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 나비 1
모리시타 수 지음 / 대원씨아이(만화) / 2013년 10월
평점 :
품절


숲노래 그림꽃 / 숲노래 만화책 . 만화비평 2025.3.1.

책으로 삶읽기 993


《매일 나비 1》

 모리시타 수

 김진수 옮김

 대원씨아이

 2013.11.15.



《매일 나비 1》(모리시타 수/김진수 옮김, 대원씨아이, 2013)를 읽었다. 오가는 마음을 알기 어려울 수 있지만, 겉모습이나 얼굴만 쳐다보려고 하지 않는다면, 어느 때부터 가만히 느끼게 마련이다. 겉모습이나 얼굴로 알아보려고 하면 마음을 못 알아본다. 말로 꼭 들으려고 붙잡을 적에도 마음을 못 느끼기 쉽다. 마음은 꾸미지 못 하지만, 말은 얼마든지 꾸밀 테니, 말로 마음을 알아들으려고 할 적에는, 그만 꾸밈말에 속거나 휘둘린다. 나비는 꽃을 바라보며 내려앉는다. 꽃시늉이나 꽃흉내인 곳에 문득 찾아가 보기는 하더라도 꽃이 아닌 시늉이나 흉내인 줄 알면 이내 떠나는데, 거의 모두라 할 나비는 꽃시늉이나 꽃흉내에는 아예 얼씬조차 않는다. 사람은 사람으로서 얼마나 마음을 열거나 틔워서 마주하려는가?


ㅍㄹㄴ


‘저 사람 자꾸 눈길이 간다. 아, 이쪽을 쳐다보지 않아서 그런가.’ (17쪽)


‘웃는 얼굴을 봤다. 다행이다.’ (49쪽)


‘같은 곳을 바라보는 옆얼굴은 좋아.’ (147쪽)


+


무슨 얘길 하면 좋을지 몰라서요

→ 무슨 얘길 해야 할지 몰라서요

46쪽


말하는 게 서툴거든요

→ 말이 서툴거든요

→ 서툴게 말하거든요

92쪽


난 그런 거 싫거든

→ 난 그러면 싫거든

→ 난 싫거든

92쪽


※ 글쓴이

숲노래·파란놀(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일상 8
아라이 케이치 지음 / 대원씨아이(만화) / 2014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꽃 / 숲노래 만화책 . 만화비평 2025.2.15.

책으로 삶읽기 987


《일상 8》

 아라이 케이이치

 금정 옮김

 대원씨아이

 2014.1.15.



《일상 8》(아라이 케이이치/금정 옮김, 대원씨아이, 2014)을 이제 자리맡에서 치운다. 멍하니 읽으면 멍하니 한때를 누릴 만한 줄거리일 수 있다. 한창 신나게 일하는 동안에는 손에 닿을 수 없는 줄거리라고 볼 만하다. 쉬엄쉬엄 살아가자는 마음을 들려주는 꾸러미일 텐데, 가만히 보면 이 그림꽃에 담은 여러 가지는 ‘쉬엄쉬엄’하고는 좀 멀다. 자꾸 뭔가 남다르거나 튀는 몸짓과 말을 하려고 더 머리를 쓴달까. 굳이 꾸미기에 남다를 수 없다. 애써 꾸며야 튀지 않는다. 종달새는 튀지 않는다. 동박새와 굴뚝새는 남다르지 않다. 모든 새는 그저 스스로 태어난 몸빛으로 이미 다르다. 사람도 매한가지이다. 그러나 사람은 스스로 타고난 숨빛을 ‘배움터(학교)’하고 ‘일터(회사)’에서 깡그리 잊고 잃는다. 잊고 잃은 빛은 좀더 튀려는 몸짓과 말로는 못 되살린다. 수수하게 살림을 짓고 들숲메를 사랑하는 마음일 적에 비로소 ‘다르면서 새로운’ 나다운 길을 걸을 수 있다.


ㅍㄹㄴ


“미오, 내 말 좀 들어봐 봐.” “왜 그래? 괴로워 보이는데 어디 아파?” “아.” “뭐야, 뭐야? 왜 그래?” “미안, 여기까지 왔는데.” “엉? 벌써 까먹은 거야?” (5쪽)


“이거 뭔가 장난쳐 놨지?” “아냐, 아냐. 너 요즘 머리 기르고 있잖아. 필요 없으면 내가 쓸 테니까 도로 가져와.” (90쪽)


“아, 저기, 새 청소기가 와서 연습을.” “무슨 연습인데.” “아니, 그게 전원 코드가 제대로 잘 감기나 싶어서. 그럼, 뭐, 그러니 이만.” (133쪽)


+


더블로 나왔다

→ 곱으로 나왔다

→ 겹쳐 나왔다

→ 짝으로 나왔다

8쪽


금자탑을 세울 수 있을 만큼

→ 기림돌을 세울 수 있을 만큼

→ 꽃돌을 세울 수 있을 만큼

8쪽


3등, 호화 시푸드입니다―

→ 셋째, 바닷밥입니다!

