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등학생 적부터 읽은 시집

 


  고등학생 적부터 읽은 시인을 서른아홉 살에 두 아이 낳아 돌보는 시골마을에서 다시 읽으며 생각한다. 조태일, 김현승 두 시인은 스물 몇 해 앞서나 오늘이나 가슴을 북돋운다고 느낀다. 김소월, 윤동주, 한용운, 이육사 네 시인은 예나 이제나 아름다운 노래를 새록새록 되새겨 준다고 느낀다. 김수영, 신동엽, 고정희, 김남주, 박노해 다섯 시인은 예전에는 못 느낀 다른 깊이와 너비를 해마다 새롭게 건드려 준다고 느낀다.


  신경림 시인을 가만히 헤아린다. 신경림 시인 시집 이야기를 스물 몇 해 만에 처음으로 느낌글로 갈무리한다. 고등학생이던 1992년과 1993년에는 ‘교과서에서 볼 수 없던 이야기’를 느낄 수 있었다. 스물 몇 해 지난 오늘날에는 ‘교과서에 실리는 이야기’를 느낀다.


  아마, 앞으로 언제가 될는 지 모르나, 권태응 같은 분들 동시를 교과서에서 제대로 다룰 날 있을 수 있다. 2001년에 이오덕 님이 《농사꾼 아이들의 노래》 같은 책을 내며 널리 알리고서야 교과서에도 권태응 님 동시가 실린다 할 수 있고, 백창우 같은 분이 〈감자꽃〉에 가락을 붙였기에 이러한 시가 교과서에 실린다 할 수 있는데, 나는 권태응이라는 이름을 아주 느즈막하게 알았다. 둘레에서 알려주는 사람 없었고, 곁에서 권태응 시인 좋아하는 사람 만나지 못했다.


  오늘 신경림 시인 2008년 시집 한 권 곰곰이 돌아보면서 권태응 님을 떠올린다. 그리고, 이원수 님을 떠올린다. 시란 무엇이고 이야기란 무엇이며 삶이란 무엇일까. 책이 좀 팔리고 여러모로 인기인 되면 ‘좋은 시’라 할 수 있을까. ‘읽히는 시’하고 ‘사랑스러운 시’는 얼마나 어울릴 만할까.


  신경림 시인이 꼭 농투산이 되어 열 해 스무 해 흙하고 씨름해야 한다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그러나, 흙이 어떠한 숨결이요 흙을 어떠한 사랑으로 맞이할 때에 우리가 착하고 참다우며 고운 사람 되는가를 생각해 볼 만하다고 느낀다. 신경림 시인이 애써 장돌뱅이 되어 서른 해 마흔 해 골골샅샅 다리품 팔며 떠돌아야 한다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게다가 신경림 시인은 장돌뱅이처럼 장사하며 지낸 적 있다지 않은가. 그러나, 이 땅 골골샅샅 더 깊고 고요한 시골과 멧골과 두메를 사귀며 작은 이웃 마주하면서 어깨동무하는 나날로 노래를 부르며 춤을 추었으면, 신경림 시인 삶과 사랑과 눈길과 손길은 사뭇 새롭게 거듭났으리라 느낀다.


  그래, 그저 그뿐이다. 신경림 시인은 시골에서 안 살지만, 나는 아이들과 옆지기하고 시골에서 산다. 나는 날마다 시골노래를 듣는다. 나는 언제나 시골노래를 부른다. 그뿐이다. 그예 그뿐이다. 4346.6.9.해.ㅎㄲㅅㄱ

 

(최종규 . 2013)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appletreeje 2013-06-09 05:20   좋아요 0 | URL
함께살기님의 글을 읽고 있으니 저도,
조태일님의 <국토>나 황명걸님의 <한국의 아이>, 김명인님의 <동두천>을 뜨겁던
가슴으로 읽은 그 시간들이...떠오릅니다.
신경림 시인의 시를 처음 읽었던 건, 아마 ,<農舞>였던 듯 싶어요.
친구들과 罷場,을 읽으며 '못난 놈들은 서로 얼굴만 보아도 웃는다'를 읽으며 낄낄 서로를 더욱 사랑하던 시간이었지요.

며칠전에 ,<노동의 새벽>으로 처음 만났었던 박노해 시인의 ,<그러니 그대 사라지지 말아라>를 몇 장 넘겨 봤는데...참.. 좋더군요.

부끄럽게도 저는 권태응 시인을 몰랐어요.
<감자꽃>, 감사한 마음으로 담아갑니다.~


숲노래 2013-06-09 07:53   좋아요 0 | URL
저도 <감자꽃>을 1994년이 아닌 1998년에 이르러 비로소 알았어요. 다만, 책은 1994년에 나왔지만, 노래는 예전부터 듣기는 했는데, 그 노래가 그 시인 줄 제대로 모르기도 했고, 요 몇 해 또는 요 열 해 남짓 제법 알려지기는 했어도, 아직 권태응 시인이나 <감자꽃> 시집은 제대로 읽히거나 사랑받지 못해요.

