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이와 글쓰기


 앞에 메는 가방에 넣는 작은 수첩이 있다. 어디를 다니든 이것저것 끄적이는 수첩으로 삼는다. 돈을 얼마나 썼는가를 적기도 하고, 만난 사람하고 나눈 이야기를 쓰기도 하며, 그때그때 느낀 여러 가지를 적바림하기도 한다.

 빈 공책 두 벌을 마련한다. 빈 공책 하나에는 사진일기를 쓰기로 하고, 다른 하나에는 책일기를 쓰기로 한다. 아이와 함께 살아가면서 아빠가 셈틀 앞에 너무 오래 매달리는 일은 좋지 않다고 느낀다. 따지고 보면, 아이랑 부대끼느라 셈틀 앞에 앉아 글쓰기를 할 겨를도 얼마 안 되지만, 셈틀 앞에 앉는 겨를을 더 줄여, 아이 옆에 나란히 앉거나 엎드려서 내 공책에 내 삶을 적으려 한다. 이렇게 하면 아이는 아빠 곁에서 놀거나 아빠를 따라 빈 종이나 달력이나 그림종이에 이것저것 그리겠지.

 종이에 글을 천천히 적는다. 셈틀로 적바림하는 글은 한글을 알면 누구나 읽는다. 삐뚤빼뚤한 글씨가 없는 셈틀 글이다. 종이로 적는 글은 한글을 안달지라도 삐뚤빼뚤 쓰면 누구도 읽기 힘들다. 천천히 쓰되 또박또박 써야 하고, 바삐 쓴달지라도 꾹꾹 눌러 가면서 써야 한다. 종이에 쓰는 만큼 더 쓰고 싶어도 팔과 팔뚝과 손목과 손가락이 아프거나 저려 더 못 쓰곤 한다. 아이랑 놀거나 밥을 하거나 아이 오줌을 누이거나 하면서 쓰다가 쉰 다음 다시 써야 하기 일쑤인데, 이러거나 저러거나 괜찮다. 셈틀로 글을 쓸 때에는 애먼 전기를 먹으며 내내 켜 놓아야 한다.

 셈틀로 써서 셈틀로 읽는 전자책이 아니라, 종이에 찍어 나오는 종이책을 바란다. 내가 쓰는 모든 글이 종이책이 될 수 있다고는 여기지 않지만, 내가 쓰는 이야기를 책으로 묶을 때에는 전자책 아닌 종이책으로 묶고 싶다. 아주 많은 사람한테 읽혀야 하지는 않다. 꼭 알맞게 읽어 꼭 알맞게 잘 살아가는 길동무로 삼으면 즐겁다. 종이에 적바림하는 글은 나 혼자 읽을는지 모르고, 옆지기가 읽어 줄는지 모르며, 나중에 아이가 읽어 줄 수 있겠지. (4344.1.7.쇠.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마늘과 글쓰기


 찌개를 끓이면서 마늘을 작은 돌절구에 빻아서 넣는다. 혼자서 밥하고 찌개를 끓이면서 마늘까지 빻아 넣자면 번거롭다 할 만하지만, 마늘 빻아 넣기까지는 얼마 걸리지 않는다. 1∼2분을 번거로워 하면 끝없이 번거롭지만, 찌개 불을 올린 뒤 손 갈 일이 없을 때를 헤아려 마늘을 빻아 넣으면 하나도 번거롭지 않다. 밥차림 하는 흐름이 물처럼 부드러이 흐를 뿐이다. (4344.1.5.물.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새해와 글쓰기


 이제껏 새해를 새해라고 여기며 맞은 적은 없다. 글을 쓰고 나서 끝에 붙이는 날짜가 조금 달라진다고 여길 뿐, 새해라 해서 헌해가 아쉽거나 새해가 반갑거나 하지 않다. 헌해가 그립거나 새해가 애틋하지 않다. 아무래도 여태껏 걸어온 내 삶이란 내 길만 헤아린 삶이었기 때문에 굳이 내 나이라든지 새해라든지 돌아볼 까닭이 없는지 모른다. 바깥에 눈길을 돌린다거나 보배스러운 삶을 남들한테서 찾는다면 새해를 새삼스레 느끼겠지만, 내가 보내는 하루하루야말로 보배스러운 삶이라고 여긴다면 새해라 해서 달라질 느낌은 없다. 다짐을 하건 일을 하건 놀이를 하건 사람을 만나건 ‘바로 오늘’부터 할 뿐이기 때문이다.

