 많이 보는구나 싶다. 어느 모로 보든, 우리 식구 이야기는 이 잡지에 나오는 다른 모든 기사하고 참 많이 동떨어지는구나 싶다.


  도시에서 안 살고 시골에 보금자리를 마련하려는 여느 어버이는 얼마나 될까. 도시에서 멀쩡히 돈 잘 버는 길을 그만두고 시골로 가서 농약과 비료와 비닐을 안 쓰려는 여느 어버이는 얼마나 있을까. 아기 잡지라는 〈best baby〉인데, 우리 식구 이야기는 참 시골스럽다. 뭐, 시골에 사는 사람들 이야기이니 시골스러울밖에 없지만, 책이란 잡지란 신문이란 방송이란 매체란 학교란 사회란 교육이란 정치란 문화란 모조리 도시 언저리에서 맴도는 얼거리인 줄 새삼스럽게 느낀다. 사진비평을 하는 사람 가운데 시골에서 살며 글을 쓰는 사람이 있을까? 문학비평이나 예술비평이나 언론비평이나 무슨무슨 글을 쓰는 사람 가운데 시골에서 살며 시골내음이 묻어나는 글빛을 밝히는 사람은 얼마나 될까?


  요즈음 사진가로 뛰는 이들은 거의 다 ‘도시 이야기’만 찍는다. 어린이문학과 그림책도 거의 다 도시 이야기일 뿐이다. 방송에서 시골 이야기를 다룰 일이 있을까? 인문학 가운데 도시 아닌 시골에서 생각을 밝혀 이야기꽃을 피우려는 움직임이 있을까? 대학교는 도시에 지을 뿐, 시골에 짓지 않는다. 시골 어느 구석진 데에 대학교 건물을 세우더라도, 아이들이 시골에서 삶을 가꾸도록 돕는 학문은 안 한다.


  시골에 있는 우리 집이 외롭다는 생각을 한 적은 없는데, 아기 잡지에 난 기사를 가만히 살피다가 ‘책이라는 매체조차 더없이 쓸쓸하구나’ 하는 느낌이 짙게 든다. 참으로 어디에도 시골사람 목소리가 들어설 자리가 없다. 시골빛이 없는 책이라면, 이런 책들을 굳이 시골도서관에서 갖추어야 할까 싶은 생각마저 든다. ㅎㄲㅅㄱ



* 사진책도서관(서재도서관)을 씩씩하게 잇도록 사랑스러운 손길 보태 주셔요 *

* 도서관 지킴이 되기 : 우체국 012625-02-025891 최종규 *

* 도서관 지킴이 되어 주는 분들은 쪽글로 주소를 알려주셔요 (010.5341.7125.) *

* 도서관 나들이 오시려면 먼저 전화하고 찾아와 주셔요 *




















댓글(2)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014-08-09 23:03   URL
비밀 댓글입니다.

숲노래 2014-08-10 07:30   좋아요 0 | URL
어디에서나 누구나
즐겁게 삶을 누리는 책을 만나고 이야기를 빚을 수 있기를 빌어요.
차근차근 아름다운 삶터로 나아갈 때에 즐거울 테니까요.

식구들이 다 함께 책방까지 나들이를 하셨군요!
아주 예쁜 그림이었으리라 생각해요~
 

 등허리 결린 나날 (사진책도서관 2014.8.3.)
 ― 전라남도 고흥군 도화면 동백마을, ‘사진책도서관 함께살기’


  날마다 등허리가 결리다. 책꽂이에 곰팡이가 먹지 않도록 어느덧 보름 넘게 책꽂이와 책을 나르고 옮기느라 고단하다. 도서관을 꾸릴 적에 책꽂이를 어떻게 갖추느냐 하는 대목이란 참으로 큰일이라고 새삼스레 느낀다. 도서관은 책은 책대로 알뜰히 갖출 노릇이면서, 책꽂이도 책꽂이대로 아주 좋은 나무로 짠 훌륭한 책꽂이를 두어야 한다. 참으로 좋은 나무로 책꽂이를 짜지 않으면 책이 다친다. 우리 도서관에 갖춘 책 권수를 헤아린다면, 책꽂이를 제대로 짜서 갖추는 데에 적어도 오천만 원은 써야 하는구나 하고 느낀다. 책꽂이 하나에 50만 원쯤 들일 적에 100개를 놓는 값이니 오천만 원이다.

