빨려들기


 만화책 《유리 가면》을 읽는다. 그동안 숱한 사람들한테서 숱하게 이야기를 들었으나 딱히 읽어야겠다고 생각하지 못하던 작품이다. 아니, 읽어야겠다고 생각하지 못했다기보다 ‘연재가 다 끝나지 않았는데 권수가 장난 아니도록 많다’는 말 때문에 섣불리 엄두를 못 냈다고 해야 옳다. 마침 올 부산 보수동 헌책방골목 책잔치에 나들이를 갔다가 ‘헌책방골목 나들이를 하던 날’ 책방에 온 권이 들어와 얌전히 꽂힌 모습을 보고는 안 살 수 없어 ‘헌책 값으로도 그야말로 센 값을 치르고’ 장만했다.

 처음에는 아이 엄마가 읽고, 아이 엄마가 애장판으로 7권쯤 읽을 무렵 아이 아빠가 따라 읽는다. 한가위를 맞이해 음성 어버이 댁에 찾아뵈는 길에 《유리 가면》 이야기가 어떻게 이어지는가 궁금하고 자꾸 떠오른다. 한 마디로 말한다면 빨려든다. 1976년부터 그리는 작품이 사람을 이토록 빨아들일 수 있구나 하고 새삼 느낀다. 1976년부터 그리는 작품이라서가 아니라, 만화이든 글이든 사진이든 그림이든 춤이든 노래이든 연극이든 영화이든 …… 문화나 예술이라는 이름을 달고 온누리에 나오는 작품이라 할 때에는 《유리 가면》과 같이 사람들 마음을 사로잡을 수 있어야겠다고 느낀다. 아니, 다시금 고쳐 생각한다면, 《유리 가면》은 《유리 가면》대로 아름다우며 멋스러운 깊이를 품어야 하고, 우리들이 내놓는 작품은 우리들이 내놓는 작품다운 아름다움과 멋을 품어야 할 테지.

 내가 쓰는 글과 내가 찍는 사진이란, 다른 누구보다 나 스스로 빨려들 글이어야 하고 나부터 빨아들일 사진이어야 한다. 한 살 두 살 나이를 먹고, 한 권 두 권 새로운 책을 만나는 가운데 ‘온누리에는 이토록 아름다운 작품이 있고, 내 둘레에는 이와 같이 멋스러운 삶이 있어 고맙다’고 노상 깨닫는다. 한 가지라도 아름다운 작품을 만날 수 있으니 고마운 나날이요, 하나라도 멋스러운 삶을 마주하며 눈물젓거나 웃음지을 수 있으니 즐거운 하루이다. (4343.9.22.물.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서재 결혼 시키기


 몇 해 앞서인지 잘 떠오르지 않는다. 나도 그 책을 훑기는 했으나 사지는 않았다. 《서재 결혼 시키기》라는 책이 나온 적 있고, 이 책에 붙은 이름 때문인지 이 책에 담긴 줄거리 때문인지 “서재 결혼 시키기”가 바람처럼 분 적이 있다.

 열 며칠 앞서 드디어 인천 책짐을 모두 충주 산골마을로 옮겼다. 9월 4일에 옮긴 책짐은 모두 5톤 짐차로 석 대이고, 앞서 옮겨 놓은 책짐까지 더하면 5톤 짐차로만 넉 대치를 옮긴 셈이다.

 서재 짝짓기를 한다는 이들은 으레 ‘책 짝짓기’를 생각하리라 본다. 아마 ‘책꽂이 짝짓기’는 생각하지 못할 테며, ‘책 나르기’나 ‘책꽂이 나르기’라든지, 책과 책꽂이 새롭게 자리잡기는 꿈도 꾸지 않을 테지.

 밤 한 시에 일어나 세 시간 남짓 책과 책꽂이를 나르며 먼지를 닦고 하다 보니 무릎이 시큰거리기로 그치지 않는다. 다리가 아프지만 방바닥에 풀썩 하고 주저앉을 수 없다. 서울 용산에 자리한 헌책방 〈뿌리서점〉 아저씨는 아침에 책방 일을 한다며 나와서 늦은 밤에 댁으로 돌아갈 때까지 자리에 앉는 법이 없는 채 마흔 해 가까이 살아오셨다. 한 번 자리에 앉으면 다시 일어나기 어렵다면서 내내 선 채로 일을 하시는데, 아저씨 말이 즈믄 번 맞다. (4343.9.17.쇠.ㅎㄲㅅㄱ)

댓글(3)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카스피 2010-09-18 10:52   좋아요 0 | URL
5톤차로 4대분의 서적이라니 장말 ㅎㄷㄷㄷ하네요.아마 장서가 수천권을 되실듯 하네요^^

숲노래 2010-09-25 10:19   좋아요 0 | URL
5톤 짐차 한 대에는 책을 1만~1만2천 권쯤 싣는답니다...

