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민과 바다 무민 코믹 스트립 컬러판
토베 얀손 지음, 김민소 옮김 / 작가정신 / 2019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꽃 / 숲노래 만화책 . 만화비평 2023.12.2.

만화책시렁 338


《무민과 바다》

 토베 얀손

 김민소 옮김

 작가정신

 2019.7.25.



  빨래틀한테 맡긴 빨래를 마치면, 큰아이가 먼저 꺼내어 내놓기도 하고, 제가 빨래를 혼자 마쳐서 널 적에 어느새 큰아이가 마당으로 나와서 나란히 널기도 합니다. 샘물에 담가서 헹군 옷가지에는 샘물내가 뱁니다. 해바람으로 말리는 옷가지에는 해내음하고 바람내가 깃듭니다. 서울에서 살아가는 사람한테서는 서울냄새가 납니다. 숲에서 살림을 짓는 사람한테서는 숲냄새가 나지요. 두바퀴를 달리는 사람한테서는 땀내음이 나고, 쇳덩이(자동차)를 굴리는 사람한테서는 쇳내음이 번집니다. 《무민과 바다》는 불빛지기라는 새길을 걸어 보려는 무민네 이야기를 들려줍니다. 바다를 밝히는 외딴섬으로 갈 적에 다들 챙기고 싶은 짐이 있습니다. 바다를 밝히는 빛줄기를 한 가지가 아닌 여러 가지로 꾸미고 싶고, 풀도 나무도 없는 섬에 꽃이며 나무를 심고 싶어요. 무민네라면 어디에서나 재미나게 놀고 일하면서 살아가겠지요. 어느 곳에서 무슨 일거리를 맡든 대수롭지 않습니다. 스스로 하루를 그릴 줄 알면 됩니다. 스스로 오늘을 노래하면 됩니다. 다만, 무민네는 나라에서 시키는 대로 불빛을 돌보지 않다 보니, 밤바다를 가르는 배는 길을 잃거나 헤매었다지요. 바다에서도 무민은 무민이요, 뭍에서도 무민은 무민입니다.


ㅅㄴㄹ


“하지만 엄마, 이런 건 등대지기한테 필요없어요!” “다들 황량한 절벽 위에서 보헤미안처럼 살고 싶은가 봐.”(9쪽)


“엄마, 엄마도 어렸을 때 캄캄하면 무서웠어요?” “아니. 너희 아빠 때문에 무서운 척하는 것뿐이야.” (21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신장판 오르페우스의 창 1
이케다 리요코 지음 / 대원씨아이(만화) / 2012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꽃 / 숲노래 만화책 . 만화비평 2023.11.26.

만화책시렁 406


《오르페우스의 창 1》

 이케다 리에코

 장혜영 옮김

 대원씨아이

 2012.4.15.



  서로 눈을 뜨기에 만납니다. 눈을 뜨지 않는 사이라면 만나지 않아요. 눈이 안 보여서 못 만난다고요? 그렇지 않아요. 우리는 서로를 ‘겉눈’이 아니라 ‘속눈’을 떠서 만나거든요. “눈을 뜬다”고 할 적에는 “마음을 뜬다”는 뜻이에요. 허울이 아닌 씨알을 바라보면서 마음이 흐르기에 둘 사이에 생각이 깨어나고, 이 생각은 천천히 사랑이라는 꽃으로 핍니다. 《오르페우스의 창 1》를 읽고, 뒷걸음도 내처 읽다가 돌아봅니다. 눈망울이 초롱거리는 늘씬하면서 잘생긴 사람을 잔뜩 그려내어야 ‘사랑’이나 ‘만남’을 그릴 수 있지 않습니다. 곰곰이 보면, 숱한 그림·글·그림꽃·이야기는 으레 겉모습에 휘둘리거나 얽매이면서 막상 눈을 안 뜨거나 못 뜨는 굴레에서 멈춘다고 느껴요. 돈있는 집안이라서 잘 하지 않아요. 돈없는 집안이라서 못 할 까닭이 없어요. 재주란, 잿더미처럼 부질없을 만합니다. 스스로 손을 놀려서 익힌 솜씨가 아니라면, 타고난 돈이나 이름이나 얼굴이나 몸매나 이름값 따위는 덧없어요. 그래서 《오르페우스의 창》을 읽으면서도 영 따분합니다. 줄거리를 알뜰살뜰 짠다고 하더라도, ‘사랑’이 아닌 ‘굴레’만 담는다면.


