란마 1/2 애장판 13
다카하시 루미코 지음, 이소연 옮김 / 서울미디어코믹스(서울문화사) / 2020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꽃 / 숲노래 만화책 . 만화비평 2024.1.6.

만화책시렁 607


《란마 1/2 25》

 타카하시 루미코

 장은아 옮김

 서울문화사

 2003.7.15.



  우리가 입고 태어나는 몸은 오늘 이곳에서 살아가는 바탕입니다. 좋은 몸이나 나쁜 몸이 아닌, 겪는 몸이고 보는 몸이고 자라는 몸입니다. 키나 몸집이 늘어날 적에만 자란다고 하지 않아요. 배우기에 자라고, 받아들여 살피기에 자라고, 눈여겨보고 살펴보고 돌아보는 동안 마음에 생각을 심기에 자랍니다. 《란마 1/2 25》은 ‘사내몸’을 가까스로 되찾은 란마 이야기를 들려줍니다. 어쩌다가 찬물이랑 뜨거운물 사이에서 사내몸 ·가시내몸이 엇갈리는 길을 가야 하는 란마입니다. 란마 스스로 살아가고픈 몸을 잃어야 할 적에는 하나도 즐거운 일이 없어요. 부딪히고 깨지고 핀잔을 듣더라도 스스로 바라는 몸을 입을 적에 즐겁습니다. 아카네도, 아카네 두 언니도 매한가지입니다. 스스로 그리는 꿈길에 따라서 하루를 살아갈 적에 즐거워요. 등떠밀린다거나 바라지 않는 길을 갈 마음이 없어요. 그렇다면 란마는 두 몸을 겪는 동안 마음이 자랐을까요? ‘내가 아닌 나’로 지내는 몸일 적에 ‘나 아닌 너’를 새롭게 받아들이면서 이웃이며 동무이며 둘레를 깊고 넓게 헤아리는 눈썰미를 키웠을까요? 《란마 1/2》은 두 아이랑 여러 사람들이 함께 자라는 하루를 펼친다고 여길 만합니다. 지지고 볶지만 마음 깊이 아끼고픈 씨앗을 심습니다.


ㅅㄴㄹ


“료가, 무스. 너희들 덕에 남자로 돌아왔어. 고맙다.” “훗, 그만둬. 우린 빚을 갚았을 뿐인데.” “무슨 소리. 난 정말 고맙게 생각해. 그야 조금은 너희들의 딸빵함 때문에, 방해가 된 적도 있었지만.” “미안하게 됐다.” (27쪽)


“여전히 귀여운 구석이라곤 없구만. 남은 죽어라 고생만 하고 왔는데. 다정한 말 한 마디 해주면 어디가…….” (34쪽)


“평범하게 만들었어!” “란마, 왜 그때 먹어주지 않은 거냐―!” “뭐가, 아저씨는 뭐.” “란마를 위해서 애써 만든 거 아니었을까나.” (159쪽)


+


《란마 1/2 25》(타카하시 루미코/장은아 옮김, 서울문화사, 2003)


뜨거운 기의 잔재로 꽉 차 있다

→ 뜨거운 기운이 남아 꽉 찼다

12쪽


선생님은 이런 애 전문이야

→ 샘님은 이런 애 꿰찼어

→ 나는 이런 애 잘 다뤄

49쪽


진귀한 걸 봤지 뭐야

→ 드문 꼴을 봤지 뭐야

64쪽


코트 안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건 치외법권

→ 마당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건 봐주지

→ 놀이판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건 눈감지

→ 놀이마당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건 품꽃

105쪽


도망갔잖아, 불량소녀

→ 달아났잖아, 말썽뭉치

→ 내뺐잖아, 나쁜아이

→ 가버렸잖아, 얄개

125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여성운동역사만화 4 - 반성착취운동사 여성운동역사만화 4
덕분 지음 / 열다북스 / 2022년 10월
평점 :
품절


숲노래 그림꽃 / 숲노래 만화책 . 만화비평 2024.1.5.