 2011년 1월 1일을 맞이하여 아이가 네 살이고, 오뉴월에 둘째가 태어난다. 첫딸하고 어느새 네 해(서른 달)째 함께 살아가는 셈이요, 둘째랑 첫 해를 살아가는 셈이다. 둘째는 엄마 배속에서 자라니까 지난해부터 함께 살아왔다고 해야 옳겠지. 아이가 엄마 배속에 고운 보금자리를 마련한 나날부터 우리 집은 네 식구 살림이니까.

 아빠는 새해 첫날을 맞이했어도 떡국을 끓인다는 생각을 하지 않았다. 양력설 아닌 음력설을 쇠니까 양력설에 굳이 떡국을 낼 까닭이 없는지 모르나, 생각조차 못했다. 네 식구 복닥이는 나날로 노상 빙글빙글 돌기 때문이다. 옆지기 동생들이 양력설 맞이 마실을 와 주면서 떡국떡을 들고 왔기에, 이 떡국떡을 국을 끓이며 넣을 때에 비로소 ‘새해 첫날이니 떡국을 차려서 먹네.’ 하고 깨달았다.

 밥을 하면서 만화책을 들여다본다. 다른 때에는 책 들출 겨를이 없으니, 밥을 안치고 찌개를 끓이며 다른 이것저것을 하는 틈에 조금이나마 책을 들춘다. 아이는 불가에서 서성이며 논다. “이거 뜨거워?” 하고 묻기에 “응, 뜨거워. 가까이 가지 마.” 하고 얘기할 뿐, 아빠는 아이도 즐길 만한 일거리를 나누어 주지 않는다. 모처럼 어른 넷에 아이 하나 밥차림 설거지를 하는 동안에도 아이가 부엌에서 거치적거린다고 여길 뿐, 아이한테 무어 하나 심부름이라도 하지 않는다. 그러다 문득 ‘이 바보, 아이는 저랑 놀아 주거나 저한테도 뭔가를 시키지 않으니 얼마나 심심하겠니.’ 하고 떠오른다. 내 어릴 적, 언제나 일만 하느라 바쁜 어머니는 당신 아이한테 따로 말을 걸거나 놀아 줄 틈이 없었다. 아이인 나는 어머니 곁에 촐랑촐랑 따라붙으며 다녔고, 어머니는 퍽 귀찮아 하시기는 했으나 이것저것 심부름이나 잔일을 시켰으며, 심부름이나 잔일을 하며 즐거워 하곤 했다. 쓰레기 하나 내다 버리든 밥상을 닦든 아주 조금이라도 집일을 거든다면서 더없이 뿌듯했고, 밥값을 했다고 느꼈다.

 옆지기 남동생한테 ‘아빠가 설거지한 그릇을 모시천으로 닦는 일’을 시키다가, ‘설거지한 그릇을 옆지기 남동생한테 건네주는 몫’을 아이한테 맡긴다. 아이는 차분한 얼굴로 그릇을 착착 받아 넘긴다. 마치 어린 날 제 아버지 얼굴하고 같다.