ㅅㄴㄹ


‘멍청한 녀석들. 나중에 두려움에 떨지나 말라지. 돈도 없는 학생을 장학금을 주면서까지 굳이 왜 입학시켰는지에 대해선 생각도 안 해본 거냐.’ (63쪽)


‘지금이라면 아직 늦지 않았어요, 분명! 그래요, 모든 걸 전부 다 이야기해요. 어떤 심판을 받는다 해도, 이제 진짜라고 할 수 있는 우리의 생활을 다시 시작해요.’ (178쪽)


#池田理代子 #オルフェウスの窓


+


《오르페우스의 창 1》(이케다 리에코/장혜영 옮김, 대원씨아이, 2012)


왜 그런 운치 있는 이름으로 불리게 되었는지

→ 왜 그처럼 멋있게 이름을 붙였는지

11쪽


꼭 친구가 되란 법은 없지만 통성명이나 하자

→ 꼭 동무가 되진 않겠지만 이름이나 나누자

→ 꼭 사귀진 않겠지만 이름이나 트자

17꼭


알았어, 가난한 고학생. 향학심이 돈 이상으로 많다는 얘기겠지

→ 알았어. 가난배움이. 돈은 없어도 배울 뜻은 크다는 얘기겠지

18쪽


물론 우리 집에는 독약 같은 건 없지만요

→ 뭐 우리 집에는 고약물이란 없지만요

→ 다만 우리 집에는 몹쓸물이란 없지만요

29쪽


이 약골아

→ 이 골골아

→ 고삭부리야

→ 이 비실아

→ 이 빌빌아

35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칠석의 나라 1 - 애장판
이와아키 히토시 지음 / 학산문화사(만화) / 2014년 3월
평점 :
품절


숲노래 그림꽃 / 숲노래 만화책 . 만화비평 2023.11.25.

만화책시렁 403


《칠석의 나라 1》

 이와아키 히토시

 서현아 옮김

 학산문화사

 2014.3.25.



  예부터 새는 사람을 안 꺼렸습니다. ‘새’라는 우리말은 여럿 있습니다. 하늘하고 땅 사이를 잇듯 날갯짓으로 노래하는 숨결인 ‘새’가 있고, 이제까지 없었다가 처음으로 나타난다는 ‘새’가 있고, 오가는 자리가 있거나 벌어지거나 뚫린다는 ‘새’가 있고, 해가 뜨는 곳을 가리키는 ‘새’가 있고, 무엇을 할 만한 때를 나타내는 ‘새’가 있어요. 어떤 몸짓이나 결인가 드러내는 ‘새’도 있으니, 그야말로 한겨레 사람살이에서 ‘새’는 매우 깊게 스민 낱말이라고 할 만합니다. 그러나 사람들이 어리석게 싸움질을 해대고, 우두머리를 올리거나 돈·이름·힘에 휘둘리면서 숲을 망가뜨릴 즈음부터, 사람하고 새가 등집니다. 사람은 새를 잊고, 새는 사람을 잃는 얼개입니다. 《칠석의 나라》는 마음을 잊다가 잃은 사람과 마을과 나라가 어떻게 뒹굴면서 갇히는지 부드러이 보여줍니다. 빛힘을 쓰는 마을·사람들하고, 이 빛힘을 허튼짓에 쓰려는 어리석은 나라·사람들을 맞대기도 합니다. 밤이 걷히고 날이 새면 눈을 틔웁니다만, 옆길로 새느라 사랑을 싹틔울 틈새를 닫으면 죽음벼랑으로 치닫습니다. 새를 멀리하니, 하나도 새롭지 않고, 생각도 없어요.