카스피 2010-09-28 22:33   좋아요 0 | URL
허걱 정말 대단하시네요^^
 


 살림과 글쓰기 2 : 오마이뉴스 시민기자 그만두기


 지난 2000년부터 올 2010년까지 누리신문 〈오마이뉴스〉에 올린 기사가 3204꼭지이다. 열 해에 걸쳐 3204꼭지를 기사로 올리며 받은 글삯은 모두 12249000원이다. 글 한 꼭지에 3000원이 조금 넘고 4000원이 살짝 안 되는 셈이다. 열 해에 걸쳐 1200만 원이라면 한 해에 120만 원인 꼴이요, 다달이 10만 원이 떨어졌다는 소리이다. 글삯을 모두어 놓고 생각하면 큰돈이라 여길 테지만, 낱낱이 파고들면 하나도 큰돈일 수 없다. 열 해에 걸쳐 3204꼭지라면 거의 날마다 한 꼭지씩 기사를 띄웠다는 소리요, 날마다 기사를 하나씩 썼을 때에 다달이 10만 원을 받았다는 이야기이니까, 이런 글삯은 이른바 최저생계비는커녕 최저임금에조차 닿지 않는다.

 올 2월, 누리신문 〈오마이뉴스〉 열 돌을 기린다는 자리에서 〈오마이뉴스〉 대표를 맡은 오연호 님이 지나가는 말로 슬며시 “이야, 원고료를 이천만 원이나 받은 사람이 있어요?” 하고 놀라워 한 적이 있는데, 원고료 이천만 원을 받은 분은 기사를 1000 꼭지 넘게 예닐곱 해를 썼다. 이분한테도 글삯을 한꺼번에 모두 더해 놓고 보면 큰돈이라 생각할 수 있으나, 글 하나를 써서 띄우느라 들인 품과 땀과 나날을 헤아린다면 그야말로 푼돈일밖에 없다.

 ‘시민기자’라는 이름을 받고 누리신문 〈오마이뉴스〉에 글을 띄운 사람들은 큰돈을 번다거나 높은 이름값을 얻자고 글을 띄우지는 않았으리라 믿는다. 돈벌 생각이라면 이곳에 글을 띄울 까닭이 없다. 글을 바지런히 많이 띄운다고 돈이 될 턱이 없다. 그렇지만 적잖은 이들이 땀과 품과 나날을 바쳐 글을 띄웠고, 어느새 조용히 사라져 간다. 나 또한 열 해라는 햇수에서 멈춘다. 열한 해라든지 열두 해라든지 스무 해를 곱다시 이어갈 생각을 하지 않는다.

 곰곰이 헤아린다면, 한 달 10만 원을 글삯으로 번다 하여도 살림에는 어느 만큼 보탬이 된다. 그런데 한 달 10만 원 보탬을 하자며 들이는 품과 땀과 나날은 지나치게 많다. 한 달 10만 원 보탬을 안 하면서 이만 한 품과 땀과 나날을 우리 살붙이한테 들인다면 ‘돈벌이를 적게 하면서 훨씬 한결 더욱 즐겁고 기쁘며 보람찬 삶’을 영글 수 있다.

 나는 살림을 하는 사람이다. 나는 집살림도 하고 바깥살림도 한다. 집살림이란 밥하고 빨래하고 치우고 아이 씻기고 하는 모든 일이요, 바깥살림이란 살림돈이니 찻삯이니 전화삯이니를 버는 온갖 일이다. 다만 아직 다부진 살림꾼은 아니다. 살림 시늉을 하는 사람이다.

 살림이란 살리는 일이다. 돈을 벌든 집안을 가꾸든 살리는 일이 살림이다. 나로서는 다달이 10만 원을 더 버는 일이 참된 살림일까, 아니면 10만 원이라는 돈으로는 헤아리기 어려운 아름다우며 사랑스러운 손길을 누리는 일이 참된 살림일까.

 누리신문 〈오마이뉴스〉에 그동안 올렸던 글에 값하는 글삯이 줄잡아 3000∼4000원이지, 요 몇 해에 걸쳐 내가 글 하나 띄우며 받은 글삯은 글마다 2000원이었다. 그러니까 글 하나 여미는 데에 몇 시간, 글 하나 여미느라 이래저래 살피고 품 파느라 여러 날을 들이며 얻어들인 돈이란 2000원이었던 노릇이다. 이 돈 2000원이란 얼마나 고마운 품값인가. 그러나 이제는 이 고마운 돈에 매이기보다 더 고마운 우리 살붙이 사랑을 아끼고 싶다. 우리 살붙이 보금자리를 튼 산골마을 바람과 물과 하늘과 흙을 어깨동무하고 싶다. (4343.8.25.물.ㅎㄲㅅㄱ)

댓글(2) 먼댓글(0) 좋아요(3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I Love Cinemusic 2011-08-03 12:44   좋아요 0 | URL
궁금한 걸 조금 풀 수 있었네요...인기글이든 아니든 그 정도 수입이신가요?