만화책시렁 604


《여성운동역사만화 4 반성착취운동사》

 덕분

 열다북스

 2022.5.6.



  제가 집안일을 도맡으면서 집밖일까지 한다고 말하면 으레 두 갈래로 쳐다봅니다. 첫째는, 아이들이 좋아하면서 집안이 도란도란하겠다고 여깁니다. 둘째는, 왜 사내가 집안일을 다하느냐고, 그 집은 각시가 뭐 하느냐고 따집니다. 이런 대꾸를 지켜보면서 ‘아버지가 집안일을 도맡을 적에 집안이 따뜻하다’고 여기는 사람하고 함께 일을 하고 어울려야겠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어머니가 집안일을 도맡아야 한다고 여기는 가난하고 철없는 마음’인 이웃하고 굳이 함께 일할 까닭은 없되, 이분들한테도 ‘사랑으로 짓는 보금살림’을 이따금 들려줄 수 있어야겠다고 생각합니다. 《여성운동역사만화 4 반성착취운동사》는 ‘돈으로 노리개를 사는 철딱서니없는 사내’ 이야기를 다룹니다. 그런데 ‘안희정·박원순·오거돈’은 안 건드리는군요. 좀 얄궂습니다. 무엇보다도 이 책은 “남자로 태어났으면 모두 나쁜놈(가해자)이다”라는 눈길로 엮었더군요. “젊은 사내를 돈으로 사서 노리개로 부리는 가시내”도 꽤 있습니다만, 이른바 ‘성산업’이라 일컫는 ‘성착취’는 거의 “바보 사내가 돈과 힘과 이름을 내세우는 얼간이 짓”입니다. ‘텐프로·일프로’가 뭔 소리인지 모르고 살다가, 2024년 1월에 처음 알았어요. 어느 분이 스스로 숨을 끊은 뒤에 나온 새뜸글로 알았습니다. 돈·이름·힘을 거머쥔 이들은 여느사람이 알 길이 없는 뒤켠에서 응큼짓을 참 오래도록 몰래 해왔다지요. ‘고은 성추행’도 같은 얼개입니다. ‘성추행 고은을 감싸고 추켜세우는 무리’도 똑같지요. 우리나라는 ‘한국작가회의’ 테두리에서 ‘성추행 글바치’를 외려 감싸더군요. ‘성추행 글바치’가 아직도 그곳 ‘이사’로 있더군요. 이러구러, 그린이와 엮은이 말처럼 숱한 사내는 바보짓을 합니다만, “모든 사내가 바보짓을 하지는 않”습니다. 왜 싸우려고 하지요? ‘페미니즘’은 싸움박질이 아닙니다. 페미니즘은 “사랑을 잊고 잃은 철없는 바보로 나뒹구는 사람들한테 참사랑이 무엇인지 일깨우면서 손을 잡고 어깨동무를 하면서 새롭고 푸르게 온누리를 가꾸려고 하는 길”일 텐데요? 모든 사내를 “잠재적 범죄자”로 여기는 눈길로는 페미니즘이 아닌 나치즘이 될 뿐입니다. 사내는 집안일을 거뜬히 해낼 줄 아는 일꾼입니다. 왜 ‘사내’를 ‘머스마’라 하겠어요? 우리말 ‘머슴·머스마’는 말밑이 같아요. 얼뜬 우두머리한테 휘둘려 싸울아비(군인) 짓을 일삼는 사내는 가시내를 사랑하지 않고 노리개로 다룹니다. 철든 가시내가 사랑으로 북돋우고 이끌고 가르칠 적에는 ‘사내(머스마)’는 착하고 참한 머슴으로서 보금자리를 일굽니다. 페미니즘이 페미니즘다우려면, 먼저 “군대 폐지”부터 외칠 줄 알아야지 싶어요. 우리나라 사내가 이웃나라보다 더 바보로 뒹구는 가장 큰 고름덩이는 바로 싸움터(군대)입니다. 싸움터에서 총칼로 사람을 때려잡는 짓에 길든 사내는, 일터에서도 집에서도 마을에서도 바보짓을 일삼아요. 북녘은 남녘보다 더 오래 싸움터에 갇혀 지내기에, 북녘 사내는 남녘 사내는 저리 가라 할 만큼 가시내를 짓밟고 하찮게 여긴다고 합니다. 모든 엉큼짓(성추행·성폭력)은 “군대 위계질서 가부장권력”에서 비롯합니다. 그런데 이 서슬퍼런 군대에서 얻어터지면서도 엉큼짓을 안 하고, 돈으로 가시내를 사지 않는, 참사람으로 살아가려는 사내도 적잖이 있습니다. 부디 갈라치기가 아닌 숲빛살림으로 사랑하는 길을 짚을 수 있기를 바랍니다.