ㅅㄴㄹ


“까치라는 새는 옛날이나 지금이나 이 동북지방엔 없어. 일본에서는 규슈에 서식할 뿐이지.” “네에? 그랬어요?” “더욱이 처음 일본에 들어온 것은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조선 침략 이후, 무장들이 대륙에서 가져왔다고도 해.” (151쪽)


“그래도, 근사하지 않아? 자기한테밖에 없는 능력이나 삶 말야.” “그래요. 평생 여기서 살며 마루카미산의 신관을 목표로 삼는다면 괜찮을지 모르죠. 무척 유니크한 인생이랍니다. 평생 마을 밖으로는 나갈 수 없지만.” “그런 건 싫다아.” “어머, 아까워라.” (226쪽)


+


#岩明均 #七夕の国


《칠석의 나라 1》(이와아키 히토시/서현아 옮김, 학산문화사, 2014)


괜찮다, 키쥬로에게 바치는 공양이니

→ 걱정없다, 키쥬로한테 바치니

→ 거뜬하다, 키쥬로한테 올리니

22쪽


자손만대에 물려주어야 할 피의 재산이올시다

→ 길이길이 물려주어야 할 피꽃이올시다

→ 두고두고 물려주어야 할 핏빛이올시다

27쪽


여긴 솔직히 말해 떨거지 집합소야

→ 여긴 바로 말해 떨거지가 우글대

→ 여긴 막상 떨거지가 바글거려

69쪽


즐거우신 가운데 죄송합니다만, 잠시 협조해 주시겠습니까

→ 즐거우실 텐데 끼어듭니다만, 살짝 도와주시겠습니까

→ 즐거우실 텐데 여쭙니다만, 조금 도와주시겠습니까

158쪽


즉, 아직 방법을 모르는 것뿐이지, 소질은 충분하다네

→ 곧, 아직 길을 모를 뿐이지, 바탕은 넉넉하다네

→ 뭐, 아직 모를 뿐이지, 밑동은 있다네

165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내 파란 세이버 5 - 날고 싶은 소년의 자전거 성장 드라마
박흥용 글.그림 / 바다출판사 / 2007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꽃 / 숲노래 만화책 . 만화비평 2023.11.25.

만화책시렁 360


《내 파란 세이버 5》

 박흥용

 바다그림판

 2007.7.16.



  노름(도박)은 노름입니다. 꽃짝(화투)을 쥐든, 손가락으로 꼽든, 쇠돈(동전)을 굴리든, 노름이면 노름입니다. 두바퀴는 두바퀴입니다. 어린이가 타든, 할머니가 타든, 새벽에 새뜸을 나르려고 타든, 쌀이나 짐을 실어 옮기든, 두바퀴는 두바퀴입니다. 《내 파란 세이버 5》을 되읽는데, 이 그림꽃은 두바퀴가 나오기는 해도 두바퀴 이야기라기보다 노름 이야기로만 보입니다. 2000년을 앞두고 처음 나오던 무렵에도 ‘두바퀴가 나오기는 해도 그저 노름’에 휩쓸리는 물결을 보여줄 뿐이라고 느꼈어요. 노름은 돈겨룸이면서 싸움판입니다. 노름을 하기에 그릇되거나 틀려먹거나 나쁘다는 뜻이 아닙니다. 노름이란, 돈을 걸면서 마음을 스스로 갉는 굴레로 뻗는다는 뜻입니다. 노름에 빠지면 노름 아니고는 눈에 뵈지 않습니다. 노름판에서 누가 나비를 보겠어요? 노름꾼 가운데 누가 들꽃내음을 맡겠어요? 노름을 하며 싸우는 이들이 아이를 사랑으로 낳아 돌보는 길을 갈까요? 《내 파란 세이버》를 ‘성장만화’로 여기는 목소리도 있습니다만, 푸름이(고등학생)가 나온대서 ‘자람길’을 다루지는 않습니다. 그저 총칼나라(독재정치) 한복판에서도 삶·살림·사랑이 아닌 돈·노름·싸움에 스스로 말려들던 우리 민낯을 보여줄 뿐입니다.


ㅅㄴㄹ


“내 죽은 다리랑 너무 비교되잖아. 저놈은, 그 거지가 자기 때문에 죽었다는 사실이 너무 두렵고 무서워서.” (72쪽)


‘삼 일 후면, 가설 벨로드롬에서의 한 판! 흐, 도박사들 들썩하겠네.’ (252쪽)


“저 늙은 여우는 경기도 출신이다. 그 광대 같은 유니폼을 입고 이 영동 바닥을 어슬렁거려야 할 이유가 없다구.” (305쪽)


+


《내 파란 세이버 5》(박흥용, 바다그림판, 2007)