  진땀을 빼면서 책꽂이와 책을 손질한다. 등허리가 결리고 온몸이 땀으로 젖는다. 이동안 아이들은 저희끼리 잘 놀아 준다. 곰곰이 생각한다. 참말 나는 이제껏 ‘책을 제대로 갖추는 데’에만 마음을 기울였다. ‘책꽂이를 제대로 갖추는 데’에는 마음을 못 기울였다. 스스로 마음을 기울이는 대로 도서관이 나아가지 않겠는가. 이냥저냥 값싸게 들이는 책꽂이는 오래 가지 못하니, 도서관에서는 아무 책꽂이나 쓸 수 없다. 그래, 그렇지. 예부터 집을 한 채 지을 적에 아무 나무나 베어서 기둥이나 들보로 삼지 않았다. 예부터 집 한 채는 삼백 해나 오백 해는 이어갈 수 있도록 지었다. 예부터 집뿐 아니라 옷장이든 살림이든 두고두고 쓸 만하도록 지었다. 밥상 하나를 허투루 깎거나 짠 옛사람은 없다. 옷 한 벌을 허투루 짜거나 기운 옛사람은 없다.

  책 한 권을 놓고 보아도 그렇다. 도서관은 왜 있고, 도서관은 무엇을 하는가. 도서관은 책을 건사해서 지키고 나누는 구실을 하지. 그러면 도서관은 어떤 책을 두는가. 두고두고 읽을 책을 둔다. 우리한테 길잡이와 이슬떨이가 될 책을 둔다. 아름다운 삶을 밝힐 슬기로운 이야기를 담은 책을 둔다. 책 하나부터 사랑스러우면서 아름다울 노릇이고, 사랑스러우면서 아름다운 책을 꽂는 책꽂이이니, 책꽂이도 사랑스럽고 아름다울 수 있어야 한다. 여기에 하나 더 살핀다면, 사랑스럽고 아름다운 책과 책꽂이가 있는 도서관은 사랑스럽고 아름다운 마을에 있어야 할 테지. 그리고, 사랑스럽고 아름다운 마을에서 사랑스럽고 아름다운 도서관을 가꿀 사람도 마음밭을 사랑스럽고 아름답게 보듬어야 할 테고.

  쇠걸상을 놓은 뒤 다용도장을 얹는다. 좋은 나무를 장만할 돈이나 좋은 책꽂이를 마련할 돈이 아직 없으니, 우리 도서관에 있는 것으로 머리를 짜내자. 빗물이 새거나 물기가 올라오는 바닥에서 높이 떼어놓으면 곰팡이가 안 올라오거나 덜 올라오려나. 앞으로 책꽂이 값을 장만하는 날까지 이대로 잘 버티어 줄 수 있기를 빈다. 요새는 집으로 돌아가면 등허리가 결리고 쑤셔서 아침에 일찍 못 일어난다. ㅎㄲㅅㄱ


* 사진책도서관(서재도서관)을 씩씩하게 잇도록 사랑스러운 손길 보태 주셔요 *
* 도서관 지킴이 되기 : 우체국 012625-02-025891 최종규 *
* 도서관 지킴이 되어 주는 분들은 쪽글로 주소를 알려주셔요 (010.5341.7125.) *
* 도서관 나들이 오시려면 먼저 전화하고 찾아와 주셔요 *

























댓글(2)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하늘바람 2014-08-07 10:4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침을 맞으셔야 할것같아요

숲노래 2014-08-07 11:52   좋아요 0 | URL
침은 안 맞아도 됩니다 ^^

시골집에서 등허리를 잘 펴고 드러누워서 쉰 뒤
맑은 바람과 물을 먹으면서
다시 기운을 차리면 되어요.

말씀 고맙습니다~~
하늘바람 님, 더운 여름 즐겁게 잘 누리셔요~
 


 태풍이 오던 날 (사진책도서관 2014.8.2.)

 ― 전라남도 고흥군 도화면 동백마을, ‘사진책도서관 함께살기’



  태풍이 오는 날 아침, 마을방송과 면사무소 방송으로 ‘바깥에 돌아다니지 말라’는 이야기가 흐른다. 그러나 나는 우리 도서관에 안 갈 수 없다. 어제부터 오늘 아침까지 큰비가 내리니, 물이 새는 곳을 살피러 가야 한다. 물이 새는 데에 통을 받쳐야 하고, 물이 흐른 곳을 걸레로 닦아 치워야 한다. 안 그러면 책이 다치는걸.


  작은아이를 안는다. 큰아이한테 비옷을 입힌다. 우산을 받고 천천히 걷는다. 큰아이는 아버지 옷자락을 붙잡고 걷는다. “예전에 바람이 세게 불어 날아간 적 있어요.” 아니야, 날아간 적은 없어. 날아갈 뻔했지. 바람이 드세니 우산살이 휘어진다. 그래도 씩씩하게 도서관까지 왔다.


  물이 가장 많이 새는 곳을 둘러본다. 생각보다 많이 새지는 않았다. 걸레로 물을 훔쳐서 바깥에 대고 짠다. 다른 물 새는 두 군데를 살피며 걸레질을 한다.