37쪽


설마 기우제 모드?

→ 설마 비나리꽃?

→ 설마 비나리판?

88쪽


그래서 차기작 말인데요

→ 그래서 다음판 말인데요

→ 그래서 두걸음 말인데요

→ 그래서 뒷얘기 말인데요

135쪽


※ 글쓴이

숲노래·파란놀(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네가 내 마음에 자리 잡았다 11
텐도 키린 지음 / 대원씨아이(만화) / 2023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꽃 / 숲노래 만화책 . 만화비평 2025.2.14.

책으로 삶읽기 988


《네가 내 마음에 자리 잡았다 11》

 텐도 키린

 김진수 옮김

 대원씨아이

 2023.5.15



《네가 내 마음에 자리 잡았다 11》(텐도 키린/김진수 옮김, 대원씨아이, 2023)를 돌아본다. 이토록 길게 얽매이고 다시 얽매이고 또 얽매이는 굴레를 ‘자리잡다’로 뒤집어씌울 적에는, 아주 마땅히 사랑하고 멀고 등진다. 내가 아닌 남을 자꾸 쳐다보기에 나를 잊는다. 내 마음에는 바로 ‘나’가 있어야 한다. 스스로 ‘나보기’를 차분히 하는 사이에 어느덧 ‘나사랑’으로 차오르게 마련이다. 내 마음에는 “내가 만나는 너”를 담을 수 있되, 그저 ‘너’만 덩그러니 담으려 하면 얽매인다. 이 그림꽃은 ‘사랑’하고는 한참 먼 올가미만 들려준다. 나를 스스로 바라보지 않으니 올가미를 스스로 씌우게 마련이고, 이 올가미는 남이 벗겨 주지 않는다. 올가미를 씌운 내가 스스로 벗어야 비로소 홀가분하다.


ㅍㄹㄴ


“미안하지만 당신, 스스로 생각하는 것만큼 괜찮은 여자가 아니거든. 제멋대로에 오만한, 철부지 아가씨.” (36쪽)


“이이다 씨도 그렇지 않아? 이이다 씨도 나도 스스로에게 자신이 없으니까, 그래서 호시나 선배한테 집착한 거야.” (104쪽)


‘얼굴을 고쳤는데 사랑받을 수 없는 거야? 나는 전남편 몰래 나를 상대해 줄 남자를 찾았어요.’ (177쪽)


+


제멋대로에 오만한, 철부지 아가씨

→ 제멋대로에 거드름, 맹한 아가씨

→ 제멋대로에 건방진, 바보 아가씨

→ 제멋대로에 까부는, 멍청한 아가씨

36쪽


당연한 응보라고 생각해요

→ 마땅히 갚는다고 생각해요

→ 꼭 그대로라고 생각해요

73쪽


※ 글쓴이

숲노래·파란놀(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스이요비 1
시오무라 유우 지음, 박소현 옮김 / 레진코믹스(레진엔터테인먼트) / 2017년 6월
평점 :
절판


숲노래 그림꽃 / 숲노래 만화책 . 만화비평 2025.2.14.

책으로 삶읽기 992


《스이요비 1》

 시오무라 유우

 박소현 옮김

 레진코믹스

 2017.6.23.



《스이요비 1》(시오무라 유우/박소현 옮김, 레진코믹스, 2017)를 읽었다. 삶과 삶터가 낯선 나라로 건너와서 한살림을 이루는 아가씨가 맞닥뜨리는 나날을 차분하게 들려주는 줄거리이다. 다른 눈으로 다르게 바라보며 살아온 사람이기에 하나부터 열까지 부딪힐 수 있지만, 모두 다르게 보고 느끼고 살아왔기에 오히려 더 새롭고 즐겁게 살림을 꾸릴 수 있다. 다르기에 등지고 싫어하거나 미워하는 사람이 있다면, 다르기에 더 다가서고 다사로이 보듬는 마음을 키울 수 있으니, 우리는 오늘 어떤 눈길과 마음길과 살림길을 짓는지 돌아볼 노릇이다.