삼 일 후면

→ 사흘 뒤면

252쪽


도박사들 들썩하겠네

→ 노름꾼들 들썩하겠네

→ 내기바치 들썩하겠네

252쪽


부조금 보내 줄게

→ 꽃돈 보내 줄게

→ 돈 보내 줄게

326쪽


이 교각이 유명해진까 공사 관계자들이 부랴부랴 상판을 올려 다리를 완공했어요

→ 이 다릿발이 얄려진까 일꾼들이 부랴부랴 굄판을 올려 다리를 매듭지었어요

341쪽


뽀록 날 뻔 했잖아

→ 들통날 뻔했잖아

→ 들킬 뻔했잖아

→ 드러날 뻔했잖아

→ 걸릴 뻔했잖아

→ 잡힐 뻔했잖아

347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천재 유교수의 생활 20
야마시타 카즈미 지음 / 학산문화사(만화) / 2003년 7월
평점 :
절판


숲노래 그림꽃 / 숲노래 만화책 . 만화비평 2023.11.23.

책으로 삶읽기 867


《천재 유교수의 생활 20》

 야마시타 카즈미

 신현숙 옮김

 학산문화사

 2003.7.25.



《천재 유교수의 생활 20》(야마시타 카즈미/서현아 옮김, 학산문화사, 2003)을 돌아본다. 싸움을 일으켰고, 싸움을 일으키며 외톨이(전쟁고아)가 숱하게 생겼고, 이웃나라도 제 나라도 망가뜨린 일본이 어떤 민낯인지 드러내면서, 이 바보스런 일본을 갈아엎는 길이란 ‘새로 스스로 배우기’라는 대목을 차분히 풀어내는 줄거리이다. 언제나 어디서나 매한가지이다. 마침종이(졸업장)를 거머쥐는 학교교육이 아닌, 살림살이를 손수 지으면서 삶을 사랑으로 노래할 줄 알도록 가르치고 배우는 새길일 적에 비로소 깨어난다. 마침종이 따위는 있어야 할 까닭이 없다. 먼먼 옛날부터 어떤 흙지기도 마침종이나 솜씨종이(자격증)로 흙을 일구지 않았고, 아이를 낳지 않았고, 이야기로 아이들을 가르치지 않았다. 언제나 손수짓기에 살림짓기에 사랑짓기로 보금자리를 돌보면서 아이들을 품었다. 우리나라 ‘배움돈(교육예산)’이 얼마나 어마어마한지 헤아려 보자. 어마어마하게 돈을 퍼붓지만, 막상 잘못이며 말썽이며 저지레를 일삼는 무리가 수두룩하다. 좀 배웠다는 이들이 일삼는 막말은 끝이 없다. 마침종이·솜씨종이에 얽매인 나라는 죽음벼랑으로 치달릴 수밖에 없다. 이제라도 ‘졸업장 없는 학교’로 바꾸어야 하지 않을까?


ㅅㄴㄹ


“난 어젯밤에 잠도 못 잤어. 그런 말을 들어 보긴 난생 처음이거든.” (11쪽)


“신문기사는 전쟁 중과 전쟁 후가 어이없을 만큼 달라져 있어. 기사를 있는 그대로 받아들여선 안 돼. 매일 읽으면서 의문점을 찾아와. 나도 같이 생각할 테니까.” (14쪽)


“꼬마야, 이런 빗속에서 뭘 하고 있지?” “수업.” “벌을 서고 있는 거니?” “아니야, 수업이야.” (20쪽)


“쉽게 찾을 수 있다면 그런 쉬운 인생은 난 싫어. 저 사람은 머리가 너무 좋아서 그걸 모르는 거야.” (52쪽)


“거기서 어떤 발견이 있나?” “왜 꼭 발견을 해야 하죠? 결과만 알면 그만이지. 지금 제가 이 자리에 이렇게 있을 수 있는 것도 전부 천황폐하 덕분입니다. 폐하의 존의대로 충실하게 살다 보면, 언젠가는 훌륭한 인간이 될 수 있다고 믿고 있습니다.” (70쪽)


#山下和美 #天才柳沢教授の生活


+


별채가 싫으면 밖에서 자든가

→ 곁채가 싫으면 밖에서 자든가

→ 뒷채가 싫으면 밖에서 자든가

8쪽


그 동물을 조교시키는 것이 교육이야

→ 이 짐승을 끌어가야 가르침이야

→ 이 짐승을 다스려야 가르침이야

32쪽


마치 자석에 달라붙는 철가루 같은 국민성

→ 마치 붙쇠에 달라붙는 쇳가루 같은 넋

40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