풀솜 감옥 1
오자키 이라 지음, 이소연 옮김 / 서울미디어코믹스(서울문화사) / 2023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꽃 / 숲노래 만화책 . 만화비평 2024.1.14.

만화책시렁 605


《풀솜감옥 1》

 오자키 이라

 이소연 옮김

 서울미디어코믹스

 2023.5.30.



  스무 살 무렵에 어버이집을 뛰쳐나오지 않았으면 어떤 길을 걸었으려나 하고 곰곰이 생각합니다. 날마다 아버지하고 티격태격했을는지 모르되, 조금씩 집안을 바꾸는 길을 걸었을 수 있고, 그만 미움씨앗만 활활 타오르다가 모두 무너졌을 수 있습니다. 징검다리나 이음돌 노릇을 할 수 없다면, 그곳에서 떠나는 길도 아름다우리라 여깁니다. 집안에서 한 사람이라도 홀로서기를 하면서 새길을 찾는 몸짓을 선보일 적에, 웃사내 꼰대질이 사그라들 테니까요. 《풀솜감옥 1》를 읽는 내내 어릴 적 일을 떠올리고, 앞으로 살림하며 지을 눈망울은 무엇일까 하고 생각합니다. 아무리 부드럽게 여미는 울타리여도 사슬이나 수렁이나 굴레이게 마련입니다. 꽃뜰을 가꿀 뜻이 아닌, “꽃을 심은 가두리”로 짠다면, 모두 숨막혀요. 숨막히는 가두리를 세워 놓고도 스스로 숨막히는 줄 모른다면, 이미 죽어버린 넋이지 싶습니다. 누가 “죽은 넋”을 깨울까요? 아이가 해줘야 할까요? 어버이로 살아온 늙은 할배가 스스로 일어서야 할까요? 옆에 있을 적에 말을 섞어도 알아차리지 않거나 받아들일 마음이 없다면, 그대로 죽겠지요. 죽살이는 늘 맞물립니다. 말귀를 틔우고, 아이 눈빛을 받아들여, 살림을 사랑으로 가꿀 적에만 비로소 삶입니다.


ㅅㄴㄹ


“애들은 원래 다들 태어난 순간부터 엄마를 사랑해. 사랑하는 엄마가 항상 힘들어 보여서 도와주고 싶었어. 아무리 혼나고 훼방꾼 취급받아도, 엄마를 사랑하니까 참은 거야.” (79쪽)


‘나는 내 인생을 살자. 누군가를 위해서도, 누군가의 탓도 아니야. 나를 위해 사는 거야.’ (93쪽)


‘제대로 노력해 보는 것도 괜찮을 것 같아.’ (117쪽)


#尾崎衣良 #?綿の檻


+


《풀솜감옥 1》(오자키 이라/이소연 옮김, 서울미디어코믹스, 2023)


남녀평등이다 뭐다 하지만, 아들의 탄생을 더 기뻐하는 풍조가 남아 있었다

→ 나너우리다 뭐다 하지만, 아들이 태어나면 더 기뻐하곤 했다

→ 온살림이다 뭐다 하지만, 아들이 나오면 아직도 더 기뻐한다

→ 나란하다 뭐다 하지만, 아들을 낳으면 더 기뻐하기 일쑤이다

12쪽


가족을 위해 집안을 위해 분골쇄신 일해 왔다

→ 온집에 집안에 뼈를 깎으며 일해 왔다

→ 곁사람과 집안에 몸바쳐서 일해 왔다

60쪽


남편을 내조하는 날들

→ 짝꿍을 거두는 날

→ 곁님을 돕는 나날

73쪽


준수한 편인데

→ 말쑥한데

→ 멋있는데

→ 고운데

103쪽


리얼충의 휴일은 바쁘다구

→ 살림꾼은 쉼날이 바쁘다구

→ 삶님은 쉬는날이 바쁘다구

138쪽


폴 하나를 써서 근력, 코어, 유연성을 구사하는 아크로바틱한 댄스다

→ 대 하나를 써서 몸힘, 밑힘, 매끈빛을 펴는 꽃솜씨 같은 춤이다

→ 장대 하나로 몸, 속힘, 부드럼을 선보이는 멋솜씨다운 춤이다

→ 바지랑대로 힘살, 바탕힘, 미끈함을 빛솜씨로 베푸는 춤이다

176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알바고양이 유키뽕 12
아즈마 카즈히로 지음 / 북박스(랜덤하우스중앙) / 2007년 6월
평점 :
품절


숲노래 그림꽃 / 숲노래 만화책 . 만화비평 2024.1.12.