더 오랜 나날 흐르면, <감자꽃> 시집에 깃든 깊은 사랑 우리들한테 골고루 스며들 수 있으리라 믿어요. 이 시집에 담긴 시는 '동시'가 아니라 '시노래'로구나 하고 느낄 만큼 참 아름답지요...

신경림 시인이 그 '파장' 시처럼, '못난 놈'으로 살아가며 '서로 웃고' 좋아하는 삶 즐겁게 이을 수 있기를 빌어요. 부디 '원로'는 되지 마시고요...
 

권정생과 할매하고 손잡고

 


  ‘올바름’이라는 출판사 있었고, 이곳에서 《할매하고 손잡고》라 하는 이야기책 하나 내놓은 적 있었다. 어느 화가 책꽂이에서 이 책을 처음으로 만난다. 이 책을 건사한 화가는 서울에 있는 책방에서 새책으로 장만해서 읽으셨고, 스무 해 남짓 알뜰히 돌보았다. 책이 깃든 그림과 글을 찬찬히 헤아린다. 권정생 할배 이야기 깃든 책으로 참 어울리는 이름이요 꾸밈새라고 느낀다. 참말, 아이들은 할매하고 손을 잡고 들길 걸을 때에 까르르 웃고 노래하며 떠든다. 아이들은 할매뿐 아니라 할배하고 손을 잡고 숲길 거닐 때에 활짝 웃고 춤추며 달린다. 아이들은 어매 손 잡고 걷기를 좋아한다. 아이들은 아배 손 잡고 걷기를 좋아한다. 아이들은 이모도 삼촌도 고모도 모두 좋아하고, 아이들끼리 서로서로 손 잡고 걷기를 좋아한다.


  따로 ‘협동조합’이라는 이름이 아니어도 좋다. 손을 잡으면 좋다. 어깨동무하면 좋다. 눈을 마주보고, 얼굴을 마주하며, 빙그레 웃음꽃 피울 수 있으면 좋다. 책 하나로 손을 잡고 어깨를 겯는 예쁜 사람들 하나둘 늘어날 수 있기를 빈다. 4346.5.24.쇠.ㅎㄲㅅㄱ

 

(최종규 . 201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삶과 믿음의 교실

 


  도서관에서 흘러나오는 책이 헌책방으로 들어간다. 오래도록 대출실적 없던 책을 도서관에서 버린다. 새로 사들이는 책을 꽂을 자리가 모자란 한국 도서관에서는, 오래된 책을 버릴 수밖에 없다. 한국 도서관은 ‘책이 없다’고 할 만한데, 건물 하나 맨 처음에 으리으리하게 짓기는 하지만, 정작 ‘꾸준히 사들이는 책을 정갈하게 갖출 자리’를 넉넉하게 두지 않는다. 새 건물 차곡차곡 늘리며 새로 사들이는 책을 새로 꽂는 일을 잇지 못한다.


  도서관은 꼭 커다란 건물이어야 하지 않다. 도서관은 골목동네 조그마한 집이어도 좋다. 골목동네 조그마한 집 한 채를 구청이나 시청에서 사들여 작은 골목집을 작은 골목도서관으로 꾸며 동네마다 여러 곳 두면 참 좋으리라. 이렇게 하면 굳이 책을 안 버려도 된다. 동네사람은 동네에서 가까이 언제라도 찾아갈 도서관을 누릴 수 있고, 여행을 다니는 길손은 골목도서관에서 하룻밤 묵으면서 책바다를 누릴 수 있다.


  서울 홍제동 헌책방 〈대양서점〉에서 이오덕 님 책 《삶과 믿음의 교실》을 본다. 나는 예전에 이 책을 읽었지만, 낯익고 반가운 마음에 집어들어 살살 펼친다. 그러다가 ‘서울 간호전문대학’ 도서관에 있던 자국을 본다. 그렇구나. 대학교 도서관에 있던 책이로구나. 도서관에서는 이 책을 뒤에 ‘빌림종이’ 붙인 채 버렸네.