2011-08-04 04:17   URL
비밀 댓글입니다.
 


 끊기


 〈조선일보〉를 보면서 〈조선일보〉를 나무라거나 꾸짖는 일은 틀림없이 뜻과 값이 있다. 〈조선일보〉를 나무라거나 꾸짖는 글을 쓴다면 꽤나 많은 사람이 읽으며, 꽤나 많은 사람한테 뜻깊고 값있는 이야기를 나눌 수 있다. 이와 달리, 우리 스스로 참되고 착하며 곱게 살아갈 길을 글로 쓴다면 거의 아무런 사람도 알아보지 못할 뿐더러 애써 읽어 준 몇몇 사람조차 속내를 받아들이지 못한다.

 〈조선일보〉를 나무라거나 꾸짖는 글을 쓰거나 말을 하든, 〈조선일보〉를 사랑하면서 즐겨보든 모두 똑같은 굴레 똑같은 물줄기가 되고야 만다. 우리는 〈조선일보〉를 생각하거나 사랑하거나 걱정할 사람이 아닌, 내 삶을 생각하거나 사랑하거나 걱정할 사람이어야 하지 않을까.

 〈조선일보〉를 끊어야 하는 까닭은 또렷하다. 옳거나 바르거나 알맞거나 슬기로운 길로 나아가지 않기 때문이다. 참되거나 착하거나 고운 삶을 저버리기 때문이다. 그러면, 이 땅에서는 〈조선일보〉라는 신문 한 가지만 옳거나 바르거나 알맞거나 슬기로운 길을 안 걷고 있는가. 이 나라에서는 〈조선일보〉라는 신문 하나만 참되거나 착하거나 고운 삶을 저버리고 있는가.

 우리는 옳지 않고 바르지 않으며 알맞지 않은데다가 슬기롭지 않은 모든 신문을 끊어야 한다. 우리는 참되지 않고 착하지 않으며 곱지 않은 모든 책은 내려놓아야 한다.

 더 많이 알 까닭이 없다. 더 많이 읽을 까닭이 없다. 더 아름답게 알아야 한다. 더 아름다이 읽어야 한다. 나 스스로 내 삶을 사랑하고 있다면 사랑스러운 몸과 마음이 되도록 살아야 한다. 〈조선일보〉 한 가지만 끊는다고 우리 누리가 달라지지 않는다. 여기에 〈동아일보〉와 〈중앙일보〉를 덤으로 끊는다고 내 삶이 새로워지지 않는다. 이 세 가지 신문만을 끊는 사람은 겉발림일 뿐이다. 이 세 가지 신문만 끊는다 하지만, 정작 이 세 가지 신문조차 끊지 못하는 사람은 거짓말쟁이이다. 우리는 〈한겨레〉와 〈경향신문〉뿐 아니라 〈오마이뉴스〉와 〈프레시안〉과 〈레디앙〉 모두 끊을 줄 알아야 한다. (4343.8.24.불.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만화책 《이누야샤》


 나이로 치면 열대여섯 푸름이가 나누는 사랑이야기를 다루는 만화책 《이뉴야샤》는 모두 쉰여섯 권으로 마무리를 짓습니다. 마지막 쉰여섯째 책을 펼치면 거의 막바지에 다다른 154쪽에서 《이누야샤》 주인공인 ‘카고메’가 어두운 저승나라에서 ‘언제라도 … 이누야샤는 와 주었어. 이제 무섭지 않아.’ 하고 생각합니다. 만화책 《이누야샤》는 틀림없이 푸름이들 사랑을 말하거나 보여주는데, 이 만화책에서는 뽀뽀를 한다든지 손을 맞잡는다든지 어깨동무를 한다든지 부둥켜안는다든지 하는 대목이 거의 나오지 않습니다. 아니, 이런 대목은 아예 나오지 않습니다. 반가웁기에 얼싸안거나 어디로 가자며 잡아끌 때에 손을 잡는 일은 있습니다만, 살과 살을 부비거나 몸과 몸이 맞닿으며 사랑을 나타내는 일이란 없습니다. 그러나 만화책 《이누야샤》는 어김없이 사랑이야기를 보여줍니다. 애틋하고 살가이 복닥이는 ‘카고메’와 ‘이누야샤’ 사이이든, ‘산고’와 ‘법사’ 사이이든, 이들이 저마다 스스로 좋아하는 삶을 찾아 일거리와 놀이거리를 붙잡으면서 저희 삶터를 아끼고 돌보는 흐름을 넌지시 보여주는 가운데, 참사랑이란 어떻게 샘솟고 어찌어찌 꽃피우며 어떠한 모습으로 열매를 맺는가를 밝힙니다. (4343.8.21.흙.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