ㅅㄴㄹ


돈 많은 사업가는 물론 평범한 남성, 가난한 남성들에게도 성착취는 ‘남성다움’을 확인하는 수단이었습니다. 셀 수도 없이 많은 남자들이 성착취를 했습니다. (26쪽)


그 이유는 사실 경찰에게 성착취를 근절시킬 마음이 없었기 때문입니다. (41쪽)


1978년 한 해에 한국이 성착취 산업을 통해 일본 남성에게 벌어들인 돈만 해도 700억 원에 달했지만 정작 여성들의 손에 남는 돈은 없었습니다. (55쪽)


그러나 남자들에겐 ‘성착취할 권력’을 내려놓을 생각이 전혀 없었습니다. (68쪽)


폭탄주가 문제겠습니까. 사건이 일어난 그 한정식집은 젊은 여성이 옆에서 식사 시중을 들고 노래 도우미도 해주는 곳이었습니다. (162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따맘마 슈퍼 1
케라 에이코 지음 / 대원씨아이(만화) / 202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꽃 / 숲노래 만화책 . 만화비평 2024.1.2.

만화책시렁 602


《아따맘마 super 1》

 케라 에이코

 정은 옮김

 대원씨아이

 2023.3.15.



  우리 하루는 모두 다르게 노래입니다. 웃음노래일 수 있고, 눈물노래일 수 있고, 멍하니 구경하는 노래일 수 있습니다. 어느 노래이건 받아들이는 마음에 따라 바뀝니다. 낫거나 나쁜 노래란 없이, 오롯이 이 하루를 들려주는 노래입니다. 《아따맘마 super》는 《아따맘마》를 잇는 꾸러미입니다. 책이름에 ‘super’가 붙으나, 그동안 편 꾸러미하고 똑같은 얼거리입니다. 엄마랑 아빠가 한집에 있고, 동생이랑 나(그린이)도 한집에서 지냅니다. 네 사람을 둘러싼 이웃사람이 어느 마을 한켠에서 보내는 하루를 담아냅니다. 《아따맘마 super》는 돌림앓이를 둘러싸고서 바뀐 터전을 그리는데, 붓힘이 많이 떨어진 듯싶습니다. 그림결은 예전보다 반듯하고 알록달록하지만, 어쩐지 쳇바퀴 같아요. 《아따맘마》로 스물한 자락을 그렸다면, 이제 “우리 집” 이야기가 뭔가 새롭게 나아가는 길을 들려줄 만하지 않을까요? 뭘 확 바꿔야 한다는 뜻이 아닙니다. 삶이란 무엇인지 들여다보고, 숨결과 살림과 사랑이 어우러지는 길을 살펴볼 나이일 텐데, 이러한 눈망울이 잘 안 보입니다. 그림감에 매달려 얼른 그려내려고 서두르는 듯싶기도 합니다. 우리 삶은 “흔한 하루”가 아닌 “늘 다른 하루”입니다. 두 갈래를 잘 들여다보기를 바라요.