책으로 삶읽기 894


《알바 고양이 유키뽕 12》

 아즈마 카즈히로

 김완 옮김

 북박스

 2007.6.21.



《알바 고양이 유키뽕 12》(아즈마 카즈히로/김완 옮김, 북박스, 2007)을 읽는다. 일본에서는 모두 열다섯걸음으로 매듭지었으나, 우리나라는 펴냄터를 잘못 만난 탓인지 마지막 셋(13·14·15)이 한글판이 안 나온 채 사라졌다. 다시 헤아려 보면, 1∼12까지 한글판을 내놓았으니 고맙다. 이제 새 펴냄터를 만나서 1∼15까지 새로 나올 수 있을까? 아즈마 카즈히로 님이 선보인 다른 ‘고양이 그림꽃’도 나올 수 있을까? 2004∼2007년보다 2020년 한복판이 훨씬 사랑받을 수 있으리라 본다. 스무 해 만에 되읽어 보아도 그림결이며 줄거리가 탄탄하다. 사람하고 고양이가 이웃으로 어울리는 길을 그리는 곁에, 살림살이도 놀이도 사랑도 꿈도 오늘 하루도 새록새록 되새기는 줄거리가 흐른다. 《알바 고양이 유키뽕》은 어쩌다가 이웃나라로 잘못 날아가서 곁일을 하는 줄거리도 흐르는데, 우리나라 시골살이도 무척 잘 그려내었더라. 그냥그냥 아쉽지만, 아쉬워도 이따금 헌책집에서 문득 만나기에 반가워서 새삼스레 집어든다.


ㅅㄴㄹ


“못된 주인을 벌어먹이기 위해 알바를 전전하는 기특한 고양이 얘기예요.” “음음.” “운송업도 하고, 술집에서도 일하고, 가정교사도 하고, 만화 편집자 견습도 하고 …….” “음음. 응? 뭐야∼ 그거 네 얘기잖아?” “에헤 에헤헤, 뽀록났어요?” “하지만 참고가 될 것 같아. 좀더 자세히 들려줘!” (48쪽)


“이해를 못 해. 네코지카 선생님이 그림을 그려 준다는 건 전국 고양이들의 꿈인데.” (147쪽)


#ユキポンのお仕事 #東和広


+


삼가 조의를 표합니다

→ 삼가 고이 기립니다

→ 삼가 거룩히 모십니다

12쪽


부의금 없다고 얘기하고 올까요?

→ 눈물돈 없다고 얘기하고 올까요?

→ 곁돈 없다고 얘기하고 올까요?

13쪽


고도가 많이 떨어졌어

→ 키가 많이 떨어졌어

→ 많이 떨어졌어

22쪽


근육통이 심해서 못 갔어

→ 쑤셔서 못 갔어

→ 몸살이라 못 갔어

→ 지쳐서 못 갔어

→ 고단해서 못 갔어

22쪽


방랑의 고양이 화가

→ 떠돌이 고양이 붓님

→ 나그네 고양이 붓꾼

147쪽


정초에 결심 잘 해놓고

→ 첫날에 다짐 잘 해놓고

→ 설날에 마음 잘 다지고

151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플라타너스의 열매 8
히가시모토 토시야 지음, 원성민 옮김 / 대원씨아이(만화) / 2023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꽃 / 숲노래 만화책 . 만화비평 2024.1.9.

책으로 삶읽기 887


《플라타너스의 열매 8》

 히가시모토 토시야

 원성민 옮김

 대원씨아이

 2023.9.30.