ㅍㄹㄴ


“아냐, 아냐! 그냥 끈만 끼운 거야! 게다가 그거 도시락에 붙어 있던 거고. 나중에 제대로 된 끈으로 바꿔 줄게! 다시 한 번, 앞으로 잘 부탁드립니다.” (23쪽)


“아, 깼어? 아아! 그러다 또 쓰러져!” … “스이, 지금 생각하는 걸 말해 봐.” (95, 96쪽)


#すいようび #スイようび #汐村友


※ 글쓴이

숲노래·파란놀(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네가 내 마음에 자리 잡았다 1
텐도 키린 지음 / 대원씨아이(만화) / 2013년 11월
평점 :
품절


숲노래 그림꽃 / 숲노래 만화책 . 만화비평 2025.2.13.

만화책시렁 703


《네가 내 마음에 자리 잡았다 1》

 텐도 키린

 김진수 옮김

 대원씨아이

 2013.12.15.



  어쩐지 ‘나라걱정’을 하는 분이 꽤 많은 듯싶으나, ‘나라걱정’이란 ‘남걱정’이게 마련입니다. 나라이든 남이든 등돌릴 만하지는 않되, ‘걱정’을 할 만큼 매일 적에는 바로 ‘우리 삶’을 놓치고 잊으면서 ‘나걱정’으로 기울어요. 우리나라는 2024년 12월부터 2025년 2월 사이에 ‘우두머리(대통령)’ 없이 멀쩡히 잘 굴러가는 놀랍고 멋진 길입다. 이제는 생각할 때예요. 우두머리가 굳이 없어도 되는 줄 알아야 할 때이고, ‘그들(권력자·정치꾼)’은 일을 안 하면서 자리만 차지한 줄 알아봐야 할 때입니다. 일은 안 하면서 자리만 차지한 셈이라서, ‘그들’은 나라 곳곳에 빨대를 꽂고서 나라살림을 거덜낸 얼거리가 환하게 드러나는 나날이에요. 앞으로 우두머리 없는 채 몇 달을 더 갈는지 모르나, 바로 이런 민낯을 지켜보면서 ‘나라 아닌 나를 바라보기’로 거듭나면, 이 나라는 저절로 아름답게 피어날 만합니다. 《네가 내 마음에 자리 잡았다》는 도무지 ‘나보기’를 안 하는 모지리들이 얽히는 굴레를 줄거리로 다룹니다. 첫걸음부터 끝걸음까지 내내 이 늪입니다. 그야말로 읽으면서도 같이 늪에 빠지는 듯 괴롭더군요. ‘네가 내 마음에 자리잡았다’가 아닌 ‘나는 너한테 얽매인다’인 수렁이라면, 사랑도 꿈도 없이 좇고 쫓기면서 늘 싸움박질과 생채기가 넘칠 뿐입니다. 사람 사이도, 나라와 나 사이도 똑같습니다.


ㅍㄹㄴ


‘나 자신을 바꾸고 싶어서, 좋아하지도 않는 남자에게 매달렸다가 맥없이 격침당했다.’ (29쪽)


“그렇게 관계를 끊어버리고 싶으면 번호를 바꾸면 되잖아. 앞으로 나아가려면 그것부터 시작하는 게 좋지 않을까?” (53쪽)


‘예전의 나와는 달리, 응원해 주는 사람이 있다. 호시나 선배가 뭘 생각하고 있건, 난 지지 않을 거야!’ (182쪽)


+


《네가 내 마음에 자리 잡았다 1》(텐도 키린/김진수 옮김, 대원씨아이, 2013)


좋아하지도 않는 남자에게 매달렸다가 맥없이 격침당했다

→ 좋아하지도 않는 사내한테 매달렸다가 힘없이 무너졌다

→ 좋아하지도 않는 놈한테 매달렸다가 기우뚱 쓰러졌다

29쪽


왜 나는 그의 주박에서 벗어날 수 없는 걸까

→ 왜 나는 그이 굴레를 못 벗어날까

→ 왜 나는 그사람 고삐를 못 벗어날까

32쪽


이건 신작 천이에요. 집에서 이것저것 실험해 보려고요

→ 여기 새천이에요. 집에서 이것저것 해보려고요

49쪽


앞으로 나아가려면 그것부터 시작하는 게 좋지 않을까

→ 앞으로 나아가려면 이 일부터 해야 하지 않을까

→ 앞으로 나아가려면 이렇게 열어야 하지 않을까

53쪽


옛날의 잔상에 얽매여 사는 바람에 내 망상을 누군가에게 겹쳐버린 거야

→ 옛날 그늘에 얽매여 사는 바람에 내 꿈을 남한테 겹쳐버렸어

→ 옛날 그림자에 얽매이는 바람에 내 근심을 남한테 겹쳐버렸어

68쪽


※ 글쓴이

숲노래·파란놀(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