ㅅㄴㄹ


“사람의 실패란 뱀의 허물 같지 않니?” “뭐?” “뱀의 허물! 실체는 이미 그곳에 없는 것! 대부분의 사람들은 허물을 보고 이러쿵저러쿵 말을 하지. 하지만 본체는 거기에 없는 경우가 있잖아. 무시하고 앞으로 나가면 되는 거야. 본체는.” “선남ㅇ, 굉장해! 심오해!” (54쪽)


‘아빠가 산 채. 엄마가 산 책. 아마 1페이지도 읽지 않았을 것. 실용서는, 부적? 아마 아빠는 사기만 했는데 이미 금연한 기분. 엄마는 9kg 감량한 이미지만 생겼을 뿐. 책을 사기만 할 뿐 아무것도 하지 않고! 아무것도 달라지지 않았는데! 책은 굉장해.’ (92쪽)


#あたしンち #けらえいこ


《아따맘마 super 1》(케라 에이코/정은 옮김, 대원씨아이, 2023)


똥그란 중년 여성으로밖에 안 보이는데

→ 똥그란 아줌마로밖에 안 보이는데

11


엄마는 주말여행

→ 엄마는 쉬는마실

→ 엄마는 쉼날마실

18


100보 양보해서 꼭 닮은 사람을 만날 운이겠지

→ 봐줘서 꼭 닮은 사람을 만날 길이겠지

→ 다 접어서 꼭 닮은 사람을 만나겠지

23쪽


헤어밴드로 자체 제작. 아아아∼ 이거 진짜 좋다! 자체 제작 최고!

→ 머리띠로 뚝딱. 아아아! 참말 좋다! 뚝딱질 좋아!

→ 머리띠로 손수짓기. 아아아! 참 좋다! 혼솜씨 좋아!

47쪽


이건 완전히 끊어져버렸어. 사용불가

→ 아주 끊어져버렸어. 버려야 해

→ 그냥 끊어져버렸어. 버림치

→ 다 끊어져버렸어. 망가졌어

→ 끊어져버렸어. 못 써

51


나는 조심하자. 현실 직시!

→ 나는 잘 하자. 바로보자!

→ 나는 살피자. 똑바로!

→ 나는 살펴보자. 나보기!

93쪽


두 번째는 지면에 때려박아버렸지

→ 둘째는 바닥에 때려박아버렸지

→ 둘째는 땅바닥에 때려박아버렸지

94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보석의 나라 12
이치카와 하루코 지음 / YNK MEDIA(만화) / 2023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꽃 / 숲노래 만화책 . 만화비평 2024.1.2.

책으로 삶읽기 882


《보석의 나라 12》

 이치카와 하루코

 신혜선 옮김

 YNK MEDIA

 2023.9.15.



《보석의 나라 12》(이치카와 하루코/신혜선 옮김, YNK MEDIA, 2023)을 읽었다. 이 그림꽃은 대여섯째부터 기우뚱했다. 갈피를 못 잡고 헤매는 줄거리를 억지스레 잇더니 어떻게 매듭을 지어야 할는지 오락가락하고, 드디어 열두걸음에서 끝낸다. 끝내려면 진작에 끝냈어야지. 두루뭉술하게 늘어뜨리다 보니 아주 뒤죽박죽이다. 빛돌도 빛도 아닌, 아무런 빛살이 없는 돌덩이인 달나라에서 멈춘다. 곰곰이 보면 모든 싸움은 덧없고 부질없고 뜻없고 쓸모없다. 싸워서 이기거나 물리치려고 힘을 기르는 짓도 값없고 쓸데없고 뜻없다. 언뜻 보면 푸른별 사람들을 빗댄다고 여길 만하지만, 귀엽게 그리고 싶었을 뿐이지 싶다. 그러고 보면, 우리는 귀여워 보이기를 바라는 몸짓이요 옷차림이다. 그저 다 허울이다.