《플라타너스의 열매 8》(히가시모토 토시야/원성민 옮김, 대원씨아이, 2023)을 가만히 읽는다. 첫걸음부터 여덟걸음까지 읽는 내내 ‘돌봄터(병원)’란 무엇이고, ‘어린돌봄터(소아과병원)’는 어떤 몫인지 헤아려 본다. 시골에는 돌봄터부터 적고, 어린돌봄터는 아예 없다. 돌봄터도 드물고, 어린돌봄터는 아예 없는 시골에 씩씩하게 들어오는 젊은 이웃은 드물다. 더구나 시골에서는 아기를 낳을 적에 받아줄 일손조차 아예 없기 일쑤이다. 모두 서울로 쏠렸달까. 마을 할매할배는 전남 고흥에서 서울까지 ‘돌봄마실(병원순례)’을 다닌다. 읍내에 가서 첫 시외버스를 타기도 하지만, ‘서울 사는 딸아들’이 ‘고흥 택시’를 하나 잡아서 60만 원(2024년) 안팎으로 서울까지 휙 모시기도 한다. 우리는 어쩌다 이런 나라를 이루는 삶일까? 왜 딸아들을 서울로 보내고, 왜 서울에 있는 돌봄터를 오가느라 먼먼 나들이를 할까? 그리고 돌봄지기로 일하는 분들은 이웃을 어떤 눈으로 바라볼까? 아이들은 스스로 몸과 마음을 돌보는 길을 알까? 그저 배움터에서 쳇바퀴처럼 스무 살까지 다니다가, 때로는 서른 살까지 배움터에 깃들다가, 몸도 마음도 지치지 않을까? 앞으로는 ‘돌봄터가 없어도 즐겁고 튼튼하게 살아갈 시골과 서울’을 이루어야 하지 않을까? 꿈 같은 소리가 아닌, 참말로 이 삶터에서 이룰 일이다.


ㅅㄴㄹ


“요즘 아이들 눈에는 우리가 어떤 모습으로 보일까요?” (87쪽)


“스스로를 위해서 하는 거짓말은, 누구를 위한 것도 아니야. 정말로 혈변을 보지는 않니?” (215쪽)


+


손상된 시신경은 회복되지 않으니

→ 다친 눈빛은 돌아오지 않으니

→ 다친 눈은 되살아나지 않으니

32


그럼 대신 처분해 줘

→ 그럼 네가 버려 줘

→ 그럼 네가 치워 줘

50


일만 했으니까 잠시 휴식기를 가지는 것뿐이야

→ 일만 했으니까 살짝 숨돌릴 뿐이야

→ 일만 했으니까 한동안 쉴 뿐이야

96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콩고양이 3 - 야!야!야!
네코마키 지음, 장선정 옮김 / 비채 / 2016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꽃 / 숲노래 만화책 . 만화비평 2024.1.9.

책으로 삶읽기 893


《콩고양이 3》

 네코마키

 장선정 옮김

 비채

 2016.1.4.



《콩고양이 3》(네코마키/장선정 옮김, 비채, 2016)을 읽으면 섬고양이에 섬할배에 섬아지매에 섬순이에 섬돌이가 나란히 나온다. 석걸음에는 섬참새도 나온다. 예부터 참새도 고양이도 사람집 곁에서 맴돌거나 깃들었다. 손이 닿을 듯 말 듯한 곳에 자리잡고, 으레 노래를 들려준다. 고양이가 내는 소리도, 참새가 들려주는 떼수다도, 곰곰이 보면 사람들한테 베푸는 노래로 여길 만하다. 둘 다 사람더러 너무 서두르지 말라고, 하루를 바라보라고, 하늘과 바람과 볕을 누리라고, 비를 보고 풀꽃을 즐기라고 알려주는 노래일는지 모른다. 거꾸로 보면, 사람들 스스로 고양이랑 참새가 쉽게 깃들거나 찾아올 만한 데에 집을 짓고 밭을 일군다고 할 만하다. 비록 오늘날에는 이런 얼거리를 다들 잊어가지만.