  네 사람 빌려서 읽은 자국 본다. 네 사람 뒤로는 더 빌려서 읽지 않았나 보다. 빌려서 읽은 네 사람은 어떤 넋 얻었을까. 이 책을 빌려서 읽지 않은 다른 숱한 그무렵 대학생들은 어떤 넋으로 대학교에서 학문을 익혔을까. 간호전문대학 도서관에서는 이 책을 갖추었다가 버렸는데, 다른 대학교 도서관에는 이 책 있을까. 교육대학교 도서관에는 이오덕 님 《삶과 믿음의 교실》을 곱게 갖추며 오래오래 잘 건사할까. 교육과학기술부에도 도서관 있다면, 그곳 도서관에는 이 책이 오늘날에도 예쁘게 꽂힐까. 앞으로 누가 서울 홍제동 헌책방 〈대양서점〉에 들러 이 책을 알아보고 기쁘게 손에 쥐어 읽을까. 4346.5.7.불.ㅎㄲㅅㄱ

 

(최종규 . 201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이효리 이야기책

 


  이효리 님 이야기 담은 《가까이》를 서울 가는 시외버스 기다리며 읍내 버스역에서 읽는다. 즐겁게 잘 읽는다. 시골 흙일꾼은 호미질로 지구별 살리고, 노래꾼은 노래로 지구별 살리며, 글꾼은 글 한 줄로 지구별 살리면 서로 아름답다. 이효리 님은 이효리 님대로 지구별 살리는 길 걷겠지. 우리 집 아이들은 날마다 새로운 몸짓과 노래와 웃음으로 집과 마을과 나라와 지구별과 온누리를 살린다. 모두들 가까이 다가서며 만난다. 저마다 가까이 손을 내밀며 웃는다. 다 함께 가까이 어깨동무하면서 하루를 빛낸다. 4346.4.20.흙.ㅎㄲㅅㄱ

 

(최종규 . 201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나츠코의 술

 


  만화책 《나츠코의 술》 열째 권 맨 마지막 쪽에 나오는 한 마디를 옮겨 본다. 내가 만화책을 비롯해, 책을 읽는 마음이 무엇인가 하고 다시금 되새긴다. “나츠코 씨, 술을 마음으로 맛보는 사람은 달리 없어요. 비센으론 성이 차지 않는다 여기는 사람도 당신뿐이에요.” 술은 혀로 맛을 보는가? 술은 머리로 맛을 보는가? 술은 가슴으로 맛을 보는가? 저마다 다 다른 느낌으로 술맛을 볼 테지. 그런데, 술이든 밥이든 국이든 고기이든 풀이든, 혀로만 맛을 볼 수 없다고 느낀다. 참말, 마음으로 맛을 보지 않고서는 혀로도 맛을 볼 수는 없는 노릇이라고 느낀다.


  술을 빚은 사람들 마음을 느끼면서 술맛을 본다. 밥을 지은 사람들 마음을 헤아리면서 밥맛을 즐긴다. 숲바람과 봄햇살 마음을 돌아보면서 봄나물을 먹는다. 마음을 느끼지 않을 때에는 무엇이든 겉치레가 된다고 본다. 마음을 느끼지 않기에, 책을 읽는 사람들이 으레 지식이나 정보에 끄달리거나 얽매이는구나 싶다. 마음을 살피지 않으니, 책을 읽는 사람들이 애써 아름다운 책을 읽었다 하더라도 스스로 삶을 새로 일구지 못하는구나 싶다. 마음으로 책을 읽을 때에 비로소 사람들 누구나 곱게 거듭나는 삶이 되리라 생각한다.


  맛집 이야기라든지, 요리나 술맛이라든지, 또 여행 이야기라든지 글로 쓰거나 사진으로 찍는 분이 부쩍 늘었다. 그런데 나는 그닥 끌리지 않는다. 술맛을 말하는 분들조차 혀로 느끼는 맛만 다룰 뿐, 술 한 모금 태어나 나한테 오기까지 어떠한 숲과 숨이 배었는가를 말하는 목소리는 거의 찾아볼 수 없다. 냉이를 먹고 달래를 먹으며 쑥을 먹을 때에 으레 ‘봄을 먹는다’고 말하면서도, ‘봄을 먹는다’가 무엇인가를 살갗으로라도 느끼는 사람이 매우 적다.


  봄을 먹을 수 있는 까닭은 마음을 먹기 때문이다. 봄맛을 느낄 수 있는 까닭은 마음을 느끼기 때문이다. 책을 읽을 수 있는 까닭은 마음을 읽기 때문이다. 책삶을 일굴 수 있는 까닭은 마음살이를 날마다 새롭게 지을 수 있기 때문이다. 4346.4.16.불.ㅎㄲㅅㄱ

 

(최종규 . 2013)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appletreeje 2013-04-16 11:10   좋아요 0 | URL
ㅎㅎ 저도 이제부터는 좋은 사람들과 술을 마실때는, 제가 마시는 이 술을 빚은 사람들 마음을 느끼면서 마셔야겠어요.
그렇지요. 혀로만 맛을 느끼기엔 무언가 진정 부족한 듯 싶어요.
마음으로 느껴야 참맛이겠지요~^^
책읽기도, 사람들을 만나는 일도, 계절을 느끼는 일도, 삶을 살아가는 일도요, 모두.^^

숲노래 2013-04-16 13:42   좋아요 0 | URL
언제나 좋은 마음 되기를 빌어요.
저도 저한테 늘 되새기면서 들려주는 말이기도 해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