 깊어 가는 밤나절, 아이는 잠들지 않는다. 제 손수건에 침을 발라 빈 밥그릇을 닦는 시늉을 한다. 아까 설거지를 할 때에 외삼촌이 모시천으로 그릇 물기를 닦는 모습을 따라한다. 아이가 유리잔을 꽤나 많이 깨뜨리기는 했으나, 웬만해서는 놓쳐서 깨뜨리지는 않으니까, 아이한테도 이 일을 좀 시킬까. 엄마는 아이한테 밥상 닦는 일을 시켜 주라 얘기한다. 아빠 혼자 다 하기만 한다면 힘들기도 힘들고, 아이한테 한두 가지 시킨들 일거리가 줄지 않으나, 아이로서 무언가 겨울날 집안에서 오래오래 보내야 하는데, 자잘하더라도 일거리를 느끼며 함께 하도록 마음을 쓰지 않으면 아이는 자꾸자꾸 제 어버이 말을 안 들을는지 모른다.

 아이는 제 엄마랑 아빠가 하는 말을 귀담아들으며 제 말을 배우고, 아이는 제 엄마랑 아빠가 하는 일을 거들며 제 몸을 가꾼다. 아이가 손을 다칠까 걱정하거나 아이가 물건을 떨어뜨려 망가뜨릴까 근심한다고 해서 나쁜 일이 아니다. 이런 일도 걱정하고 근심하는 한편, 아이가 심심해 할까 걱정하고, 아이가 무엇을 배우며 마음을 가다듬어야 좋을까를 근심해야지 싶다. 아이가 깨어 돌아다니는 동안에는 아이가 혼자 책읽기나 그림그리기에 빠져들지 않는 만큼, 아이 앞에서 되도록 책읽기를 하지 말아야겠다. 아니, 책읽기를 못하겠지. 아이한테 자꾸 말을 걸고, 심부름을 시키며, 아주 살짝이라도 가만히 있지 못하도록 놀려야겠다. 엊그제까지 이 일을 옳게 못했으니, 오늘부터 이 일을 옳게 하도록 한결 마음을 기울이자. (4344.1.2.해.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선물과 글쓰기 

  난 어릴 때부터 무언가 선물을 받으면 그 자리에서 열거나 뜯어 마음껏 즐겨 본 일이 없다. 늘 집까지 가지고 돌아와 어머니 앞에서 말씀드리고 나서 끌거나 뜯었다. 옆지기와 아이하고 살아가는 오늘날은 집에서 옆지기랑 아이가 보는 앞에서 선물을 끌른다. 내가 먼저 맛보거나 나부터 슬쩍 들여다보고 싶지 않다. 아니, 이런 마음이 드는 적이란 없다. 대수로운 선물이든 흔한 선물이든 똑같은 선물이고 한결같이 사랑스럽다. (4343.12.29.물.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김치와 글쓰기


 아침밥을 차리면서 김치를 옮겨 담는다. 옆지기 어머님이 마련해 주신 김치가 담긴 큰 통에서 밥자리에서 쓰는 작은 통으로 옮긴다. 바깥에 내놓는 김치는 꽁꽁 얼어붙는다. 가위로 폭 찍어서 옮긴다. 열무김치는 한손으로 하나씩 집어 먹기 좋도록 자른다. 이 김치나 저 김치나 꽁꽁 얼어붙었기에 김치를 쥐는 한손 또한 얼어붙는다. 세 가지 김치를 통 하나에 1/3씩 나누어 담는다. 김치를 옮겨 담는 내내 얼은 손가락은 꽤 오래도록 녹지 않는다. 얼어붙는 겨우내 먹는 김치는 얼어붙는 채 겨울을 함께 나는 셈일까. 김치를 쥐기만 해도 손이 얼어붙는다면 겨울 동안 김치를 담글 수 없겠지. 미리미리 김치를 비롯한 다른 먹을거리를 알뜰히 마련해 놓아야 할 테지.

 소복소복 쌓인 눈을 빗자루로 쓴다. 눈을 쓰는 동안 손가락은 다시 얼어붙는다. 군대에서는 겨울이면 하루 몇 시간씩 눈을 쓸었는데, 그때에도 손가락은 꽁꽁 얼어붙었다. 그무렵 그 겨울을 어떻게 보냈으려나. 앞으로 또 눈이 오면 또 눈을 쓸면서 또 손가락이 얼어붙겠지. 나는 바보처럼 손가락 얼어붙으면서 살아간다. (4343.12.26.해.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