ㅅㄴㄹ


참새는 곧잘 기와 밑에 둥지를 틉니다. (13쪽)


“그러게∼ 저 날개는 넓은 하늘을 날아다니는 데에 써야지. 짹짹아! 바깥은 잔혹한 정글이니 힘내서 잘 살아야 해!” “잘 자라서 대견하기도 하고, 품을 떠나가버리는 게 섭섭하기도 하고, 복잡해. 자식이 독립해서 나갈 때 부모 마음이 이렇겠지.” “내 새끼들은 어느 세월에 저 하늘로 훨훨 날아갈까나. 벌써, 그럭저럭 10년 이상.” (52쪽)


#まめねこ #ねこまき

+


그게 자연의 섭리지

→ 그런 숲살림이지

→ 그런 숲길이지

→ 숲은 그런 얼개지

20쪽


택배입니다. 확인 도장 부탁드립니다

→ 짐입니다. 찍어 주십시오

→ 보따리입니다. 새겨 주십시오

59쪽


10구째

→ 열공째

118쪽


병마용갱이니? 벌써 알고 있군

→ 숨은굴이니? 벌써 아는군

→ 껴묻이굴이니? 벌써 아는군

164쪽


오늘부터 특별훈련이야

→ 오늘부터 갈고닦자

→ 오늘부터 벼린다

→ 오늘부터 더 배운다

176쪽


어떤 개인기를 시킬 건데?

→ 어떤 자랑을 시키려고?

→ 어떤 솜씨를 시키려고?

→ 어떤 혼멋을 시키려고?

177쪽


나한테서 간식 얻어먹는 법을 터득하셨지

→ 나한테서 까까 얻어먹는 길을 익히셨지

→ 나한테서 곁밥 얻어먹기를 깨치셨지

185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배가본드 4
이노우에 다케히코 지음 / 학산문화사(만화) / 2011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꽃 / 숲노래 만화책 . 만화비평 2024.1.7.

책으로 삶읽기 890


《배가본드 4》

 요시카와 에이지 글

 이노우에 타카히코 그림

 서현아 옮김

 학산문화사

 1999.11.25.



《배가본드 4》(요시카와 에이지·이노우에 타카히코/서현아 옮김, 학산문화사, 1999)은 코딱지만큼 조그맣고 하찮다고 여길 만한 곳에서 우쭐대는 쳇바퀴가 무엇인지 넌지시 들려줍니다. 칼을 쥐고픈 아이는 아직 스스로 어떤 곳에 사로잡혔는지 바라보지 않습니다. 그저 하나씩 밟고 죽여서 올라가면 된다고 여깁니다. 아이는 바야흐로 멧숲이 아닌 사람으로서 첫 스승을 마주하는 셈이지만, 사람 곁에서 사람이 들려주는 말을 제대로 들은 일이 없다시피 하기에, 마음을 휘젓는 말을 알아들을 길이 없습니다. 이미 숱한 주검을 밟고서 살아온 늙은 스님은 이 아이를 흘려넘기지 않습니다. 늙은 스님이 왜 쟁기를 쥐고서 밭을 일구는지 아이는 아직 모를 만하지요. 오늘날 숱한 서울사람도 시골 아닌 서울에서 살면서 논밭을 등지고 모릅니다. 나라지기가 논밭을 돌보는 일도 없습니다. 시골 벼슬아치도 논밭을 등지고 몰라요. 우리는 참말로 다들 땅을 등지고 모르면서 살아갑니다. 나란히 죽음길로 치닫는지 까맣게 모릅니다.


ㅅㄴㄹ


“인정해 버려라. 있는 그대로의 너를. 수행은 거기서부터야.” (97쪽)


“그런 것은 강한 게 아니야. 어설픈 거지.” (152쪽)


“헌데 네 스스로는 강하다가 생가가는고?” (162쪽)


“진정 강한 자가 어떤 것인지 알려면, 진정 강한 자가 되어야 하지.” “뭐?” “요만―한 세계에 살고 있는 지금은 모를밖에.” (166쪽)


+


어쩐지 두근두근거리는군

→ 어쩐지 두근두근하군

→ 어쩐지 두근거리는군

49쪽


웬 관헌들이 오시나

→ 웬 나리가 오시나

60쪽


네가 이루는 살기가

→ 날선 너는

→ 서슬 퍼런 너는

→ 네 맵바람이

→ 네 겨울빛이

150쪽


헌데 네 스스로는 강하다고 생각하는고?

→ 근데 네 스스로는 세다고 생각하는고?

162쪽


요만―한 세계에 살고 있는 지금은 모를밖에

→ 요만큼 작은 곳에 사는 오늘은 모를밖에

166쪽


진리는 항시 알고 보면 당연한 것에 있는 법

→ 참길은 늘 알고 보면 마땅한 곳에 있는 터

→ 참은 노상 알고 보면 바른 곳에 있게 마련

177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