  한참 땀을 내면서 걸레질을 한 뒤, 책꽂이 자리를 옮긴다. 통나무로 짠 책꽂이는 바닥에 댔어도 물 기운이 위로 올라가지 않으나, 합판으로 짠 책꽂이는 바닥에 닿으면 물 기운이 위로 올라가서 곰팡이가 핀다. 어떤 나무로 책꽂이를 짜느냐에 따라 참으로 다르다. 합판 책꽂이를 버릴 수 없는 노릇이다. 그동안 합판 책꽂이는 니스를 두껍게 발라서 쓰자고 생각했는데, 니스를 발랐어도 니스 위로 곰팡이가 올라오기도 한다. 그런데, 요즈음 새로 한 가지를 알아차렸다. 합판 책꽂이라 하더라도 바닥에서 퍽 높이 떼어 놓으면 곰팡이가 피지 않는다. 그래, 바닥에서 올라오는 축축한 기운에 곧바로 닿지 않으면 되는구나.


  안 쓰는 걸상이 많다. 이곳이 폐교가 되면서 교무실에 있던 안 쓰는 쇠걸상이 잔뜩 있다. 쇠걸상에 합판 책꽂이를 올리기로 한다. 이렇게 하면 제법 쓸 만하겠지.


  한국말사전을 엮을 때에 쓰는 책들을 찬찬히 살피면서 갈무리하다가 재미있는 책을 본다. 문세영 님이 한국말 책임편집을 했다는 《만주어자통》(박문서각,1936)과 《국어소사전》(동아교육출판사,1943)이다. 《만주어자통》은 1930∼40년대에 만주말을 익히도록 삼은 도움책이고, 《국어소사전》은 ‘일본사람이 일본말 익히도록 돕는 책’이다.


  새삼스럽지 않은 이야기인데, ‘國語’는 ‘한국말’을 가리키지 않는다. ‘국어’는 ‘일본말’을 가리키는 한자말이다. 중국은 중국말을 ‘中國語’라 한다. 지난날 조선(해방되기 앞서까지 이 나라 이름)에서는 ‘조선말’이나 ‘조선어’라 했다. 그러니, 해방 뒤 오늘날 이 나라에서는 ‘한국말’이나 ‘한국어’라고 써야 올바르다. 또는 ‘한글’이라는 글이름을 빌어 ‘한말’이라 해야 맞다.


  일본사람이 일본말을 익히도록 엮은 작은 《국어소사전》을 살피면, 오늘날 한국에서 많이 쓰는 ‘일본 한자말’ 모습을 낱낱이 읽을 수 있기도 하다. 이런 자료 하나하나가 모여 새로운 한국말사전을 엮는 밑힘이 된다. 이런 알뜰한 자료를 이 나라 어느 도서관에서 찾아볼 수 있을까. 이런 사전이나 책을 갖춘 도서관이 이 나라에 몇 군데나 있을까. 지난 2003년에 보리출판사를 그만두면서 《보리 국어사전》 만드는 일도 그때에 끝맺었고, 그 뒤로 한국말사전 엮는 일에서 오래도록 손을 놓았으나, 이제부터 다시금 기운을 내어 ‘새 한국말사전 엮기’를 해야겠다고 다짐한다. 이 알뜰한 책들을 그대로 묻어 놓을 수 없는 노릇이다. ㅎㄲㅅㄱ



* 사진책도서관(서재도서관)을 씩씩하게 잇도록 사랑스러운 손길 보태 주셔요 *

* 도서관 지킴이 되기 : 우체국 012625-02-025891 최종규 *

* 도서관 지킴이 되어 주는 분들은 쪽글로 주소를 알려주셔요 (010.5341.7125.) *

* 도서관 나들이 오시려면 먼저 전화하고 찾아와 주셔요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사진잔치 ― 골목꽃



(때) 2014.8.1.∼8.31.

(곳) 국민티비 카페 : 서울시 마포구 합정동 426-20번지



인천 골목동네 이야기를 ‘꽃’내음으로 바라보면서 찍은 사진을 차곡차곡 그러모아서 사진잔치를 마련합니다. 즐겁게 나들이를 하셔서 즐겁게 사진빛 누리시기를 바랍니다. 8월 8일이나 9일에 이곳으로 찾아가서, 사진 이야기를 나누는 자리를 마련하려고 합니다. 아직 날짜를 뚜렷하게 잡지는 못했네요.


















댓글(2)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appletreeje 2014-08-04 09:0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사진잔치를 하시는군요!
첫 번째 '눈오는 날'의 사진부터 차례차례로 다 참 좋습니다~~
서재에 올려주신 사진들도 늘 좋은데 직접 사진잔치에 가서 보면 더욱
즐겁고 아름다울 듯 합니다~

날이 좀 시원해지면, 저희 가족도 꼭 즐거운 사진잔치 나들이를 해야겠습니다.^^

숲노래 2014-08-04 13:46   좋아요 0 | URL
이번 주말쯤 되면 해도 나오고 날도 시원하지 않으랴 생각해요.
오늘 하루도 즐거우면서 예쁘게 누리셔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