ㅅㄴㄹ


“너를 이해해 주지 못해서 미안해.” (47쪽)


“진정한 동료 따위는 없어.” “그럴지도.” “볼품없고 가여워.” (54쪽)


“네 덕분에 다른 애들과 친해질 수 있었어. 즐거웠어.” (71쪽)


“임무가 끝났다고 선언해 줄 인간이 나타나길 오래도록 기다렸다.” (90쪽)


+


월인으로 수복된다는 뜻이네

→ 달사람으로 거둔다는 뜻이네

→ 달사람으로 된다는 뜻이네

→ 달님으로 돌아간단 뜻이네

121쪽


이로써 종전을 선언한다

→ 이제 싸움은 끝이다

→ 이제 싸움을 마친다

135쪽


달의 도시에서 지내게 될 거다

→ 달마을에서 지낸다

135쪽


일만 년이면 완료될 것 같습니다

→ 한 골이면 끝날 듯합니다

→ 골 해라면 마칠 듯합니다

153쪽


특별한 존재가 되는 것이 꿈이었지만

→ 남다르게 되고 싶어했지만

→ 유난하기를 꿈꾸었지만

155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천하무적 홍대리
홍윤표 지음 / 일하는사람들의작은책 / 1998년 12월
평점 :
절판


숲노래 그림꽃 / 숲노래 만화책 . 만화비평 2023.12.31.

만화책시렁 566


《천하무적 홍대리》

 홍윤표

 일하는 사람들의 작은책

 1998.12.31.



  뭔가 말끔해야 글이나 그림이나 빛꽃(사진)이 대단하다고 잘못 여기는 사람이 많습니다. 사람은 옷차림이 아닌 마음으로 봐야 하는데 말이지요. 어쩐지 차림새가 초라하면 떨어지거나 나쁘다고 여기는 사람이 많아요. 사람은 키나 몸매나 얼굴이 아닌 오롯이 넋으로 마주해야 참답게 사귀는데 말예요. 《천하무적 홍대리》는 재미있고 따뜻합니다. 이다음에 나온 둘째나 셋째나 넷째는 재미없고 안 따뜻합니다. 그림님은 투박하고 거칠고 수수한 붓끝으로 첫자락을 여미었어요. 붓끝은 좀 모자라다 싶어도, 그림꽃으로 담으려는 마음이 넉넉했어요. 이와 달리, 둘째에 셋째에 거듭하는 동안 “뭔가 다르고 튀고 재미있어 할 줄거리”를 뽑아내야 한다고 여길 뿐 아니라, “깔끔하고 이쁜 그림”까지 빚어야 한다고 여기더군요. 일터에서 ‘대리’이든 ‘신입사원’이든 일을 말끔하게 해낼 줄 아는 사람이 아닙니다. 엇나가거나 넘어지거나 틀리거나 엎어질 수 있는 사람입니다. 엉뚱하거나 모르거나 어수룩할 수 있는 사람이에요. 찰칵 찍을 적에 흔들리기에 나쁜 빛꽃이 아닙니다. 다른 이를 흉내내거나 번듯하게 찍으려고 하니 덧없고 멋없습니다. 우리나라 그림꽃이 거의 죽어갈 즈음, 붓 한 자루로 ‘삶’을 이야기했던 손길을 돌아봅니다.


ㅅㄴㄹ


“너희 부장님은 어떤 분이냐?” “몰라? 야∼ 말도 말아라! 우리 부장님은 …… 엿듣기를 아주 좋아하는 분이셔!” (11쪽)


“홍대리! 기안 다 끝났어?” “예, 지금 갑니다. 여기요!” “토요일이 그렇게 좋아?” “그럼요!” (46쪽)


“이봐! 경고하는데 시계 좀 그만 쳐다봐! 퇴근시간 기다린다고 광고하는 거야, 뭐야? 시간이 궁금하면 손목시계를 차고 다니거나 탁상시계를 사! 요령이 없어.” “부장님.” “왜?” “지금 몇 시예요?” (74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